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58Y1 - 보온병 - Google Patents

보온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58Y1
KR200473258Y1 KR2020130002855U KR20130002855U KR200473258Y1 KR 200473258 Y1 KR200473258 Y1 KR 200473258Y1 KR 2020130002855 U KR2020130002855 U KR 2020130002855U KR 20130002855 U KR20130002855 U KR 20130002855U KR 200473258 Y1 KR200473258 Y1 KR 200473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solar cell
cell module
sensitized sol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2020130002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보온병은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102)이 형성되어 태양광 또는 실내광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몸체(100)과, 외부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외부몸체(100)의 형태에 맞게 부착되고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발전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일체형으로 상단의 경첩(300)에 의해서 부착되는 하우징(132)과, 하우징(132)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 또는 음료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102)을 형성하는 내부몸체(140)과, 하우징(132)과 내부몸체(140)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내부몸체(140)의 외주연을 따라 부착되는 열선(120); 및 내부몸체(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전장치(270)를 포함하며, 경첩(300)에 의해서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하우징(132)과 분리되어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실내등 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보온병{Vacuum Bottle}
본 고안은 보온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열선을 장착하고 실내등 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서 음용할 수 있는 보온병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보온병은 따뜻한 커피 등이 식었을 때 생기는 침전물이나 분말 가루가 쉽게 섞이지 않기 때문에 스푼을 따로 준비해 저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보온병은 차나 커피 등을 저장된 후 약간의 시간 동안 보온을 유지시킬 뿐 보온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온병의 보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중벽 구조의 진공을 형성하여 장시간 보온을 유지시키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벽 구조의 진공 제품도 뚜껑의 하우징이나 내부몸체와 외부몸체의 밀봉 상태 등으로 인하여 완벽한 진공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보온 유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보온병이 이중벽 구조로 완벽한 진공 상태를 형성하더라도 음료를 마실 때마다 뚜껑을 개봉해야 하므로 보온병 내부의 열이 손실되어 장시간 보온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열선을 장착하고 실내등 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서 음용할 수 있는 보온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보온병은,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102)이 형성되어 태양광 또는 실내광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몸체(100);
상기 외부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몸체(100)의 형태에 맞게 부착되고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발전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상기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일체형으로 상단의 경첩(300)에 의해서 부착되는 하우징(132);
상기 하우징(132)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 또는 음료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102)을 형성하는 내부몸체(140);
상기 하우징(132)과 상기 내부몸체(140)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몸체(140)의 외주연을 따라 부착되는 열선(120); 및
상기 내부몸체(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전장치(270)를 포함하며, 상기 경첩(300)에 의해서 상기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상기 하우징(132)과 분리되어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실내등 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열선을 이용하여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에서 외부몸체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일정 각도로 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에서 외부몸체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일정 각도로 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병은 외부몸체(10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하우징(132), 열선(120), 내부몸체(140), 충전장치(27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외부몸체(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방되도록 수용공간(102)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공간(102)의 상부 내주연에 뚜껑(104)이 체결되며 실내등 또는 태양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몸체(100)는 일측 외주연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06)가 구비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외부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외부몸체(100)의 곡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부착되고 투명한 재질의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을 포함한다.
제1 기판(210)은 곡면 형태로 ITO와 같은 제1 투명전극(212)이 형성되고 그 위에 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염료가 흡착된 반도체산화물층(214)이 형성된다.
제2 기판(220)은 평면 구조로 제1 기판(210)과 대향하여 하우징(132)에 결합된다.
제2 투명전극(222)은 제2 기판 상에 형성되고, 제2 투명전극(222)의 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금속 메쉬(224)가 형성되며 금속 메쉬(224)의 전부와 제2 투명전극(222)의 일부에 촉매전극(226)이 형성된다.
금속 메쉬(224)는 스테인레스 스틸, 금, 백금, 은, 크롬,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는 나노 섬유 형태의 고체 전해질이 형성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투명전극과 제2 투명전극은 인듐 틴 산화물, 플루오르 틴 산화물, 안티몬 틴 산화물, 징크 산화물, 틴 산화물, ZnOGa2O3, ZnO-Al2O3 등의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촉매 전극은 산화-환원 쌍(Redox couple)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백금, 루테늄, 팔라듐. 이리듐, 로듐(Rh), 오스뮴(Os), 탄소(C), WO3, TiO2 등으로 이루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외의 태양 에너지뿐만 아니라 실내등에서도 발전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열선(120)은 하우징(132)과 내부몸체(140)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내부몸체(140)의 외주연을 따라 부착된다.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은 절연체로 충진할 수 있고, 열선(120)의 발열로부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열선(120)은 일정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로 전기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전기 저항체로서,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고 길이에 대한 저항값이 높은 니크롬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내부몸체(140)의 수용공간(102)에 수용된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울 수 있도록 한다.
내부몸체(140)의 하부면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충전장치(270)가 구성된다.
충전장치(27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획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열선(120)을 발열시카는 전력 공급원으로 제공한다.
스위치(500)는 충전장치(270)와 연결되어 열선(120)의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500)를 구동시켜 공급 전력을 온오프 시킬 수 있게 하여 상황에 따라 따뜻한 음료와 차가운 음료를 선택할 수 있다.
열선(120)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 물질이 포함되어 열선(12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어부(400)는 충전장치(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온도 감지 센서(510)로부터 수용공간(102)의 측정 온도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창(5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충전장치(270)와 열선(1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충전장치(270)로부터 공급 전력을 열선(120)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충전장치(270)의 배터리 충전량을 센싱하여 디스플레이창(530)에 배터리 잔여 표시를 수치로 출력하고 충전 여부를 충전 표시 램프(5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외부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를 이용하여 열선(12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교류 전원이 들어오는 콘센트와 전원 연결부(540)를 연결하여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를 충전하거나 직접적으로 열선(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내부몸체(140)의 일측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510)로부터 수용공간(102)의 온도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창(530)을 통해 출력하고, 기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넘어서는 경우,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와 열선(120)의 연결을 차단하며, 기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와 열선(120)을 연결시켜 열선(12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이용한 충전 장치(27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연결하는 연결부(272), 정전압 제어부(274), 충전부(276), 배터리(278) 및 충전 제어부(279)를 포함한다.
충전 장치(27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배터리(278)에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278)가 측정부(2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태양광 및 실내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한다.
연결부(272)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2차 전지 형상의 충전회로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및 충전회로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배선이다.
충전회로는 정전압 제어부(274) 및 충전부(276)를 포함하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60)로부터 생성된 전원을 정전압인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고, 충전 전압의 충전을 제어한다.
정전압 제어부(274)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전압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며,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생성된 전원을 충전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충전부(276)는 정전압 제어부(274)에서 변환된 충전 전압을 배터리(278)에 충전한다.
배터리(278)는 재충전 가능한 충전지로서, 충전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충전 제어부(279)는 배터리(278)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제어부(4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경첩(300)은 하우징(132)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일정한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가동판(314)과, 가동판(314)을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시키는 회전축(3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310)은 사각플레이트의 일측단부 양측에 원통형의 제1 축관(311)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314)은 고정판(31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에 일측단의 중심에는 원통형의 제2 축관(340)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체결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축관(340)의 일측에서 횡으로 연장된 하우징(3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8)의 내부에는 제2 축관(340)의 내부와 연통되는 인입구(319a)가 형성되고, 단부에는 인입구(319a)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된 나사구멍(319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20)은 일정 길이가 코일 형태로 감기고 일측단부에는 구형의 베어링(322)이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316)은 가동판(314)과 고정판(310)의 길이를 갖는 원형의 봉형태로 일측의 외주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걸림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314)에 형성된 제2 축관(340)의 내측으로 고정판(310)에 형성된 제1 축관(311)을 배열시킨 후에 회전축(316)을 삽입시킨다. 이때 회전축(316)이 형성된 걸림홈(330)은 가동판(314)의 인입구(319a)에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350)의 측단에 베어링(322)이 결합된 스프링(320)을 결합시켜 인입구(319a)로 삽입시킨 후에 나사(350)를 나사구멍(319b)에 체결시킨다. 이때, 스프링(320)의 측단에 결합된 베어링(322)은 회전축(316)의 걸림홈(330)이 형성된 외주면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경첩(300)은 가동판(314)은 회전시키면 회전축(316)의 양측단부는 가동판(314)의 제2 축관(34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고 가동판(314)이 회전되는 동시에 인입구(319a)에 삽입된 스프링(320)이 회전된다. 이때, 스프링(320)에 부착된 베어링(322)이 걸림홈(330)에 삽입되면 가동판(314)은 베어링(322)이 결합된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된 상태의 경첩(300)에 의해서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32)의 상면에 경첩(300)의 고정판(310)을 체결구멍을 통해 결합시키고,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가동판(314)에 결합시킨다. 이때, 가동판(314)의 스프링(320)에 결합된 베어링(322)은 회전축(316)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스프링(320)은 가동판(314)의 움직임과 동시에 연동되는데 스프링(320)의 측단에 결합된 베어링(322)도 회전축(316)의 표면에서 슬라이드 된다. 이때 가동판(314)이 어느 일정한 위치에 이동되면 베어링(322)이 회전축(316)의 걸림홈(330)에 삽입되면 베어링(322)이 걸림홈(330)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경첩(300)은 가동판(314)의 제2 축관(340)이 회전축(316)에서 슬라이드될 때 가동판(314)을 일정 지점에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전원소스로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공급되는 전원은 일반전지나 어탭터 연결, 또는 USB 전원 연결을 통해서도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외부몸체
102: 수용공간
104: 뚜껑
106: 손잡이
120: 열선
132: 하우징
140: 내부몸체
20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270: 충전장치
272: 연결부
274: 정전압 제어부
276: 충전부
278: 배터리
300: 경첩
310: 고정판
311: 제1 축관
314: 가동판
318: 하우징
319a: 인입구
319b: 나사 구멍
320: 스프링
322: 베어링
330: 걸림홈
340: 제2 축관
350: 나사
400: 제어부
500: 스위치
510: 온도 감지 센서
520: 충전 표시 램프
530: 디스플레이창
540: 전원 연결부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102)이 형성되어 태양광 또는 실내광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몸체(100);
    상기 외부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몸체(100)의 형태에 맞게 부착되고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발전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상기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일체형으로 상단의 경첩(300)에 의해서 부착되는 하우징(132);
    상기 하우징(132)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 또는 음료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102)을 형성하는 내부몸체(140);
    상기 하우징(132)과 상기 내부몸체(140)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몸체(140)의 외주연을 따라 부착되는 열선(120); 및
    상기 내부몸체(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전장치(270)를 포함하며, 상기 경첩(300)에 의해서 상기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이 상기 하우징(132)과 분리되어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실내등 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수행하는 보온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상기 외부몸체(100)의 형태와 대응되는 곡면 구조를 갖는 투명 재질의 제1 기판(210);
    상기 제1 기판(210) 상에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전도성 물질의 제1 투명전극(212);
    상기 제1 투명전극(212)의 위에 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염료가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층(214);
    상기 제1 기판(210)과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132)에 결합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투명 재질의 제2 기판(220);
    상기 제2 기판(220) 상에 평면 형태로 형성된 전도성 물질의 제2 투명전극(222);
    상기 제2 투명전극(222)의 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금속 메쉬(224); 및
    상기 금속 메쉬(224)의 전부와 상기 제2 투명전극(222)의 일부에 도포되는 촉매전극(226)
    을 포함하는 보온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300)는,
    상기 하우징(132)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일측단에 중앙부가 뚫려 있는 제1 축관(31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홈(330)이 형성된 길이 방향의 회전축(3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2 축관(340)이 형성된 가동판(314)에 일측은 상기 제2 축관(340)과 연통되고 타측은 외부와 관통된 인입구(319a)에 베어링(322)이 결합된 스프링(320)을 내장시켜 상기 가동판(314)이 회전될 때 상기 베어링(322)이 걸림홈(330)에 걸리면 상기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동판(314)이 고정되는 보온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270)의 배터리 충전량을 센싱하여 디스플레이창(530)을 통해 배터리 잔여 표시를 수치로 출력하고 충전 여부를 충전 표시 램프(5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더 포함하는 보온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내부몸체(140)의 일측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510)로부터 수용공간(102)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창(530)을 통해 출력하고, 기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와 상기 열선(120)의 연결을 차단하며, 기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270)의 배터리(278)와 상기 열선(120)을 연결시켜 상기 열선(12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보온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100)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상기 경첩(300)에 의해 상부 방향의 밀어 올려지는 경우, 일정 각도의 임의의 지점에 고정되는 보온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은 절연체로 충진되는 보온병.
KR2020130002855U 2013-04-12 2013-04-12 보온병 KR200473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55U KR200473258Y1 (ko) 2013-04-12 2013-04-12 보온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55U KR200473258Y1 (ko) 2013-04-12 2013-04-12 보온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58Y1 true KR200473258Y1 (ko) 2014-06-20

Family

ID=5149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55U KR200473258Y1 (ko) 2013-04-12 2013-04-12 보온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25B1 (ko) *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102017424B1 (ko) *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20210033177A (ko) 2019-09-18 2021-03-26 ㈜프로버스메디컬테크놀로지스 전등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4377A (ja) * 1989-03-08 1990-09-17 Canon Inc 太陽電池付加熱装置
KR20120000605A (ko) * 2010-06-28 2012-01-04 박재숙 우유병 가열기
KR20120109821A (ko) * 2011-03-28 2012-10-09 최홍덕 태양열 온수병[甁]
KR101218069B1 (ko) 2010-11-18 2013-01-03 안덕근 보온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4377A (ja) * 1989-03-08 1990-09-17 Canon Inc 太陽電池付加熱装置
KR20120000605A (ko) * 2010-06-28 2012-01-04 박재숙 우유병 가열기
KR101218069B1 (ko) 2010-11-18 2013-01-03 안덕근 보온병
KR20120109821A (ko) * 2011-03-28 2012-10-09 최홍덕 태양열 온수병[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25B1 (ko) *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102017424B1 (ko) *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20210033177A (ko) 2019-09-18 2021-03-26 ㈜프로버스메디컬테크놀로지스 전등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258Y1 (ko) 보온병
CN202959887U (zh) 太阳能加热杯
CN207303192U (zh) 一种接触性好的电池组安装盒
CN205757817U (zh) 一种保温饭盒
CN202553264U (zh) 一种温控电加热水杯
KR20070099361A (ko) 휴대용 온도제어전기 보온병
CN204617992U (zh) 一种便携式电源暖水瓶
CN211748569U (zh) 一种智能无线便携加热保温杯
CN204336100U (zh) 一种新型电热保温餐盒
CN207821694U (zh) 一种新型电热饭盒
CN209677653U (zh) 一种可水洗充电式便携保温饭盒
CN207898334U (zh) 一种多功能太阳能水杯
CN201476151U (zh) 一种充电式便携取暖器
CN210204307U (zh) 一种便携式直流加热玻璃杯
CN201278412Y (zh) 一种多功能插座
CN205069705U (zh) 燃气灶可充电电池壳及电池
CN211834969U (zh) 一种搭载充电宝的暖手水瓶
CN220455814U (zh) 一种兼具无线充电和加热的鼠标垫
CN212521508U (zh) 一种带充电的电热杯
CN215457338U (zh) 一种多功能智能太阳能咖啡壶
CN216114165U (zh) 一种燃气灶升降充电装置
CN209515793U (zh) 一种扣式可拆卸动力组合电池
CN219892995U (zh) 一种带有存储功能的充电宝
CN213822004U (zh) 一种带温度屏数显功能的防爆热水袋
CN214208055U (zh) 奶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