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86Y1 -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86Y1
KR200472686Y1 KR2020130001067U KR20130001067U KR200472686Y1 KR 200472686 Y1 KR200472686 Y1 KR 200472686Y1 KR 2020130001067 U KR2020130001067 U KR 2020130001067U KR 20130001067 U KR20130001067 U KR 20130001067U KR 200472686 Y1 KR200472686 Y1 KR 200472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use
housing
wris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조이
Priority to KR2020130001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음향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하는 쿠션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 컴퓨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컴퓨터와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목이 편안하게 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별도의 음향 장치 없이 음향 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WRIST PROTECTION DEVICE FOR MOUSE WITH 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음향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보드 및 마우스와, 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눈으로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하여 출력하는 컴퓨터 본체와, 컴퓨터 본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기억장치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 설치되는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보조 기억장치 및 음향장치 등은 각각 서로 른 모양을 가지는 커넥터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각의 장치들(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보조 기억장치 및 음향장치)을 컴퓨터 본체에 형성된 포트와 별도로 연결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케이블의 길이는 표준화되어 있어서, 각각의 장치들의 위치가 컴퓨터 본체로부터 일정 범위이상을 벗어나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컴퓨터 본체와 일정 거리 범위 내에서 즉, 거의 고정된 위치에서 각각의 장치들을 사용해야만 하였다.
더불어, 컴퓨터 본체는 각각의 장치들의 설치를 위하여 컴퓨터 책상으로부터 인접하게 설치될 수밖에 없어 책상의 공간을 협소하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되며, 컴퓨터와 연결되는 각각의 장치들이 별도의 다수의 케이블로 연결 설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케이블의 꼬임 현상 등이 발생되거나,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우스와 손목 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10)는 마우스 패드(20)에 거치되고, 상기 마우스 패드(20) 상에서 이동하게 되며,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다 보면, 손목, 팔꿈치 등에 피로가 쌓여 건초염이나 수근관 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마우스(10)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해 손목 보호대(30)가 배치된다.
이러한 손목 보호대(30)는 마우스(10)의 활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지 및 중지의 인대 및 힘줄도 집중적으로 무리하게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손의 저림이나 통증, 마비, 근의 위축, 심지어는 사용불능의 상태에 빠지는 수근관 증후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용한 부재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목 보호대(30)는 책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한정된 책상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손목 보호대(30)는 책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마우스(10) 기동에 따른 손의 위치가 변하면 함께 이동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손목 보호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손목 보호대(30)는 손목 보호대 기능만 제공할 뿐, 컴퓨터와 함께 설치되는 스피커 또는 헤드셋 등의 주변 음향 장치들과 별도로 설치되어 책상 공간의 충분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음향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하는 쿠션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 컴퓨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음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컴퓨터와 연결하는 케이블; 및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인출 방향이 가변되도록 변경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의 출력방향이 일정 방향으로 지향하여 출력되도록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손목 보호 장치는 케이블이 외주연에 권취되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하우징으로부터 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권취되도록 하는 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손목 보호 장치는 하우징의 하부에 다수의 회전 가능한 볼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손목 보호 장치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볼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목이 편안하게 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별도의 음향 장치 없이 음향 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 정리가 용이하여 책상 정리와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이어폰 커넥터를 통해 핸즈프리용 이어폰 또는 마이크가 포함된 헤드셋과 연결하여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우스와 손목 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의 음향 출력부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의 음향 출력부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100)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음향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0)과, 쿠션부(120)와, 음향 출력부(130, 130')와, 제어부(140)와, 리드부(150)와, 케이블(170)과, 릴부(180)와, 볼 동작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우스 패드(200) 또는 책상(테이블) 등에 거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사각 형상의 판 부재로서, 쿠션부(120)와, 음향 출력부(130, 130')와, 제어부(140)와, 리드부(150)와, 케이블(170)과, 릴부(180)와, 볼 동작부(1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에 리드부(150)와, 릴부(18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 1 회전축(160)과 제 2 회전축(161)이 삽입되는 제 1 회전축 지지부(111)와, 제 2 회전축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120)는 하우징(110)의 중앙부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으로 손목이 놓여질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스폰지, 섬유재질, 비닐재질, PE, PVC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 출력부(130, 130')는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컴퓨터, 휴대용 플레이어 등의 음원 재생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사각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스피커가 내재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30)의 일측에는 리드부(150)가 설치되는 절개부(1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이크/이어폰 커넥터(141), 전원 스위치(142), 전원 표시램프(142'), 음량 조절 스위치(143) 및 스토퍼(183)가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5 관통공(132, 133, 133', 134, 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30)는 제 1 음향 몸체부(130a)가 사용자 측으로 배치되는 제 2 음향 몸체부(130b)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음향 몸체부(130a)와 제 2 음향 몸체부(130b) 사이에 단차(h1)를 갖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이 사용자 측으로 지향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131)는 음향 출력부(130)의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도록 절개하여 리드부(150)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공(132, 133, 133', 134)은 각각 마이크 기능이 포함된 이어폰 또는 헤드셋이 연결되는 마이크/이어폰 커넥터(141)와, 전원 온/오프용 전원 스위치(142)와, 전원 온/오프 표시용 전원 표시램프(142')와, 음향 출력부(130, 130')의 출력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143)와, 릴부(180)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183)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컴퓨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130, 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마이크가 포함된 이어폰 또는 마이크가 포함된 헤드셋과 연결하여 음성통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마이크/이어폰 커넥터(141)와, 손목 보호 장치의 음향 출력부(130, 13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온/오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치(142)와, 상기 전원 스위치(142)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램프(142')와, 음향 출력부(130, 130')의 음량 출력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143)와, 상기 음향 출력부(130, 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앰프(144)와, 사용자로부터 음향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드부(150)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케이블(170)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공(15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리드 회전부(152)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부(150)가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리드부(150)는 리드 회전부(152)가 제 1 회전축(160)에 의해 하우징(110)과 음향 출력부(1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부(131)를 통해 상기 리드 회전부(152)가 상기 제 1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부(150)는 제 1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케이블(170)의 인출 방향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가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블(170)은 컴퓨터 또는 음원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가 제어부(140)로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플러그(171)가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 또는 음원 재생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릴부(180)는 케이블(170)이 손목 보호 장치(10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블(170)을 인출하면,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만큼 손목 보호 장치(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손목 보호 장치(1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릴부 몸체(181)와, 스프링 설치홈(181')과, 스프링(182)과, 스토퍼(183)와, 걸림홈(1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릴부 몸체(181)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제 2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우징(110)과 음향 출력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연에는 케이블(170)이 권취되고, 내측에는 복원용 스프링(182)이 안착되도록 스프링 설치홈(18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82)은 판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케이블(170)이 인출되면, 상기 인출된 케이블(170)이 릴부 몸체(181)에 권취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183)는 음향 출력부(130)의 제 5 관통공(135)으로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83')가 릴부 몸체(181)에 형성된 걸림홈(184)과 결합하여 릴부 몸체(181)가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83)가 걸림홈(184)으로부터 분리되면 릴부 몸체(181)가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인출된 케이블(170)이 상기 릴부 몸체(181)의 외주연에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볼 동작부(190)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다수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손목 보호 장치(1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회전 가능한 볼(19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볼 동작부(190)는 사용자가 손목을 손목 보호 장치(100) 상에 거치한 상태에서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라 손의 위치가 변하여도 볼 동작부(190)를 통해 사용자 손의 위치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편안한 상태에서 마우스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케이블(170)의 위치를 하우징(110)의 우측에 구성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10)의 좌측에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목이 편안하게 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고, 마우스 패드(20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 간단히 연결하여 별도의 음향 장치 없이 음향 청취가 가능하고, 음성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손목 보호 장치 110 : 하우징
111 : 제 1 회전축 지지부 112 : 제 2 회전축 지지부
120 : 쿠션부 130 : 음향 출력부
130' : 음향 출력부 130a: 제 1 음향 몸체부
130b : 제 2 음향 몸체부 131 : 절개부
132 : 제 1 관통공 133 : 제 2 관통공
133' : 제 3 관통공 134 : 제 4 관통공
135 : 제 5 관통공 140 : 제어부
141 : 마이크/이어폰 커넥터 142 : 전원 스위치
142' : 전원 표시램프 143 : 음량 조절 스위치
144 : 앰프 145 : 마이크
150 : 리드부 151 : 케이블 관통공
152 : 리드 회전부 160 : 제 1 회전축
161 : 제 2 회전축 170 : 케이블
171 : 플러그 180 : 릴부
181 : 릴부 몸체 181' : 스프링 설치홈
182 : 스프링 183 : 스토퍼
184 : 걸림홈 190 : 볼 동작부
191 : 볼

Claims (5)

  1.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하는 쿠션부(12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130, 130');
    컴퓨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130, 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음향 신호가 제어부(140)로 전송되도록 상기 컴퓨터와 연결하는 케이블(170); 및
    내부에 케이블(170)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170)의 인출 방향이 가변되도록 변경하는 리드부(150)를 포함하는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130, 130')는 음향의 출력방향이 사용자 방향으로 지향하여 출력되도록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보호 장치는 케이블(170)이 외주연에 권취되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17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권취하는 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보호 장치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다수의 회전 가능한 볼(191)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 위치에 따라 손목 보호 장치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볼 동작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KR2020130001067U 2013-02-12 2013-02-12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KR200472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67U KR200472686Y1 (ko) 2013-02-12 2013-02-12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67U KR200472686Y1 (ko) 2013-02-12 2013-02-12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86Y1 true KR200472686Y1 (ko) 2014-05-15

Family

ID=5149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67U KR200472686Y1 (ko) 2013-02-12 2013-02-12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569A1 (en) * 2021-09-08 2023-03-16 Razer (Asia-Pacific) Pte. Ltd. Wrist rest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755B1 (ko) 1999-07-02 2002-05-08 유공현 키보드-폰
KR200283618Y1 (ko) 2002-02-25 2002-07-27 박승희 손목 보호대
KR200349831Y1 (ko) 2004-02-23 2004-05-08 (주)사운드스케이프 음향출력수단을 가진 패드형 마우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755B1 (ko) 1999-07-02 2002-05-08 유공현 키보드-폰
KR200283618Y1 (ko) 2002-02-25 2002-07-27 박승희 손목 보호대
KR200349831Y1 (ko) 2004-02-23 2004-05-08 (주)사운드스케이프 음향출력수단을 가진 패드형 마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569A1 (en) * 2021-09-08 2023-03-16 Razer (Asia-Pacific) Pte. Ltd. Wrist rest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246B2 (en) Headphone device
US10469932B2 (en) Dual mode headphon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US8213668B2 (en) In-ear earphone
US20170318379A1 (en) Multi-function bone conducting headphones
US8365887B2 (en) Retraction apparatus
US20170272852A1 (en) Headphone type acoustic apparatus
US7436973B2 (en) Structure for earphones with multiple sound tracks
EP2320674B1 (en) Ear-muff type headset for two-way communication
US20160219355A1 (en) Headset with pivotal parts
US20060159279A1 (en)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AU2005205632A1 (en) Portable telephone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US6337914B1 (en) Telescopic transducer mounts
US2011031785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20080013120A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
JP2015136021A (ja) 肩乗せ式イヤホン
US20090041288A1 (en) Ear-loop earphone
KR200472686Y1 (ko) 스피커를 갖는 마우스용 손목 보호 장치
KR200468763Y1 (ko)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US20090262490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WO2008152539A1 (en) A cable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managing cables of an audio playback apparatus
JP6881565B2 (ja) ヘッドフォン
US20070091551A1 (en) Computer keyboard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voice via internet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US20070080943A1 (en) Computer mous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voice via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