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23Y1 - 케이블 덕트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23Y1
KR200473723Y1 KR2020130004403U KR20130004403U KR200473723Y1 KR 200473723 Y1 KR200473723 Y1 KR 200473723Y1 KR 2020130004403 U KR2020130004403 U KR 2020130004403U KR 20130004403 U KR20130004403 U KR 20130004403U KR 200473723 Y1 KR200473723 Y1 KR 200473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able
cover plate
piec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관
문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2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using I-shaped conn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덕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단에 각각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이 구비되되,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제 1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1 주름편을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사이드 프레임; 일측면에 제 2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2 주름편을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사이드 프레임; 및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면에 체결되어 케이블 수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덕트 {CABLE DUCT}
본 고안은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박스, 분/배전함, 스위치보드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수납 정리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양 구조물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장장비가 구비되며, 이들을 위한 각종 패널이나 캐비닛 등이 선내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패널이나 캐비닛에는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데, 통상 상기와 같은 케이블은 캐비닛 등의 하부측으로 인입되어 케이블 덕트를 따라 포설 후, 캐비닛 내 터미널 블록 등과 결속되어 필요한 기기와 연결되게 된다.
케이블 덕트는 상기와 같이 전장설비의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포설 및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캐비닛 내부의 케이블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한편, 케이블의 정리를 통해 캐비닛 내 공간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913호에는 이와 같은 케이블 덕트 내지 배선용 덕트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케이블 덕트는 캐비닛 사이즈를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게 되는데, 타장비와의 간섭을 피하고 캐비닛 내 공간 확보를 위하여 최소한의 크기로만 제작 되는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포설되는 케이블의 양이 많거나, 설치후 추가적인 케이블의 포설이 필요할 경우에는, 케이블 덕트 내 케이블의 포설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캐비닛 내 케이블의 정리나 마감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913호 (2012년 04월 12일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단에 각각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상기 제 1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1 주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사이드 프레임; 일측면에 상기 제 2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2 주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면에 체결되어 케이블 수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는, 폭 방향 이동 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을 통해 케이블 수납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이 좌우로 분할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을 각각 인출 또는 삽입하여, 분할된 공간별로 크기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는, 최적화된 크기로 간편하게 케이블 수납 공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캐비닛 내 케이블 덕트가 차지하는 공간 또한 최적화되어, 각종 기기가 배치되는 캐비닛 내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가 캐비닛 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설치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횡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는 케이블 덕트(100)의 상단을 단면 처리하여 도시하였으며, 길이 방향으로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각종 케이블이나 전기장설비가 수납되는 케이블 박스, 분/배전함, 스위치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케이블 박스, 분/배전함, 스위치보드 등을 '캐비닛'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캐비닛 내 일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볼팅, 용접 등을 통해 캐비닛 내 일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캐비닛 내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 커버 플레이트(140) 등을 캐비닛에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소정 폭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 1, 2 주름편 체결홈(111, 1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2 주름편 체결홈(111, 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양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주름편 체결홈(111, 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좌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주름편 체결홈(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중앙측에서 좌측단을 향해 연장되어 좌측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주름편 체결홈(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중앙측에서 우측단을 향해 연장되어 우측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주름편 체결홈(111, 112)의 내주면에는 각각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름은 후술할 제 1, 2 주름편과 맞물려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의 폭 방향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케이블 덕트(100) 내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부연 하기로 한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측부에 배치 및 체결될 수 있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가 ??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은 전면부(122), 후면부(121) 및 측면부(123)를 가지고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측면부(123)에는 케이블 수납 공간(Q)으로의 케이블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제 1 배선공(123a)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배선공(123a)은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측면부(123)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공(123a)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1 배선공(123a)은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측면부(123)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후면부(121)에는 제 1 주름편(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주름편(121a)은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후면부(121)에 폭 방향으로 소정 범위 또는 전체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후면부(121) 일부 범위에만 제 1 주름편(121a)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 1 주름편(121a)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마련된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주름편(121a)은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주름과 맞물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폭 방향 위치를 고정하거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 1 주름편 체결홈(111) 내에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주름편(121a)은, 외력이 없을시에는,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의 내주면 주름에 맞물려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을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하게 되며, 외력이 작용되면,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1 주름편 체결홈(111)의 내외측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은 제 1 사이드 프레임(120)과 대응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우측부에 배치 및 체결될 수 있다.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은 ??자형으로 절곡되어 전면부(132), 후면부(131) 및 측면부(13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측면부(133)에는 복수개의 제 2 배선공(133a)이 마련되고, 후면부(131)에는 제 2 주름편 체결홈(112)으로 삽입 체결되는 제 2 주름편(13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사이드 프레임(120)과 유사한 것인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커버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의 전면부(122, 132)에 체결되어 케이블 수납 공간(Q)을 차폐하게 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140)의 폭은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커버 플레이트(140)의 폭 방향 길이(W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길이(W2)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폭 방향 길이(W1)가 크게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140)는, 커버 플레이트(140) 해체시 케이블 수납 공간(Q)이 충분히 개방되도록 하여, 커버 플레이트(140)의 제거를 통한 케이블의 추가 포설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최대 인출된 경우에도, 커버 플레이트(140)의 체결 및 케이블 수납 공간(Q)의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도 4 참고).
한편, 커버 플레이트(140)의 양측단에는 제 1, 2 삽입홈(141, 1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2 삽입홈(141, 142)은 각각 커버 플레이트(140)의 폭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제 1 삽입홈(141)은 커버 플레이트(140)의 좌측단을 향해 개구되고, 제 2 삽입홈(142)은 커버 플레이트(140)의 우측단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제 1 삽입홈(141)에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의 전면부(122) 일부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제 2 삽입홈(142)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의 전면부(132) 일부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40)는 제 1, 2 삽입홈(141, 142)으로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의 전면부(122, 132)가 삽입 체결되어,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140)에는 격벽(143)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43)은 케이블 수납 공간(Q)을 향하는 커버 플레이트(14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격벽(143)은 커버 플레이트(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벽(143)은 케이블 수납 공간(Q) 내를 좌우측으로 분할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수납 공간(Q) 내 케이블이 보다 간편하게 정리 정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격벽(143)은 커버 플레이트(14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격벽(143)은 커버 플레이트(140)에 대한 지지 기능을 겸비하여 외력에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격벽(143)의 단부에는 끼움돌기(14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상기와 같은 끼움돌기(143a)에 대응되도록 끼움홈(1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커버 플레이트(140)의 체결시 끼움돌기(143a) 및 끼움홈(113)도 함께 체결되게 되며, 커버 플레이트(14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도 체결됨에 따라, 외력에 대한 구조적 강성이나 커버 플레이트(140)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횡단면도를 기준으로 케이블 덕트(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의 폭 방향 이동을 통해 케이블(C)이 수납되는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경우,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은 각각 제 1, 2 주름편(121a)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 1, 2 주름편 체결홈(111, 112)에 삽입 체결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40)는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의 전면부(122, 132)에 체결되어 케이블 수납 공간(Q) 내 케이블(C)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추가 케이블(C)의 포설이 필요하거나, 설치시 케이블 수납 공간(Q)이 확장될 필요가 있게 되면, 사용자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을 일측으로 인출하여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를 간편하게 늘릴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캐비닛 내 공간 확보 등을 위해 케이블 덕트(100)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거나, 케이블(C)의 포설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을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삽입하여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의 일 예로, 도 4의 (a)에서는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을 최대한 인출하여 케이블 수납 공간(Q)의 공간을 확장시킨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도 4의 (b)에서는 반대로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을 최대한 삽입시켜 케이블 수납 공간(Q)을 축소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도 4에서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만을 일측으로 인출 또는 삽입시켜 케이블 수납 공간(Q)을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커버 플레이트(140)의 격벽(143)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Q)이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 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을 통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공간 활용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부연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덕트가 캐비닛 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설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캐비닛(S)의 내 중앙부에 배치 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케이블(C1, C2)은 캐비닛(S) 하부로 인입되어 케이블 덕트(100)에 의해 캐비닛(S) 내 배치된 각종 기기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C1)은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에 마련된 제 1 배선공(123a)을 통해, 캐비닛(S) 내 좌측부에 배치된 기기들로 안내될 수 있으며, 제 2 케이블(C2)은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에 마련된 제 2 배선공(133a)을 통해 캐비닛(S) 내 우측부에 배치된 기기들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제 1, 2 케이블(C1, C2)은 케이블 수납 공간(Q)을 분할하는 격벽(143)에 의해 구분 및 정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내부의 케이블 수납 공간(Q)이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및 격벽(14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과, 제 2 사이드 프레임(130) 및 격벽(14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으로 분할되게 되는 바, 캐비닛(S) 내 기기 배치 등에 따라 각 케이블(C1, C2)이 서로 분할된 공간으로 배치 및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정리가 용이하며, 유지 점섬이나 보수시에도 작업자가 각 케이블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제 1 사이드 프레임(120) 또는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이 각각 별개로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바, 필요에 따라, 케이블 수납 공간(Q) 내 좌우측 공간을 각각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 1 케이블(C1)이 다수이고, 제 2 케이블(C2)이 소수일 때를 가정하면, 제 1 사이드 프레임(120)을 인출하여 제 1 케이블(C1)을 위한 공간은 확장하되, 제 2 사이드 프레임(130)은 삽입하여 제 2 케이블(C2)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각종 기기 및 케이블이 다수 마련되는 캐비닛(S) 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최적의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폭 방향 이동 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을 통해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40)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Q)이 좌우로 분할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2 사이드 프레임(120, 130)을 각각 인출 또는 삽입하여, 분할된 공간별로 크기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는 최적화된 크기로 간편하게 케이블 수납 공간(Q)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캐비닛 내 케이블 덕트(100)가 차지하는 공간 또한 최적화되어, 각종 기기가 배치되는 캐비닛 내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블 덕트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제 1 사이드 프레임 130: 제 2 사이드 프레임
140: 커버 플레이트

Claims (5)

  1. 양측단에 각각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2 주름편 체결홈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상기 제 1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1 주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사이드 프레임;
    일측면에 상기 제 2 주름편 체결홈과 체결되는 제 2 주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면에 체결되어 케이블 수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제 1 주름편 또는 상기 제 2 주름편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체결되며, 상기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1 배관공 또는 복수개의 제 2 배관공이 마련된 케이블 덕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양측단에 각각 상기 제 1, 2 사이드 프레임이 삽입 체결되는 제 1, 2 삽입홈이 마련되되, 상기 제 1, 2 삽입홈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케이블 덕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블 수납 공간을 향하는 일측면에 격벽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수납 공간을 분할하되,
    상기 격벽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덕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끼움돌기가 체결되는 끼움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덕트.
KR2020130004403U 2013-05-31 2013-05-31 케이블 덕트 KR200473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03U KR200473723Y1 (ko) 2013-05-31 2013-05-31 케이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03U KR200473723Y1 (ko) 2013-05-31 2013-05-31 케이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23Y1 true KR200473723Y1 (ko) 2014-07-24

Family

ID=5198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403U KR200473723Y1 (ko) 2013-05-31 2013-05-31 케이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7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2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98Y1 (ko) 1999-08-06 2000-02-15 조명운 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
KR20000014883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가변식 전선덕트
KR200279495Y1 (ko) 2002-03-28 2002-06-24 박경환 다열배관용 배선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883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가변식 전선덕트
KR200168298Y1 (ko) 1999-08-06 2000-02-15 조명운 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
KR200279495Y1 (ko) 2002-03-28 2002-06-24 박경환 다열배관용 배선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7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2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540B1 (ko)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랙용 베이스 어셈블리
CN106256058B (zh) 用于开关柜或配电箱的机架的框架异形件
US7019213B1 (en) Cable management system
US10784666B2 (en)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EP3048865A1 (en) Cabinet
EP3258754B1 (en) Rack system and slide rail assemblies thereof
KR200473723Y1 (ko) 케이블 덕트
JP2019188497A (ja) ロボット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KR960003006A (ko) 폐쇄배전반의 폐쇄상자 및 이를 사용한 페쇄배전반의 조립방법
CN111065227B (zh) 一种便于检修的拼装式电气柜
US10215207B2 (en) Support member
JP4174807B2 (ja) ケーブルダクト用電線取出しカバー
EP3167758B1 (en) Drawer sidewall assembly
JP696205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取付部品の取付構造
CN108235643B (zh) 用于机柜的导轨、机箱以及机柜
JP626838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吊り上げ構造
CN215343794U (zh) 一种暗装接线盒结构
KR101726928B1 (ko) 배터리 랙 어셈블리
CN107864590B (zh) 一种立柱固定件
CN211650657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JP2008300744A (ja) 電気機器収納用ラック
CN210694530U (zh) 一种可拼接的电气柜
JP5597121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6539472B2 (ja) 機器収納用ラック、及び機器収納用ラック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