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25Y1 -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25Y1
KR200473825Y1 KR2020130006799U KR20130006799U KR200473825Y1 KR 200473825 Y1 KR200473825 Y1 KR 200473825Y1 KR 2020130006799 U KR2020130006799 U KR 2020130006799U KR 20130006799 U KR20130006799 U KR 20130006799U KR 200473825 Y1 KR200473825 Y1 KR 200473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dampers
racks
uppe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지현
노상민
김재필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은 핫 아일(aisle)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아일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댐퍼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댐퍼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막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은 지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열리고, 닫힌다.

Description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CONTAINMENT SYSTEM OF DATA CENTER}
아래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센터 등에 존재하는 핫 아일(hot aisle)의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아래의 실시예들은 핫 아일의 차폐 시스템의 구조물을 개시하고, 그 구조물은 복수의 랙들을 배치할 수 있는 복수의 룸들을 포함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3594호는 콜드 아일의 차폐 시스템에 관한 고안을 기술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3594의 콜드 아일의 차폐 시스템은 콜드 아일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마주보게 줄지어 배치되는 랙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룸의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에 안착되는 상부 차폐판 등을 개시한다.
콜드 아일과 마찬가지로 핫 아일에서도 차폐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데, 데이터 센터의 관리자는 상부 프레임에 쉽게 올라갈 수 없으며, 그에 따라 고장, 오류 발생 등과 같이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핫 아일의 차폐 시스템에 있어서 댐퍼들과 관리자 등을 위한 차폐막을 어떻게 배치하고 설치하는지는 데이터 센터의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 상부에 설치되는 댐퍼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폐막들을 댐퍼들의 양쪽면에 배치함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랙들과 댐퍼들을 관리할 수 있고, 환기를 조절할 수 있는 차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차폐막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랙의 상부 혹은 댐퍼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차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자유로우면서도 편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비스듬하게 개폐되는 차폐막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후크 형태의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댐퍼와 연결되고, 자석을 이용하여 상부의 덕트에 고정될 수 있는 차폐막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은 아일(aisle)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아일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댐퍼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차폐막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각각의 제1 측면은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은 상기 복수의 랙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채로, 비스듬하게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복수의 랙들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오픈된다.
상기 복수의 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데이터 서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랙들 각각을 형성하는 프레임들 중 상기 아일 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서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아답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후크들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후크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의 상단에 있는 덕트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은 상기 복수의 댐퍼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은 핫 아일(aisle)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아일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댐퍼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댐퍼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막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은 지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열리고, 닫힌다.
본 고안은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 상부에 설치되는 댐퍼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폐막들을 댐퍼들의 양쪽면에 배치함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랙들과 댐퍼들을 관리하고, 환기를 조절할 수 있는 차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차폐막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랙의 상부 혹은 댐퍼들에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차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자유로우면서도 편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비스듬하게 개폐되는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후크 형태의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댐퍼와 연결되고, 자석을 이용하여 상부의 덕트에 고정될 수 있는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핫 아일의 차폐 시스템의 전체적인 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프레임에서 랙들과 댐퍼들을 연결하는 차폐막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차폐막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들을 포함하는 차폐막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페막의 뒷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핫 아일의 차폐 시스템의 전체적인 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 시스템은 아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랙들은 핫 아일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열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랙들 각각에는 데이터 서버가 놓여진다.
복수의 랙들 각각은 직육면체의 모양을 가지며, 각 테두리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관리자는 복수의 데이터 서버를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랙은 파워 아답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아답터의 존재로 인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데이터 서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로 파워 라인을 설치하거나 배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의 랙들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이 놓여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폐 시스템은 아일을 따라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는 복수의 댐퍼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댐퍼들을 통하여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댐퍼들 역시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본 고안의 차폐 시스템은 복수의 차폐막들을 포함하고, 차폐막들은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막들은 중앙에 배치된 복수의 댐퍼들의 양쪽 사이드들에 배치된다. 즉, 차폐막들 각각의 제1 측면은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되고,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은 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또한, 차폐막들은 비스듬하게 열렸다가 닫힐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전기적 혹은 기계적으로 차폐막을 개폐할 수도 있으며, 긴 막대를 이용하여 차폐막의 한쪽 측면을 밀어 올림으로써 차폐막을 오픈할 수도 있다.
차폐막이 열리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차폐막의 제1 측면은 항상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될 수 있다. 즉, 차폐막은 차폐막의 제1 측면이 댐퍼들과 연결된 채로 제2 측면이 랙들로부터 떨어졌다가 부착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이 때, 차폐막의 제1 측면에는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가 설치될 수 있고, 차폐막은 이러한 연결 고리를 통하여 댐퍼들과 연결된다. 따라서, 차폐막의 제1 측면은 항상 연결된 채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차폐막들 혹은 댐퍼들의 상단에는 덕트(duct)가 위치한다. 차폐막이 오픈되는 경우, 차폐막의 고정을 위하여 차폐막의 제2 측면에는 자석이 배치된다. 따라서, 차폐막의 제2 측면에 배치된 자석을 통하여 차폐막은 덕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부 프레임에서 랙들과 댐퍼들을 연결하는 차폐막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폐막은 비스듬하게 열렸다가 닫힐 수 있다. 이러한 개폐 가능한 차폐막을 통하여, 관리자는 랙의 상부 혹은 댐퍼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환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차폐막이 비스듬하게 열렸다가 닫힐 수 있도록 차폐막의 한쪽 면에는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가 설치되어, 댐퍼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고리를 통하여 차폐막의 한쪽 면은 항상 연결된 채로 다른 쪽 면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차폐막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폐막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물론, 관리자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차폐막의 제2 측면을 위로 밀어올림으로써 차페막을 열 수 있고, 차폐막을 아래로 당김으로써 차폐막을 닫을 수 있다. 차폐막이 개방된 경우, 차폐막의 제2 측면에 설치된 자석은 덕트와 결합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차폐막의 개방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들을 포함하는 차폐막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차폐막의 뒷면에는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들(410, 420)이 노출된다.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는 댐퍼들과 체결되고, 이러한 연결 고리를 통하여 차폐막의 제1 측면의 상/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고리는 차폐막의 유지, 보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페막의 뒷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차폐막의 제2 측면에는 자석(510)이 부착된다. 이러한 자석은 차폐막이 비스듬하게 개방된 경우, 차폐막의 제2 측면과 덕트의 일부가 부착됨으로써, 차폐막의 개방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후크 모양의 연결 고리들(410, 420)

Claims (8)

  1.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에 있어서,
    아일(aisle)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아일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댐퍼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차폐막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 가능한 것인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각각의 제1 측면은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은 상기 복수의 랙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채로, 비스듬하게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복수의 랙들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오픈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데이터 서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랙들 각각을 형성하는 프레임들 중 상기 아일 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서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아답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후크들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크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댐퍼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차페막들의 상단에 있는 덕트에 고정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은 상기 복수의 댐퍼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8.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에 있어서,
    핫 아일(aisle)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들;
    상기 복수의 랙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아일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아일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댐퍼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댐퍼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막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폐막들은 지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열리고, 닫히는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KR2020130006799U 2013-08-14 2013-08-14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KR200473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99U KR200473825Y1 (ko) 2013-08-14 2013-08-14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99U KR200473825Y1 (ko) 2013-08-14 2013-08-14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25Y1 true KR200473825Y1 (ko) 2014-08-04

Family

ID=5198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799U KR200473825Y1 (ko) 2013-08-14 2013-08-14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2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6205A (ja) 2003-03-19 2006-11-16 アメリカン、パワー、コンバージョン、コーポレイション データセンタ冷却システム
KR20110009848A (ko) * 2009-07-23 2011-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센터의 냉각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9972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센터의 냉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536479A (ja) 2010-05-13 2013-09-19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排熱路囲い込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6205A (ja) 2003-03-19 2006-11-16 アメリカン、パワー、コンバージョン、コーポレイション データセンタ冷却システム
KR20110009848A (ko) * 2009-07-23 2011-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센터의 냉각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9972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센터의 냉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536479A (ja) 2010-05-13 2013-09-19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排熱路囲い込み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627B2 (en) Ventilation and air flow control with heat insulated compartment
US11030285B2 (en) Selective-access data-center racks
US10356939B2 (en) Electronic equipment data center or co-location facility desig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523643B1 (en) Electronic equipment data center or co-location facility desig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469782B1 (en) Data center air handling unit
US8072780B1 (en) Integrated wiring system and thermal shield support apparatus for a data center
US8238104B2 (en) Data center with fin modules
US10212853B2 (en) Method to increase server's density in datacenter
US9145677B2 (en) Electromagnetic lock drop ceiling for aisle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US10499528B2 (en) Equipment module adapter blocks
TW201101984A (en) Cold row encapsulation for server farm cooling system
AU2015202979B2 (en) Data center with fin modules
US9439322B1 (en) Modular data center deployment method and system for waterborne data center vessels
US9332678B2 (en) Cold air containment system in a data centre
JP2015125577A (ja) サーバ冷却設備
KR20200055854A (ko) 데이터센터 독립 공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공조 관리 방법
KR200473825Y1 (ko) 데이터 센터의 차폐 시스템
US20160219742A1 (en) A building management rack system
US20150334873A1 (en) Heat shutter device
Rasmussen Improving Rack Cooling Performance Using Airflow Management™ Blanking Panels
CN108643618A (zh) 一种机房
US11889654B2 (en) Security panels for use in data centers
JP2016001094A (ja) サーバー室内の空調の効率化構造
Rasmussen et al. Deploying High-Density Pods in a Low-Density Data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