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11Y1 -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11Y1
KR200472411Y1 KR2020120004752U KR20120004752U KR200472411Y1 KR 200472411 Y1 KR200472411 Y1 KR 200472411Y1 KR 2020120004752 U KR2020120004752 U KR 2020120004752U KR 20120004752 U KR20120004752 U KR 20120004752U KR 200472411 Y1 KR200472411 Y1 KR 200472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fluid
water
hopper memb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7164U (en
Inventor
장남진
Original Assignee
장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진 filed Critical 장남진
Priority to KR2020120004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11Y1/en
Publication of KR20130007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1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천정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하방에 위치되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유체의 수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지며, 유체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호퍼부재와, 상기 호퍼부재 내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복수개의 구멍인 메쉬관통공이 형성된 메쉬부재와, 상기 호퍼부재의 하단과 연통되어 상기 호퍼부재 내로 이동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이송관과, 상기 천정부재와 호퍼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호퍼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와 호퍼부재가 수면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재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며, 끝단은 상기 호퍼부재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호퍼부재의 원주를 따라 상기 호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연못이나 수질을 정화하는 정수장이나 인공 관상 호수나 분수 등에 설치되어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물의 순환통로를 막음으로서 발생하는 물 순환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력에 의해서 물의 표면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태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purification device, the configuration is a ceiling member having an internal space, located below the ceiling member, having a funnel shape, the upper surface is plac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rface of the fluid, A hopper member capable of moving downward, a mesh member positioned below the hopper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mesh through-holes formed therein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assing therethrough, and a fluid moving into the hopper member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end of the hopper member Is coupled to the fluid transfer pipe passing through, the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ceiling member and the hopper member, the motor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member,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hopper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ir includes the ceiling member and the hopper member. It is rotated by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and the motor to provide buoyancy to rise to the surface, the e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top of the hopper member, the rotary rod rotates along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pper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for purification of a pond or water, an artificial tubular lake, a fountain, etc., to remove bubbles floating on the surface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fallen leaves block the circulation passage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 of the water circulation, an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buoyancy,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moved freely, and the energy can be generated using solar power, thereby reducing the use of electric energy. There is.

Description

유체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Fluid Purifier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본 고안은 유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못이나 수질을 정화하는 정수장이나 인공 관상 호수나 분수 등에 설치되어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는 거품과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물의 순환통로를 막음으로서 발생하는 물 순환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력에 의해서 물의 표면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태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유체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 artificial tubular lake or a fountain for purifying a pond or water quality, and removes bubbles and floating matters from the surface of water. By stopping the circulation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page of the water circulation, and because it can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ue to buoyancy,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freely moved and the energy can be generated using solar pow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purifier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fluids.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수질의 정화를 위한 정수조나 인공 관상 호수 등의 물은 계속적인 순환을 하여야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general, water such as water purification tanks or artificial tubular lakes for the purification of ponds or water quality must be continuously circulated to prevent water contamination.

이렇게 물의 순환을 위하여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낮은 곳의 물은 계속하여 이동하다가 펌프를 이용하여 높은 곳으로 끌어서 올렸다가 이를 낙차시키는 방식으로 물의 계속적인 순환을 꾀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The pump is often used to circulate water. In other words, the water in the low place continues to move, the pump is drawn to the high place by using a pump to raise the drop, and in most of the way to the continuous circulation of water.

이는 특지 인공 관상 정원 연못이나 인공 관상 호수나 분수 등에서 많이 찾아 볼 수가 있다. This can be found in special artificial ornamental garden ponds, artificial ornamental lakes and fountains.

그런데,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낙차시킬 때에는 필연적으로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when water is dropped using a pump, bubbles are inevitably generated.

또한, 여름에 기온이 많이 올라갈 때 물 속의 여러 가지 변화 등으로 인해서 거품이나 부유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a lot in the summer, bubbles or floats are often generated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water.

이렇게 거품이 많이 수면 위를 부유하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의 표면수의 순환을 방해하여 물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인공 연못이나 인공 호수 등의 물이 깨끗하게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f a lot of bubble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s not aesthetically good, but also interferes with the circulation of the surface water of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s not maintained properly, such as artificial pond or artificial lake can not be kept clean.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거품이나 부유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으나, 그 설치 위치가 고정적이어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is, a device has been devised to remove bubbles or float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ut its installation location is fix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또한, 낙엽이나 이물질 등이 수면 위로 떨어져서 수면 위를 부유하게 되면, 이로 말미암아 거품이나 부유물의 제거가 방해를 받아 낙엽이나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하지 않으면 거품의 제거에 효율성을 올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f the fallen leaves and foreign matters fall on the surface of the water floating on the surface,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the removal of bubbles or foreign matter is not hinde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removing the bubbles without frequent removal of the leaves or foreign matter.

또한, 종래의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에서는 상기 낙엽이나 이물질이 거품를 제거하는 장치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어서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fallen leaves and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us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못이나 수질을 정화하는 정수장이나 인공 관상 호수 등에 설치되어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는 거품이나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물의 순환통로를 막음으로서 발생하는 물 순환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력에 의해서 물의 표면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태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체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be install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or artificial tubular lake to purify the pond or water quality, to remove the floating bubbles or floating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such as fallen lea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 of the water circulation generated by blocking foreign matter's circulation passage, and because it can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buoyancy, it can move its installation position freely and generate energy using solar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id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use of electrical energ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천정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하방에 위치되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유체의 수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지며, 유체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호퍼부재와, 상기 호퍼부재 내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복수개의 구멍인 메쉬관통공이 형성된 메쉬부재와, 상기 호퍼부재의 하단과 연통되어 상기 호퍼부재 내로 이동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이송관과, 상기 천정부재와 호퍼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호퍼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와 호퍼부재가 수면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재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며, 끝단은 상기 호퍼부재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호퍼부재의 원주를 따라 상기 호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eiling member having an internal space,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member, has a funnel shape, the upper surface is plac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fluid And a hopper member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downward, a mesh member positioned below the hopper member, and a mesh through-ho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assing therethrough, and the hopper member communicating with a lower end of the hopper member. A fluid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moved into the passage, a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ceiling member and the hopper member, a motor position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member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t is coupled to the member, and positione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hopper member, the interior contains air to the ceiling The member and the hopper is rotated by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and the motor to provide buoyancy to rise to the surface, the e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hopper member,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pper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rod member to rotate alo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의 상기 호퍼부재의 상단 테두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호퍼부재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결무늬를 가지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member of the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repeatedly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ve a wavy patter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to the hopper member. It is do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의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는 태양력을 집광하여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태양집광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member of the flui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which is capable of delivering energy to the motor by concentrating solar power to generate energ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의 상기 부력제공부재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부표와, 상기 메인부표의 하방으로 상기 메인부표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서버부표로 구비되어, 상기 서버부표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호퍼부재의 수면 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of the flui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uoy with a relatively large size, and coupled to the main buoy extending downwards below the main buo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a plurality of server buoys fitted to the coupling rod, an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rver buoys, the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can be adjusted.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에 의하면, 연못이나 수질을 정화하는 정수조나 인공 관상 호수 등에 설치되어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물의 순환통로를 막음으로서 발생하는 물 순환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력에 의해서 물의 표면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태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lui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in a water purification tank or an artificial tubular lake to purify the water quality, and removes the bubble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water generated by blocking foreign matters such as fallen leaves blocking the water circulation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 of circulation an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buoyancy,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moved freely, and the energy can be generated by using solar power, thereby reducing the use of electric energy. .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체 정화장치의 호퍼부재의 테두리 부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pur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edge portion of the hopper member of the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체 정화장치의 호퍼부재의 테두리 부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1 to 3 show a fluid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of the fluid pur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ure 3 show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rim portion of the hopper member of the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100)는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와, 메쉬부재(30)와, 유체이송관(40)과, 연결부재(50)와, 모터(60)와, 부력제공부재(70)와, 회전봉부재(80)와, 태양집광판(9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iling member 10, the hopper member 20, the mesh member 30, the fluid transfer pipe 40, The connecting member 50, the motor 60,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the rotating rod member 80, and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90 are included.

상기 천정부재(1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The ceiling member 10 has an inner space.

상기 호퍼부재(20)는 상기 천정부재(10)의 하방에 위치되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유체의 수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며, 유체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hopper member 20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member 10, has a funnel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fluid, and the fluid can move downward.

또한,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 테두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호퍼부재(2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결무늬를 가지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부(22)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member 20, the bent portion 22 is repeatedly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ve a wavy patter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to the hopper member 20.

그리고,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측면에는 관통된 구멍인 유체통과공(95)이 더 구비된다. Further, a fluid through hole 95, which is a through hole, is further provided at a side surfa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hopper member 20.

상기 메쉬부재(30)는 상기 호퍼부재(20) 내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복수개의 구멍인 메쉬관통공(32)이 형성된 것이다. The mesh member 30 is located below the hopper member 20 and has a plurality of mesh through holes 32 formed therein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assing therethrough.

상기 유체이송관(40)은 상기 호퍼부재(20)의 하단과 연통되어 상기 호퍼부재(20) 내로 이동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것이다. The fluid transfer pipe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hopper member 20 is to pass the fluid moved into the hopper member 20.

통상적으로 상기 유체이송관(40)은 펌프와 연결되어 물의 순환을 이루는 것이다. Typically, the fluid transfer pipe 40 is connected to the pump to form a water circulation.

상기 유체이송관(40)에는 펌프(91)와 센서부(9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uid transfer pipe 4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ump 91 and a sensor unit 92.

상기 센서부(92)는 상기 유체이송관(40) 내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유체이송관(40) 내에 물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펌프(91)를 가동하는 것이다. The sensor unit 92 detects the level of water in the fluid transfer pipe 40 and detects the water level to some extent in the fluid transfer pipe 40 to operate the pump 91.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The connecting member 50 has a pipe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ceiling member 10 and the hopper member 20.

상기 모터(60)는 상기 천정부재(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50)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이다. The motor 60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member 10 and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member 50.

상기 부력제공부재(70)는 상기 연결부재(50)와 결합되며, 상기 호퍼부재(2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가 수면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5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pper member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is contained therein the ceiling member 10 and the hopper member ( 20) to provide buoyancy to rise to the surfa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력제공부재(70)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부표(72)와, 상기 메인부표(72)의 하방으로 상기 메인부표(72)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50)와 결합되는 결합봉(74)과, 상기 결합봉(74)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서버부표(76)로 구비되어, 상기 서버부표(76)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호퍼부재(20)의 수면 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the main buoy 72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coupled to the main buoy 72 below the main buoy 72 extends downward, the connection A coupling rod 74 coupled to the member 50 and a plurality of server buoys 76 fitted to the coupling rod 74 are provided, and the hopper member 2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rver buoys 76. The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can be adjusted.

상기 회전봉부재(80)는 상기 모터(60)에 의해서 회전되며, 끝단은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호퍼부재(20)의 원주를 따라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The rotating rod member 80 is rotated by the motor 60, the e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hopper member 20, the hopper member 20 of the circumference of the hopper member 20 To rotate along the rim.

또한, 상기 회전봉부재(80)에서 상기 호퍼부재(20)와 마주보는 부위에는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솔로 구비되는 브러쉬(9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rush 9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rotary rod member 80 facing the hopper member 20 to further remove foreign substances.

상기 태양집광판(90)은 상기 천정부재(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태양력을 집광하여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60)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90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eiling member 10, and collects solar power to generate energy to transfer energy to the motor 60.

상기 태양집광판(90)은 통상적인 구조의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olar panel 90 has a conventional structu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정화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상기 호퍼부재(20)를 수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유체통과공(95)을 통하여 물이 진입되어 상기 호퍼부재(20)는 서서히 물에 가라앉게 되며, 또한 상기 부력제공부재(70)에 의해서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은 수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되는 것이다. First, when the hopper member 20 is placed on the water surface, water enters through the fluid passage hole 95 so that the hopper member 20 gradually sinks in water, and also by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The upper end of the hopper member 20 is to b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rface.

다시 말해서 상기 부력제공부재(70)의 상기 서버부표(76)가 상기 결합봉(74)에 끼워지는 개수를 조정하여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의 수직방향의 중간 지점에 수면이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In other words,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rver buoy 76 of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is fitted to the coupling rod 74 so that the water surface is located at the midpoint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20 do.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22)가 연속적으로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의 수직방향으로의 중앙 지점에 수면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bent portion 22 is to ensure that the water surface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20 formed in a continuous zigzag shape.

따라서, 호퍼부재(20)의 굴곡부(22) 중에서 수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굴곡부(22)에 의해서 상기 수면의 물이 상기 호퍼부재(2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water of the water surface may flow into the hopper member 20 by the bent portion 22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among the bent portions 22 of the hopper member 20.

따라서, 수면에 부유하는 거품 등은 상기 호퍼부재(20) 내부로 이동되면서 제거되고, 이물질은 상기 메쉬관통공(32)에 의해서 걸려져서 상기 메쉬부재(30)의 상면에 위치된다. Accordingly, bubble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re removed while being moved into the hopper member 20, and foreign matter is caught by the mesh through hole 32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member 30.

이렇게 상기 메쉬부재(30)의 상면에 쌓이는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Thus, foreign matter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member 30 may be removed periodically.

따라서, 거품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없는 물만 상기 메쉬부재(30)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이송관(40)으로 유동되고 별도의 펌프 등에 의해서 재순환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only water without bubbles and foreign substances is passed through the mesh member 30 to the fluid transfer pipe 40 and can be recycled by a separate pump or the like.

즉, 상기 유체이송관(40)에 물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채워지면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유체이송관(40) 내에 채워진 물을 이송시키면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fluid transfer pipe 40 is filled with water above a certain level, the pump is operated to transfer the water filled in the fluid transfer pipe 40.

이를 위해서 상기 유체이송관(40) 내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펌프(91)를 가동시키는 센서부(9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이미 설명하였다. To this end,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nsor unit 92 for operating the pump 91 by detecting a level of water in the fluid transfer pipe 40 and sending a corresponding signal.

한편, 물의 흐름에 따라 낙엽이나 부유물이 흘러서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가 물결무늬 형상을 가지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굴곡부(22)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낙엽은 상기 굴곡부(22)에 걸려서 상기 호퍼부재(20) 내부로 진입될 수 없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fallen leaves or floats may be located near the edge of the hopper member 20. However, since the bent portion 22 is repeatedly formed in a zigzag shape so that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20 has a wavy pattern, fallen leave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ent portion 22 are formed in the bent portion 22. It will not be able to enter the hopper member 20 inside.

그리고 상기 모터(6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봉부재(80)에 의해서 상기 낙엽 등은 더욱 상기 호퍼부재(2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없고 상기 호퍼부재(20)와 이격된 곳으로 표류하게 되는 것이다. And the fallen leaves, etc. by the rotary rod member 80 is rotated by the motor 60 can not enter the hopper member 20 more than the drift to the spaced apart from the hopper member 20. will be.

또한, 상기 회전봉부재(80)에서 상기 호퍼부재(20)와 마주보는 부위에는 브러쉬(9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더욱 확실히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brush 94 is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rotary rod member 80 facing the hopper member 20,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s is more certain.

한편, 상기 태양집광판(90)에 의해서 상기 모터(60)에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소비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motor 60 by the solar panel 90 can reduce the cost due to the consumption of energy.

또한, 상기 부력제공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는 물 위에 떠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호퍼부재(20)의 임의적인 이동이 자유롭다. 따라서 상기 호퍼부재(20)의 설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곳에 사기 호퍼부재(20)를 위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ceiling member 10 and the hopper member 20 are floating on the water by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the arbitrary movement of the hopper member 20 is free. Therefore,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pper member 20 is not fixed,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fraud hopper member 20 where desir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 테두리가 물결무늬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member 2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wavy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무늬를 가지도록 삼각굴곡부(93)를 형성하여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even when the triangular bent portion 93 is formed to have a triangular pattern,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obtained.

10. 천정부재 20. 호퍼부재
22. 굴곡부 30. 메쉬부재
32. 메쉬관통공 40. 유체이송관
50. 연결부재 60. 모터
70. 부력제공부재 72. 메인부표
74. 결합봉 76. 서버부표
80. 회전봉부재 90. 태양집광판
91. 펌프 92. 센서부
93. 삼각굴곡부 94. 브러쉬
95. 유체통과공
10. Ceiling member 20. Hopper member
22. Flexure 30. Mesh member
32. Mesh through hole 40. Fluid transfer pipe
50. Connecting member 60. Motor
70. Buoyancy providing member 72. Main buoy
74. Coupling Rods 76. Server Buoys
80. Rotating rod member 90.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91.Pump 92.Sensor section
93. Triangular bends 94. Brushes
95. Fluid passing hole

Claims (8)

내부공간을 가지는 천정부재(10);
상기 천정부재(10)의 하방에 위치되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유체의 수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며, 유체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호퍼부재(20);
상기 호퍼부재(20) 내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복수개의 구멍인 메쉬관통공(32)이 형성된 메쉬부재(30);
상기 호퍼부재(20)의 하단과 연통되어 상기 호퍼부재(20) 내로 이동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이송관(40);
상기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50);
상기 천정부재(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50)에 의해서 지지되는 모터(60);
상기 연결부재(50)와 결합되며, 상기 호퍼부재(2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10)와 호퍼부재(20)가 수면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재(70); 및
상기 모터(60)에 의해서 회전되며, 끝단은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호퍼부재(20)의 원주를 따라 상기 호퍼부재(2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A ceiling member 10 having an inner space;
A hopper member 20 positioned below the ceiling member 10, having a funnel shap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fluid, and allowing the fluid to move downward;
A mesh member 30 positioned below the hopper member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mesh through holes 32 formed therei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assing therethrough;
A fluid transfer pipe 40 communicating with a lower end of the hopper member 20 and allowing fluid to be moved into the hopper member 20 to pass therethrough;
A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50 connecting the ceiling member 10 and the hopper member 20 to each other;
A motor 60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member 10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member 50;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5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pper member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side contains air so that the ceiling member 10 and the hopper member 20 can float on the water surfac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for providing a buoyancy; And
Is rotated by the motor 60, the e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hopper member 20, the rotating rod member to rotate along the rim of the hopper member 2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pper member 20 (80);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 테두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호퍼부재(2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결무늬를 가지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member 20, the bent portion 22 is repeatedly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ve a wavy patter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to the hopper memb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Fluid pur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10)의 상면에는 태양력을 집광하여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60)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태양집광판(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member (10) is a flui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olar collector plate (90)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to generate energy to transfer energy to the motor (6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제공부재(70)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부표(72)와,
상기 메인부표(72)의 하방으로 상기 메인부표(72)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50)와 결합되는 결합봉(74)과,
상기 결합봉(74)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서버부표(76)로 구비되어,
상기 서버부표(76)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호퍼부재(20)의 수면 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providing member 70,
Main buoy 72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A coupling rod 74 coupled to the main buoy 72 and extending downwar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uoy 72,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50;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rver buoy 76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rod 74,
And a position on the water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20)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rver buoys (7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관(40)에는 펌프(91)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체이송관(40)에 물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채워지면, 상기 유체이송관(40) 내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펌프(91)를 가동시키는 센서부(9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id transfer pipe 40 further includes a pump 91,
When the fluid transfer pipe 40 is filled with water above a certain level, the sensor unit 92 which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fluid transfer pipe 40 and sends a corresponding signal to operate the pump 91 is further provided. Fluid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 테두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호퍼부재(2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각형 무늬를 가지도록 가지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반복적으로 삼각굴곡부(9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member 20, the triangular bent portion 93 is repeatedly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ve a triangular patter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to the hopper member 20 is formed. Flui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부재(80)에서 상기 호퍼부재(20)와 마주보는 부위에는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솔로 구비되는 브러쉬(9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i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ush (9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are coupled to the portion of the rotary rod member (80) facing the hopper member (20) to ensure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재(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측면에는 관통된 구멍인 유체통과공(9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i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hopper member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uid through hole (95) through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KR2020120004752U 2012-06-05 2012-06-05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KR2004724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52U KR200472411Y1 (en) 2012-06-05 2012-06-05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52U KR200472411Y1 (en) 2012-06-05 2012-06-05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64U KR20130007164U (en) 2013-12-13
KR200472411Y1 true KR200472411Y1 (en) 2014-04-25

Family

ID=5148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52U KR200472411Y1 (en) 2012-06-05 2012-06-05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11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323A (en) * 1997-10-13 1999-04-27 Muneaki Nagase On-water floating matter removing device
KR200379178Y1 (en) 2004-10-19 2005-03-18 지효근 Float recovery device
KR100938411B1 (en) 2007-12-04 2010-01-22 주식회사 필택 Apparatus for removing floating matters
KR20120119501A (en) * 2011-04-21 2012-10-31 이수생 Separate collection apparatus for antipollusion of fish holding farm water and separate colle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323A (en) * 1997-10-13 1999-04-27 Muneaki Nagase On-water floating matter removing device
KR200379178Y1 (en) 2004-10-19 2005-03-18 지효근 Float recovery device
KR100938411B1 (en) 2007-12-04 2010-01-22 주식회사 필택 Apparatus for removing floating matters
KR20120119501A (en) * 2011-04-21 2012-10-31 이수생 Separate collection apparatus for antipollusion of fish holding farm water and separate colle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64U (en)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64B1 (en) removes The moss and float of buoyant filter which uses the solar power
CN204709925U (en) The residue removal device of sewage
KR200464350Y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Generating
CN106836440B (en) Rain and sewage diver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CN113511738B (en) Automatic sewage discharging device for aquaculture
KR200472411Y1 (en) Apparatus for purifying of water
CN102198342B (en) Water outlet tank cleaning brush
CN210728765U (en) Precipitation equipment for sewage treatment
KR101122764B1 (en) Floating particle collector
JP2013181371A (en)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device
CN210736355U (en) Small-size efficient sewage treatment unit
CN202113653U (en) Water drainage tank cleaning brush
KR200469777Y1 (en) Apparatus for removing of floating matter
CN206008290U (en) A kind of self-cleaning strainer
CN201250124Y (en) Device for removing floaters on surface of circulating water pool
JP2006299509A (en) Rainwater storing device
RU2709379C1 (en) Fish growing system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3168665U (en) Solar light receiving surface circulation processing equipment
KR20130125989A (en) Bubble trap device
CN209234700U (en) Fish jar overflow mechanism and Fishbowl device
CN113332755A (en) Structure for cleaning sludge adhered to inclined tube of sedimentation tank
KR20090048137A (en) Filtration apparatus for sewage
KR200330487Y1 (en) Apparatus for Removing Foam of Discharge Water
JP4537917B2 (en) Sedimentation basin equipment
KR101442232B1 (en) A float recovery process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