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15Y1 - Indian tent for children - Google Patents

Indian tent for childr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15Y1
KR200470815Y1 KR2020120001119U KR20120001119U KR200470815Y1 KR 200470815 Y1 KR200470815 Y1 KR 200470815Y1 KR 2020120001119 U KR2020120001119 U KR 2020120001119U KR 20120001119 U KR20120001119 U KR 20120001119U KR 200470815 Y1 KR200470815 Y1 KR 200470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urtain
children
india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1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022U (en
Inventor
박세성
Original Assignee
박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성 filed Critical 박세성
Priority to KR2020120001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15Y1/en
Publication of KR20130005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1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봉 세트를 이루는 복수개의 봉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수렴하고 각 봉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각 봉의 상단이 서로 교차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방사상을 이루게 됨으로 인한 외관상,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고, 각 봉의 상단을 강하게 결합시켜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봉 세트의 지지력을 극대화하며, 원단에 구비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 레일식 커튼을 구비하되, 커튼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끈을 이용하여 커튼의 레일을 형성하고, 커튼이 창문 주변의 캐릭터 또는 사물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창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다른 상황이 연출되도록 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각 봉을 복수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봉의 결합부위에는 일측 봉에 고정되는 파이프를 삽입시켜 봉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디언 텐트의 이동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한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봉이 다각뿔 형상으로 조합되며, 상단이 상호 고정되는 봉 세트; 상기 봉 세트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면이 개방가능한 원단; 상기 원단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창문; 및 상기 창문을 개폐하는 레일식 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More specifically, by converging the tops of the plurality of rods constituting the rod set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and fixing each other by using a wire or the like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top of each rod, when the tops of the rods cross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s are radi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afety and appearance due to the achievement, to maximiz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od set to form the skeleton of the Indian tent by strongly bonding the top of each rod, and equipped with a rail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provided in the fabric, the curtain The rails of the curtains are formed by using a string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ile the support for them is sufficient, and the curtains are arranged to be part of the characters or objects around the windows, so that different situations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indows are opened. Not only stimulates the curiosity of infants and children, but also separates each rod into a plurality Infants and children's Indian tents maximize the mobility and portability of Indian tents by inserting pipes fixed to one rod to one side of the rods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and dismantle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of the rods. It is abou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rods are combin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yramid, the top of the rod set is fix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surrounding the rod set; A window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And it provides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 curtai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Description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Indian tent for children}Indian tent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봉 세트를 이루는 복수개의 봉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수렴하고 각 봉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각 봉의 상단이 서로 교차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방사상을 이루게 됨으로 인한 외관상,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고, 각 봉의 상단을 강하게 결합시켜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봉 세트의 지지력을 극대화하며, 원단에 구비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 레일식 커튼을 구비하되, 커튼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끈을 이용하여 커튼의 레일을 형성하거나 커튼식 창문의 형태를 하며, 커튼이 창문 주변의 캐릭터 또는 사물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창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다른 상황이 연출되도록 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각 봉을 복수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봉의 결합부위에는 일측 봉에 고정되는 파이프를 삽입시켜 봉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디언 텐트의 이동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한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More specifically, by converging the tops of the plurality of rods constituting the rod set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and fixing each other by using a wire or the like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top of each rod, when the tops of the rods cross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s are radi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afety and appearance due to the achievement, to maximiz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od set to form the skeleton of the Indian tent by strongly bonding the top of each rod, and equipped with a rail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provided in the fabric, the curtain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rails of the curtains are formed using a string or in the form of a curtained window, and the curtains are part of a character or an object around the window. To create different situations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infants and children. In addition, the rods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rods, and a pipe fixed to one rod is inserted into the rod coupling por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and dismantle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of the rod. It is about the maximized infant and child Indian tent.

일반적으로 유아기를 거쳐 보통 3세 이상부터는 자신만의 영역을 갖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심리가 발생한다. 이때부터 아이들은 조그만 공간 내지는 구석진 곳에서 자신의 영역을 형성하고자 한다.Generally, through the infancy, the instinctive psychology of a person who wants to have his / her own area from the age of 3 years or older usually occurs. From this point on, the children want to form their own area in a small space or a corner.

이러한 심리를 반영하여 공간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볼을 쥐고 몸으로 눌러 감각기능을 익히게 하는 볼플 완구, 자신의 몸을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움막 형태의 간이 텐트 등이 유아 및 어린이들의 활동교구로 시판되고 있다.The volleyball toys that hold the balls and hold the balls to learn the senses by forming the space to reflect these psychological thoughts and the simple tent of the hut form that allows the body to enter the space are the activities parapets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is commercially available.

이러한 놀이용 텐트는 가옥형 또는 박스 형상을 취하고 있고, 대부분 천 재질로 제작되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각 모서리의 내측에는 일정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의 지지폴이 내장되어 일반적인 텐트와 같이 박스 형태이거나 가옥형 형상으로 공간을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These play tents take the shape of a house or a box, and most of them are made of cloth material.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the support pockets of the elastic body which can keep a certain shape inside each corner are built in, Shape or a house-like shape.

그리고, 적어도 한 면에는 유아 및 어린이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파스너로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는 도어를 마련하고, 도어와 함께 각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문을 형성하여 소형의 집 형태를 연상시키도록 하고 있다.At least one side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by a slide fastener so that infants and children can open and close the door. .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텐트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여 아이들이 이러한 공간 내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한 점 이외에는 별다른 놀이를 할 수 없고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하는 관계로 금방 싫증을 내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t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forms a small space so that children can get in and out of the space, so they can't play very well and get tired of their curiosity.

이러한 일반적인 유아 및 어린이용 텐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디언들의 텐트 형태를 취하는 접이식 인디언 텐트가 등장하게 되었다.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se general infant and child tents, folding Indian tents, which take the form of Indian tents, have emerged.

인디언 텐트는 대략 오각뿔 형상을 취하며, 이러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목봉을 이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천으로 뼈대를 감싸는 구성을 하고 있다. The Indian tent has a pentagonal pyramid shape, and in order to maintain such a shape, a skeleton is made of wooden sticks and the skeleton is wrapped in cloth.

그러나, 일반적인 인디언 텐트는 복수개의 목봉이 텐트의 상단에서 모이면서 겹쳐져 상호 교차하면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외관상으로 보기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However, a typical Indian tent has a plurality of sticks gathered at the top of the tent, overlapping each other, protruding radially, not only in appearance but also in danger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또한, 목봉은 대략 180cm 내외의 길이를 가지므로 인디언 텐트를 야외로 이동시킬 때 승용차로의 이동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디언 텐트는 야외에서도 충분히 사용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동의 불편함 때문에 집안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bar has a length of about 180c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to a passenger car when moving the Indian tent outdoors. Although Indian tents can be used outdoors,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 only be used in homes due to the inconvenience of moving.

한편, 일반적인 인디언 텐트에도 창문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 레일식 커튼을 설치하기 어려워 양방향으로 커튼을 당겨 각각 묶는 방식에 그치고 있다. 레일식 커튼을 위해 철사 등을 이용하더라도 목봉을 둘러싸는 원단에 철사를 결합시키면 원단이 찢어지고 어린이들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a window is formed in a general Indian ten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rail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and the curtains are pulled in both directions and bound together. Even if wires are used for the rail curtains, if the wires are bonded to the fabric surrounding the bar, the fabric may be torn and children may experience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각 봉의 상단이 서로 교차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방사상을 이루게 됨으로 인한 외관상,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고,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봉 세트의 지지력을 극대화하며, 창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다른 상황이 연출되도록 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봉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디언 텐트의 이동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한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when the top of each rod crosses each other, the projected parts are radially solved in appearance, to solve the safety problem, and of the rod set forming the skeleton of the Indian tent Maximizes the capacity of the support, stimulates the curiosity of infants and children by creating different situ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not, and maintains the rod's support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and dismantle the t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Indian tents for infants and children that maximize se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는 복수개의 봉이 다각뿔 형상으로 조합되며, 상단이 상호 고정되는 봉 세트; 상기 봉 세트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면이 개방가능한 원단; 상기 원단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창문; 및 상기 창문을 개폐하는 레일식 커튼 또는 교차식 커튼 또는 덮개식 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fant and child Indian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rods are combin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yramid, the top of the rod set is fix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surrounding the rod set; A window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 curtain or cross curtain or cover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또한, 상기 봉 세트를 이루는 각 봉의 상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수렴되고, 각 봉의 상단에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공을 관통하는 철사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each rod constituting the rod set is converged without crossing each other, the upper end of each ro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it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a wire passing through each of the coupling holes.

또한, 상기 봉 세트의 상단을 덮는 고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solid covering the top of the rod set.

또한, 상기 각 봉은 제1봉과 제2봉으로 분리 가능하며, 제1봉과 제2봉은 똑딱이 또는 자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rod may be separated into a first rod and a second rod, and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ick or a magnet.

또한, 상기 제1봉과 제2봉의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봉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ipe is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pipe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본 고안에 의하면 봉 세트를 이루는 복수개의 봉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수렴하고 각 봉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각 봉의 상단이 서로 교차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방사상을 이루게 됨으로 인한 외관상,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고, 각 봉의 상단을 강하게 결합시켜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봉 세트의 지지력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ds constituting a rod set converge so that they do not cross each other and are fixed to each other by using a wire or the like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top of each ro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s are radial when the tops of each rod cross each other. Appearance due to the appearance, to solve the safety problem, by strongly combining the top of each rod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od set forming the skeleton of the Indian tent.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단에 구비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 레일식 커튼을 구비하되, 커튼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끈을 이용하여 커튼의 레일을 형성하고, 커튼이 창문 주변의 캐릭터 또는 사물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창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다른 상황이 연출되도록 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ail-type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provided in the fabric, while the support for the curtain is sufficient to form a rail of the curtain by using a string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 curtain around the window By arranging to be a part of the character or thing, the window is ope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produce a different situation is effective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infants and children.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각 봉을 복수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봉의 결합부위에는 일측 봉에 고정되는 파이프를 삽입시켜 봉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디언 텐트의 이동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a plurality of rods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by inserting a pipe that is fixed to one ro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od to maintain the support of the rod,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and dismantl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mobility and port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봉 세트의 상단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1 중 창문과 레일식 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1 중 각 봉의 분리 및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레일식 커튼 대신 교차식 커튼으로 구현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레일식 커튼과 교차식 커튼 대신 덮개식 커튼으로 구현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에는 분리되어 있는 목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rance of the infant and child Indian tent of Figure 1 opened;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upper coupling structure of the rod set of Figure 1,
5 to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indow and the rail curtain in Figure 1,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of each bar in FIG.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implemented by a crossover curtain instead of a rail curtain,
14 and 15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mplemented as a cover curtain instead of a rail curtain and cross curtai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ed wooden ba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or modify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봉 세트의 상단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 중 창문과 레일식 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 중 각 봉의 분리 및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trance of the infant and child Indian tent of FIG. 1 open; FIG.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upper coupling structure of the rod set of FIG. 5 to 8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window and the rail curtain in FIG.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of each bar in FIG.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봉(10)으로 구성되는 봉 세트, 원단(20), 창문(30), 레일식 커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fant and child Indian 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11, a rod s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ds 10, fabric 20, window 30, rail curtain 40 is made.

봉 세트는 복수개의 봉(10)이 다각뿔 형상으로 조합되며, 각 봉의 상단이 상호 고정된다. 봉(10)은 목봉인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복수개의 봉(10)이 오각뿔 형상으로 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뿔, 육각뿔 등 다른 다각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봉 세트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Rod set is a plurality of rods 10 are combined in a polygonal pyramid shape, the top of each rod is fixed to each other. Rod 10 is preferably a wooden rod, of course, may be formed of other materials, including plastic.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the plurality of rods 10 are combined in a pentagonal pyramid shape, they may be formed in other polygonal pyramid shapes such as square pyramid and hexagon pyramid. The shape of the rod set is not limited her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봉 세트를 이루는 각 봉(10)의 상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수렴된다. 각 봉(10)의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인디언 텐트와 같이 각 봉의 상단이 서로 교차하여 돌출된 부분이 방사상을 이루게 됨으로 인한 외관상, 안전상 문제가 해결된다.3 and 4, the tops of the rods 10 constituting the rod set converge without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ince the tops of the rods 10 do not cross each other, a problem arises in appearance and safety due to the radial portions of the tops of the rod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s in the conventional Indian tent, to form a radial shape.

각 봉(10)의 상단에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각 결합공을 관통하는 철사(12)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봉(10)의 상단이 강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봉 세트의 지지력이 극대화된다.A coupling hol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each rod 10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wire 12 or the like passing through each coupling hole. Since the upper end of each rod 10 is strong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rod set forming the skeleton of the Indian tent is maximized.

봉 세트의 상단에는 고깔(60)이 덮여지므로, 외부에서는 봉 세트의 상단이 드러나지 않아 디자인적인 요소를 살리고 유아 및 어린이의 호기심을 보다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고깔(60, 16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과 같이 산타클로스 모자 또는 도 7과 같이 마법사 모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top of the rod set is covered with a goku (60), the top of the rod set is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to save the design elements and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infants and children more. The collars 60 and 16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anta hat as shown in FIG. 1 or a wizard hat as shown in FIG. 7.

원단(20)은 봉 세트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출입구(22)를 형성한다. The fabric 20 surrounds the set of rods and forms at least one side opening so that the at least one side is opened.

또한, 도 4와 같이 원단(20)에 봉(10)이 삽입되는 공간인 봉 삽입부(24)를 별도로 형성하여 봉(10)과 원단(20)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원단(20)의 흘러내림과 구겨짐을 최소화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rod inserting portion 24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rod 10 is inserted into the fabric 20, as shown in Figure 4 so that the rod 10 and the fabric 20 is easily coupled, the fabric 20 Minimize bleeding and wrinkling.

창문(30)은 원단(20)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십(十)자 형상의 창문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 window 3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20. Although the figure shows a cross-shaped window,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레일식 커튼(40)은 창문(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창문(30)을 개폐한다.Rail curtain 4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30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30).

일반 가정이나 건축물에 레일식 커튼을 부착하는 것은 용이하나, 접이식 텐트인 인디언 텐트의 원단에 레일식 커튼을 형성하는 것은 기술적인 요소와 봉제기술을 필요로 한다.It is easy to attach a rail curtain to a home or a building, but forming a rail curtain on the fabric of an Indian tent, which is a folding tent, requires technical elements and sewing techniques.

예컨대, 일반 가정의 레일식 커튼과 같이 철사를 이용하여 레일을 형성할 경우, 철사의 양측 단부가 원단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원단이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고 철사의 양측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 그리고, 철사가 원단에 고정된다 하더라도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rail is formed using a wire, such as a rail curtain of a typical home, both ends of the wire must be fixed to the fabric, and in this process, the fabric can be damaged or broken, and both ends of the wire are hardly fixed. . And even if the wire is fixed to the fabric there is always a risk of safety accidents for infants and children.

본 고안에서 레일식 커튼(40)은 일반끈 또는 가죽끈의 양측 단부를 원단(20)에 봉제를 통해 고정시키고, 일반끈 또는 가죽끈에 커튼을 달아 레일식 커튼 기능을 살리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러한 일반끈 또는 가죽끈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창문 주변의 캐릭터 또는 사물(도 5 및 도 6에서는 눈사람 목 바로 아래의 주름진 부분)로 가려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type curtain 40 secures both ends of the general strap or leather strap through sewing on the fabric 20, and attaches a curtain to the general strap or leather strap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ile utilizing the rail-type curtain function. To prevent. Such a general strap or leather strap may be covered by a character or an object (a corrugated portion just below the snowman's neck in FIGS. 5 and 6) around the window such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S. 5 and 6.

또한, 레일식 커튼(40)은 원단(20)에 구비된 캐릭터 또는 사물의 일부를 이루도록 디자인하여, 레일식 커튼(40)으로 창문(30)을 개방할 경우와 폐쇄할 경우에 각각 별도의 상황이 발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ail-type curtain 40 is designed to form a part of the character or object provided in the fabric 20, a separate situ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30 with the rail-type curtain 40, respectively This should happen.

예컨대, 도 5와 같이 레일식 커튼(40)이 눈사람의 옷 또는 목도리가 되도록 배치하여 창문(30)을 폐쇄할 경우에는 눈사람이 옷을 입은 상황이 되고, 창문(30)을 개방할 경우에는 눈사람이 목도리를 두른 상황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losing the window 30 by arranging the rail curtain 40 to be a snowman's clothes or shawl as shown in FIG. 5, the snowman is dressed, and when the window 30 is opened, the snowman It can be implemented to be in a situation with this shawl.

또한, 도 7과 같이 레일식 커튼(140)이 우주선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하여 창문(130)을 폐쇄할 경우에는 창이 없는 우주선이 되고, 창문(130)을 개방할 경우에는 창이 있으면서 장식을 두른 우주선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rail-type curtain 140 is disposed to be a part of the ship, the window 130 is closed when the window 130 is closed, and when the window 130 is opened, the ship having a window and decorated with a window It can also be implement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레일식 커튼 대신 교차식 커튼으로 구현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중앙에서 교차되는 커튼을 그대로 두면 부엉이의 배모습이 되고, 부엉이 배를 이루는 커튼을 걷으면 창문이 나타난다. 도 13과 같이, 중앙에서 교차되는 커튼을 그대로 두면 돛단배의 돛이 되고, 돛을 이루는 커튼을 걷으면 창문이 나타난다.12 and 13,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crossing curtain instead of a rail curtain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ure 12, leaving the curtain crosses in the center as it becomes the owl's belly, the window appears when you walk the curtain forming the owl belly. As shown in FIG. 13, when the curtains intersected at the center are left as they are, the sail becomes a sail boat, and when the curtains forming the sails are walked, a window appears.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레일식 커튼과 교차식 커튼 대신 덮개식 커튼으로 구현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와 같이, 덮개 형태의 커튼을 그대로 두면 잠자는 달님, 덮개를 상부방향으로 올려서 고정시키면 창문이 나타난다. 도 15와 같이, 덮개 형태의 커튼을 그대로 두면 나무의 잎이 되고, 덮개를 상부방향으로 올려서 고정시키면 창문이 나타난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an example of a cover curtain is shown instead of a rail curtain and a cross curtain. As shown in Figure 14, if the curtain in the form of a cover as it is sleeping moon, when the cover is lifted up to fix the window appears. As shown in Figure 15, if you leave the curtain in the form of a cover as a leaf of the tree, the window appears when the cover is lifted upwards.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 봉(10)은 제1봉(10a)과 제2봉(10b)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봉이 상단봉과 하단봉의 2개로 분리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9 to 11, each rod 10 is implement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In the drawings, one rod is separated into two of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s an example, but may be implemented to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as necessary.

이와 같이 봉 세트를 이루는 각 봉(10)이 복수개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이동성 및 휴대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분리하여 이동한 후 설치시에도 간단한 작업에 의해 제1봉(10a)과 제2봉(10b)이 결합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조립과 해체를 수행할 수 있다.Thus, each rod 10 constituting the rod se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ximal mo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is coupled by a simple operation even when moving to remove the installation, anyone can easily perform assembly and disassembly.

일례로 제1봉(10a)과 제2봉(10b)은 똑딱이 결합방식 또는 자석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결합방식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may be coupled using a tick coupling method or a magnet coupling method, and other coupling methods are possible.

도 9에는 제1봉(10a)과 제2봉(10b)이 똑딱이 형태로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봉(10a)의 단부에는 돌출부(14a)가 구비되고, 제2봉(10b)의 단부에는 돌출부(14a)에 대응되는 요홈부(14b)가 구비된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are coupled in a tick form. To this end, a protrusion 14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rod 10a, and a recess 14b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4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rod 10b.

도 10에는 제1봉(10a)과 제2봉(10b)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봉(10a)의 단부에는 자석부(16a)가 구비되고, 제2봉(10b)의 단부에는 자석부(16a)에 달라붙는 금속부(16b)가 구비된다.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ar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of a magnet. To this end, a magnet portion 16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rod 10a, and a metal portion 16b is attached to the magnet portion 16a at the end of the second rod 10b.

도 11을 참조하면, 제1봉(10a)과 제2봉(10b)의 연결부에는 파이프(50)가 삽입된다. 일례로 파이프(5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파이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1, a pipe 50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rod 10a and the second rod 10b. For example, the pipe 50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and the pipe 50 is not limited thereto.

파이프(50)는 제1봉(10a)의 하단에 피스(52)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일례로 제1봉(10a)은 상단목봉, 제2봉(10b)은 하단목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이프(50)는 상단목봉에 고정된다. 파이프(50)의 중앙부분에 점선으로 표기된 부분은 똑딱이 또는 자석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파이프(50)가 상단목봉 또는 하단목봉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파이프(50)가 고정되어 있는 목봉에 파이프(50)가 없는 목봉을 삽입시켜 똑딱이 또는 자석으로 결합시키기만 하면 두 개의 목봉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이프는 하단목봉에 고정될 수도 있다.Pipe 5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10a) using a piece 52 or the like. For example, the first rod 10a may be an upper bar, the second rod 10b may be a lower bar, and in this case, the pipe 50 is fixed to the upper bar. The dotted part in the center of the pipe 50 is the part where the tip or magnet is located. Since the pipe 50 is fixed to the upper bar or the lower bar as described above, the two bars are firmly inserted by inserting the bar without the pipe 50 into the bar to which the pipe 50 is fixed, and joining them with a tick or a magnet. To be combined. Although not shown, the pipe may be fixed to the lower bar.

두 개의 목봉을 서로 분리할 경우에도 한 손에 파이프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파이프가 없는 목봉을 파지한 후 서로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된다.Even when separating two sticks from each other, the pipes are held in one hand, the pipes without pipes are held in the other hand, and they are easily separated.

도 16에는 분리되어 있는 목봉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6 shows a separate wooden stick.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봉 20 - 원단
30 - 창문 40 - 레일식 커튼
50 - 파이프
10-Rod 20-Fabric
30-Window 40-Rail Curtain
50-pipe

Claims (5)

복수개의 봉이 다각뿔 형상으로 조합되며, 상단이 상호 고정되는 봉 세트; 상기 봉 세트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면이 개방가능한 원단; 상기 원단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창문; 및 상기 창문을 개폐하는 레일식 커튼 또는 교차식 커튼 또는 덮개식 커튼을 포함하고,
상기 봉 세트를 이루는 각 봉의 상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수렴되고, 각 봉의 상단에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공을 관통하는 철사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각 봉은 제1봉과 제2봉으로 분리 가능하며, 제1봉과 제2봉은 똑딱이 또는 자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원단에는 봉이 삽입되는 공간인 봉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식 커튼은 끈의 양측 단부를 원단에 봉제를 통해 고정시키고, 끈에 커튼을 달되, 끈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창문 주변의 캐릭터 또는 사물로 가려지고, 상기 레일식 커튼은 원단에 구비된 캐릭터 또는 사물의 일부를 이루어 레일식 커튼으로 창문을 개방할 경우와 폐쇄할 경우에 각각 별도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A plurality of rods are combined in a polygonal pyramid shape, and a rod set having upper ends fixed thereto;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surrounding the rod set; A window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And a rail curtain or a cross curtain or a cover curtain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The upper end of each rod constituting the rod set is converged without crossing each other, the upper end of each ro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wire passing through each coupling hole, each rod is a first rod and a second rod Detachabl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ick or a magnet, the fabric is formed with a rod insertion portion that is a space for inserting the rod, the rail curtain is fixed to the fabric by sewing both ends of the string, A curtain is attached to the string, but the string is covered by a character or an object around the window so that it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the rail curtain forms part of a character or an object provided in the fabric and is closed when the window is opened by the rail curtain. Indian tents for infants and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 situations occur in each c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 세트의 상단을 덮는 고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Indian tents for infants and children further comprising a solid covering the top of the rod s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과 제2봉의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봉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The method of claim 1,
A pipe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he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rod.

KR2020120001119U 2012-02-14 2012-02-14 Indian tent for children KR2004708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19U KR200470815Y1 (en) 2012-02-14 2012-02-14 Indian tent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19U KR200470815Y1 (en) 2012-02-14 2012-02-14 Indian tent for child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22U KR20130005022U (en) 2013-08-22
KR200470815Y1 true KR200470815Y1 (en) 2014-01-13

Family

ID=5141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119U KR200470815Y1 (en) 2012-02-14 2012-02-14 Indian tent for childr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1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32Y1 (en) 2013-01-18 2014-03-17 서호준 Structure of indian toy tent for stability procure
KR200472628Y1 (en) 2013-03-13 2014-05-13 박세성 Self-assembly tent for children
KR101524864B1 (en) * 2013-10-18 2015-06-02 박미정 Adjustable White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05B1 (en) * 2013-09-27 2015-03-03 이영주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문서 (2011.1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32Y1 (en) 2013-01-18 2014-03-17 서호준 Structure of indian toy tent for stability procure
KR200472628Y1 (en) 2013-03-13 2014-05-13 박세성 Self-assembly tent for children
KR101524864B1 (en) * 2013-10-18 2015-06-02 박미정 Adjustable White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22U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815Y1 (en) Indian tent for children
US7392555B2 (en) Bed-tent
US4790340A (en) Canopy for a child's playpen
EP1559854A2 (en) Collapsible fabric structures
US20160242567A1 (en) Bed tent kit
WO2016055946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KR101606847B1 (en) Foldable bed for easy installation of tent
US8931498B2 (en) Portable enclosure with elastically sealed opening
US20140127966A1 (en) Decorative Play Sheet
KR101539351B1 (en) Tent for infants
KR200471832Y1 (en) Structure of indian toy tent for stability procure
JP2014524300A (en) Foldable portable structure
JP3185097U (en) Baby bed
CN109562292A (en) There is the playpen of wushu intension to arrange
KR200472628Y1 (en) Self-assembly tent for children
US20150051007A1 (en) Childrens Inflatable Play Space
CN209799538U (en) Tent game toy
CN220133659U (en) Tent
JP4214231B2 (en) Infant tent playground equipment
CN201759179U (en) Novel multifunctional mosquito net
KR200491483Y1 (en) Folding type bed with tent
CN214006736U (en) Tent
CN205321887U (en) Portable infant folds mosquito net
CN202445598U (en) Multifunctional crawl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