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84Y1 -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84Y1
KR200471084Y1 KR2020130008318U KR20130008318U KR200471084Y1 KR 200471084 Y1 KR200471084 Y1 KR 200471084Y1 KR 2020130008318 U KR2020130008318 U KR 2020130008318U KR 20130008318 U KR20130008318 U KR 20130008318U KR 200471084 Y1 KR200471084 Y1 KR 200471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corative piec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3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홍진
유지환
Original Assignee
유지환
김홍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환, 김홍진 filed Critical 유지환
Priority to KR2020130008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정한 탄성으로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상(예컨대, 캐릭터)을 제공하여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식편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한 탄성으로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상(예컨대, 캐릭터)을 제공하는 장식편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편을 상기 본체의 장식편 장착공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하여 상기 장식편이 상기 장식편 장착공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장식편의 탄발력으로만 상기 장식편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장식편이 상기 장식편 장착공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식편과 상기 장식편 장착공 간의 결합구조와 결합방식을 단순화시켜 제작 공정과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nd in detail, a main body surrounding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constant elasticity,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provide various shapes (eg, characters) to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ecorative piece that can provide decorativeness and aesthe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surrounding the rear and side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constant elasticity, and a decorative piece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character), the decorative piece is the main body When the decorative piece is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the outer side of the decorative piece is pressed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body or the decorative piece so that the decorative piece is mounted o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By mounting,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upling structure and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decorative piece and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to lower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cos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정한 탄성으로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상(예컨대, 캐릭터)을 제공하여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식편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nd in detail, a main body surrounding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constant elasticity,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provide various shapes (eg, characters) to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ecorative piece that can provide decorativeness and aesthetics.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가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미려하고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견고하고 튼튼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protect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which are relatively expensive, from external shocks, protective cases for portable terminals are used. The protective case, as well as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providing a good convenience to the user with a beautiful and ergonomic design, a solid and durable products are on the market.

이러한 보호 케이스들은 단순히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본연의 역할 이외에도, 기존의 단조롭고 밋밋한 디자인을 탈피하여 구매욕구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문양 또는 장식이 인쇄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장식부재들이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These protective cases are use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role of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a variety of patterns or decorations are printed or separate decorative members are used to invigorate the existing monotonous and simple design to inspire the purchase desire.

그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7310호(공개일 : 2012. 10. 24)에 개시되었다. An exampl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12-0007310 (published: October 24, 20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7310호에는 휴대 단말기를 감싸는 케이스에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장식부재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호 케이스의 배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심미감을 높임으로써 수요자의 호기심과 구매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Korean Utility Model Utility Model No. 20-2012-0007310 provides a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 case surround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decorative member is mounted at an end of the fixing member, thereby providing a protective case. By utilizing the back side effectively, the aesthetics were enhanced to inspire consumers' curiosity and purchase desire.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7310호에서 제안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는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케이스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제작 공정과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고정부재와 장식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장착 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2-0007310 requires a separate fixing member is required to secure the decorative member to the case, the structure of the cas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prices have risen. In addition, in order to combine the fixing member and the decorative member to mount the decorative member on the case, the work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case.

더욱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7310호에서 제안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는 단조롭고 밋밋한 통상의 사각 형상 구조를 갖는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부재를 통해 장식부재가 단순 장착되는 구조로서, 장식부재를 통해 표시되는 형상 또는 문양과, 단조로운 구조의 케이스가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지지 못하여 서로 동떨어진 이질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Furthermore,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7310 is a structure in which a decorative member is simply mounted on the back of a case having a monotonous and flat rectangular shape, through a fixing member. There was a limit in maximizing the decoration and aesthetics of the case because the displayed shape or pattern and the case of the monotonous structure do not harmoniz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heterogeneous sense apart from each other.

KR 20-2012-0007310 U, 2012. 10. 24.KR 20-2012-0007310 U, October 24, 2012. KR 10-1226837 B1, 2013. 01. 21.KR 10-1226837 B1, 2013. 01. 21.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에 장착되는 장식편의 장착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 공정과 제품 단가를 낮추면서, 장식편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ile simplify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ecorative piece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while lowe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cost, provid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easy to remove the decorative piece. Its purpose is to.

또한, 본 고안은 장식편을 통해 표출되는 다양한 형상(예컨대, 캐릭터)과 일체화되도록 본체를 형상화하고, 이를 통해 상기 장식편의 형상과 상기 본체의 형상이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도록 하여 보호 케이스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subject innovation is to shape the main body to be integrated with various shapes (eg, characters) expressed through the decorative piece, through which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iece and the shape of the main body harmonize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image to form a protective cas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maximize the decoration and aesthetics 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면부(11)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을 감싸고, 측면부(12)는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측면을 일정한 탄발력으로 강하게 밀착하여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면부(13)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가 상기 전면부(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이 노출되는 장식편 장착공(13a)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형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보다 큰 크기로 제작되어 외측부가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부에 끼워지면 상기 본체(10)의 탄발력 또는 자신의 탄발력으로 장착 고정되는 장식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the front portion 11 surrounds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side portion 12 is the portable terminal ( 1) is formed to be bent forward to wrap tightly close to the side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the rear portion 13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th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11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which exposes the camera module 2 installed at the rear,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nd is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so that the decorative piece is mounted. Removably mounted to the ball (13a), it is made of a larger size tha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when the outer portion is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elastic force of the main body 10 or Equipped with elasticity Which provides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ecorative member (20).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는 외형이 상기 장식편(20)의 외형과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져 상기 본체(10)와 상기 장식편(20)의 외형 결합을 통해 전체로서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표출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body 10 is harmonized with the external shape of the sequin 2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expressing the same image as a whole through the external combin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quin 2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o.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격자 형태로 돌출된 완충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rotrusion (11-1) protruding in the grid 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의 측면부(12)의 내측에는 각종 카드(3)가 상기 전면부(11) 상에 수납되도록 카드 수납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side of the side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receiving groove 12-1 is formed so that the various cards 3 are received on the front portion (11). .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의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13b)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부(13c)와, 상기 장식편(2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21)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스트랩(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ngaging portion 13c provid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13b formed inside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engaging portion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iece 2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p 30 to be detachably attach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한 탄성으로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상(예컨대, 캐릭터)을 제공하는 장식편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편을 상기 본체의 장식편 장착공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하여 상기 장식편이 상기 장식편 장착공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장식편의 탄발력으로만 상기 장식편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장식편이 상기 장식편 장착공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식편과 상기 장식편 장착공 간의 결합구조와 결합방식을 단순화시켜 제작 공정과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main body surrounding the rear and side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constant elasticity, and a decorative piece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variety of shapes (eg, characters) to the user, When the decorative piece is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of the main body and the decorative piece is mounted i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the decorative piece is pressed by pressing the outside of the decorative piece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body or the decorative piece. By being attached to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upling structure and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decorative piece and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to lower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cost.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장식편을 통해 표출되는 형상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본체를 형상화하여 상기 장식편의 형상과 상기 본체의 형상이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도록 함으로써 장식성과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main body to be integrated with the shape expressed through the decorative piece to harmonize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iece and the shape of the main body to form a single image to maximize the decorative and aesthetics hav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면부의 내측에 격자 형태로 돌출된 완충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외부 충격에 대응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켜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by forming a buffer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form of a grid inside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external impact By absorbing the external shock by ca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측면부 내측에 카드 수납홈을 형성함으로써 각종 카드(교통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할인카드 등)을 수납하여 상기 카드를 별도의 지갑에 보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ard receiving groove inside the side of the main body by storing a variety of cards (transport card / credit card / check card / discount card, etc.)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 card in a separate wallet user It can provide convenience to us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측면부의 일측부와, 상기 장식편의 일측부를 스트랩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장식편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보관상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한편, 상기 장식편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decorative piece by mutually using a strap to solve the storage difficulties when the decorative piec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ile the loss of the decorative piece It can preven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rear side of a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order to expla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as viewed from one fron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FIG. 5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seen from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as viewed from a fron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9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7, seen from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1 as viewed from a fron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2;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rear side of a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o expla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rotec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t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viewed from the front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1)가 내측에 장착되는 본체(10)와, 다양한 형상(캐릭터)을 갖도록 제작되어 본체(10)의 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 장식편(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have a main body 1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inside, and has a variety of shapes (characters) And a decorative piece 20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1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전면부(11), 측면부(12) 및 후면부(13)를 포함한다. 3 and 4,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 a side portion 12, and a rear portion 13.

전면부(11)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을 감싸고, 측면부(12)는 휴대 단말기(1)의 측면을 일정한 탄발력으로 강하게 밀착하여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면부(13)에는 휴대 단말기(1)가 전면부(11)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이 노출되는 장식편 장착공(13a)이 마련되어 있다. The front portion 11 surrounds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side portion 12 is formed to be bent forward to wrap tightly to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the rear portion 13 is portable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which exposes the camera module 2 installed i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 was mounted in the front part 11 is provided.

전면부(11)는 휴대 단말기(1)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휴대 단말기(1)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1)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ront part 11 has a rectangula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therein, but this i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be mounted and I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측면부(12)는 전면부(11)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휴대 단말기(1)의 측면에 일정한 탄발력으로 강하게 밀착되어 휴대 단말기(1)를 감싸도록 휴대 단말기(1)의 측면의 곡률에 대응하여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Side portion 12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rectangular border of the front portion 11,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 so as to strongly adhere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to surround the mobile terminal 1 It may be bent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측면부(12)와 후면부(13)는 외형(색상 포함)이 본체(10)의 탄발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되는 장식편(20)의 외형과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져 전체로서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캐릭터)를 형상화하여 표출하도록 제작된다. The side part 12 and the rear part 13 harmonize with each other in harmony with the outer shape of the sequin 20 mounted on the sequin mounting hole 13a so that the outer shape (including color) is detachable by the elasticity of the main body 10. It is produced to shape and express the same one image (character).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편(20)이 귀여운 사람(또는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본체(10)의 측면부(12)는 사람의 귀가 형상화되고, 후면부(13)는 사람의 몸이 형상화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decorative piece 20 has a face shape of a cute person (or animal), the side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has a human ear shaped, The rear portion 13 may form a human body to express the same image as a whole.

즉,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하여, 장식편(20)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일부분을 형상화하고, 본체(10)는 장식편(20)을 통해 표현된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형상을 표현하여 전체로서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보호 케이스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at is, in order to represent the same single image (character), the decorative piece 20 shapes a part of the image to be expresse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main body 10 is represented through the decorative piece 20. By expressing the same shape as a whole by expressing the remaining shapes except the shap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ecorativeness and aesthetics of the protective case.

후면부(13)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식편 장착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장식편 장착공(13a)은 대략 후면부(13)의 전체 면적의 1/3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 둘레에는 장식편(20)과 휴대 단말기(1)를 분리시키는 한편, 장식편(20)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3b)가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is formed in the rear part 13. At this time,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may be formed to the size of about 1/3 of the total area of the rear portion (13). In addition, a seating portion 13b may be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to separate the decorative piece 20 from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o mount the outer side of the decorative piece 20.

본체(10)를 구성하는 전면부(11), 측면부(12) 및 후면부(13)는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1)가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휴대 단말기(1)를 감싸도록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front portion 11, the side portion 12, and the rear portion 13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the portable terminal 1 has a constant elastic forc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therein. (1)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to surround.

예를 들어, 탄발력을 갖는 고무재질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 SBR), 폴리클로로프렌고무(olychloroprene rubber, C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 II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다황화물계(多黃化物系)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 중 어느 하나의 합성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rubber materials having elasticity include styrene butadien rubber (SBR), polychloroprene rubber (CR), nitrile rubbe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and butyl rubber (isoprene-isobutylene). rubber, IIR), isoprene rubber (IR),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polysulfide rubber, silicone rubber, fluoro rubber Synthetic rubber material of any one of (fluororubber), urethane rubber (urethane rubber), acrylic rubber (acrylic rubber) can be used.

본체(10)의 측면부(1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측면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키들(전원스위치, 볼륨조정스위치, 충전 및 통신용 단자, 안테나, 이어폰잭 홀더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키홀 등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ide parts 12 of the main body 10 include various function keys (power switch, volume control switch, charging and communication terminal, antenna, earphone jack, etc.)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 key hole or the like for exposing the holder or the like to the outside is form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장식편(20)은 외형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외형과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본체(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된다. 이때, 장식편(20)을 통해 표현되는 형상은 입체적 또는 평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3 and 4, the decorative piece 2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Preferably,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harmonize with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 and mounted i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In this case, the shape expressed through the decorative piece 20 may be implemented three-dimensional or planar.

이러한 장식편(20)은 휴대 단말기(1)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하고자 할 때, 혹은 서로 다른 외형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장식편(20)을 번갈아 가며 장착하고자 할 때, 장식편(20)을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하여 본체(10)의 장식편 장착공(13a)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ecorative piece 20 is to be photographed or recorded video using the camera module 2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or When alternately mount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ieces 20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shapes,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s of the main body 10 to easily mount or separate the decorative pieces 20 from the main body 10 ( It is preferabl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13a).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20)은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되는 결합구조와 결합방식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장식편 장착공(13a)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하고, 이를 통해 장식편(20)이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될 때, 본체(10)의 고유한 탄발력으로만 장식편(20)의 외측을 가압하여 장식편(20)이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되도록 한다. The decorative pie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in order to simplify the coupling structure and the coupling method mounted o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and thereby the decorative piece 20 When mounted on the sequin mounting hole 13a, the outer side of the sequin 20 is pressurized only by the unique elasticity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equin 20 is mounted on the sequin mounting hole 13a. do.

즉,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20)의 외측 둘레는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식편(20)의 외측 둘레를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 둘레보다 1mm~3mm 정도 크게 형성하여 장식편(20)이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될 때, 장식편(20) 또는 본체(10)가 장식편(20)과 장식편 장착공(13a)의 크기 차이만큼 압착되고, 이와 대응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장식편(20)의 외측부가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안정적인 장착이 이루어진다.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ve pie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Preferab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corative piece 20 is formed to be about 1 mm to 3 mm larger tha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so that the decorative piece 20 is mounted o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20 or the main body 10 is squeezed by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decorative piece 20 and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and the outer side of the decorative piece 20 is decorated with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by the correspon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trongly adhered to the inner side of the) to achieve a stable mounting.

장식편(20)은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장식편(20)이 본체(10)의 장식편 장착공(13a)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장식편 장착공(13a)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한 강도(단단함의 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본체(10)의 탄발력 또는 장식편(20)의 고유한 탄발력만으로 장식편(20)이 장식편 장착공(13a)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quin 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s in the main body 10, the sequin 20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quin mounting hole 13a of the main body 10 and at the same time mounting the sequins The decorative piece 20 is decorated only by the elasticity of the main body 10 or the unique elasticity of the decorative piece 20 by being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degree of rigidity)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ll 13a naturally. It can be made to be mounted stably in the piece mounting hole (13a).

장식편(20)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가 1세트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다수개의 장식편 상면에 표현된 각각의 형상(색상 포함)은 서로 다르지만 모두 본체(10)의 형상과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본체(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때,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장식편은 동일한 본체(10)의 장식편 장착공(13a)에 장착되도록 외측부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The decoration piece 2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having various shapes. Of course, each shape (including color) represe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ie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ll are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harmonize with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ieces having various shapes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shapes of the outer portion have the same structure to each other so as to be mounted o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of the same body (10).

이와 같이, 1개의 본체(10)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장식편(20)을 한 세트로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 또는 현재 심리 상태(장식편이 사람 얼굴 형상인 경우, 웃는 표정, 슬픈 표정, 화난 표정 등)에 따라 장식편 중 어느 하나를 골라 본체(10)에 장착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심리 상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동일 본체를 사용하는 지인과 장식편을 상호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하여 여러 사람이 장식편을 공유하는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Thus, by providing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decorative pieces 20 having different shapes as a set to the consumer, the consumer has his or her own taste or current psychological state (when the ornament is a human face shape, A smiley face, a sad face, an angry face, etc.) may select one of the decorative pieces to be mounted on the body 10 to express one's mental state to others. Furthermore, by using the same body and acquaintances who use the same body interchangeably can be provided so that many people have fun sharing the decora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요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로서, (a)는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B'-B''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nd (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부(11)의 내측에는 휴대 단말기(1)가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예를 들면 지면 낙하에 기인한 충격으로부터 휴대 단말기(1)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전방(휴대 단말기의 후면이 장착되는 방향)으로 격자 형태의 완충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inside the front part 11 of the main body 10,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n response to an external impact, for example, ground dropping. In order to stably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1 from the impact caused, a lattice-shaped buffer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완충돌기(11-1)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전면부(11)의 내부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1)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면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본체(10)의 전방으로 일정 높이, 바람직하게는 3mm~1cm 정도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The buffer protrusion 11-1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1 is minimized in order to minimiz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mounted inside the front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predetermined height, preferably formed at a height of about 3mm ~ 1cm.

이러한 완충돌기(11-1)는 본체(10)의 전면부(11)에 휴대 단말기(1)가 장착된 상태로 본체(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외부 충격에 대응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켜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이를 통해 완충돌기(11-1)는 본체(10)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1)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1)를 보호할 수 있다.When the shock absorbing protrusion 11-1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the shock absorbing protrusion 11-1 causes an elastic de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ock and causes the external Absorb the shock. As a result, the shock absorbing protrusion 11-1 may stably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1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mounted on the main body 10.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FIG. 8 is for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7.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seen from one fron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로서, (a)는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B'-B''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9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9, wherein (a) is A′-A ′. ''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nd (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호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본체(10)의 측면부(12)의 내측부에 각종 카드(3)(예를 들면, 교통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할인카드 등)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홈(1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7 to 10, the portabl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but the main body ( A card accommodating groove 12-1, in which various cards 3 (for example, a transportation card, a credit card, a check card, a discount card, etc.) are accommodated may be further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12 of the side 12. .

카드 수납홈(12-1)은 카드(3)의 범용 크기를 고려하여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측면부(12)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전면부(11)로 휴대 단말기(1)를 장착하기 전에 카드(3)를 카드 수납홈(12-1)에 끼워 수납할 수 있다. The card receiving groove 12-1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ide portion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size of the card 3, and the front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The card 3 may be inserted into the card receiving groove 12-1 befo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FIG. 12 is a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1.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s seen from a fron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2.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호 케이스는 본체(10)와 장식편(20)을 연결하는 스트랩(30, strap)을 더 포함하고, 이를 통해 장식편(20)이 본체(10)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될 때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11 to 13, the portabl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rap 30 connecting the main body 10 and the decorative piece 20, and thereby the decorative piece. Loss can be prevented when the 20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스트랩(30)은 일례로 본체(10)의 안착부(13b)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13c)와, 장식편(2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2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탄성부재의 밴드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The strap 30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o interconnect the coupling part 13c formed inside the seating part 13b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upling part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iece 20. It may be made of a band or synthetic resin, the structure and shape is not limited.

이처럼, 스트랩(30)과 연결되는 결합부(13c)를 안착부(13b)의 내측에 형성하는 이유는 장식편(20)이 장착될 때 결합부(13c)에 걸려 장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reason for forming the coupling part 13c connected to the strap 30 inside the seating part 13b is to prevent the coupling piece 13 from being caught by the coupling part 13c when the decorative piece 20 is mounted. to be.

그리고, 스트랩(30)은 장식편(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식편(20)의 결합부(21)와 착탈가능하도록 잠금이 가능한 고리 구조(예컨대, 열쇠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ap 30 may be formed of a ring structure (eg, a key ring) that is lockable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ortion 21 of the decoration piece 20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decoration piece 20.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휴대 단말기
2 : 카메라 모듈
3 : 카드
10 : 본체
11 : 전면부
11-1 : 완충돌기
12 : 측면부
12-1 : 카드 수납홈
13 : 후면부
13a : 장식편 장착공
13b : 장식편 안착부
13c, 21 : 결합부
20 : 장식편
30 : 스트랩
1: mobile terminal
2: camera module
3: card
10: Body
11: front part
11-1: Shock Absorber
12: side part
12-1: Card slot
13: rear part
13a: decorative fittings
13b: decorative seat
13c, 21: coupling part
20: decoration
30: strap

Claims (5)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면부(11)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을 감싸고, 측면부(12)는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측면을 일정한 탄발력으로 강하게 밀착하여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면부(13)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가 상기 전면부(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이 노출되는 장식편 장착공(13a)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10); 및
일정한 탄발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형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보다 큰 크기로 제작되어 외측부가 상기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부에 끼워지면 상기 본체(10)의 탄발력 또는 자신의 탄발력으로 장착 고정되는 장식편(20);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외형이 상기 장식편(20)의 외형과 상호 조화롭게 어우러져 상기 본체(10)와 상기 장식편(20)의 외형 결합을 통해 전체로서 동일한 하나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표출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the front portion 11 surrounds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side portion 12 to wrap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close contact with a strong elastic force It is formed to be bent forward, the rear portion 13 is a decorative piece mounted to expose the camera module 2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11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ball 13a; And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nd the outer shape is made to have a variety of shapes are mounted so as to be detachable to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the outer portion is made of a larger size than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A decorative piece (20) fix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body (10) or its own elastic force when inserted into an inn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 RTI >
The main body 10 is designed so that the outer shape harmonizes with the outer shape of the sequin 20 so as to shape and express the same image as a whole through the outer combin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quin 20.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격자 형태로 돌출된 완충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case (11) of the main body (10) is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rojection (11-1) protruding in the form of a gri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부(12)의 내측에는 각종 카드(3)가 상기 전면부(11) 상에 수납되도록 카드 수납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receiving groove 12-1 is formed inside the side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so that various cards 3 are received on the front portion 1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장식편 장착공(13a)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13b)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13c)와, 상기 장식편(2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21)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스트랩(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Detach the engaging portion 13c form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13b formed inside the decorative piece mounting hole 13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engaging portion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iece 20.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p 30 to be connected to enable.
KR2020130008318U 2013-10-10 2013-10-10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04710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18U KR200471084Y1 (en) 2013-10-10 2013-10-10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18U KR200471084Y1 (en) 2013-10-10 2013-10-10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84Y1 true KR200471084Y1 (en) 2014-02-10

Family

ID=5141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18U KR200471084Y1 (en) 2013-10-10 2013-10-10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8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34B1 (en) * 2021-08-24 2022-11-09 권동훈 Handshake phon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12Y1 (en) * 2011-04-14 2012-12-03 주식회사 다스텍 Case of portable terminal
KR20130002911U (en) * 2013-04-02 2013-05-15 유지환 Cover Case For Mobile Phone And Set Using The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12Y1 (en) * 2011-04-14 2012-12-03 주식회사 다스텍 Case of portable terminal
KR20130002911U (en) * 2013-04-02 2013-05-15 유지환 Cover Case For Mobile Phone And Set Using The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34B1 (en) * 2021-08-24 2022-11-09 권동훈 Handshake phon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8671A1 (en) Battery Charging Case with Changeable Panel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26680S1 (en) Mobile phone
USD676432S1 (en) Snap mobile phone case
USD545220S1 (en) Combined watch with USB plug
USD653564S1 (en) Combined watch case, time piece, and removable watch band
USD832831S1 (en) Full protective mobile phone case
USD606886S1 (en) Wrist watch
CA147304S (en) Combined plunger and housing assembly
CA140449S (en) Flexible rfid housing
CA134667S (en) Toner cartridge
CA134669S (en) Toner cartridge
CA134325S (en) Combined collection container cap and assembly
USD600142S1 (en) Wrist watch case with band
KR200465624Y1 (en) Cellular phone case with decoration
USD856997S1 (en)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200465394Y1 (en) 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130113655A (en) Cellular phone case with functional kit
KR200471084Y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30040034A (en) Multi-function smart phone case
KR200461407Y1 (en) Mobile Phone Case
USD614513S1 (en) Wrist watch case with band
CN203952715U (en) A kind of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KR101246791B1 (en) Case for cellular phone
KR200463912Y1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KR200469662Y1 (en) case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