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07Y1 - Safety Stick - Google Patents

Safety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07Y1
KR200472907Y1 KR2020130001052U KR20130001052U KR200472907Y1 KR 200472907 Y1 KR200472907 Y1 KR 200472907Y1 KR 2020130001052 U KR2020130001052 U KR 2020130001052U KR 20130001052 U KR20130001052 U KR 20130001052U KR 200472907 Y1 KR200472907 Y1 KR 200472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distress signal
handle
signal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이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영 filed Critical 이세영
Priority to KR2020130001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0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8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suring or weigh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제어기판을 구비하여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w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tress detecting means,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and a control board so that when a cane user is distressed during climbing or other outdoor activities, By announcing the location of the victims, they were able to find and rescue the victims early.

Description

안전 지팡이{Safety Stick}Safety Stick

본 고안은 안전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wand,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cane user is disturbed during a mountaineering or other outdoor activity and is put in a state where he can not be distracted or manipulated, a distress signal automatically occurs, It is about a safety wand that allows the disaster to be found and rescued early.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용이나 신체노약자용 및 환자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지팡이 본체와 손잡이가 T자형을 이루는 것과 1자형을 이루는 것이 있다.In general, canes are widely used for mountaineering, the elderly, and patients, and the cane body and the handle are T-shaped and one-shaped.

이러한 지팡이는 안전한 산행과 보행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These canes are used as an aid to safe walking and walking.

근래 들어 많은 사람들이 등산이나 기타 야외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실족에 의한 추락에 의한 조난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In recent years, many people have been climbing or doing other outdoor activities. In this process, distress accidents caused by falling due to strikes often occur.

조난사고의 경우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으나, 깊은 산중이나 지역적 특성상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는 구조요청과 조난자 수색이 어려워서 조기에 구조되었다면 사망에 이르지 않을 수 있던 상황에서도 사망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distress accident, it is possible to request a rescue by using a mobile phone, but it is difficult to search for rescue and request for rescue in places where there is no communication due to deep mountains or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 rescue is premature, Accidents are often happening.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5258호는 배터리와 스위치 및 램프를 구비하여 등산이나 보행을 보다 안전하게 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를 개시하고 있다.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0455258 discloses a mountaineering cane having a battery, a switch, and a lamp to provide a lighting function that makes climbing or walking more secure.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7550호는 조명장치와 위치정보제공수단이 구비되어 등산 시에는 지주에 의해 몸의 일부를 지탱하여 산행에 도움을 주며, 야간에는 조명장치로 조명함으로써 보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진행속도 및 진행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위치정보제공수단이 마련된 등산용 지팡이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public utility model 2010-0007550 is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to support a part of the body by the landlord during mountain climbing, and at night, And a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for displaying a progress speed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user by means of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using a web site.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공개실용신안의 지팡이들은 조명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길을 밝힐 수 있어 산행과 보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개실용신안의 지팡이는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진행속도와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alking sticks of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and the public utility model ar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so that they can illuminate the road at night or in the dark, so that walking and walking can be safely performed. The stick of the public utility model is provided with a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gress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

그러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등산이나 보행 중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는 조명장치가 무용지물이 되어 조난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user has to operate the switch in order to operate the ligh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ghting device becomes useless and can not inform the distressed position in the state of being lost in a mental distress due to the mountaineering or the walking.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지팡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distressed person early by notifying the location of a distresser when a cane user is distressed during climbing or other outdoor activities, And to provide a safety wand that can be rescued.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팡이 본체, 지팡이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설치공간과 외벽이 구비된 손잡이,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갖는 전원부,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및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조난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른 중앙처리장치의 조난신호음발생명령을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에 전달하는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조난감지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조난신호감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스위치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을 사용자가 잡았을 때에는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의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여 조난신호음발생수단에 의한 조난신호음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손잡이를 사용자가 놓쳤을 때에는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의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조난신호음발생 명령을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에 전달하여 조난발생을 알리는 조난신호음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n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cane body, a handle coupled to the cane body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uter wall, a power unit having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Wherein the control board comprise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drive unit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unit, Wherein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speaker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andle, and the distress detecting means comprises a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holds the handle ,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signal detection sensor sens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board so that the distress signal is not generated by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and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board to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command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distress signal.

삭제delete

본 고안에 의하면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제어기판을 구비하여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ress detecting means,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and a control board are provided so that a cane user can be distressed during climbing or other outdoor activities, there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By notify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the victim can be found and rescued early.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FIG. 1 and FIG. 2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fety w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afety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1 and 2 show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safety w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팡이본체(10)와 손잡이(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팡이 본체(10)와 손잡이(20)가 1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T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safety w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wand body 10 and a handle 20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ne body 10 and the handle 20 are formed as a one-letter shape, but they may also be formed as a T-shape.

상기 손잡이(20)는 외벽(22)에 의해 내부에 설치공간(21)이 형성되는 중공형(中空形)으로 형성된다.The handle 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21 is formed by an outer wall 22.

상기 외벽(22)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수납공(23)과, 복수개의 미세공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홀(25)이 구비된다. The outer wall 22 is provided with a battery receiving hole 23 for receiving a battery and a speaker hole 25 formed by a plurality of micropores.

상기 배터리수납공(23)은 배터리커버(24)에 의하여 개폐된다.The battery compartment 23 is opened and closed by a battery cover 24.

상기 스피커홀(25)은 이에 대응하는 외벽 내측에 방수필름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aker hole 25 is waterproofed by attaching a waterproof film to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corresponding thereto.

본 고안은 전원부(30), 조난감지수단(40),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 및 제어기판(6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30, a distress sensing means 40,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and a control board 60.

상기 전원부(30)는 상기 설치공간(21)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수납공(23)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배터리수납케이스(31)와, 상기 배터리수납케이스(31)에 수납되는 배터리(32) 및, 상기 손잡이(2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32)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3)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 includes a battery storage case 3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ttery storage space 23, a battery 32 stored in the battery storage case 31, And a power switch 33 installed on the handle 20 to turn the power of the battery 32 on and off.

상기 배터리수납케이스(31)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전자기기에서 배터리를 수납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케이스본체(31a)와 상기 케이스본체(31a)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자(31b, 31c)를 구비한다.The battery housing case 31 is a typical structure used for housing a battery in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using a battery as a power source. The battery housing case 31 includes a case body 31a and a + (31b, 31c).

상기 배터리(32)는 시중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AA형 또는 AAA형 배터리나 수은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ttery 32 may be an AA-type or AAA-type battery or a mercury battery which can be readily purchased on the market.

상기 전원스위치(33)는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지팡이를 사용할 때 임의로 온ㆍ오프되지 않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도시예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switch 33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arbitrarily turn on and off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and uses a stick. It is preferable to use a slide switch,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not limited.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은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는지 놓았는지를 감지하는 조난신호감지센서(41)를 포함한다.The distress detecting means 40 includes a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20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or not.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41)는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the power is turned off and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power is supplied.

도시예에서는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41)로서 푸시스위치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광센서, 근접스위치나 소프트 터치식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ush switch is used as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optical sensor, a proximity switch, a soft touch switch, or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은 상기 설치공간(21)에 설치되는 스피커(51)를 포함한다.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includes a speaker (5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1).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홀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의 외벽 내측에 부착되어 스피커에서 발생한 조난신호음이 상기 스피커홀(25)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The speake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handle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hole so that a distress signal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hole.

상기 제어기판(60)은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6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1)의 지령에 따라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을 구동하는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를 포함한다.The control board 6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61 for controlling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50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distress detecting unit 40, And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drive section (62) for driving the beep sound generating means (50).

즉, 상기 전원부(30)의 전원스위치(33)가 온으로 되어 배터리(32)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을 구성하는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되어 중앙처리장치(61)가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사용 중임을 확인하여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가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대한 조난신호음발생 구동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쳤을 때에는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이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되어 중앙처리장치(61)가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친 상태임을 확인하여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가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대한 조난신호음발생 구동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the power switch 33 of the power source unit 30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battery 32 is supplied,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unit 40 detects the distress signal The sensor 41 senses this and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so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confirm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20 and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drive unit 62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20, the distress sensing means 40 senses the driving signal and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is configured to confirm that the user has missed the handle 20 and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drive unit 62 is configured to send a distress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의 사용과 조난신호 발생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safety wand and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게 되면,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61)는 사용자가 사용 중임인 것으로 인식하고,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에 조난신호음발생 신호를 보내지 않게 된다.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20 in a state where the power switch 33 is turned on,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of the distress sensor 40 senses the sensed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recognizes that the user is in use and does not send a distress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or 62. [

상기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손잡이(20)가 손에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손잡이(20)가 손에서 떨어졌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는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61)는 즉각적으로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를 통해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조난신호음발생명령을 보내게 되고,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의 스피커(51)에서 조난발생을 알리는 조난신호음이 발생된다.When the handle 20 is released from the hand while the power switch 33 is turned on,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of the distress sensor 40 senses that the handle 20 has fallen out of the hand ,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immediately sends a distress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or 50 through the distress signal generator 62, A distress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distress is generated in the speaker 51 of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여기서 사용자는 지팡이를 잠시 내려놓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스위치(33)를 오프로 하여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원스위치(33)를 오프로 하지 않고 지팡이를 내려놓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였을 때 전원스위치(33)를 오프시킴으로써 조난신호음을 멈추게 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lower the staff for a while, or turn off the power switch 33 to prevent a distress signal from being generated. However, if the staff is lowered without using the power switch 33, The distress signal can be stopped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33 when a distress signal is generated.

따라서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서 발생하는 조난신호음에 의하여 조난자의 위치가 표시되므로 동행자나 주변의 등산객 또는 구조대로 하여금 조난자를 쉽게 수색해 낼 수 있게 되어 사망사고에 이를 수 있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victim is displayed by the distress signal generated by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for the victim or the rescue party or the rescue party in the vicinity of the victim, .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팡이 본체 20 : 손잡이
30 : 전원부 40 : 조난감지수단
50 : 조난신호음발생수단 60 : 제어기판
10: cane body 20: handle
30: power supply unit 40: distress sensing means
50: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60: control board

Claims (2)

지팡이 본체(10); 지팡이 본체(10)에 결합되며 내부 설치공간(21)과 외벽(22)이 구비된 손잡이(20); 상기 설치공간(21)에 구비되고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3)를 갖는 전원부(30), 조난감지수단(40),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 및 제어기판(6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60)은, 중앙처리장치(61)와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따른 중앙처리장치(61)의 조난신호음발생명령을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전달하는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은 상기 손잡이(20)의 설치공간(21)에 설치되는 스피커(51)로 이루어진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를 잡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조난신호감지센서(4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을 사용자가 잡았을 때에는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60)의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하여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의한 조난신호음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손잡이(20)를 사용자가 놓쳤을 때에는 상기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60)의 중앙처리장치(61)에 전달하여 상기 조난신호음발생 명령을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전달하여 조난발생을 알리는 조난신호음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지팡이.
A cane body 10; A handle 20 coupled to the cane body 10 and having an inner installation space 21 and an outer wall 22; A power source unit 30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1 and having a power switch 33 for turning on and off a power source, a distress sense means 40,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means 50 and a control board 60, The control board 60 transmits a distress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and a distress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5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unit 40 And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62. The distress signal generating unit 50 includes a speaker 5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1 of the handle 20,
The distress detection means (40)
And a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When the power switch 33 is turned on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senses the sensed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of the control board 60, The disturbance beep sound is not genera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20, the distress signal detecting sensor 41 senses the sensed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1 of the control board 60, And the disturban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generating means (50) so that a distress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distress is generated.
삭제delete
KR2020130001052U 2013-02-08 2013-02-08 Safety Stick KR2004729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52U KR200472907Y1 (en) 2013-02-08 2013-02-08 Safety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52U KR200472907Y1 (en) 2013-02-08 2013-02-08 Safety 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907Y1 true KR200472907Y1 (en) 2014-06-02

Family

ID=5148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52U KR200472907Y1 (en) 2013-02-08 2013-02-08 Safety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07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118U (en) * 1989-11-02 1991-06-28
JP2002153308A (en) * 2001-02-20 2002-05-28 Masanobu Kujirada Intelligent umbrella and umbrella cover
JP2006314746A (en) * 2005-05-16 2006-11-24 Asap System:Kk Motion sensitive safety walking stick
JP2007167473A (en) 2005-12-26 2007-07-05 Sanae Araki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118U (en) * 1989-11-02 1991-06-28
JP2002153308A (en) * 2001-02-20 2002-05-28 Masanobu Kujirada Intelligent umbrella and umbrella cover
JP2006314746A (en) * 2005-05-16 2006-11-24 Asap System:Kk Motion sensitive safety walking stick
JP2007167473A (en) 2005-12-26 2007-07-05 Sanae Araki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2700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 emergency early warning system
KR101743863B1 (en) Apparatus for saving drowning children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06462538U (en) Crutch
KR20160144193A (en) Intelligent Walking Assistive Apparatus For Visual Impairment, Aged And Feeble Person
CN205214438U (en) Intelligent crutch
KR101019084B1 (en) Portable Lantern Reactive to Biological Information
KR101612507B1 (en) Dangerou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by self-protection ring
US8528797B2 (en) Rescue device for rescuing a child
US8981931B2 (en) Earthquake alarming device with rescue assisting capability
CN206699599U (en) A kind of portable telescopic type intelligent crutch
KR200472907Y1 (en) Safety Stick
KR101400792B1 (en) Safety stick
KR101357855B1 (en) Safety stick for old people
GB2449633A (en) Portable smoke and carbon monoxide with personal location beacon.
KR102095630B1 (en) Guidance rovot for disaster relief
CN203029570U (en)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JP5281707B1 (en) Walking stick
KR101824527B1 (en) Hazard factor sensing emergency devices
KR20170070324A (en)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for fireman
CN104814581A (en) Automatic-alarming multifunctional novel crutch with seat
CN203523984U (en) Walking stick
US20210243557A1 (en) A navigation device and a navigation communication system
JP2005223604A (en) Remote controller for electronic apparatus with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CN104594702A (en) Novel tent
CN204143490U (en) Mountain forest scenic spot fire prevention rescue monitoring comprehensive intelligen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