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98Y1 -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98Y1
KR200472098Y1 KR2020110000914U KR20110000914U KR200472098Y1 KR 200472098 Y1 KR200472098 Y1 KR 200472098Y1 KR 2020110000914 U KR2020110000914 U KR 2020110000914U KR 20110000914 U KR20110000914 U KR 20110000914U KR 200472098 Y1 KR200472098 Y1 KR 200472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work
safety
safety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94U (ko
Inventor
김동학
박병권
Original Assignee
서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용 filed Critical 서진용
Priority to KR2020110000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9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버킷의 후방에 고정한 일정높이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틀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버킷의 지붕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버킷의 지붕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전틀의 폭을 최소화한 후,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 놓을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징카(1)의 붐(5)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10)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서, 상기 작업버킷(10)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공지의 기초지주(200)와 가변지주(300)가 형성된 상기 가변지주(300)의 직교방향으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형성되는 ㄴ자형상의 안전장치(100)가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상기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설치된 가변지주(300)가 기초지주(200)에 수직방향에서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혀지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변지주(300)에 직교방향으로 레일홈(430)을 가지는 기초안전틀(400)이 고정되고, 상기 기초안전틀(400)의 레일홈(430)에 가변안전틀(50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기초안전틀(400)로부터 가변안전틀(500)이 튀어나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본 고안은 터널을 굴착한 후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버킷의 후방에 고정한 일정높이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틀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버킷의 지붕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버킷의 지붕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전틀의 폭을 최소화한 후,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 놓을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 등의 구조물을 지중에 설치할 수 있도록 지반을 굴착해 터널(tunnel)을 형성하기 위한 터널(tunnel) 공법은 지반 지질이나 지하수의 상황, 터널(tunnel) 단면 형상이나 연장, 그 외의 시행 조건 등을 거울삼아 여러 가지의 시행 방법이 선정된다.
그리고 특히 연암으로부터 경암에 이르는 암반의 굴착 공법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폭파에 의한 이른바 발파 공법이나, 터널(tunnel) 볼링(bowling) 머신, 브레이커 등(contact breaker)의 각종의 암반 굴착 기계를 이용한 기계 굴착 공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암반에 대한 터널(tunnel)의 굴착 공사는 특히 큰 단면의 터널(tunnel)을 굴착 형성 하는 경우에는, 그 굴착 단면을 한 번에 굴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단면을 정해진 형상에 분할하는 것과 동시에 걸리는 큰 단면의 굴착 작업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굴착 공법, 갱도 굴착 공법 등, 순서에 따라서 각 분할한 단면을 순차적으로 굴착한다. 그 후, 점보(drill carriage) 드릴이 작동해 암반에 장약구멍이나 록 볼트구멍 등을 삭공 한다. 그리고 장약 구멍에 화약(다이너마이트)이 장전 된 후, 굴착 장치(rig) 등은 퇴피 장소까지 퇴피한다.
위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작업은 터널의 천정을 포함하는 전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터널의 천정 부근까지 용이한 작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작업위치로 근접시키기 위한 장비인 차징카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징카(1)는 차량으로 운전석(2)과 엔진부(3) 및 유압부(4) 등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전면에 붐(5)이 형성되고, 붐(5)의 첨단에 작업버킷(10)이 형성된다. 상기 작업버킷(10)은 작업자(7)가 탑승하여 터널면(8)의 암반에 장약구멍 및 화약 장전 및 기타 안전점검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작업버킷내의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낙석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0563241호에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차징카(10)의 신축가능한 붐(14)과 이 붐(1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20)를 포함하는 터널 굴착장비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 일측에, 외관(40)이 수직설치되고 이 외관(40)에 내관(4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내관(41)의 상단에 상기 작업대(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안전판(30)을 구비시켜 상기 외관(40)의 외측에 제공된 구동실린더(42)의 동작에 의해 내관(41)이 승강되어 상기 안전판(30)이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내관(41)의 상단에 회동축(46)을 그리고, 상기 안전판(30)의 하부에 상기 회동축(46)에 결합되는 축부재(47)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축(46)에 대해 축부재(4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20)에, 지지관(50)을 수직설치하고 이 지지관(50)에 지지봉(51)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지지봉(51)의 상단에 승강된 상기 안전판(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체(52)가 제공되어 승강된 상기 안전판(30)이 받침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작업대(2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키에 따라 외관(40)에 설치된 구동실린더(42)를 신축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설치된 내관(41)이 외관(4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작업대(20) 발판(21)에 대해 내관(41)에 설치된 안전판(3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안전판(30)의 높이가 맞춰지게 되면 외관(40)에 설치된 볼트(45)를 볼트체결홀(44)에 대해 조여줌으로서 내관(41)을 외관(40)에 고정시키고, 작업자는 내관(41)의 상단에 대해 안전판(30)을 회동시켜 안전판(30)이 작업대(20) 위쪽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업대(20)의 상부에 외관(40)과 내관(41)을 매개로 안전판(30)이 수평설치됨으로서 작업중에 터널 상부로부터 낙석이 떨어지는 경우 작업대(20) 상부의 안전판(30)이 낙석을 막아주어 작업대(2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30)을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축(46)을 중심으로 안전판(30)이 회동되어 작업대(20)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업대(20) 상부는 개방상태가 된다.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작업대로부터 안전판의 높이를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승강조절할 수 있도록 된 일련의 구동으로 유압장치에 의하여 행하여지도록 되어, 설치의 제작원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단순이 작업자의 키에 따라서 승강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설치의 장비에 비하여 안전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작업대의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시키어 작업대의 후방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하도록 되어, 오히려 안전판이 다른 작업에 장해를 주는 제 3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장카의 작업버킷에 안전틀을 형성함에 있어서의 작업버킷의 후방에 대략 ㄴ자형상의 안전장치를 형성하여, ㄴ자형상의 수평부분이 지붕을 이루어 작업버킷의 위쪽의 낙석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ㄴ자형상의 수평부분에 안전틀과 안전틀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할 수 있는 가변안전틀을 형성하여, 작업버킷의 지붕의 폭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ㄴ자형상의 수직부분에 해당하는 기초부가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장착하여, 작업버킷에서 ㄴ자형상의 안전장치의 사용이 필요치 않는 경우, ㄴ자형상의 수평부분을 접은 상태에서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서 ㄴ자형상의 안전장치의 폭을 최소화하여 작업버킷으로부터 작업자의 작업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서, 상기 작업버킷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공지의 기초지주와 가변지주가 설치된 상기 가변지주의 직교방향으로 작업버킷의 지붕에 해당하는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이 형성되는 ㄴ자형상의 안전장치가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작업버킷의 지붕에 해당하는 상기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이 설치된 가변지주가 기초지주에 수직방향에서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지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변지주에 직교방향으로 레일홈을 가지는 기초안전틀이 고정되고, 상기 기초안전틀의 레일홈에 가변안전틀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기초안전틀로부터 가변안전틀이 튀어나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버킷의 후방에 고정한 일정높이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틀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버킷의 지붕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버킷의 지붕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전틀의 폭을 최소화한 후,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 놓을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차징카와 작업버킷의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가변안전틀을 기초안전틀에 접은 상태의 안전망을 생략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가 작업버킷에 장착된 예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가변안전틀을 기초안전틀에 접은 상태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8 및 도 9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가변안전틀을 기초안전틀에 접은 상태에서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힌 상태의 절결 측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징카(1)는 차량으로 운전석(2)과 엔진부(3) 및 유압부(4) 등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전면에 붐(5)이 형성되고, 붐(5)의 첨단에 작업버킷(10)이 형성된다. 상기 작업버킷(10)은 작업자(7)가 탑승하여 터널면(8)의 암반에 장약구멍 및 화약 장전 및 기타 안전점검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차징카(1)의 붐(5)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10)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버킷(10)은 둘레면에 수직지주(11)들이 형성되어 안전망(12) 및 도어(도시생략) 등이 설치되어, 작업자(7)가 출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버킷(10)은 붐(5)의 첨단에서 작동부재(6)들에 의하여 일정각도로 유지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ㄴ자형상의 안전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지주(200)와, 상기 기초지주(200)에 결합되는 가변지주(300) 및 상기 가변지주(3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기초안전틀(400)과 상기 기초안전틀(4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안전틀(500)들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작업버킷(10)의 후방의 수직지주(11)에 연장하여 수직방향으로 ㄴ자형상의 안전장치(100)의 기초지주(200)의 기초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초지주(200)의 첨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구멍(210)과 힌지구멍(220)이 형성된 가변브라켓(20)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변지주(300)의 기초부에는 힌지구멍(320)과 유지구멍(310)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의 힌지구멍(220)과 상기 가변지주(300)의 힌지구멍(320)에 힌지축(30)이 결합되어,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가변지주(300)의 기초부가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초지주(200)의 고정구멍(210)과 가변지주(300)의 유지구멍(310)에 고정핀(40)의 결합으로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가변지주(30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지주(200)의 고정구멍(210)과 가변지주(300)의 유지구멍(310)으로부터 고정핀(40)을 분리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가변지주(300)를 직각 또는 180도 방향으로 젖히거나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초지주(200)는 작업버킷(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수직지주(11)들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용접고정되고, 또한 상기 나란히 고정된 기초지주(200)의 첨단의 가변브라켓(20)들에 가변지주(300)들이 나란히 결합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변지주(300)의 직교방향으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기초안전틀(400)이 용접고정된다. 또한 상기 기초안전틀(400)에 가변안전틀(50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가변지주(300)들의 끝단에 기초안전틀(400)의 기초안전틀의 측면틀(410)이 나란히 고정된다. 상기 기초안전틀의 측면틀(410)들의 사이에 안전망(4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초안전틀의 측면틀(410)에는 레일홈(430)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홈(430)에 가변안전틀(5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로울(540)들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기초안전틀(400)에 가변안전틀(500)이 일정길이로 추출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변안전틀(500)은 양쪽 나란하게 가변안전틀의 측면틀(510)이 고정되고, 상기 가변안전틀의 측면틀(510)들의 사이에 안전망(520)이 장착된다. 상기 가변안전틀의 측면틀(510)에 부가하여 측면판(53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530)에 로울(540)이 로울축(55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울(540)은 기초안전틀(400)의 기초안전틀의 측면틀(410)에 형성된 레일홈(43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구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가변안전틀(500)의 중앙에는 레일홈(7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레일홈(70)에 대응하는 기초안전틀(400)에는 로울브라켓(50)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로울(60)에 얹혀서 기초안전틀(400)로부터 가변안전틀(500)이 안정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버킷(10)의 수직지주(11)들에 고정된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에 가변지주(300)를 세워 설치하면, ㄴ자형상의 안전장치(100)의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작업버킷(10)의 지붕을 덮어서 작업자(7)가 작업버킷(10)에서 작업시의 낙석 또는 터널면에 부딪치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지붕의 폭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안전틀(500)을 밀어서 기초안전틀(400)내에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을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지주(200)의 고정구멍(210)과 가변지주(300)의 유지구멍(310)으로부터 고정핀(40)을 분리하면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가변지주(300)를 직각 또는 180도 방향으로 젖히거나 유지할 수 있다.
1 : 차징카 5 : 붐
10 : 작업버킷 20 : 가변브라켓
30 : 힌지축 40 : 고정핀
50 : 로울브라켓 60 : 로울
100 : ㄴ자형상의 안전장치 200 : 기초지주
210 : 고정구멍 220 : 힌지구멍
300 : 가변지주 310 : 유지구멍
320 : 힌지구멍 400 : 기초안전틀
410 : 기초안전틀의 측면틀 420,520 : 안전망
430 : 레일홈 500 : 가변안전틀
510 : 가변안전틀의 측면틀 530 : 측면판
540 : 로울 550 : 로울축

Claims (3)

  1. 삭제
  2. 차징카(1)의 붐(5)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10)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서,상기 작업버킷(10)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공지의 기초지주(200)와 가변지주(300)가 설치된 상기 가변지주(300)의 직교방향으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형성되는 ㄴ자형상의 안전장치(100)가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상기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설치된 가변지주(300)가 기초지주(200)에 수직방향에서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혀지게 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3. 청구항2 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주(300)에 직교방향으로 레일홈(430)을 가지는 기초안전틀(400)이 고정되고, 상기 기초안전틀(400)의 레일홈(430)에 가변안전틀(50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기초안전틀(400)로부터 가변안전틀(500)이 튀어나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KR2020110000914U 2011-01-31 2011-01-31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KR200472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914U KR200472098Y1 (ko) 2011-01-31 2011-01-31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914U KR200472098Y1 (ko) 2011-01-31 2011-01-31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94U KR20120005694U (ko) 2012-08-08
KR200472098Y1 true KR200472098Y1 (ko) 2014-04-04

Family

ID=4687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914U KR200472098Y1 (ko) 2011-01-31 2011-01-31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27Y1 (ko) * 2013-06-24 2014-10-22 서진용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0297A (en) * 1978-09-26 1981-04-07 Edbro Limited Machines for positioning roof supports in a tunnel
KR200397814Y1 (ko) * 2005-07-21 2005-10-10 (주)아이티인프라 슬라이드 이동 지붕을 갖는 옥외 통신장비 수용 함체
KR100563241B1 (ko) * 2005-02-04 2006-03-21 효동개발 주식회사 터널 굴착장비
KR101043784B1 (ko) * 2008-11-26 2011-06-22 김종근 설립식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0297A (en) * 1978-09-26 1981-04-07 Edbro Limited Machines for positioning roof supports in a tunnel
KR100563241B1 (ko) * 2005-02-04 2006-03-21 효동개발 주식회사 터널 굴착장비
KR200397814Y1 (ko) * 2005-07-21 2005-10-10 (주)아이티인프라 슬라이드 이동 지붕을 갖는 옥외 통신장비 수용 함체
KR101043784B1 (ko) * 2008-11-26 2011-06-22 김종근 설립식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94U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2610A (en) Mine roof drilling,bolting and plating machine
KR101817316B1 (ko) 터널 굴착 작업자 보호 장치(가이드루프)
US4079792A (en) Mine roof support for a mobile drilling machine
US9568295B2 (en) Method and related devices for carrying out TBM excavation and expansion blasting using a blast protector and a cart
CN106194022B (zh) 一种用于综采工作面过断层的便携式钻孔装置及使用方法
CN112727456B (zh) 用于非稳定顶板掘锚一体机可推移锚钻平台
AU2005200202B2 (en) Advance working or mining machine
CN114017021A (zh) 掘锚机和掘进系统
CN110374654B (zh) 一种液压支架装置及用液压支架装置处理煤矿冒顶的处理方法
KR200472098Y1 (ko)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US4108253A (en) Elevatable operator's compartment having a drill steel guide for a mine drilling machine
KR100306895B1 (ko)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US3893520A (en) Canopy assembly for a dual boom drill
KR102247222B1 (ko)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KR200474927Y1 (ko)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CN114109423B (zh) 一种煤矿掘锚机钻机总成及掘锚一体机
KR100563241B1 (ko) 터널 굴착장비
CN114165266A (zh) 一种掘进系统
CN109736801B (zh) 掘锚一体机
JP7217477B1 (ja) 建設機械
CN214884011U (zh) 一种小型挖掘机防翻滚平台机构
JP2004143740A (ja) 穿孔機
JP3844166B2 (ja) 法面さく孔機及び法面さく孔方法
CN218206675U (zh) 掘锚护一体化设备
CN215632948U (zh) 多臂掘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06

Effective date: 20131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