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80Y1 - Safety box - Google Patents

Safety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80Y1
KR200471680Y1 KR2020130008729U KR20130008729U KR200471680Y1 KR 200471680 Y1 KR200471680 Y1 KR 200471680Y1 KR 2020130008729 U KR2020130008729 U KR 2020130008729U KR 20130008729 U KR20130008729 U KR 20130008729U KR 200471680 Y1 KR200471680 Y1 KR 200471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cabinet
door
ceiling plate
booth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7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현
Original Assignee
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 filed Critical 허현
Priority to KR2020130008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변 안전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장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천장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에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부스 캐비닛; 상기 출입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도어를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도어 자동 로킹모듈; 상기 부스 캐비닛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 내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ooth, a base plate; A ceiling plate disposed on the base plat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A booth cabinet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plate and having an access doo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provided in the do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to detect whether a person is in the booth cabinet;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신변 안전부스{SAFETY BOX}Personal safety booth {SAFETY BOX}

본 고안은, 신변 안전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한 신변 안전부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safety boo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safety booth that can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when a personal threat is felt.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한편에서는 신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대두되고 있다.As society develops, on the one hand, the importance of personal safety is on the rise.

실제, 사회면 뉴스를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유괴, 납치, 살인, 강간 등 포악한 범죄가 주변에서 비일비재하게 늘어나고 있다.In fact, social news shows that the day is far away, and violent crimes such as kidnappings, kidnappings, murders, and rape are increasing all around.

성인 남성의 경우에도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특히, 힘이 약한 어린아이나 여성의 경우, 어두운 장소에서, 행인이 없는 장소에서, 구석진 장소에서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Adult males often feel a threat to personal safety, but especially young children and women who are weak, often face a threat to personal safety in a dark place, without a pedestrian, or in a corner.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도 신변 안전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have been regularly provided with personal safety education to keep their own safety.

하지만, 이와 같은 교육은 실질적인 교육 정책에 지나지 않을 뿐 현실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However, such education is only a practical education policy and often does not help much in reality.

예컨대, 전술한 것처럼 어두운 장소에서, 행인이 없는 장소에서, 구석진 장소에서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 별도의 안전 장소에 들어가 있으면 안심이 될 수도 있으나 현실은 그러하지 않다. 이는 신변 안전부스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아직까지도 부족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a dark place, a place without a pedestrian, a corner place, if you feel a threat to your safety, it may be safe to enter a separate safety place, but the reality is not so. This is because social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personal safety booth is still insufficient.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성인 1명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그리 크지 않은 부피를 가지면서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한 신변 안전부스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Therefore, the applicant has come to devise a personal safety booth that can protect one's safety from the danger of surroundings when it has a small volume that can accommodate about one adult, but feels a threat of personal safety.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1-0000597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1-0000597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26459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3-0026459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28738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6-0028738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00982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7-0000982

본 고안의 목적은,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한 신변 안전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safety booth that can protect one's safety from the dangers around him when he feels threatened.

상기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장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천장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에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부스 캐비닛; 상기 출입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도어를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도어 자동 로킹모듈; 상기 부스 캐비닛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 내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변 안전부스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 base plate; A ceiling plate disposed on the base plat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A booth cabinet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plate and having an access doo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provided in the do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to detect whether a person is in the booth cabine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an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based on a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사람이 상기 출입 도어를 통해 상기 부스 캐비닛 내로 들어간 경우, 상기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도어가 자동으로 로킹(locking)되도록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찰서의 메인 시스템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When a person enters the booth cabinet through the entrance door,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locks the entrance doo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so that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can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main system of the police station.

상기 부스 캐비닛의 외면 모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탄유리로 제작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센서이며,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부스 캐비닛의 외면 모두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All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lletproof glass, the sensor is a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상기 부스 캐비닛 내의 일측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 캐비닛 내에 들어간 사람의 화상을 전송하는 화상용 CC TV; 상기 화상용 CC TV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 내에 들어간 사람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마이크; 상기 부스 캐비닛 내의 타측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 캐비닛 내로 소리를 전송하는 스피커; 상기 천장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의 내부 상황을 감시하는 내부 감시용 CC TV; 및 상기 부스 캐비닛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상기 천장 플레이트의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의 외부 상황을 감시하는 외부 감시용 CC TV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mage CC TV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booth cabinet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a person entering the booth cabinet; A microphone provided around the image CC TV to transmit a voice of a person entering the booth cabinet; A speak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booth cabinet and transmitting sound into the booth cabinet; An internal surveillance CC TV disposed in a central area of the ceiling plate to monitor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And an external monitoring CC TV disposed in a side area of the ceiling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oth cabinet to monitor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상기 천장 플레이트와 상기 부스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외부에 마련되는 경광사이렌; 및 상기 부스 캐비닛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경광사이렌을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Light sirens provided at any one of the ceiling plate and the booth cabinet; And a switch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to operate the light siren.

상기 천장 플레이트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장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상부로 솟은 사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천장 플레이트의 외벽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거나 야광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미끌림 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A recess may be formed in the ceiling plate, and the ceiling plate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thereof rises upward. A luminous paint may be applied or a luminous tape may be adhered to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The upper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unit.

본 고안에 따르면,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feel a threat of personal safety has the effect of keeping your safety from the dangers around.

특히, 본 고안의 신변 안전부스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ersonal safety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to protect the safety of women or children in particula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출입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entrance door in FIG. 1.
3 is an internal projection of FIG. 1.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of FIG.
5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서 출입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의 내부 투영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an open door in FIG. 1, FIG. 3 is an internal projection view of FIG. 1, and FIG. 4 is of FIG. 1. Control block diagram for personal safety booth.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는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0), 천장 플레이트(120), 그리고 부스 캐비닛(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는 통상적인 공중전화기 부스 정도로 볼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tect one's safety from the danger of surroundings when the personal safety booth is felt, the base plate 110, the ceiling plate 120, and the booth Cabinet 130 is included.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viewed as a typical public telephone booth.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의 밑면을 형성한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사람이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가 발을 동동 구르면서 위험 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이나 혹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Base plate 11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plate 110 may be applied to a rigid metal material or an engineering plastic because the person who feels a threat to his / her personality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and notifies the outsid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rolling the foot.

천장 플레이트(120)는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의 상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장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ceiling plate 12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iling plate 120 is disposed above the base plate 110, and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base plate 110.

본 실시예의 경우, 천장 플레이트(120)의 사이즈가 부스 캐비닛(130)의 횡단면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ceiling plate 120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booth cabinet 130.

따라서 천장 플레이트(120)에 외부 감시용 CC TV(160) 등을 설치하기가 좋고, 또한 비나 눈이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에 직접 타격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을 고장나게 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external monitoring CC TV 160 on the ceiling plate 120, and also cause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to fail by rain or snow hitting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directly. You can stop it.

본 실시예에서 천장 플레이트(120)에는 함몰부(121)가 형성된다. 함몰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천장 플레이트(120)에 대한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추후 이곳에 에어컨 실외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ss 121 is formed in the ceiling plate 120. By forming the recess 121, the material cost for the ceiling plate 120 may be reduced, and a space for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may be formed thereafter.

물론,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비롯하여 천장 플레이트(120)의 도시된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그 외형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Of course, since the illustrated shape of the ceiling plate 120, including the base plate 110 is only one embodiment, its appearance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부스 캐비닛(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천장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는 박스 형상을 구조물로서, 부스 캐비닛(130) 내로 사람이 들어가 대피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 캐비닛(130)은 성인 1명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그리 크지 않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The booth cabinet 130 has a box shape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110 and the ceiling plate 120, and a person may enter the booth cabinet 130 and evacuate. Therefore, the booth cabinet 130 may have a volume that is not so large that about one adult can enter.

본 실시예의 경우, 부스 캐비닛(130)은 외벽이 4개 형성되는 사각 캐비닛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부스 캐비닛(130)이 삼각이나 오각, 육각 등의 다각 캐비닛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의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부스 캐비닛(130)의 외형 역시 도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oth cabinet 130 has a rectangular cabinet structure in which four outer walls are formed. However, the booth cabinet 130 may form a polygonal cabinet structure such as a triangle, a pentagon, a hexagon, etc., and in some cases, the appearance of the booth cabinet 130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structure.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부스 캐비닛(130)의 외면 모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탄유리로 제작된다. 이처럼 부스 캐비닛(130)의 외면 모두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탄유리로 제작됨에 따라 내부에 들어간 사람이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반대로 외부 침입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유리를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의 경우,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제는 외부에서 내부가 전부 보인다.Both outer surfaces of the booth cabinet 130 ar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lletproof glass.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booth cabinet 130 ar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lletproof glass, so that a person who enters the inside can check the external situation and, on the contrary, prevents an external intruder from breaking the glass using a tool.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Figures 1 and 2, but the inside is shown invisible,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nly, the inside is actually visible from the outside all.

부스 캐비닛(130)의 일면에는 출입 도어(1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여닫이식의 출입 도어(140)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출입 도어(140)를 이용하여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가기가 수월하다.An entrance door 14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is disclosed. Therefore, it is easy to enter the booth cabinet 130 using the access door 140.

하지만, 출입 도어(140)는 도시된 것과 달리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식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ntrance door 140 may be a sliding sliding type unlike the illustrated.

이러한 출입 도어(140)의 일측에는 출입 도어(140)를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이 마련된다.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은 기계식 혹은 수동식과 달리 컨트롤러(170)에 의해 컨트롤되어 자동으로 로킹되는 자물쇠이다.One side of the door 140 is provided with a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for locking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140.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is a lock that is controlled and automatically locked by the controller 170 unlike mechanical or manual.

감지센서(150)는 부스 캐비닛(130)의 내면에 마련되어 부스 캐비닛(130) 내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15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person in the booth cabinet 130.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150)는 근접센서로 적용되는데, 근접센서는 부스 캐비닛(130)의 외면 모두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150 is applied as a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may be provided on bo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respectively.

컨트롤러(170)는 감지센서(150)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ler 17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150.

즉 위험에 처한 사람이 출입 도어(140)를 통해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간 경우, 감지센서(150)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70)로 정보를 전송하며, 컨트롤러(170)는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 도어(140)가 자동으로 로킹(locking)되도록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가 출입 도어(140)를 통해 뒤따라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올 수 없다.That is, when a person in danger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through the entrance door 140, the detection sensor 150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e detection sensor 150.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so that the entrance door 140 is automatically locked (locking)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refore, an external intruder cannot enter the booth cabinet 130 following the entrance door 140.

한편,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컨트롤러(170)로 전송될 때,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찰서의 메인 시스템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경찰서의 근무자는 화상용 CC TV(152), 마이크(154) 및 스피커(156)를 통해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간 사람과 원격으로 통화하면서 후속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50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main system of the police station that is predetermined. Accordingly, the worker of the police station can make a follow-up action while talking remotely with the person who entered the booth cabinet 130 through the video CC TV 152, the microphone 154, and the speaker 156.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71 (CPU), a memory 17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7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150)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PU 171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may be industrially appli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or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e.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The memory 17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1. The memory 172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7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a support circuit 17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감지센서(150)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이때, 감지센서(150)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7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150. In this case, a series of process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or 15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2.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memory 17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한편, 이 외에도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에는 화상용 CC TV(152), 마이크(154), 스피커(156), 내부 감시용 CC TV(158) 및 외부 감시용 CC TV(1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가 컨트롤러(170)와 연계되며, 원격으로의 컨트롤이 가능하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CC TV 152, the microphone 154, the speaker 156, the internal surveillance CC TV 158, and the external surveillance CC TV 160 are provided. It is equipped with more. These are all associated with the controller 170 and can be controlled remotely.

화상용 CC TV(152)는 부스 캐비닛(130) 내의 일측 벽면에 마련되며,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의 화상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image CC TV 152 is provided on one wall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and serves to transmit an image of a person who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마이크(154)는 화상용 CC TV(152)의 주변에 마련되어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의 목소리를 전달한다.The microphone 154 is provided around the image CC TV 152 to transmit a voice of a person who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그리고 스피커(156)는 부스 캐비닛(130) 내의 타측 벽면에 마련되며, 부스 캐비닛(130) 내로 소리를 전송한다.And the speaker 15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in the booth cabinet 130, and transmits the sound into the booth cabinet 130.

이와 같은 화상용 CC TV(152), 마이크(154) 및 스피커(156)를 통해 예컨대, 경찰서의 근무자와 통화할 수 있다.Through such an image CC TV 152, a microphone 154, and a speaker 156,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alk to a worker of a police station.

위험에 처한 사람이 출입 도어(140)를 통해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간 경우, 감지센서(150)를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70)로 정보를 전송하며, 컨트롤러(170)는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 도어(140)가 자동으로 로킹(locking)되도록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의 정보가 경찰서로 전송됨에 따라 경찰서의 근무자는 화상용 CC TV(152), 마이크(154) 및 스피커(156)를 통해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간 사람과 통화하면서 후속 조취를 취할 수 있다.When a person in danger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through the door 140, the sensor 150 detects the sensor 15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e sensor 15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door 1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to automatically lock (locking), and as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lice station, the officer of the police station is a video CC TV ( 152, microphone 154, and speaker 156 may take subsequent action while talking to a person entering booth cabinet 130.

내부 감시용 CC TV(158)는 천장 플레이트(1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내부 상황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rnal monitoring CC TV 158 is disposed in the center area of the ceiling plate 120 and serves to monitor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130.

그리고 외부 감시용 CC TV(160)는 부스 캐비닛(13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의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외부 상황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external monitoring CC TV 160 is disposed in the side area of the ceiling plate 1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oth cabinet 130 serves to monitor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130.

이하,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의 사용법을 알아본다.Hereinafter, how to use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신변에 위험을 느낀 경우, 출입 도어(140)를 열고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가면 근접센서로서의 감지센서(150)가 사람을 감지한다.If you feel a danger to the body, when the door 140 is opened and enters the booth cabinet 130, the sensor 150 as a proximity sensor detects a person.

감지센서(150)가 사람을 감지하면 이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170)가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을 동작시킴으로써, 출입 도어(140)가 자동으로 잠긴다. 따라서 밖에서 안으로 침입할 수 없도록 내부를 보호한다.When the sensor 150 detects a person, the controller 170 having received the information operates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to automatically lock the door 140. Therefore, the inside is protected from intrusion from the outside.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호되면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정보를 받은 경찰서(또는 지구대)의 근무자와 화상용 CC TV(152), 마이크(154) 및 스피커(156)를 통해 양방향 통화가 진행되며, 이후에 후속 조취가 취해진다.When the user is safely protected by such an operation, the two-way call proceeds through the video CC TV 152, the microphone 154, and the speaker 156 with the worker of the police station (or the Earth Zone) who received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50. Subsequent actions are then taken.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에 따르면,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nd a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keep your safety from the danger of the surroundings when you feel the threat of personal safety.

특히,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mouth or a secluded place because the structure is simple, in particular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to protect the safety of women or children.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에 대한 효과를 좀 더 부연한다.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는 초등학교 주변, 은행, 버스 정류장, 지하철 역, 유흥가 주변, 어두운 골목길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1인이 들어갈 수 있는 작은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설치 면적이 작아 주변 환경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The effect on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is embodiment is further explained.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banks, bus stops, subway stations, nightlife, dark alleys, etc., because it has a small space for one person can be install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does not interfere.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100)는 위성항법시스템(gps)과 스마트폰을 연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순찰차가 현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장 도착 전까지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the GPS and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patrol ca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ite as well as make a video call with the user until the arrival of the site It may be possible to make the user psychologically stable.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5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200)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경광사이렌(280)과 스위치(282)가 더 갖춰진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personal safety booth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 siren 280 and a switch 28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경광사이렌(280)은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부에 마련되며, 스위치(282)는 부스 캐비닛(130)의 내면에 마련되어 경광사이렌(280)을 동작시킨다.The light siren 280 is provided outside the ceiling plate 120, and the switch 28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to operate the light siren 280.

예컨대, 신변 안전부스(200) 내에 들어간 사용자가 스위치(282)를 통해 경광사이렌(280)을 울리게 됨으로써 가해자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enter the safety booth 200 to ring the sirens 280 through the switch 282 to help to easily catch the offender.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him, especi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i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especially for women or children. It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you safe.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6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300)는 천장 플레이트(32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부로 솟은 사각뿔 형상을 갖는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personal safety booth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quare pyramid shape that the structure of the ceiling plate 320 rises to the top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천장 플레이트(32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천장 플레이트(320)에 오물이 쌓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ceiling plate 320 has such a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dirt on the ceiling plate 320.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him, especi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i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especially for women or children. It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you safe.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7 is a view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400)에는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 야광도료(480)가 도포되어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luminous paint booth 480 is co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in the personal safety booth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는 예컨대, "신변 안전부스"라는 패턴이 기재될 수 있는데, 이에 더하여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 야광도료(480)가 도포됨으로써 멀리서도 신변 안전부스(400)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for example, may be described as a pattern "personal safety booth," In addition, the luminous paint booth 480 i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by applying the personal safety booth 400 from afar. There will be advantages that can be readily identified and used.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him, especi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i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especially for women or children. It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you safe.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8 is a view of a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500)에는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 야광테이프(580)가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a luminous tape 580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in the personal safety booth 500 of this embodiment.

"신변 안전부스"라는 패턴이 기재된 야광테이프(580)를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 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멀리서도 신변 안전부스(500)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By attaching and using the luminous tape 580 described with the pattern "personal safety booth" to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there will be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used to check the personal safety booth 500 from a distance.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him, especi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i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especially for women or children. It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you safe.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변 안전부스에 대한 도면이다.9 is a view of the personal safety booth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변 안전부스(60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미끌림 방지부(615)가 더 형성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lip prevention part 615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n the personal safety booth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부분은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이 밟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곳에는 미끌림 방지부(6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끌림 방지부(615)로 인해 급하게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이 미끄러져 다치는 일을 없앨 수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ase plate 110 is a part of the person entering the booth cabinet 130, the anti-slip unit 615 may be provided here, and the cabinet 130 is urgently due to the anti-slip unit 615. People who get inside can slip and get hurt.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신변의 위협을 느낄 경우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골목 어귀나 한적한 장소에 설치되기가 용이하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 safety from dangers around him, especi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it is easy to be installed in an alley or a secluded place, especially for women or children. It can provide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you safe.

한편, 본 고안의 신변 안전부스(100) 내에는 해제 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신변 안전부스(100) 내에 들어감으로써 로킹된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을 해제시켜 출입 도어(140)를 내부에서 열 수 있다. 이 해제 버튼은 신변 안전부스(100) 내측의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에 구비되며, 원격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경찰서 등의 원격에서 조작하여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not shown) to enter the personal safety booth 100 by releasing the locked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inside the door 140 Can be opened from The release button is provided on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inside the safety booth 100, and may be controlled remotely. That is, the remote state of the police station, etc. can be opera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automatic door locking module 145.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신변 안전부스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천장 플레이트 121 : 함몰부
130 : 부스 캐비닛 140 : 출입 도어
145 : 도어 자동 로킹모듈 150 : 감지센서
152 : 화상용 CC TV 154 : 마이크
156 : 스피커 158 : 내부 감시용 CC TV
160 : 외부 감시용 CC TV 170 : 컨트롤러
100: safety booth 110: base plate
120: ceiling plate 121: depression
130: booth cabinet 140: entrance door
145: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50: detection sensor
152: CC TV for image 154: Microphone
156: Speaker 158: CC TV for Internal Monitoring
160: CC TV for external monitoring 170: controller

Claims (6)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장 플레이트(1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되, 일면에 출입 도어(140)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 모두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탄유리로 이루어진 부스 캐비닛(130);
상기 출입 도어(140)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도어(140)를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내면 모두에 각각 마련된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0);
상기 감지센서(150)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70);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의 일측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의 화상을 전송하는 화상용 CC TV(152);
상기 화상용 CC TV(152)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에 들어간 사람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마이크(154);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의 타측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로 소리를 전송하는 스피커(156);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내부 상황을 감시하는 내부 감시용 CC TV(158);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의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외부 상황을 감시하는 외부 감시용 CC TV(160);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와 상기 부스 캐비닛(130) 중 어느 하나에 외부에 마련되는 경광사이렌(280);
상기 부스 캐비닛(130)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경광사이렌(280)을 동작시키는 스위치(282);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의 외벽에 도포된 야광도료(480) 또는 야광테이프(58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마련된 미끌림 방지부(615); 및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의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 을 포함하되,
사람이 상기 출입 도어(140)를 통해 상기 부스 캐비닛(130) 내로 들어간 경우, 상기 감지센서(15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170)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170)는 상기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도어(140)가 자동으로 로킹(locking)되도록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의 동작을 컨트롤하며, 상기 감지센서(150)로부터의 센싱 정보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찰서의 메인 시스템으로 동시에 전송되고,
상기 도어 자동 로킹모듈(145)은 경찰서에서 원격으로 제어되어 로킹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변 안전부스.
Base plate 110;
A ceiling plate 120 disposed on the base plate 11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110;
A booth cabinet (130)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110) and the ceiling plate (120), the entrance door (140) be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lletproof glass;
A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provided at the door 140 to lock or unlock the door 140;
A detection sensor 150 which is configured of proximity sensors provided on all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booth cabinet 130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person in the booth cabinet 130;
A controller 17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based on a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150;
An image CC TV 152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booth cabinet 130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a person who has entered the booth cabinet 130;
A microphone 154 provided around the image CC TV 152 to transmit a voice of a person entering the booth cabinet 130;
A speaker 156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in the booth cabinet 130 to transmit sound into the booth cabinet 130;
An internal monitoring CC TV 158 disposed in a central area of the ceiling plate 120 to monitor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130;
An external surveillance CC TV 160 disposed in a side area of the ceiling plate 1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oth cabinet 130 to monitor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booth cabinet 130;
A light siren 280 provided at an outside of the ceiling plate 120 and the booth cabinet 130;
A switch 282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oth cabinet 130 to operate the light siren 280;
Luminous paint 480 or luminous tape 580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the ceiling plate 120;
An anti-slip unit 615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in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in the booth cabinet 130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 / RTI >
When a person enters into the booth cabinet 130 through the entrance door 140, the detection sensor 150 detects this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e detection sens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so that the door 140 is automatically lock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150,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50 in advance It is sent to the main system of the police station which is decided at the same time,
The door automatic locking module 145 is remotely controlled at the police station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Personal safety booth,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에는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천장 플레이트(120)는 중심부가 상부로 솟은 사각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변 안전부스.
The method of claim 1,
A recess 121 is formed in the ceiling plate 120, and the ceiling plate 120 has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rising upward.
KR2020130008729U 2013-10-24 2013-10-24 Safety box KR2004716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29U KR200471680Y1 (en) 2013-10-24 2013-10-24 Safety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29U KR200471680Y1 (en) 2013-10-24 2013-10-24 Safety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680Y1 true KR200471680Y1 (en) 2014-03-07

Family

ID=5148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729U KR200471680Y1 (en) 2013-10-24 2013-10-24 Safety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80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3303A (en) * 2016-02-03 2016-04-20 乐山市易华录投资发展有限公司 Emergency refuge alarm-giving kiosk control system based on attended operation
KR20170034277A (en) * 2015-09-18 2017-03-28 노병철 Safety storage cabinet for evacuation of Disaster and pervert
GR20150100527A (en) * 2015-12-04 2017-08-31 Κωνσταντινος Νικολαου Σουκος School board protecting pupils in emergency situations
KR102144804B1 (en) * 2019-12-05 2020-08-18 국립공원공단 System for avoiding harmful animal
KR102152303B1 (en) * 2019-07-10 2020-09-04 김형숙 Smart Safety boo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176U (en) * 1990-04-10 1991-12-26
JP2005240402A (en) * 2004-02-26 2005-09-08 Renias:Kk Outdoor evacuation facility and burglarproof system
KR100695878B1 (en) * 2005-04-18 2007-03-19 강연구 Fire screen apparatus
KR20120059936A (en) * 2010-12-01 2012-06-11 김창균 physical crime-refug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176U (en) * 1990-04-10 1991-12-26
JP2005240402A (en) * 2004-02-26 2005-09-08 Renias:Kk Outdoor evacuation facility and burglarproof system
KR100695878B1 (en) * 2005-04-18 2007-03-19 강연구 Fire screen apparatus
KR20120059936A (en) * 2010-12-01 2012-06-11 김창균 physical crime-refuge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277A (en) * 2015-09-18 2017-03-28 노병철 Safety storage cabinet for evacuation of Disaster and pervert
KR101722327B1 (en) * 2015-09-18 2017-03-31 노병철 Safety storage cabinet for evacuation of Disaster and pervert
GR20150100527A (en) * 2015-12-04 2017-08-31 Κωνσταντινος Νικολαου Σουκος School board protecting pupils in emergency situations
GR1009339B (en) * 2015-12-04 2018-07-31 Νικολαος Κωνσταντινου Σουκος School board protecting pupils in emergency situations
CN105513303A (en) * 2016-02-03 2016-04-20 乐山市易华录投资发展有限公司 Emergency refuge alarm-giving kiosk control system based on attended operation
KR102152303B1 (en) * 2019-07-10 2020-09-04 김형숙 Smart Safety booth
KR102144804B1 (en) * 2019-12-05 2020-08-18 국립공원공단 System for avoiding harmful anim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80Y1 (en) Safety box
US11462090B2 (en)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586752B1 (en) smart barrier alarm device
US2012031984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ctivate a security protocol using an object with embedded safety technology
US20150146002A1 (en) Door with security features and integrated system
US2013023485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track multiple devices for safety and monitoring purposes
RU2599360C1 (en) Home alarm system
US899453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ctivate a security protocol using an object with embedded safety technology
EP2779119B1 (en) Access control systems with variable threat level
KR101392632B1 (en) Intrusion Alert System utilizing G-Sensors for Entrance Door
US7612667B2 (en) Secured and alarmed window and entry way
CN104832072A (en) Wireless antitheft guardrail connecting piece
KR20150073039A (en) Safe zone
US20210304586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RU2723306C1 (en) Active door protection system with neurolinguistic effect on an intruder and electronic module for this system
US10565857B1 (en) Alarm system
CN206835255U (en) One kind monitoring response apparatus
RU198124U1 (en) Electronic module of the active door protection system with the function of neurolinguistic impact on the attacker
JP7463143B2 (en) Security Systems
TWM550882U (en) Composite intelligent window device
KR101399185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having refuge device and crime prevention service using the same
KR20130143462A (en) Crime prevention devices, windows
Zahorna Security system of the residential premises
US20120126977A1 (en) Alarm system having an indicator light that is external to an enclosed space for indicating an intrusion into the enclosed spa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alarm system
JP2006039796A (en) Security device and progra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