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74Y1 - 물칠판 지우개 - Google Patents

물칠판 지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74Y1
KR200473774Y1 KR2020130009489U KR20130009489U KR200473774Y1 KR 200473774 Y1 KR200473774 Y1 KR 200473774Y1 KR 2020130009489 U KR2020130009489 U KR 2020130009489U KR 20130009489 U KR20130009489 U KR 20130009489U KR 200473774 Y1 KR200473774 Y1 KR 200473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oller
gear
eras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김준영
이종혁
Original Assignee
김기성
김준영
이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김준영, 이종혁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2020130009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4Wiper holder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칠판 지우개에 관한 것으로, 칠판 면을 닦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수납부와, 홀딩부를 구비하는 물칠판 지우개로서, 상기 패드부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는 각각의 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사이에는 패드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는 제1 패드 또는 제2 패드와 대면하는 상면커버와, 상기 상면커버의 양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상면커버의 양측 모서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위치를 순환시킴으로써 패드부의 사용면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순환이동시켜 적용함으로써, 칠판 면에 남은 물기를 닦기 위하여 별도의 물걸레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칠판 지우개{WATER BOARD ERASER}
본 고안은 물칠판 지우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목적에 따라 물기제거를 위한 패드면과 판서를 지우기 위한 패드면을 롤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이동시켜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물칠판 지우개에 관한 것이다.
칠판에 판서된 내용을 지울 때 가루 날림의 문제가 있었던 종래의 분필칠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을 이용하여 분필 가루가 날리는 문제없이 칠판 면을 부드럽고 깨끗하게 지울 수 있는 물칠판 지우개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물칠판 지우개는 보통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지우개 표면에 물을 묻혀 전용 분필로 판서된 칠판 면을 지우고,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오염된 지우개 표면은 물로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물칠판 지우개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칠판에 물이 흐르거나 물자국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 그 위에 다시 판서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기에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물칠판 지우개를 사용한 후 마른 걸레 등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이 종종 사용되고 있지만, 물칠판 지우개와 별도로 마른 걸레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서를 지우기 위한 패드면과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패드면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양 패드면이 사용목적에 따라 교대로 간편한 방식으로 칠판 상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판서를 지우기 위한 패드면에 물을 묻혀 칠판을 지우고, 그 후 칠판에 남은 물기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패드면을 이용하여 닦아냄으로써, 사용에의 편의성이 증진된 물칠판 지우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물칠판 지우개에 따르면, 칠판 면을 닦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가 수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위에 구비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물칠판 지우개로서, 상기 패드부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는 각각의 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사이에는 패드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는 제1 패드 또는 제2 패드와 대면하는 상면커버와, 상기 상면커버의 양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상면커버의 양측 모서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위치를 순환시킴으로써 패드부의 사용면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물칠판 지우개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홀딩부의 내부는 연결되어 구획이 없는 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딩부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가 홀딩부의 외부 및 내부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 내부의 패드부에는 상기 제1기어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제2기어가 삽입되어, 상기 제1기어의 조작에 따라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물칠판 지우개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 사이 공간의 양끝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와 지지체를 둘러싸는 체인이 더 구비되어, 상기 체인이 롤러의 회전에 따라 돌아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롤러의 회전축은 공동(空洞)축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롤러의 고정수단은 측면커버의 안쪽에서 내향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롤러의 공동축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칠판의 물기제거용 패드이고, 상기 제2 패드는 칠판의 판서제거용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물칠판 지우개에 의하면, 판서를 지우기 위한 패드면과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패드면이 사용목적에 따라 롤러에 의해 교대로 칠판 면상에 접촉됨으로써, 판서를 지우기 위한 패드면에 물을 묻혀 칠판을 지우고, 그 후 칠판에 남은 물기는 롤러를 회전시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패드면을 이용하여 닦아냄으로써, 기존 물칠판 지우개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칠판 지우개에서 패드부(100)의 A방향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물칠판 지우개의 A방향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패드부(100)의 A방향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수납부(200)의 B방향 종단면도.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는 크게 칠판 면을 닦는 패드부(100)와, 상기 패드부가 수용도는 수납부(200) 및 사용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수납부 위에 장착된 홀딩부(30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본 고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상기 패드부(100)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2는 도 1에서 패드부(100)의 A방향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00)는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는 각각의 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A방향 종단면 구조가 링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 패드(101) 및 제2 패드(102)는 칠판의 물기 제거용 및 칠판의 판서 제거용으로 각각 구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물기 제거 및 판서 제거의 두 가지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패드부의 구간을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두 부분으로 나눈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패드부의 구간을 좀 더 세분화하여 다양한 용도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사이에는 패드부(1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104)와, 지우개의 사용시에 패드부의 순환이동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03)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체(104)는 마찰력이 적은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이면(101a, 102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시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이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의 사이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하나의 지지체가 삽입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지지체의 형상 및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각 패드의 이면을 지지하여 패드부의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형상 및 개수로 구성되어 있으면 족하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롤러(103)가 지지체(10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 사이 공간의 양끝에 한 쌍으로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롤러(103)의 설치 위치 및 개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지우개의 사용시 패드부의 순환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위치 및 개수로 설치되어 있으면 족하다. 즉, 상기 롤러(103)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위치를 순환시킴으로써 패드부(100)의 사용면을 제1 패드 또는 제2 패드로 교체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103)의 설치위치 및 개수의 결정에는 패드부의 재질이나 크기 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패드부(100)가 수용되는 수납부(200)의 구조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물칠판 지우개에서 수납부(200)의 B방향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는 제1 패드(101) 또는 패드부의 순환이동으로 제1 패드를 대체하여 순환이동된 제2 패드(102)와 대면하는 상면커버(201)와, 상기 상면커버(201)의 양측 모서리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커버(20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202)에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10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2a)이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02a)으로서, 측면커버의 안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가 마련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 패드와 제2 패드 사이에서 롤러(103)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부로 고정수단(202a)을 구성한 경우, 상기 롤러(103)의 회전축은 속이 빈 공동(空洞)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롤러(103)의 공동축을 향하여 삽입되는 구조로 고정될 것이다.
한편, 패드부의 교체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측면커버(202)는 상면커버(201)의 양측 모서리에서 상기 상면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패드부(100)와 수납부(200)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패드부의 교체 작업에 따른 롤러의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3에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에는 도 3의 A방향 종단면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홀딩부(300)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301)가 홀딩부의 외부 및 내부에 걸쳐 설치되고, 수납부(200) 내부의 패드부(100)에서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기어(3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기어(106)가 삽입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제1 기어(30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순환이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패드부의 순환이동 제어 매커니즘을 위하여, 도 4(a)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와 홀딩부(300)의 내부는 연결되어 구획이 없는 한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4(b)에서와 같이 제1 기어(301)와 제2 기어(106)가 대응하는 위치의 부분에만 수납부의 재질이 없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30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기어(301)를 돌리면 상기 제1 기어가 패드부(100)에 맞물려 패드부가 회전하고, 패드부가 회전하면서 그 하단부분에 상기 제1 기어와 대응하는 제2 기어(106)가 같이 맞물려 돌아가도록 동작한다. 더욱 효과적인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1 기어(301)와 제2 기어(106)는 고무재질과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칠판 지우개의 패드부(100)의 A방향 종단면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롤러(103)와 지지체(104)의 둘레로 이들을 둘러싸는 체인(105)이 더 구비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롤러(103)가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105)이 함께 돌아가게 되고, 이로써 패드부(100)가 안정성 있게 순환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에 의하면, 판서된 내용을 지울 때에는 종래의 물칠판 지우개와 동일하게 제1 패드면에 물을 묻혀 지우며, 지우고 난 후 칠판 면에 남은 물기는 롤러(103)를 회전시켜 물이 묻지 않은 제2 패드면을 이용하여 닦아냄으로써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제1 패드면과 제2 패드면을 순환이동시켜 적용함으로써, 칠판 면에 남은 물기를 닦기 위하여 별도의 물걸레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패드부 101 제1 패드
102 제2 패드 103 롤러
104 지지체 105 체인
106 제2 기어
200 수납부 201 상면커버
202 측면커버 202a 고정수단
300 홀딩부 301 제1 기어

Claims (8)

  1. 칠판 면을 닦는 패드부(100)와, 상기 패드부가 수용되는 수납부(200)와, 상기 수납부의 위에 구비되는 홀딩부(300)를 구비하는 물칠판 지우개로서,
    상기 패드부(100)는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는 각각의 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A)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사이에는 패드부(1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104)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03)가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200)는 제1 패드(101) 또는 제2 패드(102)와 대면하는 상면커버(201)와, 상기 상면커버(201)의 양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커버(2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커버(202)는 상기 상면커버(201)의 양측 모서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10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2a)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103)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위치를 순환시킴으로써 패드부(100)의 사용면을 교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200)와 홀딩부(300)의 내부는 연결되어 구획이 없는 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딩부(300)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고무재질의 제1기어(301)가 홀딩부(300)의 외부 및 내부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200) 내부의 패드부(100)에는 상기 제1기어(301)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고무재질의 제2기어(106)가 삽입되어,
    상기 제1기어(301)의 조작에 따라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회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103)는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 사이 공간의 양끝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4)는, 상기 한 쌍의 롤러(10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101)와 제2 패드(102)의 이면(101a, 102a)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103)와 지지체(104)를 둘러싸는 체인(105)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인(105)은 롤러(103)의 회전에 따라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103)의 회전축은 공동(空洞)축이며,
    상기 롤러(103)의 고정수단(202a)은 측면커버(202)의 안쪽에서 내향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롤러(103)의 공동축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칠판의 물기제거용 패드이고, 상기 제2 패드는 칠판의 판서제거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KR2020130009489U 2013-11-19 2013-11-19 물칠판 지우개 KR200473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89U KR200473774Y1 (ko) 2013-11-19 2013-11-19 물칠판 지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89U KR200473774Y1 (ko) 2013-11-19 2013-11-19 물칠판 지우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74Y1 true KR200473774Y1 (ko) 2014-08-01

Family

ID=5198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89U KR200473774Y1 (ko) 2013-11-19 2013-11-19 물칠판 지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47B1 (ko) 2018-04-09 2019-04-09 김기훈 물칠판 지우개
CN109703243A (zh) * 2018-12-28 2019-05-03 刘宇轩 一种黑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971U (ko) * 1996-11-19 1998-08-05 김광호 화이트 보드 지우개
KR200223299Y1 (ko) * 2000-11-30 2001-05-15 주식회사엘투케이 화이트 보드 지우개
KR100712127B1 (ko) 2006-07-12 2007-04-27 채희철 칠판지우개
KR20110002818U (ko) * 2009-09-14 2011-03-22 이수빈 핸드형 지우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971U (ko) * 1996-11-19 1998-08-05 김광호 화이트 보드 지우개
KR200223299Y1 (ko) * 2000-11-30 2001-05-15 주식회사엘투케이 화이트 보드 지우개
KR100712127B1 (ko) 2006-07-12 2007-04-27 채희철 칠판지우개
KR20110002818U (ko) * 2009-09-14 2011-03-22 이수빈 핸드형 지우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47B1 (ko) 2018-04-09 2019-04-09 김기훈 물칠판 지우개
CN109703243A (zh) * 2018-12-28 2019-05-03 刘宇轩 一种黑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05865A (ja) 黒板消去装置及び自動消去機能を備える黒板
TWI604817B (zh) 膠帶式清潔器
KR200473774Y1 (ko) 물칠판 지우개
US20160120392A1 (en) Tape cleaner
US2249912A (en) Blackboard eraser
CN103963518B (zh) 一种湿、干同步擦净的除尘黑板擦
US9044131B1 (en) Multipurpose grout cleaning apparatus
CN203651270U (zh) 多功能自动化无尘黑板
CN208698296U (zh) 一种无尘黑板自动清洁机构
CN211892659U (zh) 一种黑板擦
JP2014043005A (ja) ボード用イレーサ
KR100712127B1 (ko) 칠판지우개
CN204820778U (zh) 皮带旋转式自擦黑板
KR101247541B1 (ko) 칠판지우개 장치
JP2009202343A (ja) 黒板消去装置及び自動消去機能を備える黒板
ES2488665T3 (es) Dispositivo para el cuidado del calzado
CN203920166U (zh) 一种湿、干同步擦净的除尘黑板擦
CN209534593U (zh) 黑板擦
JP2015229348A (ja) チョーク・マーカー用容器及び粉落とし具
CN209732865U (zh) 一种粉笔便洁盒
KR102048182B1 (ko)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CN211324688U (zh) 一种玻璃擦及双面玻璃擦
KR102311770B1 (ko) 물칠판 지우개
KR20170088107A (ko) 지우개가루 청소장치
KR20110118320A (ko) 화이트 보드용 지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