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91Y1 -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 Google Patents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91Y1
KR200471591Y1 KR2020120002558U KR20120002558U KR200471591Y1 KR 200471591 Y1 KR200471591 Y1 KR 200471591Y1 KR 2020120002558 U KR2020120002558 U KR 2020120002558U KR 20120002558 U KR20120002558 U KR 20120002558U KR 200471591 Y1 KR200471591 Y1 KR 200471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ter part
cover
protective cover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867U (en
Inventor
김경혜
Original Assignee
김경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혜 filed Critical 김경혜
Priority to KR2020120002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91Y1/en
Publication of KR20130005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9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합성수지 재질의 투시창(5); 상기 투시창(5)의 주변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3); 및 상기 측면 필터부(3)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3a);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필터부(2a) 및 측면필터부(3)가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호덮개의 투시창을 제외한 면적들에 부직포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담당하게 하여 인체에 위험이 되는 10㎛이하의 황사 등 미세먼지를 확실하게 차단하여 유아의 건강을 보호하는 효고가 있다.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window (5)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see-through window 5; A side filter part 3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an elastic tightening part 3a provided on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side filter part 3 to be elastically tightened, wherein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3 are yellow sand, It can block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fine du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infant's health by reliably blocking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of 10㎛ or less, which acts as a filter by applying the nonwoven material to the areas except the viewing window of the protective cover. .

Description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본 고안은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호덮개의 전부 또는 일부에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황사, 분진, 꽃가루, 미세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 입자들이 보호덮개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유아의 외출시 호흡기 및 피부의 건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and in particular, by using a nonwoven filter material made of fine fibers in all or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various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dust, pollen, and fine du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which prevents particles from passing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to safely protect the respiratory organs and skin health when the child goes out.

일반적으로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거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데는 유아 배낭(baby back carrier)이나 유모차(baby carriage)등을 사용하게 된다.Generally, a guardian uses a baby back carrier or a baby carriage to go out with the infant or to a destination.

유아 배낭은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된 프레임으로서 그 내부에 유아를 앉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평지는 물론 계단이나 전철 또는 버스를 타고 내릴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저가인 장점은 있으나,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동안 유아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매달린 상태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아가 통증을 호소하는 등의 불편한 단점이 있다. Infant rucksack is mainly made of aluminum, so it can sit on the inside, so it can be used conveniently when getting on and off the stairs, trains or buses. Since it must be suspend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there is an uncomfortable disadvantage of the infant complaining of pain over time.

한편, 유모차는 상기 유아 배낭에 비해 고가이지만, 차양이나 바람막이 등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에 좌석과 발판이 있어 유아가 최대한 안락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baby carriage is more expensive than the infant backpack,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provided with a awning or a windshield, and the seat and the footrest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infant can move in the most comfortable state.

보호자가 이러한 유모차에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면서 외출을 할 때에는 외부의 햇볕, 바람, 비 등의 기상적인 요인과 매연, 파리, 모기 등의 벌레에 의한 공격 등 장애요인들에 최대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부모들은 유모차에 보호커버를 씌워서 유아가 비, 바람을 피하도록 하고, 또한 매연이나 벌레 등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하고 있다. When a guardian goes out by pushing or dragging an infant in such a stroller,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obstacles such as external weather, such as sunlight, wind, rain, and an attack by insects such as smoke, flies, and mosquitoes. For this reason, many parents put protective covers on their strollers to keep infants away from rain and wind, and also to avoid the inconvenience of soot and insects.

그러나 기존의 유모차 보호커버들은 유모차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아래 부분과 뒤쪽 부분이 열려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이 그대로 유모차 보호커버의 내부로 들어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existing stroller protective covers are not completely surrounding the stroller, but the lower part and the rear part are mostly open, so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enters the stroller protective cover as it is.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들의 입자크기 분포는 0.001~500㎛까지 다양한데, 이 가운데서 특히 직경 10㎛이하의 크기를 가진 먼지를 미세먼지(fine particles)라고 한다. 일반적인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은 황사,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데, 특히 봄철에 중국과 몽골 지역에서 자주 발생해서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황사에는 직경 10㎛이하의 미세먼지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10㎛보다 큰 먼지와 미립자들은 사람의 코와 기관(氣管)에서 걸러지므로 폐로 들어가는 것이 거의 없어서 의학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보다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들은 그대로 폐 속으로 들어가 폐포(肺胞)에 침착해 버리기 때문에 각종 폐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varies from 0.001 to 500 ㎛, among which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 or less is called fine particles. The common causes of fine dust are yellow sand, sulfurous acid gas, nitrogen oxide, lead, ozone, carbon monoxide, etc., and various kinds of dust, especially in the spring and summer, which occur frequently in China and Mongolia. The large amount of dust is a serious problem. Dust and particles larger than 10㎛ are filtered out of human nose and trachea, so it rarely enters the lungs, so it is not a big medical problem. Because it calms down, it causes various lung diseases.

특히 아직 호흡기능이 취약하고 스스로 보호할 능력이 부족한 어린 유아의 경우에는 외출 시 황사에 그대로 노출된다면 호흡기 질환과 눈병, 피부병 등을 앓을 위험이 크므로, 특히 유아가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절실하다. In particular, young infants who are still weak in respiratory function and lack ability to protect themselves have a high risk of respiratory diseases, eye diseases, and skin diseases if they are exposed to yellow dust when they go out. There is a great need for provision.

그러나 기존의 유모차용 보호커버들은 유모차를 완전히 감싸는 것이 아니어서 아래쪽과 뒤쪽의 열린 틈들을 통해서 황사 등 미세먼지가 그대로 유아에게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고, 설령 보호자가 보호커버를 잘 여며서 밀폐한다고 하더라도 섬유재질로 된 보호커버의 경우에는 그 섬유 재질 자체의 구멍이 커서 미세먼지가 그대로 통과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섬유재질이 아닌 비닐 등의 재질로 된 보호커버의 경우에는 완전히 밀폐해버리면 공기가 아예 통하지 않아 유아가 숨을 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for the stroller did not completely cover the stroller, so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was transmitted to the infant through open gaps in the lower and rear sides, even if the protector opened the protective cover well and sealed it. In the case of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fiber material, the hole of the fiber material itself is large, so that the fine dust passes as it is. In the case of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vinyl instead of a fiber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cannot breathe because the air does not pass at all if it is completely sealed.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서 기존의 유모차용 보호커버들은 황사 등 미세먼지의 위협으로부터 유아들을 안전하게 지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본 고안자는 황사와 같은 미세먼지들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깨끗한 공기성분들만을 안팎으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모차에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과 사용편의성을 모두 향상시킨 새로운 개념의 유모차용 보호덮개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Because of these various reasons, the existing protective cover for baby strollers was not able to keep infants safe from the threat of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Therefore, the inventors completely block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and clean air components only.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protective cover for the stroller, which allows both the inside and outside to pass freely, allowing the infant to breathe comfortably and easily combine with the stroller to improve both functionality and ease of us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호덮개의 전부 또는 일부에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황사, 분진, 꽃가루, 미세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 입자들이 보호덮개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유아의 외출시 호흡기 및 피부의 건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onwoven filter material made of fine fibers in all or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so that various contaminant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dust, pollen, and fine dust cannot pass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s with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that can safely protect the health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skin when going o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합성수지 재질의 투시창(5); 상기 투시창(5)의 주변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3); 및 상기 측면 필터부(3)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3a);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필터부(2a) 및 측면필터부(3)가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ght glass (5)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see-through window 5; A side filter part 3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an elastic tightening part 3a provided on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side filter part 3 to be elastically tightened, wherein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3 are yellow sand,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lock the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fine dus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합성수지 재질의 전면 투시창(50);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좌우에 각각 결합된 합성수지 재질의 측면 투시창들(51);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아래쪽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측면 투시창들(51)의 아래쪽에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들(70); 상기 전면 투시창(50), 측면 투시창들(51),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외측영역 섬유원단(80); 상기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을 봉제(縫製)하여 형성한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 및 상기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이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with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ront view window 50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Side viewing windows 51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Side filter portions 70 made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viewing windows 51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respectively; An outer area fiber fabric 80 coup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ront sight window 50, side sight windows 51, front filter part 2a and side filter parts 70; A handle fitting hole 91a and a stroller fitting hole 92a formed by sewing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And an elastic tightening part provided at at least one edge portion of the handle fitting hole 91a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to be elastically tightened.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The parts 70 may block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합성수지 재질의 전면 투시창(50);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아래쪽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전면 투시창(50) 및 전면 필터부(2a)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들(70); 상기 전면 투시창(50),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외측영역 섬유원단(80); 상기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을 봉제(縫製)하여 형성한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 및 상기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이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ront view window 50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Side filter parts 70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and the front filter part 2a, respectively; An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coup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ront sight window 50,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s 70; A handle fitting hole 91a and a stroller fitting hole 92a formed by sewing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And an elastic tightening part provided at at least one edge portion of the handle fitting hole 91a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to be elastically tightened.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The parts 70 may block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필터부가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로써 각각 제작된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 및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로써 제작되어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의 사이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3);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21) 또는 제2커버 부직포층(22)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가로줄들과 세로줄들로 이루어진 돌출줄부(214)과 상기 가로줄들 및 세로줄들의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된 납작부(213)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over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respectively,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And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layer 23 formed as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or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is a protrusion line part 214 formed of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and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thin thickness between the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 213).

그리고 상기 가로줄 및 세로줄의 폭은 각각 0.5~1.4㎜이며, 상기 납작부는 한 변의 길이가 0.3~1.2㎜인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 및 제2커버 부직포층의 두께는 0.1~0.3㎜이며,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두께는 0.1~0.4㎜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dth of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is 0.5 to 1.4 mm, respectively, and the flat part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of 0.3 to 1.2 mm on one side thereof,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is 0.1 to 0.3 mm. The melt blown nonwove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0.1 ~ 0.4mm.

본 고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보호덮개의 투시창을 제외한 면적들에 부직포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담당하게 하여 인체에 위험이 되는 10㎛이하의 미세먼지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사용되는 부직포 소재는 멜트블로운 공정에 의해서 생산되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멜트블로운 부직포 소재는 1~5㎛ 굵기의 매우 가느다란 미세섬유들이 웹(web) 형태로 결합되어 제조된 것이어서, 황사 등과 같은 미세번지들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황사로부터 유아의 건강을 지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The protective cover for strollers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s as a filter by applying a non-woven material to the areas except the viewing window of the protective cover, thereby ensuring fine dust of 10 μm or less that is dangerous to the human body. It is effective to block. In particular, the nonwoven fabric used in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onwoven fabric produced by a meltblown process, and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is made of very thin microfibers having a thickness of 1 to 5 μm. Since it is manufactured in a combined form, it is very effective to protect the infant's health from yellow dust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collecting micro-addresses such as yellow san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에 탄력밴드가 설치되어 손쉽게 유모차에 장착할 수 있으며, 보호덮개의 재질 자체가 쉽게 접어지고 무겁지 않아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핵심적인 필터기능을 담당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재질만으로는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앞뒤로 스펀본드 타입의 부직포를 추가로 배치하고, 이 스펀본드 부직포를 다시 엠보싱 롤로 가공 처리하여 인장강도를 높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파손의 염려 없이 장기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baby carriage because the elastic band is installed on the edge portion,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cover is easily folded and heavy,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sy handling and storag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meltblown nonwoven material, which is the core filter function, can be easily broken,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is additionally plac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and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processed by embossing roll again. Since the durability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safely for a long time without fear of damage.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앞쪽 사시도이고, 도2는 뒤쪽 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가 유모차(10)에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전면 필터부(2a)에 적용된 전면 필터부재(20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측면 필터부(3)에 적용된 측면 필터부재(30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필터부재(200, 300)의 소재로서 사용되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를 생산하는 장치 및 공정을 도시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필터부재로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를 생산하는 장치 및 공정을 도시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a)의 전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그 뒤쪽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도9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a)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보호덮개(1b)의 앞쪽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13은 상기 유모차 보호덮개(1b)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3 show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1 for the baby carriage of FIGS. 1 and 2 is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10.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front filter member 200 applied to the front filter part 2a of the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side filter member 300 applied to the side filter part 3 of the protective cover 1 for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used as a material of the filter members 200, 300 in 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used as a filter element in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10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1a for a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iew thereof.
FIG. 11 shows a state where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a of FIG. 9 is covered by the baby carriage 10. As shown in FIG.
FIG. 12 shows a front view of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shows a state where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b is covered with the baby carriage 10.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s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앞쪽 사시도이고, 도2는 뒤쪽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는 전면 중앙부분의 투시창(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모두 부직포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전면부(2)에 설치된 투시창(5)은 유모차 안의 유아가 밖을 내다볼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고, 전면부(2)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전면 필터부(2a)와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연결된 측면 필터부(3)는 모두 부직포 소재로 제작되어서 황사 등 미세먼지들을 걸러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l parts except the see-through window 5 of the front center portion is made of non-woven fabric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filter that can block the fine dust as a whole It is characteristic. That is, the see-through window 5 installed on the front part 2 of the protective cover 1 for the baby carriag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infant in the baby carriage to look out, and the front filter part constituting the remaining part of the front part 2. The side filter part 3 connected whil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front filter part 2a may be made of a nonwoven material to filter out fine dust such as yellow sand.

그리고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전면부(2)의 상측 부분에는 역시 부직포 소재로 제작된 햇빛 가림부(4)가 마련되어 있어서, 야외에서 햇빛이 강할 경우 햇빛 가림부(4)를 내리면 투시창(5)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햇빛 가림부(4)는 재봉선(4a)에 의해서 전면부(2)에 별도로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보호덮개(1) 내부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햇빛 가림부(4)는 반드시 상기 전면 필터부(2a) 또는 측면 필터부(3)를 구성하는 부직포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할 필요는 없으며, 일반 섬유천 혹은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ortion (2) of 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1) is provided with a sunscreen part 4 also made of non-woven material, when the sunlight is strong outdoors when the sunscreen part (4) lowers the viewing window ( May cover all or part of 5). At this time, since the sunlight shielding part 4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 by the sewing line 4a separately, it does not play a role of passing air into the protective cover 1. Therefore, the sunlight covering part 4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onwoven material constituting the front filter part 2a or the side filter part 3, but is made of a general fiber cloth or an opaque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상기 전면 필터부(2a)와 측면 필터부(3)는 모두 동일한 부직포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측면 필터부(3)는 유모차(10, 도3 참조)에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强度)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 필터부(3)의 부직포 소재보다는 내구성이 좋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3 may both be made of the same nonwoven material, but the side filter part 3 is a part that is substantially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10 (see FIG. 3) and may not be easily broken. Sinc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trength of the grad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nonwoven fabric which is more durable than the nonwoven fabric material of the said front filter part 3.

도1에는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단면 구성이 확대그림으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앞뒤로 배치된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의 사이에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층(23)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진 수천 개의 방사노즐들을 통해서 방사시키면서 고압 열풍의 공기로 연신(延伸)시켜 굵기가 1~5㎛ 정도 되는 마이크로 파이버(microfiber, 극세사 섬유)로 뽑아내고 균일한 용융섬유 웹(web)으로 결합하여 제조한 부직포로서, 실의 굵기가 매우 얇아 실들 사이의 틈새가 미세하기 때문에 황사 등과 같이 입자가 작은 물질들을 여과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Fig. 1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filter part 2a, which is melt blown between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arranged back and forth. The nonwoven fabric layer 23 is preferably arranged. Meltblown nonwoven fabric is a microfiber with a thickness of 1 ~ 5㎛ by drawing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through thousands of spinning nozzles with very small diameter and drawing it with high pressure hot air. , A non-woven fabric produced by drawing out microfiber fibers and combining them with a uniform molten fiber web, which has a very thin thread and has a small gap between the yarns, so it can filter small particles such as yellow sand There is this.

이처럼 미세물질을 여과하는 특성이 있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반도체 공장 등의 공기정화시설과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되는 헤파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의 핵심 부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전면 필터부(2a)안에 배치함으로써 헤파필터 수준의 공기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실들 사이의 틈새가 1~5㎛ 정도로 작아서, 10㎛ 이하의 황사 등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파필터'라고 하면 0.3㎛ 크기의 입자를 99.97% 이상 포집 가능한 필터를 의미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유모차 보호덮개(1)의 전면 필터부(2a)의 소재로서 멜트블로운 부직포(23)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헤파필터에 준하는 정도의 공기여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filtering fine materials is used as a key component of the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applied to air purification facilities and air purifiers of semiconductor factories. The biggest feature is that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is arranged in the front filter part 2a to perform the air filtration function of the HEPA filter level.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has a small gap of about 1 to 5 μm between the yarns, and effectively blocks fine dust such as yellow sand of 10 μm or less. In general, the term "hepa filter" refers to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particles having a size of 0.3 μm or more, 99.97%.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lt-blown nonwoven fabric 23 is used as a material of the front filter part 2a of the protective cover 1 of a baby carriage. Because of this, the air filtration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f the HEPA filter can be exhibited.

그런데, 멜트블로운 부직포(23)는 여과성능을 상당히 뛰어나지만 그 자체의 인장강도라든지 내구성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23)를 보호하기 위하여 앞뒤에 각각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들로 제작된 제1 및 제2 커버 부직포들(21,22)을 배치하였다. However, since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23 has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but its own tensile strength and durability are very weak, in the present invention, spunbond back and forth to protect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23,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ver nonwovens 21, 22 made of nonwovens were placed.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고분자를 노즐들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용융 압출시킨 후에 냉각하고 이어 이동 중인 컨베이어 벨트 위로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웹(web)을 형성한 다음 이 웹 상태의 섬유집합체를 가열에 의해 열융착하여 부직포로 만든 것으로서, 멜트블로운 부직포 보다는 실들의 틈새가 크지만 인장강도와 신축력이 훨씬 좋아서 전면 필터부(2a)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엠보싱 롤(embossing roll)을 이용해서 한 번 더 압착하게 되면 표면에 줄들을 형성함으로써 훨씬 더 좋은 인장강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전면 필터부(2a)의 단면 구성을 살펴보면, 제1커버 부직포(21)의 표면에 요철식으로 돌출줄부가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엠보싱 롤로 한 번 더 압착 가공함으로써 부직포의 표면에 미세한 가로줄들과 세로줄들을 형성시켜 잡아당기는 힘들에 잘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것이다.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is continuously melt-extruded polypropylene fiber polymer through nozzles, cooled and subsequently laminated onto a moving conveyor belt to form a web, and then heat-sealed the fiber aggregate in this web state by heating. It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gap of the yarn is larger than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but the tensile strength and elasticity is much better, it is suitable for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In addition,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has an advantage of obtaining even better tensile strength by forming lines on the surface when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is pressed once more using an embossing roll. Looking at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shown in Figures 1 and 4, it is shown that the projection line par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21, which is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once with an embossing roll By further compressing, fine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so as to be able to resist the pulling force,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도1 및 도4에는 전면 필터부(2a)의 2개의 앞뒤 커버 부직포층들(21, 22) 중에서 제1커버 부직포층(21)만을 엠보싱 롤로 압착 가공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모든 커버 부직포층(21,22)을 엠보싱 롤로 압착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1 and 4 show that only the first cover nonwoven layer 21 of the two front and rear cover nonwoven layers 21 and 22 of the front filter part 2a is pressed with an embossing roll, and all the cover nonwoven layers 21 (22) can also be crimped with an embossing roll.

그리고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3개의 부직포 소재층들(21, 22, 23)은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일체형으로 접착시킨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유모차 보호덮개라는 사용 용도를 고려할 때 유아에 해로울 수 있는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3개의 부직포 소재층들(21, 22, 23)은 서로 접착시킬 필요 없이 그냥 봉제작업에 의해서만 결합시켜서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hree nonwoven fabric material layers 21, 22, and 23 of the front filter part 2a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4, or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bonded. It may be manufactured. However,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use of adhesives that may be harmful to infants when considering the use of the stroller protective cover, so that the three nonwoven material layers 21, 22, and 23 are not requir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but only by sewing. It may be good to combine them so that they can be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전면 필터부(2a)가 유모차에 앉은 유아의 호흡기 쪽에 위치하여 주된 필터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측면 필터부(3)는 유모차의 옆과 뒤쪽에 배치될 것이므로 내구성이 좋은 스펀본드 부직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필터부(3)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전면 필터부(2a)의 스펀본드 부직포(21)보다 두껍게 제작하여 인장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표면을 엠보싱 롤로 압착 가공하여 가로줄(31)과 세로줄(32)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2 및 도5 참조). Whereas the front filter portion (2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fant's respirator sitting in the stroller to perform the main filter function, the side filter portion (3) will be arranged on the side and rear of the stroller to make a durable spunbond non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f the side filter part 3 is preferably made thicker tha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21 of the front filter part 2a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Particularly, the surfac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f the side filter part 3 is compressed with an embossing roll. It is preferable to form (32) so as to ensure sufficient durability not to be easily broken by use (see Figs. 2 and 5).

상기 투시창(5)은 투명 비닐 소재를 이용해서 제작할 수도 있고, 유아의 시력보호를 위하여 평탄한 판넬(panel) 타입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해서 제작할 수도 있다. The viewing window 5 may be manufactured using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o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flat panel type polycarbonate material for protecting eyesight of an infant.

도2에 도시된 후면 사시도를 참고하면, 측면 필터부(3)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고무줄 등의 탄력밴드(7)가 끼워진 탄성조임부(6a)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조임부(6a)에 의해서 형성된 유모차 끼움구멍(6)을 통해서 보호덮개(1)가 유모차(10)에 덮어 씌워진다(도8 참조). 탄성조임부(6a)에 형성된 고정끈들(8)은 유모차의 전각(17) 및 후각(18)과 핸들(11) 등에 묶기 위해서 필요하며(도3 참조), 이로써 본 고안의 유모차 보호덮개(1)는 기존의 유모차(10)에 쉽게 씌우거나 벗길 수 있고, 씌워진 상태에서도 흔들림 없이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rear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2, the outer edge of the side filter portion 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tightening portion 6a fitted with an elastic band 7 such as a rubber band, by the elastic tightening portion 6a The protective cover 1 is covered with the baby carriage 10 through the formed baby carriage fitting hole 6 (see Fig. 8). Fixing straps (8) formed in the elastic tightening portion (6a) is necessary to bind to the front and rear (17) and the back (18) and the handle (11) of the baby carriage (see Figure 3), thereby protecting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 1) can be easily covered or peeled off the existing baby carriage 10, and can maintain its posture without shaking even when covered.

도2의 도면부호 7a는 탄성조임부(6a) 안의 탄력밴드(7)를 조일 수 있는 밴드홀더이다. Reference numeral 7a of FIG. 2 denotes a band holder capable of tightening the elastic band 7 in the elastic tightening portion 6a.

한편, 도2에는 측면 필터부(3)의 확대도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 위의 확대도에 의하면 측면 필터부(3)를 구성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는 작은 가로줄들(31)과 세로줄들(32)이 서로 교차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돌출줄부(34)를 형성하고 있으며, 가로줄들(31)과 세로줄들(32)의 사이에는 두께가 얇은 납작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줄들(31)과 세로줄들(32)은 측면 필터부(3)의 강도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구성이며, 상기 납작부(33)는 두께가 얇아 공기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2에서 도면부호 35a는 유모차 보호덮개(1)의 외측 방향을 가리키며, 35b는 유모차 보호덮개의 안쪽 방향을 가리킨다.Meanwhile, an enlarged view of the side filter part 3 is shown in FIG. 2. First, according to the above enlarged view, small horizontal lines 31 and vertical lin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side filter part 3. 32 is formed to cross each other to form a protrusion line 34, a thin flat portion 33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line 31 and the vertical line (32). The horizontal lines 31 and the vertical lines 32 are necessary components for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side filter part 3, and the flat part 33 is thin in thickness so that air can easily pass therethrough. In Fig. 2, reference numeral 35a indicates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 and 35b indicates an inner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protection cover.

상기 측면 필터부(3)의 가로줄(31) 및 세로줄(32)의 폭은 0.5~1.4㎜이며, 상기 납작부(33)는 한 변의 길이가 0.3~1.2㎜인 사각형의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측면 필터부(3)의 두께는 0.2~0.7㎜이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필터부(3)의 가로줄(31) 및 세로줄(32)의 폭을 0.8~1.1㎜로 하고, 납작부(33)의 한 변의 길이를 0.4~0.7㎜로 하며, 부직포 층의 두께를 0.3~0.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horizontal line 31 and the vertical line 32 of the side filter part 3 is 0.5 to 1.4 mm, and the flat part 33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one side length of 0.3 to 1.2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filter part 3 is 0.2-0.7 mm. 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width of the horizontal line 31 and the vertical line 32 of the side filter portion 3 is 0.8 to 1.1 mm,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33 is 0.4 to 0.7 mm, The thickness of a nonwoven fabric layer can be 0.3-0.5 mm.

도3은 도1 및 도2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가 유모차(10)에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는 일반적인 형태의 유모차(1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유모차(1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의자(15)의 앞에 앞가이드 부재(14)와 다리받이(15a)가 설치되고 양 옆에 난간부재(13)가 있으며, 머리 위쪽으로는 차양(12)이 설치되어서 비와 햇빛을 막아준다. 그리고 보호자가 끌거나 밀 수 있도록 유모차 핸들(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의자(15)의 아래쪽으로 전각(前脚, 16)과 후각(後脚, 17)이 마련되어 있고, 전륜(16a) 및 후륜(17a)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면부호 16b는 전륜들(16a)을 서로 연결하는 전면 연결프레임을 가리킨다. 3 show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1 for the baby carriage of FIGS. 1 and 2 is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10. Stroller protective c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oller 10 of the general form. The baby carriage 10 has a front guide member 14 and a legrest 15a installed in front of a chair 15 on which an infant can sit, and handrail members 13 on both sides thereof, and a shade 12 above the head. It is installed to prevent rain and sunlight. And the stroller handle 11 is installed so that the guardian can be pulled or pushed, the front and rear (16) and the rear (17, 17) are provided under the chair 15, the front wheel (16a) and the rear wheel ( 17a) are each bonded. Reference numeral 16b denotes a front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 front wheels 16a to each other.

도4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전면 필터부(2a)에 적용된 전면 필터부재(200)의 단면 구조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front filter member 200 applied to the front filter part 2a of the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고하면, 전면 필터부(2a)의 필터부재(200)는 서로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 3개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미세한 여과부(23a)를 제공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3)이 위치하고, 그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3)의 앞뒤에는 스펀본드 부직포로 제작된 제1 및 제2커버 부직포층들(21,22)이 각각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lter member 200 of the front filter part 2a is composed of three nonwoven layers arranged in a non-adhesive state, and has a meltblown nonwoven fabric having a fine filtration part 23a in the center thereof. The layer 23 is loc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nonwoven layers 21 and 22 made of a spunbond nonwoven are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meltblown nonwoven layer 23, respectively.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21)은 표면에 엠보싱 롤 작업에 의해서 가로줄들과 세로줄들이 다수 형성되며, 이 줄들이 돌출된 형태로서 돌출줄부(214)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돌출줄부(214)의 사이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납작부(213)가 존재한다. 공기(A) 중의 미세먼지들(P)은 제1커버 부직포층(21)에 의해서 1차 걸리진 다음 중앙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3)에 의해서 완전히 걸러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유모차 보호덮개(1)를 사용하면 유모차 안의 유아에게는 황사 등의 미세먼지(P)가 완전히 제거된 공기(A)만이 공급되게 된다.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are formed on the surface by the embossing roll operation, and these lines form a protruding line portion 214 as a protruding form. In addition, a flat portion 213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s present between the protruding stripes 214. The fine dusts P in the air A are first caught by the first cover nonwoven layer 21 and then completely filtered by the central meltblown nonwoven layer 23. Therefore, when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the air A from which fine dust P, such as sand dust, is completely removed, is supplied to the infant in the baby carriage.

도5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의 측면 필터부(3)에 적용된 측면 필터부재(300)의 단면 구조도이다. 측면 필터부재(300)는 스펀본드 부직포로 제작되어 어느 정도 크기의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가로줄과 세로줄에 의해서 돌출된 돌출줄부(34)와 그 사이의 납작부(33)로 구성되며, 공기 중의 미세먼지(P)는 부직포 조직에 걸려서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side filter member 300 applied to the side filter part 3 of the protective cover 1 for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ilter member 300 is made of a spunbond nonwoven fabric to effectively remove fine dust of a certain size. Consisting of the protruding file part 34 and the flat part 33 therebetween protruding by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fine dust (P) in the air is caught by the non-woven tissue and can not pass through.

도6은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필터부재(200, 300)의 소재로서 사용되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를 생산하는 장치(500) 및 공정을 도시한다.FIG. 6 shows an apparatus 500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used as a material of filter elements 200 and 300 in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고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생산공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합성수지(501a)를 호퍼(51)에 넣으면 압출성형기(502) 안에서 합성수지(501a)가 용융되어 계량펌프(503)로 이동하며, 용융된 합성수지(501a)는 분출다이(die, 504)의 수많은 노즐들에 의해서 가느다란 실(filament) 형태로 배출된다. 분출다이(504)에 의해서 뽑아져 나온 스펀본드 필라멘트(510)는 다공성의 수집 컨베이어 벨트(505a) 위에 적층되며, 유인송풍기(507)에 연결된 흡입박스(506)가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수집 컨베이어 벨트(505a)위의 스펀본드 필라멘트(510)는 냉각 및 건조가 이루어진다. 냉각 및 건조된 스펀본드 부직포(510a)는 강도 및 물성의 보강을 위해서 엠보싱 롤러(508)에 의해 엠보싱 압착 가공되어 스펀본드 부직포(511)로서 완성되며, 최종적으로 권취롤러(509)에 감겨진다. A spunbond nonwoven fabric production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synthetic resin 501a is placed in the hopper 51, the synthetic resin 501a is melted in the extruder 502 and moved to the metering pump 503, and the melted synthetic resin 501a is ejected from a number of nozzles of the die 504. They are discharged in the form of thin filaments. The spunbond filament 510 drawn out by the blowing die 504 is stacked on the porous collection conveyor belt 505a, and the collection conveyor belt is sucked by the suction box 506 connected to the induction blower 507 to suck air. The spunbond filament 510 above 505a is cooled and dried. The cooled and dried spunbond nonwoven fabric 510a is embossed and compressed by the embossing roller 508 to reinforc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and is completed as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511 and finally wound on the winding roller 509.

도6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502a는 압출성형기(502)의 스크루 샤프트(screw shaft)이며, 502b는 스크루(screw)이고, 505는 수집기이며, 505b는 수집기(505)의 구동롤러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508a는 엠보싱 롤러(508)와 협동하는 압착롤러를 가리킨다.In FIG. 6, reference numeral 502a is a screw shaft of the extruder 502, 502b is a screw, 505 is a collector, and 505b is a driving roller of the collector 505. And reference numeral 508a indicates a pressing roller which cooperates with the embossing roller 508.

도7은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필터부재로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를 생산하는 장치(550) 및 공정을 도시한다. Figure 7 shows an apparatus 550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used as a filter element in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고하여 멜트블로운 부직포 생산공정을 설명하면, 호퍼(501)안에 들어온 수지(501a)는 압출성형기(502)에 의해서 용융 및 압출되어 계량펌프(503)로 이동하며, 이어 분출다이(504)에 의해서 매우 가느다란 다수의 실들의 형태로 배출된다. 이때 멜트블로운 공정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실을 가늘게 연신(延伸)시키는 작용을 위하여 압축기(520)와 히터(521)에 의해서 생성된 고온의 열풍이 분출다이(504)로 공급됨으로써, 분출다이(504)에서 배출되는 실들을 더욱 가늘고 길게 늘여지게 된다. 분출다이(504)에서 뽑아진 가느다란 실들은 다공성의 수집 컨베이어 벨트(505a)위로 적층되며, 이어 냉각 및 건조가 이루어진 다음 캘린더(calender, 518)에 의해서 압착되어 멜트블로운 부직포(518)로서 완성된다. 그리고 권취수단(509a)에 의해서 롤 형태로 감기면 모든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produ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resin 501a introduced into the hopper 501 is melted and extruded by the extruder 502 to move to the metering pump 503. 504) in the form of a number of very thin yarns. At this time, the hot hot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or 520 and the heater 521 is supplied to the blowing die 504 for the action of thinly stretching the yar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melt blown process, Threads discharged from 504 are stretched longer and thinner. The thin threads pulled from the jetting die 504 are stacked on a porous collection conveyor belt 505a, which is then cooled and dried and then compressed by a calender 518 to complete as a meltblown nonwoven 518. do. And when wound in roll form by the winding means 509a, all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re completed.

한편,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500)의 경우에는 실들을 더욱 가늘고 길게 뽑아내기 위해서 분출다이(504) 근처에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봉(52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고전압 장치(522)가 설치된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공정은 도6에서 설명한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공정과 전체적으로는 유사하지만, 고온 열풍의 공기를 가한다는 점과 실들의 굵기가 훨씬 더 가늘다는 점(1~5㎛)에서 차이가 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50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electrode rod 523 to which the high voltage is applied near the ejection die 504 in order to draw the yarns thinner and longer. ) Is installed.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process is generally similar to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in FIG. 6, but differs in that the hot hot air is applied and the thickness of the yarn is much thinner (1-5 μm). .

도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유아의 얼굴이 향하는 전면 필터부(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중의 필터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황사 등의 미세먼지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측면 필터부(3) 역시 미세먼지를 차단하므로 유모차 보호덮개(1) 안의 유아는 미세먼지가 없는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모차 보호덮개(1)는 측면 필터부(3)의 가장자리 부분들이 탄성조임부(6a)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잘 조여지므로, 외부 공기가 여과되지 않은 채로 유모차 보호덮개(1)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10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1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filter part 2a facing the face of the infant is composed of triple filter layers as described above,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can be completely blocked, and the side filter part 3 also blocks fine dust, thereby protecting the stroller. The infant in the cover 1 can breathe clean air free of fine dust. Stroller protective co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side filter portion (3) is elastically tightened well by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6a), it is to enter the stroller protective cover (1) without the outside air filtered Is prevented.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a)의 전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그 뒤쪽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1a for a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iew thereof.

도9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전면 투시창(50)의 좌우측에 측면 투시창들(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투시창(50)과 측면 투시창들(51)의 아래쪽에 각각 전면 필터부(2a)와 측면 필터부들(7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 투시창(50)과 측면 투시창들(51)은 유아의 시력보호를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평탄한 판넬형의 투시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 필터부(2a)와 측면 필터부들(70)은 앞서 제1실시예(도1 내지 도8)에서 설명한 전면 필터부(2a)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 필터부(2a)와 측면 필터부(70)의 소재로는, 중앙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위치하고 그 앞뒤로 스펀본드 부직포로 된 커버 부직포층들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 참조).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side view windows 5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iew window 50, and the lower side of the front view window 50 and the side view windows 51.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s 7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The front viewing window 50 and the side viewing windows 51 preferably use a flat panel viewing window made of polycarbonate to protect the eyesight of the infant, and the front filter unit 2a and the side filter units 70. ) Is preferably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s. 1 to 8). That is, as the material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70,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layer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cover nonwoven fabric layers of spunbond nonwoven fabric are located in front and back (refer FIG. 4). ).

도9에 있어서, 상기 전면 투시창(50), 측면 투시창들(51),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둘레에는 섬유천으로 제작된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이 연결되며, 상기 외측영역 섬유원단(80)에는 봉제작업에 의해서 2개의 구멍들이 형성된다. 즉,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의 상측에는 핸들 끼움구멍(91a)이 형성되며, 아래쪽에는 유모차 끼움구멍(92a)이 형성된다. In FIG. 9, an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made of a fiber cloth is connected around the front viewing window 50, the side viewing windows 51,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s 70. In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two holes are formed by sew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10, the handle fitting hole 9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the baby carriage fitting hole 92a is formed below.

그리고 유모차용 보호덮개(1a)는 전면 투시창(50)과 전면 필터부(2a)의 주변에 지퍼라인(5b)과 지퍼수단(5c)으로 구성된 지퍼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전면 투시창(50)과 전면 필터부(2a)가 측면 투시창(51) 및 측면 필터부(70) 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1a) is provided with a zipper means consisting of a zipper line (5b) and a zipper means (5c) around the front sight window (50) and the front filter portion (2a), the front sight window (50) and the front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filter part 2a to be separated from the side view window 51, the side filter part 70, and the like.

도9에서 미설명부호 5a는 재봉선을 가리키며, 5d는 전면 투시창(50)이 위로 접혀지는 데 필요한 전면 투시창 접이부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201은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소재가 되는 3중 구조의 부직포 필터부재를 가리킨다.In FIG. 9, reference numeral 5a indicates a sewing line, 5d indicates a front viewing window fold necessary for the front viewing window 50 to be folded up, and reference numeral 201 denotes a material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s 70. It refers to a nonwoven filter member having a triple structure.

도10을 참고하면,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의 위쪽에 형성된 핸들 끼움구멍(91a)은 유모차(10)의 핸들(11)이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역할을 하며, 아래쪽에 형성된 유모차 끼움구멍(92a)은 유모차의 몸체가 끼워지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handle fitting hole 91a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serves as a hole into which the handle 11 of the baby carriage 10 is fitted,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ody of the baby carriage is fitted.

상기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에는 각각 고무줄과 같은 탄력밴드가 내장된 탄성조임부들(91, 92)이 형성된다. In the handle fitting hole 91a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elastic tightening parts 91 and 92 in which elastic bands, such as rubber bands, are respectively formed are formed.

한편, 상기 유모차 끼움구멍(92a)의 탄성조임부(92)에는 탄력밴드들(93)이 연결되며, 탄력밴드들(93)에 끼워진 체결고리들(93a)은 S자형의 형태를 가져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Meanwhile, elastic bands 93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92 of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and the fastening rings 93a fitted to the elastic bands 93 have an S-shape to fasten each other. Can be.

도11은 도9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a)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전면 및 측면에 모두 3중의 부직포 필터소재로 제작된 필터부들(2a, 7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아는 이 필터부들(2a, 70)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다. FIG. 11 shows a state where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a of FIG. 9 is covered by the baby carriage 10. As shown in FIG. Since the filter parts 2a and 70 made of a triple nonwoven filter material are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the infant can safely breathe air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by the filter parts 2a and 70.

도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보호덮개(1b)의 앞쪽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13은 상기 유모차 보호덮개(1b)를 유모차(10)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FIG. 12 shows a front view of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shows a state where the baby carriage protective cover 1b is covered with the baby carriage 10.

도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유모차 보호덮개(1b)는 앞서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유모차 보호덮개(1a)와 비교할 때 측면 투시창(51)이 없어지고 대신 측면 필터부(70)가 측면 투시창(51)의 면적부분에까지 확대되어 설치되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나며, 나머지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도12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b)는 유아의 시야가 좁아진 단점은 있지만, 안전한 호흡을위한 여과기능이 한층 강화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troller protective cover 1b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2 has the side view window 51 disappeared and is instead of the side filter part when compared with the stroller protective cove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9 to 11 abov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70 is installed to be enlarged to the area of the side viewing window 51,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same. Therefore, although the protective cover 1b for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fant's field of view is narrow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ration function for safe breathing is further enhanc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보호덮개의 투시창을 제외한 면적들에 부직포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담당하게 하여 인체에 위험이 되는 10㎛이하의 미세먼지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봄철에 유아의 건강보호를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non-woven material in the areas except the see-through window of the protective cover to act as a filter 10㎛ that is dangerous to the human body Since there is an effect of blocking the fine dust relia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the infant's health protection in the spring when frequent yellow dust occurs.

또한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에 탄력밴드가 설치되어 손쉽게 유모차에 장착할 수 있으며, 보호덮개의 재질 자체가 쉽게 접어지고 무겁지 않아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좋아서 2~3년 정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because the elastic band is installed at the edge portion, and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cover itself is easily folded and heavy, so it is easy to handle and store, and also has tensile strength. And it has good durability, so it can be used for 2 ~ 3 years without any problem.

1, 1a, 1b: 유모차용 보호덮개 2: 전면부
2a: 전면 필터부 2b, 4a: 재봉선
3: 측면 필터부 3a, 6a: 탄성조임부
4: 햇빛 가림부 5: 투시창
5a: 재봉선 5b: 지퍼라인
5c: 지퍼 5d: 전면투시창 접이부
6: 유모차 끼움구멍 7: 탄력밴드
7a: 밴드홀더 8: 고정끈
10: 유모차 11: 유모차 핸들
12: 차양 13: 난간부재
14: 앞가이드 부재 15: 의자
15a: 다리받이 16: 전각(前脚)
16a: 전륜(前輪) 16b: 전면 연결프레임
17: 후각(後脚) 17a: 후륜(後輪)
21: 제1커버 부직포 22: 제2커버 부직포
23a: 미세여과부 23: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
31: 가로줄 32: 세로줄
33: 납작부 34: 돌출줄부
35a: 겉면 35b: 안쪽면
50: 전면 투시창 51: 측면 투시창
70: 측면 필터부 80: 외측영역 섬유원단
91: 제1탄성조임부 91a: 핸들 끼움구멍
92: 제2탄성조임부 92a: 유모차 끼움구멍
93, 94: 탄력밴드 93a: 체결고리
200: 전면 필터부재 201: 필터부재
213: 납작부 214: 돌출줄부
300: 측면 필터부재
500: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생산 장치
501: 호퍼(hopper) 501a: 수지(resin)
502: 압출성형기 502a: 스크루 샤프트(screw shaft)
502b: 스크루 503: 계량펌프
504: 분출다이(die) 505: 수집기
505a: 수집 컨베이어 벨트 505b: 구동롤러
506: 흡입박스 507: 유인송풍기
508: 엠보싱 롤러 508a: 압착롤러
509: 권취롤러 509a: 권취수단
510: 스펀본드 필라멘트 510a: 스펀본드 부직포
511: 스펀본드 부직포 완성품 518: 캘린더(calender)
520: 압축기 521: 히터
522: 고전압 장치 523: 전극봉
530: 멜트블로운 필라멘트 530a: 멜트블로운 부직포
531: 멜트블로운 부직포 완성품 550: 멜트블로운 부직포 생산 장치
A: 공기 P: 미세먼지
1, 1a, 1b: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2: front part
2a: front filter part 2b, 4a: sewing line
3: side filter parts 3a, 6a: elastic tightening part
4: shade cover 5: viewing window
5a: seam 5b: zipper line
5c: zipper 5d: front view window folding
6: stroller insertion hole 7: elastic band
7a: band holder 8: fixing strap
10: Stroller 11: Stroller Handle
12: shade 13: handrail member
14: Front guide member 15: Chair
15a: Legrest 16: full length
16a: front wheels 16b: front connection frame
17: olfactory 17a: rear wheel
21: first cover nonwoven fabric 22: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23a: microfiltration 23: melt blown nonwoven fabric
31: Horizontal Line 32: Vertical Line
33: flat part 34: protrusion strip
35a: face 35b: face
50: front view window 51: side view window
70: side filter portion 80: outer region fiber fabric
91: first elastic tightening part 91a: handle fitting hole
92: second elastic tightening unit 92a: stroller fitting hole
93, 94: elastic band 93a: fastening ring
200: front filter member 201: filter member
213: flat part 214: protrusion part
300: side filter member
500: spunbond nonwoven fabric production apparatus
501 hopper 501a resin
502: Extruder 502a: screw shaft
502b: screw 503: metering pump
504: die 505: collector
505a: collection conveyor belt 505b: drive roller
506: suction box 507: manned blower
508: embossing roller 508a: pressing roller
509: winding roller 509a: winding means
510: spunbond filament 510a: spunbond nonwoven fabric
511: spunbond nonwoven fabric finished product 518: calendar
520: compressor 521: heater
522: high voltage device 523: electrode
530: melt blown filament 530a: melt blown nonwoven fabric
531: melt blown nonwoven finished product 550: melt blown nonwoven fabric production apparatus
A: Air P: Fine dust

Claims (11)

합성수지 재질의 투시창(5);
상기 투시창(5)의 주변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3); 및
상기 측면 필터부(3)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3a);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필터부(2a) 및 측면필터부(3)가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필터부(2a)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로써 각각 제작된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 및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로써 제작되어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의 사이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21)과 제2커버 부직포층(2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돌출되어 형성된 가로줄들과 세로줄들로 이루어진 돌출줄부(214); 및 상기 가로줄들과 세로줄들의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된 납작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A viewing window 5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see-through window 5;
A side filter part 3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And an elastic tightening part 3a provided on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side filter part 3 to be elastically tightened.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3 may block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The front filter part 2a may include a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a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each made of a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layer 23 formed as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1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22 may include a protrusion line part 214 formed of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formed to protrude; And a flat portion 213 formed in a thin thickness between the horizontal lines and the vertical lines.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터부(2a)는 스펀본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The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filter part (2a)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상측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5)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햇빛 가림부(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nlight shielding portion (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e-through window (5), yellow sand and the like Protective cover for baby strollers with dust protection. 합성수지 재질의 전면 투시창(50);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좌우에 각각 결합된 합성수지 재질의 측면 투시창들(51);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아래쪽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측면 투시창들(51)의 아래쪽에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 필터부(2a)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들(70);
상기 전면 투시창(50), 측면 투시창들(51),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외측영역 섬유원단(80);
상기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을 봉제(縫製)하여 형성한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
상기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 및
상기 전면 필터부(2a)를 상기 측면 필터부들(70)에 대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지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이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A front viewing window 50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ide viewing windows 51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Side filter portions 70 made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ide viewing windows 51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filter portion 2a, respectively;
An outer area fiber fabric 80 coup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ront sight window 50, side sight windows 51, front filter part 2a and side filter parts 70;
A handle fitting hole 91a and a stroller fitting hole 92a formed by sewing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An elastic tightening part provided at at least one edge portion of the handle fitting hole 91a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to be elastically tightened; And
And a zipper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filter part 2a to the side filter parts 70.
The front filter unit (2a) and the side filter unit 7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lock the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yellow dust, fine dust,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70)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로써 각각 제작된 제1커버 부직포층과 제2커버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로써 제작되어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과 제2커버 부직포층의 사이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70,
A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a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each made of a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is made of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s.
합성수지 재질의 전면 투시창(50);
상기 전면 투시창(50)의 아래쪽에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전면 필터부(2a);
상기 전면 투시창(50) 및 전면 필터부(2a)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부직포 재질의 측면 필터부들(70);
상기 전면 투시창(50),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외측영역 섬유원단(80);
상기 외측영역 섬유원단(80)을 봉제(縫製)하여 형성한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
상기 핸들 끼움구멍(91a)과 유모차 끼움구멍(92a)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마련되어서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탄성조임부; 및
상기 전면 필터부(2a)를 상기 측면 필터부들(70)에 대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지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들(70)이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A front viewing window 50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front filter part (2a) of a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Side filter parts 70 of non-woven material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iewing window 50 and the front filter part 2a, respectively;
An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coup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ront sight window 50,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s 70;
A handle fitting hole 91a and a stroller fitting hole 92a formed by sewing the outer region fiber fabric 80;
An elastic tightening part provided at at least one edge portion of the handle fitting hole 91a and the stroller fitting hole 92a to be elastically tightened; And
And a zipper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filter part 2a to the side filter parts 70.
The front filter unit (2a) and the side filter unit 7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lock the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such as yellow dust, fine dust,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dus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부(2a) 및 측면 필터부(70)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로써 각각 제작된 제1커버 부직포층과 제2커버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로써 제작되어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과 제2커버 부직포층의 사이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ront filter part 2a and the side filter part 70,
A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a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each made of a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is made of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s.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부직포층과 제2커버 부직포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돌출되어 형성된 가로줄들과 세로줄들로 이루어진 돌출줄부(214); 및 상기 가로줄들과 세로줄들의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된 납작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10. The method of claim 7 or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second cover nonwoven fabric layer, protruding string portion 214 consisting of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formed to protrude; And a flat portion 213 formed in a thin thickness between the horizontal lines and the vertical lines. A protective cover for a baby carriage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such as yellow sand. 삭제delete
KR2020120002558U 2012-03-29 2012-03-29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KR2004715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58U KR200471591Y1 (en) 2012-03-29 2012-03-29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58U KR200471591Y1 (en) 2012-03-29 2012-03-29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67U KR20130005867U (en) 2013-10-10
KR200471591Y1 true KR200471591Y1 (en) 2014-03-04

Family

ID=5148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58U KR200471591Y1 (en) 2012-03-29 2012-03-29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9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59B1 (en) * 2018-11-15 2020-04-28 변영식 Stroller cover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4495A1 (en) * 2018-02-06 2019-08-12 Ekonex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Dust-protective, filtering cover for a baby pram
GB2589047A (en) * 2019-03-29 2021-05-26 Richards Stephen Cover for pushchair, carry cot or child's car seat
KR102239405B1 (en) * 2019-10-31 2021-04-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Eco-Friendly Stroller With Air Cleaner And Aauxiliary Pow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546A (en) * 2005-10-04 2007-05-24 Toray Ind Inc Nonwoven fabric for filter
KR20100124585A (en) * 2009-05-19 2010-11-29 박용직 Cover for baby carri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546A (en) * 2005-10-04 2007-05-24 Toray Ind Inc Nonwoven fabric for filter
KR20100124585A (en) * 2009-05-19 2010-11-29 박용직 Cover for baby carri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59B1 (en) * 2018-11-15 2020-04-28 변영식 Stroller cover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67U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591Y1 (en)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CN103169174B (en) Three-dimensional dustproof filtering mask
CN204796796U (en) Antifog haze gauze mask
JP2014166299A (e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41137A (en) Be used for the filter of face shield and adopt the face shield of this filter
CN111248542A (en) Novel C-shaped mouth mask for preventing coronavirus
JP2006223543A (en) Microfiber mask
CN213096228U (en) Nanofiber membrane protective facial mask
CN203137097U (en) Stereoscopic dust mask
JPH09192248A (en) Mask
CN105771112A (en) Ultra-filtration and ultra-adsorption carbon fiber ventilation filte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N215283711U (en) Nano cuprous oxide antibacterial melt-blown cloth for mask
CN210017972U (en) Disposable medical mask
CN203369410U (en) Mask
CN208626839U (en) Anti- dust cover and baby's toter
CN206791732U (en) Filter core and mouth mask for mouth mask
CN208405808U (en) A kind of high filtration performance mask
CN213848880U (en) Mask structure with block piece
CN208259084U (en) A kind of mask reducing respiratory resistance
CN216545139U (en) High-dust-capacity medical high-efficiency low-resistance mask filter material
CN204767899U (en) Nanometer silver air cleaner
CN212345417U (en) Novel head-mounted mask
CN214179264U (en) Dust-proof mask
CN214179260U (en) Cold-proof medical mask
CN212728921U (en) Folding protective particl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