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19Y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19Y1
KR200472419Y1 KR2020120004679U KR20120004679U KR200472419Y1 KR 200472419 Y1 KR200472419 Y1 KR 200472419Y1 KR 2020120004679 U KR2020120004679 U KR 2020120004679U KR 20120004679 U KR20120004679 U KR 20120004679U KR 200472419 Y1 KR200472419 Y1 KR 200472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hair
auxiliary frame
long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7125U (en
Inventor
한의경
Original Assignee
한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경 filed Critical 한의경
Priority to KR2020120004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19Y1/en
Publication of KR20130007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2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렴한 가격으로 등받이 틸팅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좌판부, 등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등판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면서, 상기 좌판부가 상기 제2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좌판부와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in which the backrest tilting is performed at low cos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including a seat plate part, a back plate part, a first part supporting the seat plate part, and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upled to the back plate part and tilt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art A chair including a movable part connecting the seat plate part and the second part such that the seat plate part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art and the seat plate part is supported by the second part.

Description

의자{Chair}Chair {Chair}

본 고안은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ith improved ease of use.

의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기본적인 다리, 좌판 및 등받이의 구성 외에도 사용처에 따라 목 받침, 팔걸이 등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안마를 위한 전동기구를 비롯하여 평탄하게 변형되는 가변형 의자 등 변형의 예는 무수하다.Chair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to the basic legs, seats and backrests,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neck rests and armrests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deformations such as an electric chair for massage and a variable chair that is flatly deformed.

의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방안 중 하나는 등받이의 틸팅이다. 등받이가 어느 정도 유동하거나 틸팅 가능한 의자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틸팅을 위한 구조는 하기에 첨부된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종류가 다양하다. One way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chair is by tilting the backrest. Chairs that can be moved or tilted to some degree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e structure for this tilting is of a variety such as the prior art documents attached below.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등받이 틸팅이 가능한 의자는 선행특허1과 같이 복잡한 힌지 링크식 구조를 갖는다. 복잡한 링크 구조는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자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의자와 같은 가구 산업은 디자인 측면이 매우 중요한데, 복잡한 링크 구조는 디자인을 좋게 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가림 부재를 요구하는 단점도 있다.The chair capable of tilting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omplicated hinged link structure as in the prior patent. The complicated link structure is not only difficult to manufacture bu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hair. In addition, in the furniture industry such as chairs, the design aspect is very important, and the complicated link structure does not improve the design, which requires a separate cover member.

대한민국 특허 제10-0851949호 (2008.08.06)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51949 (2008.08.06)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314499호 (2003.05.14)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314499 (2003.05.14)

본 고안은 저렴한 가격으로 등받이 틸팅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in which the backrest tilting is performed at low cost.

나아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과제는 이하 설명되는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Furthermore, the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은 실시예로 좌판부, 등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등판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면서, 상기 좌판부가 상기 제2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좌판부와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including a seat plate part, a back plate part, a first part supporting the seat plate part, and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upled to the back plate part and tilt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art A chair including a movable part connecting the seat plate part and the second part such that the seat plate part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art and the seat plate part is supported by the second part.

특히,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굴곡진 강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강관의 굴곡진 부분이 의자 다리의 하단부를 이룰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connected by a curved steel pipe, the curved portion of the steel pipe may form a lower end of the chair leg.

나아가, 상기 가동부는 상기 좌판부의 배면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ovable part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e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2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후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부 및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부분은 좌판부의 아래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원형 단면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movable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through the bracket part and the long hol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slides through the long hole. I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Here,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fram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ransversely from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the bracket portion is rotatably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long hole is formed. May include a contact.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좌판부의 아래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과, 전방을 향하여 상기 보조프레임에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환봉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환봉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frame cross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elow the seat plate portion, and a round bar ring protruding to the auxiliary frame toward the front, wherein the bracket portion is rotatable to the round bar ring. And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and having the long hole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좌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접촉부와 면접하며 슬라이딩하는 블록체가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 of the seat plate portion may be a block body for slidin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또한, 좌우측에 이격 배치되며 서로 대칭되게 만곡되어 의자 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이격된 상기 메인프레임들을 잇도록 전방과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보조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전방에 위치한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는 좌판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등판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좌판부를 연결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각 상기 메인프레임은 하나의 연속된 관봉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부는 하향 굴곡되어 의자 다리를 형성하면서 일단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등판부가 틸팅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부의 틸팅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including a pair of main frames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and symmetrically curved to form a chair leg, and auxiliary frames disposed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o connect the spaced main frames, It may include a seat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a back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a movable portion connect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seat plate portion. In particular, each of the main frame includes one continuous tube,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frame is bent downward to form a chair leg, one end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is possible to tilt the back portion, the movable portion of the main frame It is possible to limit the tilt angle of the rear par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는 복잡한 형상을 갖지 아니하면서도 등받이의 틸팅이 가능하다. 특히 강관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은 의자 다리의 끝단부에서부터 탄성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의자 다리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등받이 부분의 틸팅이 크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is capable of tilting the backrest without having a complicated shape. In particular, the mainframe formed of a steel pipe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tilting of the backrest portion while ensuring the rigidity required for the chair leg by being configured to be elastic rotation from the end of the chair leg.

가동부는 좌판부의 일부 하중이 틸팅이 이루어지는 제2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좌판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부분의 틸팅 거동이 실현되도록 보장하여, 등받이 부분의 틸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The movable part allows the partial load of the seat plate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portion in which the tilting is performed, while ensuring that the tilting behavior of the second part is realized b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slid backwards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ade stable.

나아가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들은 이하 설명되는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Furthermor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채용된 프레임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좌판부와 가동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좌판부와 가동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frame portion employed in the first embodim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t plate portion and a movable portion employed in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rst embodiment;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6.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plate and the movable portion employed in the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 본 고안과 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중복하여 사용된다. 또한 '제1', '제2'의 용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used repeatedly. 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좌판부, 등판부 및 이들과 연결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eat plate part, a back plate part and a frame part connected thereto.

좌판부는 사용자가 앉는 자리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좌판부는 하나의 판으로 제시되는데,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eat plate provides a seating place for the us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seat plate is presented as a single plate, the shape may be variously changed.

등판부는 좌판부에 앉은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부재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등판부는 좌판부와 마친가지로 하나의 판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등판부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등판부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프레임부가 일부 변형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만일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관체나 프레임 등이 판 형상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허리나 등 부분을 지탱하도록 기능한다면, 이는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등판부로 볼 수 있다. The back plate is a member on which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plate can lean on his back.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back plate is presented as a plate just like the seat plate. This backplate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Furthermore, the back part may be omitted by partially deforming the frame part described below. If the tube or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portion is deformed into a plate shape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waist or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this can be regarded as the back plate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부는 의자의 골격을 이루는 부재로, 의자의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좌판부 및 등판부와 결합됨으로써, 좌판부와 등판부를 연결하는 부재이다.The frame part is a member forming the frame of the chair, and provides a leg of the chair. In addition, the frame part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seat plate part and the back plate part by being coupled with the seat plate part and the back plate part.

또 프레임부는 의자 다리를 형성한다. 의자 다리는 제시된 실시예에서 전후에 한 쌍씩 구비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달리 프레임부에 의한 의자 다리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의자 다리는 좌판부의 중앙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단일한 기둥일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디자인적 선택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rame portion also forms a chair leg. Chair legs are provided in pairs before and after in the embodiments shown. However, unlike shown, the chair leg by the frame part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chair leg may be a single colum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portion, and may have a shape modified according to various other design choices.

도 1과 도 2에서 프레임부(3)는 의자(10)의 좌측과 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31)과, 이격된 메인프레임(31)을 잇는 전방과 후방의 보조프레임(32a, 32b)을 포함한다. 이들 메인프레임(31)나 보조프레임(32b)은 사용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로는 일례로 강철이나 다양한 합성수지 등이 있다. In FIG. 1 and FIG. 2, the frame part 3 includes a pair of main frames 31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parts connecting the spaced main frames 31 to each other. Frames 32a and 32b. These main frame 31 or the auxiliary frame 32b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that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user. Such materials include, for example, steel and various synthetic resins.

도 2에는 메인프레임(31)의 형상적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메인프레임(31)은 하나의 강관을 굴곡하여 형성된다. 굴곡진 메인프레임은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에, 대략 영문자 'N'자 형상을 갖는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볼록하게 굴곡된 제1지점(311)과, 후방의 의자 다리를 형성하며 하부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2지점(312)이 형성된다. 제2지점(312)의 오른쪽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1)의 일단부는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된 부분에는 등판부(2)가 결합된다. 2 shows the shape of the mainframe 31. The main frame 31 is formed by bending one steel pipe. The curved mainframe has an approximately 'N'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Based on the drawings, the first point 311 is convexly curved upward, and the second point 312 is formed convexly curved downward to form a chair leg at the rear. One end of the main frame 31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point 312 extends upwardly. The back portion 2 is coupled to this extended portion.

하나의 연속된 강관을 굴곡함으로써 형성되는 의자 다리는 좌판부(1)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갖게 된다. 또한 제2지점(312)에서 상부로 연장된 메인프레임(31)의 일단부는, 마치 외팔보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A chair leg formed by bending one continuous steel pipe has strength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plate portion 1. 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main frame 31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point 312 has a structure like a cantilever beam, as shown by an arrow in FIG. 2, the chair can be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10. do.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3) 중에서 좌판부(1)를 고정하는 전방 부분을 제1부분(3A)이라 하고, 위치가 고정된 좌판부(1)나 제1부분(3A)에 대하여 틸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의 후방 부분을 제2부분(3B)으로 칭한다. Hereinafter, if necessary, the front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3 that fixes the seat plate portion 1 is referred to as a first portion 3A, and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ortion 1 or the first portion 3A whose position is fixed. The rear part of the frame part in which the tilting is made is called 2nd part 3B.

제1부분(3A)과 제2부분(3B)은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굴곡진 강관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first portion 3A and the second portion 3B may be connected to the curved steel pip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일례로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 축에 탄성코일을 장착하여 틸팅되는 제2부분이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을 틸팅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공지된 구성이 전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be hinged, and the second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restored by mounting an elastic coil on the hinge shaft. In addition,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can be dedicated which make it possible to tilt the second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제1부분(3A)과 제2부분(3B)이 굴곡진 강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강관의 굴곡진 부분이 의자 다리의 하단부를 이루게 구성하는 경우에, 의자 다리를 구성하면서 동시에 강관의 재질이 갖는 자체 탄성을 크게 이용할 수 있어 틸팅 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ortion 3A and the second portion 3B are connected by a curved steel pipe,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steel pipe constitutes the lower end of the chair leg, the chair leg is constituted. At the same time, the self-elasticity of the material of the steel pipe can be greatly used, thereby increasing the tilting angle.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보조프레임(32a, 32b)은 좌측의 메인프레임(31)과 우측의 메인프레임(31)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보조프레임(32a, 32b)은 대략 의자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관이다. 1 again, the auxiliary frames 32a and 32b are members that physically connect the main frame 31 on the left side and the main frame 31 on the right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auxiliary frames 32a and 32b are steel pip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hair.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프레임(32a)은 메인프레임들의 제1지점들을 서로 연결한다. 이 보조프레임(32a)은 좌판부(1)에 결합되어 좌판부(1)의 하중을 직접 지지한다. The auxiliary frame 32a located at the front connects the first points of the main frames to each other. The auxiliary frame 32a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portion 1 to directly support the load of the seat plate portion 1.

전방에 위치한 보조프레임(32a)에 대한 좌판부(1)의 고정은 도시된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전방의 보조프레임에 좌판부를 고정하는 수단은 나사 결합 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xing of the seat plate part 1 to the auxiliary frame 32a located at the front is made of the screw coupling shown. Furthermore, the means for fixing the seat plate to the front auxiliary frame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o the screw coupling.

나아가 전방의 보조프레임(32a)은 후방을 항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로써 좌판부(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중심, 즉 좌판부의 중앙 가까이에 보조프레임(32a)이 위치되고, 좌판부(1)의 하중 대부분을 전방의 보조프레임(32a)이 지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front auxiliary frame 32a is curved along the rear side. As a result, the auxiliary frame 32a is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eat plate portion 1, that is,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portion, and the front auxiliary frame 32a can support most of the load of the seat plate portion 1. .

좌판부(1)는 제2부분(3B)과도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판부(1)는 제2부분(3B)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에 연결되지만, 전방의 보조프레임(32a)과 달리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에 좌판부(1)가 완전히 위치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at plate portion 1 is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3B.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at plate portion 1 is connected to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 portion 3B, but unlike the front auxiliary frame 32a, the rear auxiliary frame ( The seat plate part 1 is not completely fixed to 32b).

만일 좌판부가 전방의 보조프레임뿐만 아니라 후방의 보조프레임에까지 완전히 고정된다면, 전술한 제2지점을 축으로하는 메인프레임 일단부의 틸팅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 진다.If the seat plate is completely fixed not only to the front auxiliary frame but also to the rear auxiliary frame, the tilting of one end of the main frame about the second point described above becomes structurally impossible.

본 고안에서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제2부분)과 좌판부(1)의 가변적인 연결은 가동부(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connection between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second part) and the seat plate part 1 is made by the movable part 4.

가동부(4)는 좌판부(1)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면서, 좌판부(1)가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에 지지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가동부(4)는 변위되는 범위가 한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등판부의 틸팅 가능한 각도를 한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movable part 4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art 1, while allowing the seat plate part 1 to be supported by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In addition, the movable part 4 may have a function of defining a tiltable angle of the back part by being configured to limit the range of displacement.

가동부(4)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가동부(4)는 좌판부(1)의 배면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동부(4)의 일단부는 제2부분(3B)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Looking 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movable portion 4, the movable portion 4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portion 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as to be displaceable, and one end of the movable portion 4 is up and down on the second portion 3B. Rotatably coupled in a direction.

여기서 가동부가 좌판부의 배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된다는 점은, 후술되는 슬라이딩 이동뿐만 아니라 링크 구조물 등을 포함하여, 좌우 방향의 이동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Here, the fact that the movable part is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por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luding the link structure as well as the sliding movement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들에서는 가동부(4)가 좌판부(1)의 배면에서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변위된다. 즉, 제2부분(3B)이 틸팅하여 의자의 후방으로 젖혀질 때, 위치가 고정되는 좌판부에 대하여 가동부(4)가 변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movable part 4 is displaced by sli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at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plate part 1. That is, when the second portion 3B is tilted and flipped to the rear of the chair, the movable portion 4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ortion at which the position is fixed.

등판부(2)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제2부분(3B)이 틸팅하는 경우, 제2부분(3B)에 연결된 가동부(4)가 수평면 상에서 후퇴만하는 것이 아니라, 후퇴와 함께 높이가 다소 낮아지는데, 가동부가 제2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이러한 제2부분의 틸팅에 의하더라도 가동부는 여전히 좌판부에 접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cond part 3B is tilted so that the back part 2 is flipped backward, the movable part 4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3B does not only retreat on the horizontal plane, but the height decreases slightly with retreat. As the movable part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econd part, even when the second part is tilted, the movable part can move backward while contacting the seat plate part.

가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나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par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부(4)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part 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제1실시예에서 가동부(4)는 제2부분(3B)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후 방향으로 장공(411a)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부(41)와, 브래킷부(41)의 장공(411a)을 통과하여 좌판부(1)에 결합되며 장공(411a)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한 체결부(43)를 포함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vable portion 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3B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racket portion 41 and the bracket portion 41 having the long hole 411a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411a)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portion 1 and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43 that can slide on the long hole (411a).

도면들에서 좌판부(1)의 배면에는 브래킷부(41)의 상면에 접하는 돌출부(11)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1)는 좌판부(1)의 성형 시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에는 체결부(43)가 결합되는 결합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drawings, a protrusion 11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ortion 41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plate portion 1. These protrusions 11 may be formed together at the time of molding the seat plate portion 1. The protrusion 11 has a coupling hole 111 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43 is coupled.

돌출부(11)는 좌판부의 수평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 길이는 브래킷부(41)의 두께나 브래킷부(41)가 결합되는 제2부분(3B)의 어떤 부재(제1 실시예에서는 보조프레임(32b))의 설치 높낮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보조프레임의 적정한 경우에 돌출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11 is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degree of the seat plate, and the protruding length is a member of the second portion 3B to which the bracket portion 41 is attached or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portion 4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frame). (32b))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projection may be omitted in the appropriate case of the auxiliary frame.

브래킷부(41)는 돌출부(11)와 면접하면서 제2부분(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이다. 브래킷부(41)는 돌출부(11)와 면접하면서 슬라이딩되는 접촉부(411)와, 접촉부(4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부분(3B)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부(412)를 포함한다. The bracket portion 41 is a connec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3B while in interview with the protrusion 11. The bracket portion 41 includes a contact portion 411 sliding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1 and a rotating portion 412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411 and hinged to the second portion 3B.

제1실시예에서 브래킷부(41)는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에 연결된다. 브래킷부(41)의 회전부(412)는 상기 보조프레임(32b)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의 클립으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412)와 브래킷부(41)의 결합은 클립의 탄성 변형에 의해 물림 결합되거나, 기타 다양한 힌지 결합 방식이 전용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bracket part 41 is connected to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The rotating part 412 of the bracket part 41 is shown by the clip of the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auxiliary frame 32b. The combination of the rotating part 412 and the bracket part 41 may be bite-coupl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clip, or various other hinge coupling methods may be dedicated.

돌출부(11)와 면접하는 접촉부(411)에는 의자의 전후 방향에 따른 장공(411a)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ng hole 411a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a chair is formed in the contact part 411 which interviews the protrusion part 11.

한편 체결부(43)는 장공(411a)을 통과하여 돌출부(11)의 결합홀(111)에 결합되는 볼트이다. 볼트의 헤드는 장공(411a)보다 큰 것으로 돌출부(11)와 브래킷부(41)의 분리를 방지한다.Meanwhile, the fastening part 43 is a bolt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1 of the protrusion part 11 through the long hole 411a. The head of the bolt is larger than the long hole 411a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rotrusion 11 and the bracket 41.

체결부(43)는 볼트 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돌출부에 결합홀을 대신하여 원통 기둥이 돌출되고, 이 원통 기둥이 장공을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돌출부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홈을 형성하고, 접촉부의 상면에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브래킷부가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시한 구성 외에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좌판부에 대하여 브래킷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43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o the bolt. Although not shown, the cylindrical pillar may protrude in place of the coupling hole in the protrusion, and the cylindrical pillar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long hole. As another example, a sliding gro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 and the bracket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o slide the bracke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in various ways.

도 4와 도 5에는 조립이 완료된 의자와 가동부 주변이 도시되어 있다. 4 and 5 show the assembly of the chair and the movable part completed.

좌판부는 제1지점(311) 부근에서 전방의 보조프레임(32a)에 고정되어 있다. 제2지점(312)에서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메인프레임(31)의 일단부와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으로 구성되어진 제2부분(3B)은 틸팅되기 전의 상태이다. The seat plate is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32a in front of the first point 311. The second portion 3B, which is composed of one end of the main frame 3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econd point 312 and the auxiliary frame 32b at the rear, is in a state before being tilted.

의자(1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의 대부분은 좌판부를 통해 제1부분(3A)에 의해 지지된다. Most of the load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 is supported by the first portion 3A through the seat plate portion.

좌판부(1)의 일부 하중은 제2부분(3B)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 5를 살펴보면, 좌판부(1)의 후단부는 보조프레임(32b)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11)는 브래킷부(41)의 접촉부(411)와 면접한 상태가 유지되고, 좌판부(1)에 작용하는 일부의 하중이 브래킷부(41)를 통해 보조프레임(32b)으로 전달된다. Partial load of the seat plate portion 1 is supported by the second portion 3B. Referring to FIG. 5 in which the portion A of FIG. 4 is enlarged, the rear end of the seat plate portion 1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32b. The protruding portion 11 remain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11 of the bracket portion 41, and a part of the load acting on the seat plate portion 1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frame 32b through the bracket portion 41. .

또한 체결부(43)는 브래킷부(41)의 장공 뒤쪽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astening part 43 is located behind the long hole of the bracket part 41.

도 6과 도 7은 등판부(2)의 틸팅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사용자가 등판부(2)를 밀어 뒤로 밀면, 메인프레임(31)은 제2지점(312) 주변을 기점으로 탄성 변형된다. 사용자가 자세를 고쳐 허리를 세워 등판부를 누르지 않게 되면, 메인프레임(31)은 자체 탄성에 의해 도 4와 같이 원상으로 복원된다.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2 is tilted. When the user pushes the back plate 2 back, the main frame 31 is elastically deformed around the second point 312.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ack portion by fixing the posture, the main frame 3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s shown in FIG. 4 by its elasticity.

도 7에는 틸팅된 상태에서 가동부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7 shows the movable part in detail in a tilted state.

좌판부(1)는 제1부분(3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가 고정적이다. 제2부분(3B)은 제2지점(312)인 의자의 뒷다리 하단부를 축으로 탄성 회전하기 때문에, 좌판부(1)에 상대적으로 보조프레임(32b)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다소간 하강된 상태가 된다. Since the seat plate portion 1 is fixed to the first portion 3A, the position is fixed. Since the second portion 3B elastically rotates the lower end of the rear leg of the chair, which is the second point 312, the auxiliary frame 32b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relative to the seat plate portion 1 and is somewhat lowered. Becomes

이때 브래킷부(41)는 회전부(412)에서 다소간 회전되어, 여전히 돌출부(11)와 면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11)에 대하여 브래킷부(41)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bracket portion 41 is rotated somewhat in the rotating portion 412, it is still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iew with the protrusion (11). In addition, the bracket part 41 is in the state which slid back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part 11. As shown in FIG.

또 체결부(43)는 장공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체결부(43)가 장공(411a)의 선단부에 이르는 경우, 제2부분(3B)의 틸팅 각도가 최대가 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43 is moved forward in the long hol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astening portion 43 reaches the tip of the long hole 411a, the tilting angle of the second portion 3B becomes maximum.

이와 같이 장공(411a)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제2부분(3B)의 틸팅 가능한 각도를 한정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ong hole (411a)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tiltable angle of the second portion (3B).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이다. 8 and 9 are view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부(1), 등판부(2) 및 프레임부(3)를 포함한다. 더하여 좌판부(1)와 프레임부(3)를 연결하는 가동부(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과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late part 1, a back plate part 2, and a frame part 3. In addition, it includes a movable part 4 for connecting the seat plate portion 1 and the frame portion 3.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may be included as i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제2 실시예에서 좌판부(1)의 배면은 평탄하게 제작된 것이고, 별도로 제작된 블록체(44)가 좌판부(1)의 배면에 결합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plate portion 1 is made flat, and a separately manufactured block body 44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plate portion 1.

블록체를 별도로 제작함으로써, 두께를 달리하는 복수의 블록체들을 준비하여 적정한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블록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블록체를 선택하는 경우에 좌판부의 후방측을 전방측보다 조금 낮게 하는 등 미세한 좌판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프레임부를 구성하더라도 해당 프레임부에 따라 두께를 달리는 블록체 중에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좌판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By separately manufacturing a block body, a plurality of block bodi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prepared, and any one block body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an appropriate ne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electing a thin block body, the height of the fine seat plate can be adjusted by lowering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slightly lower than the front side. In addition, even if the frame portion is configur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seat plate portion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block bodi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rame portion.

블록체(44)와 좌판부(1)의 결합은 도시된 나사못으로 이루어지거나, 접착제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나사못을 사용하는 경우에 블록체(44)의 하면의 평탄성을 해치지 아니하도록 나사못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Coupling of the block body 44 and the seat plate portion 1 may be made of the illustrated screw, or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an adhesive may be appli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screw,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crew head so as not to protrude so as not to impair the flat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44.

나아가 이러한 블록체(44)는 브래킷부의 두께나 브래킷부가 제2부분에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 Furthermore, such a block 44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omitt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bracket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또한 블록체(44)에는 체결부와 결합되는 너트(N)가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43)가 통과하는 블록체(44)의 결합홀의 주변부에는 나사가 매립되는 비원형 단면의 너트홀(441)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N)는 체결부(43)를 구성하고 있는 볼트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체결부의 구성이 더욱 견고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nut 44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lock 44. To this end, a nut hole 441 having a non-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a screw is embedded is formed in a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of the block body 44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ortion 43 passes. As the nut N is screwed with the bolt constituting the fastening portion 43,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is more secure.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 중 하나는 브래킷부(41)의 회전부가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이 보조프레임(32b)에 결합된 환봉고리(321)에 결합되는 점이다. One of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rotating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41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but is coupled to the round bar ring 321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32b. to be.

환봉고리(321)는 보조프레임(32b)에서 의자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연결되며, 원통 막대를 적당히 절곡한 형태이다.Round bar ring 321 is connect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hair in the auxiliary frame (32b), the cylindrical rod is a form bent properly.

환봉고리(321)는 속이 채워진 금속막대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은 단면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큰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ound bar 321 may be a metal rod fill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rigidity can be obtained despite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브래킷부(41)의 회전부(412)는 환봉고리(3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회전부(41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클립 형상이다. 환봉고리(321)의 외경을 보조프레임(32b)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412)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좌판부(1)의 배면으로부터 가동부(4)의 전체 돌출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의자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The rotating part 412 of the bracket part 41 is compris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und bar ring 321 may be comprised, The rotating part 412 is a clip shape like 1st Embodiment.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round bar ring 321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auxiliary frame 32b, the rotation part 412 can be made small. Thereby, the overall protruding length of the movable part 4 from the back of the seat plate part 1 can be reduced, thereby advantageously stacking and storing 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chairs.

도 9를 참고하면, 환봉고리(321)가 보조프레임(32b)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브래킷부(41)의 회전 축이 제1 실시예보다 전방으로 이동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등판부(2)가 최대로 틸팅하더라도 브래킷부(41)의 회전 축이 여전히 좌판부(1)의 수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틸팅된 상태에서도 후방의 보조프레임(32b)을 통한 하중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ring bar 321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auxiliary frame 32b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bracket part 41 is moved forward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advantageous to configure the rotation axis of the bracket portion 41 is still locat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seat plate portion 1 even if the back plate portion 2 tilts to the maximum, and through the rear auxiliary frame 32b in the tilted state.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the support of the load stable.

이러한 본 고안은 복잡한 링크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등받이 부분의 틸팅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좌판의 지지가 안정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a complicated link, but the tilting of the back portion is mad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ase of use while being inexpensive by maintaining the support of the seat plate stable.

10 : 의자
1 : 좌판부
11 : 돌출부 111 : 결합홀
2 : 등판부
3 : 프레임부
3A ; 제1부분 3B ; 제2부분
31 : 메인프레임 311 : 제1지점 312 : 제2지점
32a, 32b : 보조프레임 321 : 환봉고리
4 : 가동부
41 : 브래킷부 411 : 접촉부 411a : 장공
412 : 회전부 43 : 체결부 44 : 블록체
441 : 너트홀 N : 너트
10: chair
1: the seat plate
11: protrusion 111: coupling hole
2: back part
3: frame part
3A; First portion 3B; 2nd part
31: main frame 311: first point 312: second point
32a, 32b: auxiliary frame 321: round bar hook
4: movable part
41: bracket portion 411: contact portion 411a: long hole
412: rotating portion 43: fastening portion 44: block body
441: nut hole N: nut

Claims (8)

좌판부;
등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등판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면서, 상기 좌판부가 상기 제2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좌판부와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2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후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부; 및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자.
Seat plate part;
Back plate;
A frame portion including a first portion supporting the seat plate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coupled to the back plate portion and tilt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ortion; And
And a movable part which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part and connects the seat plate part and the second part such that the seat plate part is supported by the second part.

The movable part
A bracke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long hole form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nd a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seat plate through the long hole and slidable through the long hole.
제1항에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굴곡진 강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강관의 굴곡진 부분이 의자 다리의 하단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In claim 1,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urved steel pipe, the curved portion of th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le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2부분은 좌판부의 아래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원형 단면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의자.
In claim 1,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fram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ransverse from side to side under the seat plate portion,
The bracket part includes a rotating part rotatab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and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the long hole is formed.
제1항에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좌판부의 아래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과,
전방을 향하여 상기 보조프레임에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환봉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환봉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의자.
In claim 1,
The second part
An auxiliary frame cross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elow the seat plate,
It includes a round bar ring protruding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toward the front,
The bracket part includes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round bar ring, and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in which the long hole is formed.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좌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접촉부와 면접하며 슬라이딩하는 블록체가 돌출되어 있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 chair having a protruding block bod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n a rear surface of the seat plate.
삭제delete
KR2020120004679U 2012-06-04 2012-06-04 Chair KR2004724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79U KR200472419Y1 (en) 2012-06-04 2012-06-04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79U KR200472419Y1 (en) 2012-06-04 2012-06-04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25U KR20130007125U (en) 2013-12-12
KR200472419Y1 true KR200472419Y1 (en) 2014-04-25

Family

ID=5148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79U KR200472419Y1 (en) 2012-06-04 2012-06-04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1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7493B (en) 2016-12-16 2019-03-1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KR200490870Y1 (en) * 2017-12-27 2020-01-15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Low Height Convenience Chair
KR200494995Y1 (en) * 2019-12-20 2022-02-09 장정기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ame for chair 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99Y1 (en)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The chair with the back being adjustble of its postion on the bias
KR200424912Y1 (en) 2006-03-24 2006-08-29 전달용 Chair including a seat and a supporter for lumbar which is independantly movable with supporter for back
US20070284931A1 (en) * 2006-06-08 2007-12-13 Buchbinder Michael C Seat frames having appearance of one-piece construction and seat frames having a back support design derived from the frame
KR100966112B1 (en) * 2010-03-16 2010-06-28 주식회사 시디즈 A tilting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99Y1 (en)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The chair with the back being adjustble of its postion on the bias
KR200424912Y1 (en) 2006-03-24 2006-08-29 전달용 Chair including a seat and a supporter for lumbar which is independantly movable with supporter for back
US20070284931A1 (en) * 2006-06-08 2007-12-13 Buchbinder Michael C Seat frames having appearance of one-piece construction and seat frames having a back support design derived from the frame
KR100966112B1 (en) * 2010-03-16 2010-06-28 주식회사 시디즈 A tilting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25U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688B2 (en) Chair
EP2580993A1 (en) Chair
US9550440B2 (en) Conveyance seat
US20120217777A1 (en) Sitting Arrangement
KR200472419Y1 (en) Chair
CN109310208B (en) Chair (Ref. TM. chair)
JP4919376B2 (en) Chair with backrest
KR200472420Y1 (en) Springy Connecter and the chair having it
JP6172988B2 (en) Chair
JP4950486B2 (en) Chair
JP2006239079A (en) Chair
JP2013000446A (en) Chair
KR101074490B1 (en) Chair
US8672405B2 (en) Sitting arrangement
KR101387982B1 (en) Titling member for a chair and the chair having it
JP4805246B2 (en) Upholstered chair
JP6078290B2 (en) Chair
KR102032781B1 (en) Reclining chair
JP6695219B2 (en) Chair load support member and chair
JP6742163B2 (en) Seat and chair
JP4792233B2 (en) Chair
JP7260949B2 (en) Chair
JP5616134B2 (en) Chair
JP6758933B2 (en) Load support for chairs and chairs
JP4547019B2 (en) Seat front / rear sliding device in a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