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92Y1 -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92Y1
KR200473092Y1 KR2020140001739U KR20140001739U KR200473092Y1 KR 200473092 Y1 KR200473092 Y1 KR 200473092Y1 KR 2020140001739 U KR2020140001739 U KR 2020140001739U KR 20140001739 U KR20140001739 U KR 20140001739U KR 200473092 Y1 KR200473092 Y1 KR 200473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rip
finger
cas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무형
Original Assignee
권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무형 filed Critical 권무형
Priority to KR2020140001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9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 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마트 폰을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배면에, 평면에 접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내면이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면; 상기 그립면의 양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립면을 구획하는 경계 돌기; 상기 각 그립면에서 상기 접착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손가락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 홈;으로 이루어지는 그립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립 방식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양 손을 이용한 게임을 즐기는 경우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device for facilitating gripping of a smartphone and for mounting the smartphone at various angles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grip device. Adhesive surface; At least one gripping surface formed to be convex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A boundary protrusion protruding along both sides of the grip surface to define the grip surface; And a gripp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gripping surfaces so as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surface and to which an end of the finger is fitted.
The smartphone cas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grip the smartphone with various grips using one hand or both hands. In particular, when enjoying the game using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game while stably holding the smartphone It shows the effect.

Description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grip device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마트 폰을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 device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grip device for facilitating gripping of a smartphone and mounting the smartphone at various angles.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하나인 휴대폰은 남녀노소 구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생활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회사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 스마트 폰(smart phone)이라 불리는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 폰은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동영상, 게임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general, a mobile phone, which is one of portable terminals, is used as a daily necessity that can be us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and sex, and various products are being releas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In recent years, a portable terminal called a smart phone has become popular among portable terminals. The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information search, video, and gam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install applications.

이러한 스마트 폰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면서 고가(高價)의 상품으로 되어, 스마트 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종 스마트 폰 케이스가 판매되고 있으며, 스마트 폰 케이스에는 스마트 폰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을 쉽게 파지하거나 안전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수단들이 부가되고 있다.In order to protect the smartphone, various smartphone cases are sold. In the case of the smartphone, a smart phone is provided with smart Means are available to easily grasp or safely mount the phone.

일 예로, ① 공개특허 10-2014-0003807호(선행문헌1)에는 배면에 고리가 마련된 스마트 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1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 자형 고리(2)에 가운데 손가락을 끼워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1) discloses a smartphone case provided with a ring on the back side in a patent document No. 10-2014-0003807 (prior ar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 the smartphon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has a "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gripped by inserting the middle finger in the ring (2).

또한, ② 등록특허 10-1097649호(선행문헌2)에는 배면에 띠 형상의 벨트가 마련된 스마트 폰 보호커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2의 스마트 폰 보호커버는 벨트(5)에 하나의 손가락을 끼우고 다른 손가락으로 벨트의 외부를 눌러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discloses a smartphone protective cover having a belt-shaped belt on its back surface. As shown in FIG. 2, the smartphone protective cover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belt (not shown) 5) with one finger and press the outside of the belt with the other finger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gripped.

또한, ③ 등록특허 10-1185358호(선행문헌3)에는 배면에 손가락 걸이구와 거치구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3의 휴대폰 케이스는 복수의 걸이구(11)를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파지하고, 거치구(12)를 펼친 상태에서 휴대폰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테이블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cellular phon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3 has a plurality of hooks (not shown) The mobile phone is held by holding the finger 11 in a raised state and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on a table or the like such that the mobile phone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opening 12 is opened.

상기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고리나 벨트에 손가락을 끼워 스마트 폰을 파지하는 방식으로, 한 손으로만 스마트 폰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손에 의하여 스마트 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 폰을 파지한 손은 스마트 폰 이용에 어려움이 있고, 스마트 폰을 테이블 등에 거치하는 수단이 없어 불편한 점이 있다.The smartphon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and the prior document document 2 supports the smartphone by holding the smartphone by holding the finger on the ring or the belt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supported by only one hand, However, the hand holding the smartphone has difficulties in using the smartphon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because there is no way to store the smartphone at the table.

또한, 상기 선행문헌3의 휴대폰 케이스는 한 손으로 휴대폰을 지지하여 다른 손으로 휴대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 등에 휴대폰을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휴대폰을 파지한 손은 휴대폰 이용에 어려움이 있고, 걸이구와 거치구를 접고 펼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걸이구와 거치구가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3 supports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freely used with the other hand, and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on a table at a certain angl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anger and the hanger are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as the proces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hanger and the hanger is repeated.

선행문헌1 : 공개특허 10-2014-0003807호Prior Art 1: Open Patent No. 10-2014-0003807 선행문헌2 : 등록특허 10-1097649호Prior Art 2: Registration No. 10-1097649 선행문헌3 : 등록특허 10-1185358호Prior Art 3: Registration No. 10-118535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그립 방식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grip device capable of gripping a smartphone with various gripping methods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또한, 본 고안은 한 손뿐만 아니라 양 손으로도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grip device capable of stably holding a smartphone with both hands as well as a single hand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또한, 본 고안은 양 손으로 스마트 폰은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특히 양 손을 이용한 게임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grip device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in which the smartphone is stably gripped by both hands, particularly, a game using both hands can be easily enjoyed.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 폰을 다양한 각도로 테이블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grip device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that enable a smartphone to be mounted on a table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스나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grip device capable of stably holding and mounting a snapped phone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and a smartphone case having the smartphone grip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마트 폰 그립 장치는, 평면에 접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내면이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면; 상기 그립면의 양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립면을 구획하는 경계 돌기; 상기 각 그립면에서 상기 접착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손가락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phone gr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surface bonded to a flat surface; At least one gripping surface formed to be convex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A boundary protrusion protruding along both sides of the grip surface to define the grip surface; And a fitting groove which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surface from each of the grip surfaces and into which the end of the finger is fitted.

여기서, 상기 그립면은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지고,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rip surface has two or three grip surfaces, and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또한, 스마트 폰 그립 장치는 하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최 외측의 상기 경계 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최 측근의 끼움 홈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grip device further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most boundary protrusion while forming a space portion in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n a lower side, and the space por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tting groove of the most- .

또한, 상기 경계 돌기는 단부의 표면이 상기 접착면에 대하여 제1경사면, 제2경사면 및 제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oundary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end portion is compose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urface.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전면에는 스마트 폰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구비되는 상기 그립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case including a main body defin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martphone; And the grip devic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본체와 상기 그립 장치는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and the grip device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상기 그립 장치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와 소정의 단차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grip device having the latching protrusion, the end portion of the latch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wardly with a predetermined stepped portion from one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립 방식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양 손을 이용한 게임을 즐기는 경우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The smartphone cas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grip the smartphone with various grips using one hand or both hands. In particular, when enjoying the game using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game while stably holding the smartphone It shows the effect.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 폰 케이스는 별도의 조작없이 스나트 폰을 파지하거나 테이블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방향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스마트 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martphone case can grasp the snare phone or mount it on the table without any operation, and can mount the smartphone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도 1은 선행문헌1(공개특허 10-2014-0003807호)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선행문헌2(등록특허 10-1097649호)의 스마트 폰 보호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선행문헌3(등록특허 10-1185358호)의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의 주요부인 그립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파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파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파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10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거치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및
도 11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거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of a prior ar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4-0003807)
2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over of the prior art document 2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10-1097649)
3 is a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3 (registered patent No. 10-1185358)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ip portion which is a main part of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phone phag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martphone phag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smartphone phag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tate of the smartphon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and FIG.
1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tate of the smartphon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technical object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의 그립부를 나타낸 Ⅰ-Ⅰ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스마트 폰을 수납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그립부(200)로 이루어진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Sectional view. As can be seen from these figures, the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ortion 100 for storing a smartphone and a grip portion 20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

여기서, 본체부(100)는 스마트 폰을 수납하고 보호하는 구성으로, 전면에 스마트 폰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공지의 스마트 폰 케이스 본체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본체부(100)에 수납된 스마트 폰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 폰이 테이블과 같은 평면 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부(100)와 그립부(200)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한 사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와 일체형을 이루거나 본체부(100)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될수 있다.Here,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generally known smartphone case main body in which a smartphon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accommodate and protect the smartphone. The grip portion 200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main body 100 can be easily and stably held and the smartphone can be mounted at various angles on a plane such as a table . The grip portion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00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grip portion 2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plastic, And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특히, 본 고안에서의 그립부(200)는 일 측의 제1면(A)과 그 반대면의 제2면(B)으로 이루어지며, 제1면(A)은 평평한 형상으로 접착면(210)이 형성되고, 제2면(B)은 볼록한 형상을 이루면서 그립면(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면(210)은 그립부(200)가 케이스 본체부(100)와 분리형을 이루는 구조에서 케이스 본체부(100)의 배면에 접착되는 면을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부(100)와 일체형을 이루는 구조에서는 케이스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면을 형성한다. 또한, 그립면(220)은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을 잡는 경우, 엄지 손가락은 스마트 폰의 앞면(前面)에 접촉되고 나머지 네 손가락 중 일부는 뒷면(背面)에 접촉되므로, 네 개 이하로 형성되며, 두 개 또는 세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200 is composed of a first surface A on one side and a second surface B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first surface A has a flat shape, And the second surface B forms a convex shape while the grip surface 220 is formed. Here, the adhesive surface 210 forms a surface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0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 portion 2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100, and the adhesive surface 2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body 100 A surface connected to the case body portion 100 is formed. Further, the grip surface 220 is generally formed to be four or less when the smart phone is held, the thumb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and the remaining four fingers ar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Two, or three.

이러한 다수개의 각 그립면(220)은 경계 돌기(230)에 의하여 구획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면(220)의 양 측부를 따라 경계 돌기(230)가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그립면(220)과 경계 돌기(230)가 연속되어, 그립면(220)은 골의 형상을 이루고 경계 돌기(230)는 산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그립면(220)은 경계 돌기(230)에 대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이루면서, 단면이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는 'U'자 형상을 이루어 손가락이 경계 돌기(230) 사이에 끼워지면서 그립면(220)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grip surfaces 220 is delimited by a boundary protrusion 230. 5, a boundary protrusion 230 is protruded along both sides of the grip surface 220, and a plurality of grip surfaces 220 and a boundary protrusion 230 are continuous to each other to form a grip surface 220 And the boundary protrusions 230 form a mountain. Accordingly, the grip surface 220 has a concave groove shap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protrusions 230 and has a U-shaped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finger. The finger is sandwiched between the boundary protrusions 230, In a large area.

또한, 길이 방향의 그립면(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하면서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룬다. 이는 스마트 폰을 파지하는 경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손가락을 굽히게 되는데, 그립면(220)은 이러한 손가락의 내면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이룬다.In addition, the grip surface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vex upward and forms a gentle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When the smartphone is gripped, the finger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grip surface 220 has a curved surf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urvature of the finger.

또한, 본 고안의 그립부(200)에는 걸림 돌기(240)가 더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240)는 다수의 경계 돌기(230)에 대하여 최 외측의 경계 돌기(230)에서 외측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 돌기(240)의 하부와 본체부(100) 사이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2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240.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latching protrusions 240 are formed protru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boundary protrusions 230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boundary protrusions 230.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ace 250 in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ing protrusion 240 and the main body 100.

이러한 구성의 그립부(200)에 의하여, 경계 돌기(230) 사이의 그립면(220)을 감싸도록 스마트 폰(즉, 케이스) 잡는 경우 넓은 접촉 면적과 곡면 형상의 접촉 구조에 의하여 편안한 그립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손가락(중지 및 약지)은 그립면에 접촉되고, 나머지 일부의 손가락(검지 및 소지)은 걸림 돌기(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양 측의 공간부(250)에 끼워져, 스마트 폰이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When the smartphone (i.e., case) is held so as to surround the grip surface 220 between the boundary protrusions 230, the grip portion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xhibit a comfortable grip due to the contact structure of the wide contact surface and the curved surface shape have. In addition, some of the fingers (stop and ring finger) are in contact with the grip surface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fingers (detection and possession) are fitted into the space 250 on both sides formed by the locking protrusion 240, Stable grip is possible because it does not easily slip away from the hand.

그리고, 경계 돌기(230)의 단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다수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 돌기의 상단부는 수평 방향의 접착면(21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230a), 제1경사면과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230b) 및 제1경사면, 제2경사면과 다른 경사면을 갖는 제3경사면(230c)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경계 돌기(230)에 의하여 스마트 폰을 테이블 등에 거치하는 경우 다양한 경사를 갖도록 거치할 수 있다.The end of the boundary protrusion 230 forms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6,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protrusion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230a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urface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230b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angle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0c hav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other inclined surfac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a table or the like by the boundary protrusions 230 having different inclined surfaces, it can be mounted to have various inclination.

그리고 본 고안의 그립부(200)에는 양 손으로 스마트 폰을 잡는 경우,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손가락 끼움 홈(260)이 형성된다. 끼움 홈(260)은 그립면(220)에서 접착면(210)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각 그립면에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끼움 홈(260)은 그립면(220)과 접착면(210)을 관통하는 홀 형상을 이루거나 그립면(220)이 함몰되는 홈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손가락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이룬다. 이러한 끼움 홈(260)은 한 손으로도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양 손으로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양 손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하는 경우 양 측에서 중지 또는 약지의 단부를 끼움 홈(260)에 끼운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한다.In the grip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rtphone is held by both hands,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grooves 260 are formed to enable stable gripping. The fitting grooves 260 can be formed toward the adhesive surface 210 at the grip surface 220 and are formed one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ective grip surfaces. The fitting groove 260 may have a hole shape passing through the grip surface 220 and the adhesive surface 210 or may have a groove shape in which the grip surface 220 is recessed, Diameter. Such a fitting groove 260 not only stably holds the smartphone with one hand but also allows the smartphone to be stably gripped with both hands. When the smartphone is held by both hands, the smart phone is gripped by the remaining fingers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stop or ring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60 on both sides.

이때, 외 측의 끼움 홈(260)은 걸림 돌기(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2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 홈(260)이 공간부(250)에 연통되는 경우 열쇠 고리와 같은 장신구를 끼움 홈(260)과 공간부(250)를 통하여 걸림 돌기(240)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260 on the outer side is preferably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250 form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240. When the fitting groove 260 is communicated with the space 250, the ornament such as a key ring can be fastened to the latching protrusion 240 through the fitting groove 260 and the space 250.

도 7 내지 도 9는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파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로서, 도 7은 통화 모드에 적합한 스마트 폰 파지의 예를 나타내었으며, 도 8 및 도 9는 게임 모드에 적합한 스마트 폰 파지의 예를 나타내었다.FIGS. 7 to 9 show usage states of various embodiments of a smartphone phage using the smartphone case of FIG. 4, FIG. 7 shows an example of a smartphone phage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ode, An example of a smartphone phage suitable for the mode is shown.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은 그립부의 그립면(220)에 접촉시키고, 다른 손가락(소지)은 걸림 돌기(240)의 공간부에 끼운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세 개의 손가락이 그립면을 감싸도록 파지하면서 하나의 손가락은 공간부(250)에서 걸림 돌기(240)에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가벼운 힘으로 파지하더라도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상태에는 통화 모드와 같은 상태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7, some of the fingers (detecting, stopping and ring fing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ip surface 220 of the grip portion, while the other fingers are hel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catching protrusion 240 It can be grasped. At this time, since one finger is held by the latching protrusion 240 in the space 250 while gripping the three fingers so as to wrap the grip surface,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gripped even if it is gripped with a light force . Such a holding stat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state such as a communication mod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홈(260)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일부의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단부를 세 개의 끼움 홈(260)에 각각 끼운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과 함께 스마트 폰을 파지한다. 세 개의 손가락이 끼움 홈(260)에 끼워져 스마트 폰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엄지 손가락이나 다른 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상태를 한 손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8, the smartphone can be gripped by one hand using the fitting groove 260. At this time, the smartphone is held together with the thumb with the ends of some of the fingers (index finger, stop finger, finger ring finger) inserted into the three fitting grooves 260 respectively. The thre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60,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operated by using the thumb or other hand. Such a grip stat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game using one han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홈(260)을 이용하여 양 손으로 스마트 폰을 파지할 수 있다. 즉, 외측의 끼움 홈(260)에 양 손의 약지(또는 중지) 단부가 각각끼워진 상태에서 스마트 폰을 지지하고, 나머지 손가락이 스마트 폰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면서, 양 손이 스마트 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은 스마트 폰의 전면에 위치하여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상태는 양 손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smartphone can be gripped by both hands using the fitting groove 260. In other words, while the smartphone is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or stop) ends of both hands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60 on the outer side, and the other fingers support the smart phone, . In this state, the thumb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nd is free, and the thumb can easily manipulate the smartphone. Such a grip state can be efficiently applied when playing a game using both hands.

한편, 본 고안의 그립부를 이용한 스마트 폰의 파지는 위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of the smartphone using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applied variously.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스마트 폰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폰 거치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가로 방향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11은 세로 방향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마트 폰 케이스는 스마트 폰이 테이블 등에 다양한 경사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FIGS.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martphone using the smartphone case shown in FIG. 4.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G. . As can be seen from these drawings, the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mart phone to be mounted on a table at various inclination angles.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거치는 경계 돌기(230)가 형성하는 경사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a)와 같이 제1경사면(230a)이 테이블 표면(T)에 접하면서 스마트 폰은 소정의 경사로 거치되고, (b)와 같이 제2경사면(230b)이 테이블 표면(T)에 접하는 경우 스마트 폰은 보다 완만한 경사로 거치된다. 또한, (c)와 같이 제3경사면(230c)이 테이블 표면(T)에 접하는 경우 상하 반전된 상태에서 급격한 경사로 거치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0, the transverse direction is made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boundary protrusion 230. That is, as shown in (a), the smartphon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hil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0a contacts the table surface T,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b contacts the table surface T as shown in (b) In the case of smart phones, the gentle slope is mounted. Also, wh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0c is in contact with the table surface T as shown in (c), it is vertically inverted and is mounted at a steep slope.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거치는 걸림 돌기(24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경계 돌기(23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240)는 본체부(100)의 배면(즉, 스마트 폰의 배면)과는 거의 평행을 이루면서, 단부는 본체부(100)의 가장자리 보다 약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 돌기(240)의 단부는 본체부(100)의 가장자리와는 소정의 단차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마트 폰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는 경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와 걸림 돌기(240)의 단부가 테이블에 접하면서 스마트 폰은 소정의 경사로 거치된다.
Also, as shown in Fig. 11, the latching protrusion 24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atching protrusion 24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undary protrusion 23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e.,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the end is slightly inward of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 That is, the end of the latching protrusion 240 is disposed inward with a predetermined step difference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smartphone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martphon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hile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240 contact the table.

이상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본체부와 그립부로 구성되는 케이스는 스마트 폰 수납을 위한 케이스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휴대 단말기 보호를 위한 케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Particularly, although the case composed of the body part and the grip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a case for housing a smart phone,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will be referred to as a case for protecti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100 : 케이스 본체부
200 : 케이스 그립부
210 : 접착면
220 : 그립면
230 : 경계 돌기
230a,230b,230c : 경사면
240 : 걸림 돌기
250 : 공간부
260 : 끼움 홈
100: Case body part
200: Case grip portion
210:
220: grip face
230: Border projection
230a, 230b, and 230c:
240:
250:
260: Fitting groove

Claims (9)

평면에 접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내면이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면;
상기 그립면의 양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립면을 구획하는 경계 돌기;
상기 각 그립면에서 상기 접착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손가락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An adhesive surface to be bonded to a plane;
At least one gripping surface formed to be convex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A boundary protrusion protruding along both sides of the grip surface to define the grip surface;
And a fitting groove which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surface from each of the grip surfaces and into which an end of the finger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면은,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The gripper according to claim 1,
2, or 3,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하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최 외측의 상기 경계 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most boundary protrusion while forming a space in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n the lower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최 측근의 끼움 홈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tting groove of the apical ro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면은,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The grip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돌기는
단부의 표면이 상기 접착면에 대하여 제1경사면, 제2경사면 및 제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그립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end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urface.
전면에는 스마트 폰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구비되는 그립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케이스.
A body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martphone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mprising a grip device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그립 장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grip device are integrally formed.
제7항에 있어서,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상기 그립 장치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와 소정의 단차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grip device having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latch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wardly with a predetermined stepped portion from one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KR2020140001739U 2014-03-05 2014-03-05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KR2004730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39U KR200473092Y1 (en) 2014-03-05 2014-03-05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39U KR200473092Y1 (en) 2014-03-05 2014-03-05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92Y1 true KR200473092Y1 (en) 2014-06-16

Family

ID=5149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39U KR200473092Y1 (en) 2014-03-05 2014-03-05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92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014A (en) * 2016-06-16 2017-12-27 조재섭 Multi Purpose Smartphone Case
KR102215715B1 (en) 2020-09-21 2021-02-16 이선웅 Case for smart phone
KR102408491B1 (en) * 2021-08-17 2022-06-15 안신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23A (en)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Finger backing for a mobile phone
KR20130113655A (en) * 2012-04-06 2013-10-16 이규진 Cellular phone case with functional k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23A (en)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Finger backing for a mobile phone
KR20130113655A (en) * 2012-04-06 2013-10-16 이규진 Cellular phone case with functional ki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014A (en) * 2016-06-16 2017-12-27 조재섭 Multi Purpose Smartphone Case
KR101867159B1 (en) 2016-06-16 2018-06-12 조재섭 Multi Purpose Smartphone Case
KR102215715B1 (en) 2020-09-21 2021-02-16 이선웅 Case for smart phone
KR102408491B1 (en) * 2021-08-17 2022-06-15 안신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21934B1 (en) * 2021-08-17 2022-07-15 천영준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21848B1 (en) * 2021-08-17 2022-07-19 김명배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27992B1 (en) * 2021-08-17 2022-08-02 양종혁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27993B1 (en) * 2021-08-17 2022-08-02 양종혁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50083B1 (en) * 2021-08-17 2022-10-12 김현석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KR102465174B1 (en) * 2021-08-17 2022-11-10 양종혁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536B1 (en) Adaptable mounts for attachment to cylindrical surfaces
US20130264235A1 (en) Cell phone protection case structure
US20070165371A1 (en) Portable digital media player case
US20100155550A1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9581286B2 (en) Tablet computer holding device
KR200473092Y1 (en)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US20170241590A1 (en) A support for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US20190350352A1 (en) Pull-out carrying handle
KR200467505Y1 (en) Potable contact lenses case
US11513558B2 (en) Connector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40017142A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insert-ring capable of inserting fingers thereto
KR101416692B1 (en) Slidable case for carrying portable device
KR20170133138A (en) A both supporter 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KR10215179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secondary battery fixing function
KR20140136598A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KR200486975Y1 (en) Stand clip for smart-phone case
KR101370928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200455103Y1 (en) Combi case for cell phone
KR20080004451U (en) Slide type USB memory device
JP2015032975A (en) Portable phone protective case in which dust-proof plug can be inserted and earphone cord can be housed
KR200417498Y1 (en) Portable holder of electronic products
JP6919803B2 (en) Mobile terminal
KR20080076520A (en) A battery for cellular phone and a cellular phone with the battery
KR20200080881A (en) A embossing glasses case having single body type nose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