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01Y1 -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 Google Patents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01Y1
KR200471901Y1 KR2020120004509U KR20120004509U KR200471901Y1 KR 200471901 Y1 KR200471901 Y1 KR 200471901Y1 KR 2020120004509 U KR2020120004509 U KR 2020120004509U KR 20120004509 U KR20120004509 U KR 20120004509U KR 200471901 Y1 KR200471901 Y1 KR 200471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vibrator
front housing
cas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021U (ko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202012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0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으로 진동하는 진동자를 케이스에 케이싱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상단부분에 퍼프 구조체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분에 유동 기준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 기준 돌기를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되면서 퍼프 구조체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서 얼굴을 두드리면서 화장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전면 하우징에 결합되며 전면하우징과 함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후면 하우징과; 상기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내부에 진동자 및 구동수단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진동자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진동자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하우징의 삽입용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와;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 하우징의 상부측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퍼프 패널과; 상기 퍼프 패널상에 설치되며 얼굴 화장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퍼프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동 기준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A Cosmetic Vibration Container}
본 고안은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형으로 진동하는 진동자를 케이스에 케이싱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상단부분에 퍼프 구조체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분에 유동 기준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 기준 돌기를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되면서 퍼프 구조체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서 얼굴을 두드리면서 화장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화장품을 사용하여 얼굴을 비롯한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는 손이나 브러시, 펜슬, 퍼프 등의 각종 화장도구를 이용하게 되며, 특히 화운데이션 등의 파우더형 화장품을 화장부위에 골고루 정착시킬 때에는 작은 판상의 퍼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퍼프는 주로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화장품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판형이나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밴드가 마련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퍼프를 사용할 때에는 손가락 삽입밴드와 일측면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넣어 퍼프를 지지한 후 화장품을 묻힌 타측면으로 화장할 신체부위를 적당한 타격력으로 두르리게 되면 퍼프에서 이탈되는 화장품이 신체부위에 정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수동형 퍼프를 사용하여 화장할 때에는 화장품을 묻힌 그 일측면을 화장할 신체부위에 대고 인위적인 힘으로 두드리기 때문에 화장 작업이 극히 번거 롭게 될 뿐 아니라 퍼프의 타격력을 일정하게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체 화장부위에 고르게 화장품이 정착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4-0021565호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형으로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를 결합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후면케이스에는 작동스위치를 형성하며, 전후면 케이스의 내부에는 작동스위치에 의해 구동하여 퍼프판을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도록 회전축을 가지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전동 퍼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퍼프판은 접속관부가 마련되는 퍼프헤드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접속관부에는 지지핀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축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작동축의 하단부위에는 ∩자형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자형의 홈과 회전축의 사이에는 전동모터의 구동으로부터 편심회전하면서 작동축을 시소운동시켜 퍼프판을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편심부재를 연결 구성함이 특징이고, 또한, 상기 편심부재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로 전달되는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편심회전하면서 ∩자형 홈의 내측면을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작동판을 시소운동시키는 편심축으로 구성함이 특징인 기술사상이 제안된바 있다.
즉, 상기 전동모터(6)는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원에 의해 구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전동모터(6)에 형성된 회전축(6a)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a)에 결합된 편심부재의 축결합부(31)도 상기 회전축(6a)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결합부(31)의 상면에 형성된 편심축(32)은 회전축(6a)을 중심으로 편심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심축(32)은 ∩자형 홈(22)의 내측면을 타격하면서 편심회전을 하게 되는 바, 상기 편심축(32)의 편심회전으로부터 지지핀(21)에 의해 중심부위가 고정된 작동축(22)은 시소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작동축(22)의 상단부위에 접속관부(11)를 통해 결합된 퍼프헤드(12)는 물론, 상기 퍼프헤드(12)에 결합된 퍼프판(5)은 상기 작동축(22)의 시소운동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퍼프판(5)에 묻힌 화장품은 상기 퍼프판(5)의 전후방향 진동으로부터 간편하게 화장부위에 정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편심부재를 적용하여 회전을 시키고, 상기 회전동작이 지지핀(21)을 중심으로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회전하는데 동력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또한 편심부재의 회전력을 작동축이 시소운동으로 변환할때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 퍼프판이 완전한 전후방향 진동으로 변환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지지핀을 중심으로 편심축의 회전운동이 완전하게 시소운동으로 바뀌지 못하며 이에 따라 펌프판이 전후 운동으로 완전하게 바뀌지 못하게 된다.
결국, 종래기술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 또는 전후 운동으로 변환하기 어려운 구조일 뿐만 아니라 편심축과 작동축의 동작과정에서 회전동력의 손실이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되어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회전 진동자를 케이스에 케이싱하고, 케이스의 상단부에 퍼프 구조체를 결합하며, 케이스의 하단부에 유동 기준 돌기를 형성하여 회전 진동자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퍼프 구조체의 전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를 러버 부재로 감싸서 회전 진동자의 진동이 손바닥 파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전면 하우징(10)과; 상기 전면 하우징에 결합되며 전면하우징과 함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후면 하우징(20)과; 상기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내부에 진동자 및 구동수단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진동자 케이스(40)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진동자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하우징의 삽입용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와;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 하우징의 상부측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퍼프 패널(60)과; 상기 퍼프 패널상에 설치되며 얼굴 화장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퍼프(70)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동 기준 돌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면 하우징 및 후면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유동 기준 돌기(80)가 삽입되는 체결홀(91)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진동 차단용 러버재(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면 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2)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터리를 교체할때 개폐되는 하부 하우징(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 진동자를 케이스에 케이싱하고, 케이스의 상단부에 퍼프 구조체를 결합하며, 케이스의 하단부에 유동 기준 돌기를 형성하여 회전 진동자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퍼프 구조체의 전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를 러버 부재로 감싸서 회전 진동자의 진동이 손바닥 파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로 전동퍼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로 퍼프판이 전진된 상태를 보인 전동퍼프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로 퍼프판이 후진된 상태를 보인 전동퍼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진동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진동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면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화장용 진동용기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전면 하우징(10)과, 후면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과, 진동자 케이스(40)와,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과, 퍼프 패널(60)과, 퍼프(70)와, 유동 기준 돌기(80)와, 진동 차단용 러버재(90)와,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100)과, 전원 스위치부(110)와, 뚜껑(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하우징(10)은 내부에 각종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삽입용 홀(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100) 및 전원 스위치부(1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 하우징(20)은 전면 하우징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각종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면 하우징(10)과 결합되며, 전면 하우징(0)과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면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 하우징(30)은 전면 하우징(10)과 후면 하우징(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터리를 교체할때 개폐된다.
상기 진동자 케이스(40)는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진동자(42) 및 구동수단(41)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자(42)는 회전운동에 의해서 진동을 일으키는 수단이고, 구동수단(41)은 진동자(42)를 축결합시켜 회전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축(41a)에 의해서 구동수단(41)과 진동자(42)가 연결되며, 진동자(42)는 반원통형 형태로서 구동수단(41)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구동축(41a)의 회전에 의해서 진동자(42)가 회전하며, 이때 진동자(42)가 반원통형 이므로 진동자 케이스(40)가 회전운동을 일으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은 상기 진동자 케이스(4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진동자 케이스(4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 하우징(10)의 삽입용 홀(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퍼프 패널(60)은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 하우징(10)의 상부측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퍼프(70)는 퍼프 패널상에 설치되며 얼굴 화장을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유동 기준 돌기(80)는 진동자 케이스(4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4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 차단용 러버재(90)는 진동자 케이스(40)의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면 하우징(10) 및 후면 하우징(20)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차단용 러버재(90)의 하단에는 유동 기준 돌기(80)가 삽입되는 체결홀(91)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면 하우징(10)에는 체결홀(9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2)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100)은 전면 하우징 일단에 설치되어 진동자의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 입력 기능을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110)는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서 배터리의 전원이 구동수단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120)은 본 고안의 제품을 미사용시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과, 전원 스위치부 및 뚜껑은 화장용 진동용기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수단이며 그 동작 및 기능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즉, 본 고안은 퍼프가 좌우 유동에 의해서 수타식으로 얼굴을 타격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 때문에 상기 퍼프의 좌우 유도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유동기준 돌기(80)가 진동자 케이스(4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동기준 돌기(80)는 진동 차단용 러버재(90)의 체결홀(91)과 결합하되 느슨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자 케이스(40)는 유동기준 돌기(80)를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될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진동자 케이스(40)에 삽입되는 진동자(42)는 회전운동을 일으키게 되며, 상기 진동자(42)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진동자 케이스(40)의 회전운동이 발생하는바, 상기 진동자 케이스(40)는 유동기준 돌기(80)에 의해서 회전이 방해되기 때문에 좌우 유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 케이스(40)의 좌우 유동에 의해서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이 좌우 유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에 부착되는 퍼프 패널(60) 및 퍼프(70)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퍼프(70)로 얼굴을 타격시키면서 화장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진동 차단용 러버재(90)가 진동자 케이스(4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진동자 케이스(40)의 진동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하우징(10, 20)을 통해 손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진동 차단용 러버재(90)는 진동자 케이스(40)의 유동기준 돌기(80)를 체결홀(91)로 고정한 상태이고 상기 체결홀(91)과 유동기준 돌기(80)는 유동기준 돌기(80)가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느슨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진동자 케이스(40)의 좌우 유동은 가능토록 하면서 동시에 진동자 케이스(40)의 자체 떨림은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유동기준 돌기(80)가 진동자 케이스(40)의 맨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진동자 케이스(40)의 좌우 유동각을 최대화 시키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발생시킨다. 즉, 상기 유동기준 돌기(80)가 진동자 케이스(40)의 중간쯤에 존재한다면 진동자 케이스(40)의 좌우 유동각은 줄어들 수 밖에 없으나, 본 고안은 유동기준 돌기(80)가 진동자 케이스(40)의 맨 하단에 위치하고,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이 진동자 케이스(40)의 맨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이 충분히 유동할 수 있는 각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진동자 케이스(40)의 좌우 유동이 충분한 각도로 가능토록 하고, 아울러, 진동자 케이스(40)의 자체 유동을 진동 차단용 러버재(90)로 차단하기 때문에 화장용 진동용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전면 하우징
20: 후면 하우징
30: 하부 하우징
40: 진동자 케이스
50: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
60: 퍼프 패널
70: 퍼프
80: 유동 기준 돌기
90: 진동 차단용 러버재
100: 전원 스위칭용 푸시버튼
110: 전원 스위치부
120: 뚜껑

Claims (5)

  1. 전면 하우징(10)과;
    상기 전면 하우징에 결합되며 전면하우징과 함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후면 하우징(20)과;
    상기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내부에 진동자(42) 및 구동수단(41)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진동자 케이스(40)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진동자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하우징의 삽입용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50)와;
    상기 퍼프 패널 연결용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 하우징의 상부측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퍼프 패널(60)과;
    상기 퍼프 패널상에 설치되며 얼굴 화장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퍼프(70)와;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동 기준 돌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며, 진동자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면 하우징 및 후면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유동 기준 돌기(80)가 삽입되는 체결홀(91)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진동 차단용 러버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2)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터리를 교체할때 개폐되는 하부 하우징(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1)과 진동자(42)는 구동축(41a)으로 연결되며, 진동자(42)는 반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KR2020120004509U 2012-05-30 2012-05-30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KR200471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09U KR200471901Y1 (ko) 2012-05-30 2012-05-30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09U KR200471901Y1 (ko) 2012-05-30 2012-05-30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21U KR20130007021U (ko) 2013-12-10
KR200471901Y1 true KR200471901Y1 (ko) 2014-03-20

Family

ID=5244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509U KR200471901Y1 (ko) 2012-05-30 2012-05-30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0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9Y1 (ko) 2004-07-28 2004-10-21 추윤정 전동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KR101143459B1 (ko) 2010-10-08 2012-05-23 주식회사 일우정밀 자동 퍼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9Y1 (ko) 2004-07-28 2004-10-21 추윤정 전동 퍼프
KR101143459B1 (ko) 2010-10-08 2012-05-23 주식회사 일우정밀 자동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21U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5249Y1 (ko) 전동 퍼프
WO2014118596A1 (en) Facial care apparatus and attachments
KR20110078516A (ko) 전동퍼프
KR101387520B1 (ko)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50027918A (ko) 전동칫솔
KR200348032Y1 (ko) 전동퍼프
KR100625801B1 (ko) 범용 칫솔을 장착 가능하게 한 전동 칫솔
KR101116739B1 (ko) 스틱형 진동퍼프
KR200471901Y1 (ko) 수타식 핸드그립형 화장용 진동용기
KR101345658B1 (ko) 두드림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KR200461267Y1 (ko)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KR200471907Y1 (ko) 수타식 스탠드형 화장용 진동용기
KR101282022B1 (ko) 출몰식 진동퍼프를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KR20140068286A (ko) 안면 마사지 장치
KR20130113601A (ko) 회전진동을 이용한 피부 케어장치
KR20120132274A (ko) 전동 퍼프
GB2375050A (en) Massage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toothbrush body
KR200467557Y1 (ko) 진동 퍼프
KR20130036877A (ko) 이중 진동 파운데이션
KR101161576B1 (ko) 진동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진동파운데이션
KR101345659B1 (ko) 화장기구의 손잡이 출몰장치
KR20110009927U (ko) 전동 퍼프
KR20110011009U (ko) 전동식 마스카라
KR101742174B1 (ko) 진동 파운데이션
KR102020865B1 (ko) 치아 끝 방향으로만 닦아내는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