KR200474056Y1 - Foldable paper cup - Google Patents

Foldable paper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56Y1
KR200474056Y1 KR2020120006761U KR20120006761U KR200474056Y1 KR 200474056 Y1 KR200474056 Y1 KR 200474056Y1 KR 2020120006761 U KR2020120006761 U KR 2020120006761U KR 20120006761 U KR20120006761 U KR 20120006761U KR 200474056 Y1 KR200474056 Y1 KR 200474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arallelogram
paper cup
lin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0845U (en
Inventor
한태현
Original Assignee
한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현 filed Critical 한태현
Priority to KR2020120006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56Y1/en
Publication of KR20140000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4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펼쳤을 때, 정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6개의 이등변 삼각형이 역방향으로 교차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wherein the folded paper cup has a bottom surface formed by an equilateral triangle when expanded, and a side surface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six isosceles triangles cros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Description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FOLDABLE PAPER CUP}FOLDABLE PAPER CUP "

본 고안은 접철식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컵을 접철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액체를 담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접철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시에는 최소한의 면적을 이용하여 액체를 담은 채로 세워둘 수도 있으면서도 그립감이 좋아 사용시에도 편리하고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aper cup, which is made by folding a paper cup so that it can be used by being filled with liquid and folded when not in use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In use, Like bag-type paper cup which can stand still but can hold up a good grip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reduced in production cost.

일반적으로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은 다수의 종이를 합지시켜 형성된 판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며 실외나 야외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납작하게 접철된 형태의 종이컵이나 원추형 종이컵, 고정구가 삽입된 종이컵은 주로 공공장소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용도로 한정되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is manufactured by using a paperboard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paper sheets, and is portable and easy to use outdoors or outdoors. Paper cups, conical paper cups, and paper cups with fixed fasteners, which are flatly folded, are mainly used for drinking beverages in public places.

납작한 형태의 접철된 종이컵은 3면이 직선으로 밀폐되어 있고 밀폐되지 않은 면의 반대쪽을 손으로 잡고 음료를 부어 사용한다. 음료를 붓기 위해 종이컵의 입구를 벌릴 때는 양손을 사용하거나 입으로 불어 공기를 불어넣어 입구를 벌려서 사용해야 하고 음료가 종이컵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반드시 손으로 잡고 있거나 어떤 물체에 기대어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해주는 물리적 힘이 필요하다.A folded paper cup in a flat form is sealed on three sides in a straight line and the other side of the unsealed side is held by hand to pour the drink. When you open the entrance of a paper cup for pouring drinks, you must use both hands or blow air into the mouth to open the mouth. If the drink remains in the paper cup, it must be hand held or supported by an object Is required.

원추형 종이컵은 원추형의 콘(Cone) 형상으로 형성하되 콘의 꼭지점을 밀폐하고 콘의 꼭지점을 외측에서 감싸쥔 상태에서 액체를 부어 사용한다. 음료를 담기 위해 입구를 따로 벌리지 않아도 입구가 항상 개봉되어 있어 음료를 부어 넣기에는 편리하지만 음료가 종이컵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반드시 손으로 잡고 있거나 원형의 구멍이 있는 물체에 콘의 꼭지점 부분을 끼워 세우지 않으면 음료가 흘러 쏟아지게 된다. 그리고 원추형 종이컵은 형상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A conical paper cup is formed as a cone-shaped cone, which seals the vertex of the cone and pours the liquid while holding the vertex of the cone from the outside. Even if you do not open the door for drinking, the entrance is always open, so it is convenient to pour the beverage, but when the beverage remains in the paper cup, be sure to hold it by hand or place the vertex of the cone in a circular hole Drinks pour out. Since the conical paper cup is fixed in shape, it is not easy to carry.

고정구가 삽입된 종이컵의 예로는 특허문헌 1에 제시되어 있는 형태로서 종래 접철식 종이컵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종이컵을 안정된 형상으로 유지시켜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도 세워놓을 수 있고 종이컵 안의 내용물의 열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구가 삽입된 종이컵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접철된 종이컵을 펼쳐서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 고정구를 삽입하고 음료를 붓기 까지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고정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함으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항상 종이컵과 고정구를 같이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종이컵과 고정구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n example of a paper cup in which a fixture is inserted is a form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 which a fixture is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foldable paper cup to keep the paper cup in a stable shape so that the paper cup can stand up even when the drink is contained.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paper cup with such a fixture can be used stably, the process from the folding of the folded paper cup to the hexagonal shape, inserting the fixture and pouring the beverage,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and the fixture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Since the paper cup and the fixing member must be stored together at all times, the storage space becomes large and the user has to use the paper cup and the fixing member at the same time.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4239호 (등록일: 2000년12월08일)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No. 20-0214239 (Registered Date: December 08, 200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를 접어 붙인 후 접어 보관함으로써 보관시에 부피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액체를 담고, 액체를 담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으면서 그립감이 좋아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사용하기 편리한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volume during storage by folding paper and folding it, So that it is easy to use even without a separate handle, so as to provide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또한, 접철시 및 사용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봉투형 종이컵을 제공하고, 특히 종이컵 사용시 직립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위해서는 밀폐되어 음료를 받치는 바닥면이 필요한데 이 바닥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접철식 봉투식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nvelope-type paper cup capable of minimizing the area when folded and used, and in particular, in order to be able to stand upright when using paper cups, a closed bottom surface for supporting drinks is required. To provide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which can be folded.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있어서, 사용시 형상이 정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6개의 이등변 삼각형이 역방향으로 교차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which comprises a bottom surface form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at the time of use, and a side surface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six isosceles triangles cros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전개도 형상이 정삼각 형상의 바닥부(a)와, 바닥부(a)를 이루는 정삼각형의 일 변(p)의 수직 이등분선의 연장선(1)과 만나도록 일 변(p)의 하나의 꼭지점(ㄱ)에서부터 하나의 선분으로 이루어지는 1-2변(2)과, 일 변(p)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1 평행사변형과, 일 변(p)의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r' 변을 형성하고, r' 변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2 평행사변형과, r' 변으로부터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q'변을 형성하고, q' 변과 2-2변(3)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3 평행사변형과, 제 1평행사변형과 접하지 않는 바닥면을 이루는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의 연장면상(f-1, f-2)과, 제 3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2-2변(3)과 대향되는 변(4)의 외측 연장면(f-3)에 각각 형성되는 풀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provision of a method of making an unfolded ply so that the developed shape meets a bottom portion a of a right triangular shape and an extension line 1 of a vertical bisector of one side p of an equilateral triangle constituting the bottom portion a, A first parallelogram having two sides of one side (p), one side (p), one side (1-2) and one side (2) a second parallelogram having two sides of r 'side and 1-2 side (2) forming r' sides having the same length as one side (p) on an extension line of p and p ' A third parallelogram that forms q 'sides having the same length as one side (p) on the extension line and has q sides and 2-2 sides (3 sides) as two sides, and a third parallel quadrangle that contacts the first parallel quadrangle (F-1, f-2) of the remaining two sides of the triangl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extended surface f- 2 of the side 4 opposed to the 2-2 side 3 forming the third parallelogram, 3), respectively, Features can be achieved by a foldable bag-type of paper cup.

본 고안에 따른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봉투형태의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하며 다량의 적재보관이 가능하고 직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시 그립감이 좋아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ldable envelope type paper cups that can be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an envelope type folding type and can be easily carried, can be stored in a large amount, can be manufactured in a minimum area that can be uprigh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without a separate hand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의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접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완전히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밑면의 형상 및 상면의 테두리 형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손에 쥐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1 is an exploded view of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quential illustration of folding foldable foldable paper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is completely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of a bottom surface, and a shape of a top surface.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when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is held in th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예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으로,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10)은 정삼각 형상의 바닥부(a)와, 바닥부(a)를 이루는 정삼각형의 일 변(p)의 수직 이동분선의 연장선(1)과 만나도록 일 변(p)의 하나의 꼭지점(ㄱ)에서부터 하나의 선분으로 이루어지는 1-2변(2)을 형성하고, 일 변(p)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1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평행사변형은 일 변(p), 제1-2변(2), 제1-3변(p') 및 제1-4변(2')으로 구성된다. 이후, 일 변(p)의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r' 변을 형성하고, r' 변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2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제 2 평행사변형은 r' 변, 제2-2변(3), 제2-3변(r'') 및 제1-2변(2)으로 구성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r' 변으로부터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q'변을 형성하고, q' 변과 2-2변(3)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3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제 3 평행사변형은 q'변, 제3-2변(4), 제3-3변(q'') 및 제2-2변(3)으로 구성된다. 풀칠면은 제 1평행사변형과 접하지 않는 바닥면을 이루는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의 연장면상(f-1, f-2)과, 제 3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2-2변(3)과 대향되는 변(4)의 외측 연장면(f-3)에 각각 형성된다. 전개도에서 바닥면(a)을 형성하는 삼각형과 제 1 평행사변형이 공유하는 변(p)과, 이웃하는 평행사변형끼리 공유되는 변(2, 3)과, 일 변(p)의 또 다른 꼭지점(ㄴ)에서 형성되는 제 1 평행사변형의 대각선(5)과, 일 변(p)과 r'변이 만나는 지점(ㄱ)에서 형성되는 제 2 평행사변형의 대각선(6)과, r'변과 q'변이 만나는 지점(ㄹ)에서 형성되는 제 3 평행사변형의 대각선(7)과, 풀칠면(f-1, f-2, f-3)은 바깥쪽으로 접히는 바깥 절곡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정삼각형의 일 변(p)의 수직 이동분선의 연장선(1)과 r'변과 q'변이 만나는 지점(ㄹ)에서 제 3 평행사변형의 q'변과 대향되는 변(q'')에 그은 수선(8)은 안쪽으로 접히는 안쪽 절곡선을 형성한다.FIG. 1 is a developed view of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10 has a bottom portion a of a right triangle and a bottom portion (2) consisting of one line segment from one vertex (a) of one side p to meet the extension line (1)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 of one side p of the regular triangle, (p)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s (2) are formed as two sides. The first parallelogram thus formed is composed of one side p, one side 1-2, one side 1-3, and one side 1-4. Thereafter, a r 'side having the same length as one side p is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one side p and a second parallelogram having r' side and 1-2 side 2 as two sides, . The second parallelogram formed in this way is composed of r 'sides, 2-2 sides (3), 2-3 sides (r' ') and 1-2 sides (2). In a similar manner, a q 'side having the same length as one side (p) is formed on an extension line from the r' side, and a third parallelogram having q sides and 2-2 sides (3 sides) . The third parallelogram formed in this manner consists of q 'sides, the 3-2 sides (4), the 3-3 sides (q' ') and the 2-2 sides (3). (F-1, f-2) of the remaining two sides of the triangl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which does not contact the first parallelogram, and the sides opposite to the sides 2-2 of the third parallelogram (3) (F-3) of the base plate 4, respectively. In the developed view, the sides (p) shared by the first parallelogram and the triang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a), sides (2, 3) shared by neighboring parallelograms, and another vertex A diagonal line 5 of a first parallelogram formed at a point A and a diagonal line 6 of a second parallelogram formed at a point A where the sides p and r 'meet, The diagonal line 7 of the third parallelogram formed at the point (d) where the sides meet and the glued faces (f-1, f-2, f-3) form an outer fold line that folds outward. Then, the extension line (1)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 of one side (p) of the equilateral triangle and the side (q ') facing the q' side of the third parallelogram at the point (d) The waterline (8) forms an inward folding line that folds inward.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조립하면, 정삼각형(a)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면과 연장되어 상부 방향으로 접히는 6개의 삼각형(c-1, b, e-2, e-1, d, c-2)은 측면을 형성하고, 이중 마중보는 2개의 삼각형상의 측면(b, d)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삼각형(a)는 내측으로 접힘을 알 수 있다.
When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view of FIG. 1, an equilateral triangle a forms a bottom surface, and six triangles c-1, b, e- 2, e-1, d, c-2) form side surfaces, and the triangles (a) forming the two side surfaces (b, 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접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연장선(1)과 수선(8)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도 2(a) ). 다음으로 바닥면(a)의 각 변(p, q, r)을 바깥쪽 방향으로 접어 바닥면(a)을 형성하고( 도 2(b) ), 선분(2)를 따라 외측으로 접은 후, 선분 2 및 선분 6를 바깥 방향으로 접어 e-1 면의 일부가 풀칠면(f-2)을 따라 접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선분 3 및 선분 7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접어 풀칠면(f-1)을 따라 c-2면의 일부가 접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선분(4)를 바깥으로 접은 후, 풀칠면(f-1, f-2 및 f-3)에 풀칠을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이 완성된다.
FIG. 2 is a view showing a folding sequence of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is folded inward along the extension line 1 and the water line 8 (Fig. 2 (a)). Next, the side surfaces (a) are formed by folding the sides (p, q, r) of the bottom surface (a) outward and folded outward along the line segment (2) Fold segment 2 and segment 6 outward so that part of e-1 is folded along the glue surface (f-2). Next, a portion of the c-2 surface is folded along the folded surface (f-1) in the outward direction along the segment 3 and the segment 7. Finally, when the line segment 4 is folded outward and pasted on the pasted faces (f-1, f-2, and f-3), a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는 평행사변형 크기가 됨을 알 수 있어 보관시 부피를 작게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becomes a parallelogram shape in a fully folded stat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olume occupies a small volume during storag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완전히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밑면의 형상 및 상면의 테두리 형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a)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밑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c)는 상면 테두리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은 정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도 안정된 자세로 세워둘 수 있으며, 상면 테두리 형상은 대략 이웃하는 두 변은 짧고 나머지 두 변은 긴 변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각 형상으로 인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사각형을 이루는 변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is completely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of a bottom surface, and a shape of a top surface, respectively. 4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bottom view, and (c) is a top view.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and it can be stood in a stable posture even when the contents are contained.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is formed such that two adjacent sides are short, . In order to drink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foldable envelope type pap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rectangular shape, the contents can be stably consumed by using the vertex portion where the sides forming the quadrangle are us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을 손에 쥐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엄지의 첫째 마디 내측을 따라 검지가 시작되는 부분까지 도 1에 도시된 d면으로 구성되는 상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사각형의 변 중에서 짧은 두 변이 접해지고, 길이가 긴 검지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끝까지 c-1을 이루는 p'변 아래를 따라 접해지고, 엄지의 나머지 부분이 e-1면을 따라 접해지므로 인체의 엄지와 검지의 길이에 적합하게 상부 테두리의 짧은 변과 긴 변이 접하게 되어 안정적이 그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when the foldable envelope-type pap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in the hand. As shown in FIG. 5, two short sides of the sides of the rectangle constituting the upper border constituted by the d-plane shown in FIG. 1 are contact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node of the user's thumb, Since the rest of the thumb is tangent to the e-1 surface, the short edge of the upper edge is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of the human body. It can be seen that the long side is touched and stable grip is possible.

a: 바닥면 b, c-1, c-2, d, e-1, e-2: 측면
f-1, f-2, f-3: 풀칠면
a: bottom surface b, c-1, c-2, d, e-1,
f-1, f-2, f-3:

Claims (6)

삭제delete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있어서,
사용시 형상이
정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6개의 이등변 삼각형이 역방향으로 교차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6 개의 이등변 삼각형 중에서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삼각형은 수직 중심선을 따라 내측으로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In the foldable envelope type paper cup,
When using shape
A bottom surface formed by an equilateral triangle,
And a side surface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being formed by crossing six isosceles triangles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wo triangles opposed to each other among the six isosceles triangles are folded inward along a vertical center line.
제 2항에 있어서,
완전히 접었을 때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3. The method of claim 2,
And 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when fully folded.
삭제delete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있어서,
전개도 형상이
정삼각 형상의 바닥부(a)와,
상기 바닥부(a)를 이루는 정삼각형의 일 변(p)의 수직 이동분선의 연장선(1)과 만나도록 일 변(p)의 하나의 꼭지점(ㄱ)에서부터 하나의 선분으로 이루어지는 1-2변(2)과, 일 변(p)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1 평행사변형과,
일 변(p)의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r' 변을 형성하고, r' 변과 1-2변(2)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2 평행사변형과,
r' 변으로부터 연장선상에 일 변(p)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q'변을 형성하고, q' 변과 2-2변(3)을 두 개의 변으로 하는 제 3 평행사변형과,
제 1평행사변형과 접하지 않는 바닥면을 이루는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의 연장면상(f-1, f-2)과, 제 3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2-2변(3)과 대향되는 변(4)의 외측 연장면(f-3)에 각각 형성되는 풀칠면을 포함하고,
바닥면(a)을 형성하는 삼각형과 제 1 평행사변형이 공유하는 변(p)과, 이웃하는 평행사변형끼리 공유되는 변(2, 3)과, 일 변(p)의 또 다른 꼭지점(ㄴ)에서 형성되는 제 1 평행사변형의 대각선(5)과, 일 변(p)과 r'변이 만나는 지점(ㄱ)에서 형성되는 제 2 평행사변형의 대각선(6)과, r'변과 q'변이 만나는 지점(ㄹ)에서 형성되는 제 3 평행사변형의 대각선(7)과, 풀칠면(f-1, f-2, f-3)에는 바깥쪽으로 접히는 바깥 절곡선을 형성하고,
정삼각형의 일 변(p)의 수직 이동분선의 연장선(1)과 r'변과 q'변이 만나는 지점(ㄹ)에서 제 3 평행사변형의 q'변과 대향되는 변(q'')에 그은 수선(8)은 안쪽으로 접히는 안쪽 절곡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In the foldable envelope type paper cup,
The spread-
A bottom portion (a) of a right triangular shape,
(1-2) consisting of one line segment from one vertex (a) of one side p to meet the extension line (1)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 of one side p of the equilateral triangle constituting the bottom part (a) 2), a first parallelogram having one side (p) and one side (1-2) of two sides,
A second parallelogram having r ' sides and two sides of the r '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s (2) formed on the extension line of one side (p)
a third parallelogram which forms q 'sides having the same length as one side (p) on an extension line from the r' side and has q sides and 2-2 sides (3) as two sides,
(F-1, f-2) of the remaining two sides of the triangl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that does not contact the first parallelogram, and sides 4 opposite to the sides 2-2 of the third parallelogram (3) And an outer extended surface (f-3)
(2) and (3), the sides (p) shared by the first parallelogram and the triang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a), the sides (2,3) shared by the neighboring parallelograms, and another vertex The diagonal line 5 of the first parallelogram formed in the first parallelogram and the diagonal line 6 of the second parallelogram formed at the point (a) where the sides p and r 'meet, and the sides r' and q ' A diagonal line 7 of the third parallelogram formed at the point (d) and an outer fold line curving outwardly are formed on the pasted faces (f-1, f-2, f-3)
(1)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 of one side (p) of the equilateral triangle and the side (q ') of the third parallelogram at the point (d) where r' sides and q 'sides meet, (8) has an inward folding line folded inward.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에 있어서,
사용시 형상이
정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6개의 이등변 삼각형이 역방향으로 교차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완전히 접었을 때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In the foldable envelope type paper cup,
When using shape
A bottom surface formed by an equilateral triangle,
And a side surface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being formed by crossing six isosceles triangl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when fully folded.
KR2020120006761U 2012-07-27 2012-07-27 Foldable paper cup KR2004740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61U KR200474056Y1 (en) 2012-07-27 2012-07-27 Foldable paper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61U KR200474056Y1 (en) 2012-07-27 2012-07-27 Foldable paper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45U KR20140000845U (en) 2014-02-06
KR200474056Y1 true KR200474056Y1 (en) 2014-08-27

Family

ID=5200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61U KR200474056Y1 (en) 2012-07-27 2012-07-27 Foldable paper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56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5329U (en) * 1980-05-19 1981-12-24
JPS6167738U (en) * 1984-10-08 1986-05-09
KR200214239Y1 (en) * 2000-05-08 2001-02-15 박세진 folding paper cup
KR200387602Y1 (en) * 2005-04-06 2005-06-20 김용률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5329U (en) * 1980-05-19 1981-12-24
JPS6167738U (en) * 1984-10-08 1986-05-09
KR200214239Y1 (en) * 2000-05-08 2001-02-15 박세진 folding paper cup
KR200387602Y1 (en) * 2005-04-06 2005-06-20 김용률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45U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06248A1 (en) Transport box
KR200474056Y1 (en) Foldable paper cup
KR100908848B1 (en) Folding cup
CN201325636Y (en) Standing bag with foldable margin surfaces
KR101486190B1 (en) Foldable cup
KR102522604B1 (en) Packing paper for hamburger with separation of top and bottom possible
JP2014181077A (en) Container with handle, having thumb cushion mounting part
KR19980059445U (en) Disposable paper cups folded
JP7369335B2 (en) packaging container
CN208602866U (en) A kind of novel small hamper
WO2019056787A1 (en) Integrated cup
JP3219626U (en) Mug-shaped assembly cup holder
CN203662433U (en) Cup cover with lifting handles
TWM547912U (en) Foldable flat type tableware receiving tool
KR20090009333U (en) Disposal folding cup
JPH0110370Y2 (en)
JP6894697B2 (en) Liquid paper container with spout
KR101942085B1 (en) Multipurpose receptacle
KR200189711Y1 (en) A disposable cup
KR200260338Y1 (en) A paper box to fill food for movement
KR200244222Y1 (en) The fluid's container
TWM625067U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KR920001515Y1 (en) Paper cup
TWM635577U (en) Octagonal multi compartment paper meal box
RU124129U1 (en) SNACK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