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09Y1 - 음식물 배달 케이스 - Google Patents

음식물 배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09Y1
KR200470509Y1 KR2020130007734U KR20130007734U KR200470509Y1 KR 200470509 Y1 KR200470509 Y1 KR 200470509Y1 KR 2020130007734 U KR2020130007734 U KR 2020130007734U KR 20130007734 U KR20130007734 U KR 20130007734U KR 200470509 Y1 KR200470509 Y1 KR 200470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accommodating
storage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기철
Original Assignee
설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기철 filed Critical 설기철
Priority to KR2020130007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음식물 배달 케이스가 개시된다. 음식물 배달 케이스는,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와, 프레임 바디의 측면에서 수납 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와, 프레임 바디의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은 제2 수납공간을 프레임 바디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프레임 바디의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3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제3 수납공간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배달 케이스{FOOD DELIVERY CAS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음식물을 배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더하여 기타 물품도 함께 수납한 상태로 배달하는 것이 가능한 음식물 배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배달하기 위한 케이스는, 사각의 박스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주로 녹이 슬지 않고 가벼운 소재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주로 철가방으로 호칭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중국 요리 식당 뿐만 아니라 일반 음식점에서도 배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배달 케이스는, 음식물만을 저장하기 위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다단으로 구획된 음식물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배달자는 음식물의 배달과 함께 음식물은 수거할 수 있는 비닐 봉투, 신용카드 결재 단말기, 젓가락 및 수저 등의 기타 물품을 함께 소지한 상태로 배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음식물 배달 케이스에는 기타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없어 음식물과 기타물품을 함께 소지한 상태로 배달하기에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71853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과 기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함께 마련된 음식물 배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와, 프레임 바디의 측면에서 수납 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와, 프레임 바디의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은 제2 수납공간을 프레임 바디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프레임 바디의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3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제3 수납공간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납부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는 방수(防水) 재질의 코팅부재가 표면에 도포되며,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더가 설치되고, 메인 개폐도어는 슬라이딩 가이더에 가이드되면서 프레임 바디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에는 제1 수납홀이 형성되며,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폴딩(folding) 가능한 자바라 포켓부재와, 제1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에는 제2 수납홀이 형성되며, 제2 수납부는, 제2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 바디와, 제2 수납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에는 제3 수납홀이 형성되며, 제3 수납부는, 제3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3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3 수납바디와, 제3 수납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제3 수납바디는, 격벽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베달 케이스의 측면에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재 단말기 또는 수저 등을 용이하게 수납한 상태로 음식물을 배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음식물 배달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 배달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3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수납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에 표시창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 배달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제3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 배달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납 공간(11)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개폐도어(13)가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10)와, 프레임 바디(10)의 측면에서 수납 공간(11)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수납부(20)와, 수납 공간(11)의 내부에 밀폐된 제2 수납공간(32)을 형성하며 일측은 저장 공간을 프레임 바디(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제2 수납부(30)와, 수납 공간(11)의 내부에 밀폐된 제3 수납공간(42)을 형성하며 제3 수납공간(42)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납부(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100)는 내부에 음식물을 크기 및 종류 별로 수납한 상태에서 배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100)가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그 형상은 일부분에 라운드 형상 또는 일측면이 돌출된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바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배달 케이스(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 공간(11)은 음식물을 종류에 따라 이격된 상태로 수납을 위한 복수개의 수납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는 프레임 바디(10)의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구획 플레이트(15)가 설치된다. 구획 플레이트(15)는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서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단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간에 설치된 거리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획 플레이트(15)들이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을 배달하는 경우에 적용되고, 구획 플레이트(15)들이 서로 설치된 거리를 달리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상이한 크기의 음식물을 배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바디(10)의 외표면에는 우천시에 프레임 바디(10)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재질의 코팅부재(미도시)가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코팅부재는 프레임 바디(1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도포되는 것이 가능하여 음식물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본 실시예서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프레임 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바디(10)의 재질을 방수 기능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 바디(10)에는 수납 공간(1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개폐도어(13)가 설치된다.
메인 개폐도어(13)는 프레임 바디(10)의 수납 공간(11)을 개방하여 음식물을 저장 또는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 바디(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개폐도어(13)의 슬라이딩 가능한 작동을 위해, 프레임 바디(10)에는 슬라이딩 가이더(17)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가이더(17)는 메인 개폐도어(13)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메인 개폐도어(13)가 프레임 바디(10)의 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가이드한다. 슬라이딩 가이더(17)는 메인 개폐도어(13)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프레임 바디(10)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바디(10)에는 제1 수납홀(21)과 제2 수납홀(31) 및 제3 수납홀(4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수납홀(21)과 제2 수납홀(31) 및 제3 수납홀(41)은 후술하는 제1 수납부(20)와 제2 수납부(30) 및 제3 수납부(40)를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각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제1 수납부(20)와 제2 수납부(30) 및 제3 수납부(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수납홀(21)은 프레임 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홀(21)이 프레임 바디(10)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1 수납홀(21)에는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방향으로 제1 수납부(20)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1의 제1 수납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0)는, 제1 수납홀(21)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접철 가능한 파우치 형상을 이루면서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수납부(20)는 제1 수납홀(21)과 연통되는 제1 수납공간(22)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10)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바라 포켓부재(23)와, 제1 수납홀(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도어(25)를 포함한다.
자바라 포켓부재(23)는 제1 수납홀(21)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방향으로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자바라 포켓부재(23)는 제1 수납홀(21)과 연통되는 제1 수납공간(22)이 형성되어 전단지 등의 수납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자바라 포켓부재(23)는 수납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에서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서 최소 길이로 연장되며, 수납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프레임 바디(10)의 하방향으로 더욱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1 개폐도어(25)는 제1 수납홀(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홀(21)의 근접 위치에 벨크로를 부착하여 제1 수납홀(21)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납부(20)의 내부에 전단지 등의 수납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제1 개폐도어(25)를 폐쇄하면, 빗물 등의 이물질이 제1 수납부(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전단지가 오염되지 않고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0)는 프레임 바디(10)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단지 등의 수납물품을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20)는 동일한 크기로 프레임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를 달리하면서 프레임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수납홀(31)은 프레임 바디(10)의 손잡이(12) 위치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납홀(31)은 직사각형을 이루면서 프레임 바디(10)의 손잡이 위치에서 그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납홀(31)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은, 신용카드 결재 단말기 등의 수납물품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수납부(30)는 제2 수납홀(31)과 연결되면서 프레임 바디(10)의 내벽면에 설치된다. 제2 수납부(30)는 직사각의 제2 수납공간(32)을 형성하도록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수납부(30)는, 제2 수납홀(31)과 연통되게 제2 수납공간(32)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1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바디(33)와, 제2 수납바디(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수납홀(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도어(35)를 포함한다.
제2 수납바디(33)는 제2 수납홀(31)의 개구된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11)에서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제2 수납공간(32)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수납바디(33)에는 신용카드 결재 단말기 등의 소형의 수납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제2 개폐도어(35)는 제2 수납바디(33)의 개구된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 수납바디(33)의 개구된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 개폐도어(35)에는 슬라이딩 가이더(미도시)가 설치되어 제2 개폐도어(35)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같이, 제2 수납바디(33)는 프레임 바디(10)의 상측에서 손잡이(12) 부분의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신용 카드 결재 단말기(미도시) 등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제2 개폐도어(35)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용이하게 수납물품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제2 수납바디(33)는 프레임 바디(10)와 동일 재질로 설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 바디(10)의 내부에 볼트 결합으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바디(10)의 수납 공간을 더욱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제2 수납바디(33)를 해체하여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수납 공간을 확대하여 보다 많은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수납홀(41)은 프레임 바디(10)에서 손잡이(12) 위치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수납홀(41)은 손잡이(12)를 사이에 두고 제2 수납홀(31)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납홀(41)은 수저 또는 젓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수납홀(41)에는 제3 수납부(40)의 개구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제3 수납부(40)는 제3 수납홀(41)과 연통되는 제3 수납공간(42)이 형성된다. 즉, 제3 수납부(40)는 제3 수납공간(42)을 형성하는 제3 수납바디(43)와 제3 수납바디(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개폐도어(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3 수납공간(42)은 격벽(44)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수납공간(42)이 격벽(44)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은, 수저 또는 젓가락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수납부(40)는 제3 개폐도어(4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3 개폐도어(45)는 제3 수납바디(43)의 개구된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3 수납바디(43)의 개구된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3 개폐도어(45)에는 슬라이딩 가이더(미도시)가 설치되어 제3 개폐도어(45)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수납 공간에 다단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프레임 바디(10)의 측면에 마련된 제1 수납부(20)에 광고를 위한 전단지 등의 수납 물품을 수납한다.
이어서, 프레임 바디(10)의 손잡이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제2 수납부(30)에 카드 결재 단말기(미도시) 등을 수납한다. 물론 제2 수납부(30)에는 카드 결재 단말기 뿐만 아니라, 소형의 양념통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수납물품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3 수납부(40)에 수저 및 젓가락 등의 취식 도구 들을 수납한다.
이러한 음식물 배달 케이스(100)는, 외표면이 방수 재질로 도포되고, 제1 수납홀(21)과 제2 수납홀(31) 및 제3 수납홀(41)은 제1 개폐도어(25)와 제2 개폐도어(35) 및 제3 개폐도어(45)로 밀폐됨으로써, 우천시에도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인 음식물 배달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200)의 메인 개폐도어(113)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프레임 바디(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 바디(110)에는 수납 공간(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이더(112)와, 프레임 바디(110)의 모서리 부분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더(114)를 포함한다.
제1 가이더(112)는, 프레임 바디(10)의 내벽면의 상측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가이더(112)는 프레임 바디(110)의 내벽면의 상측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메인 개폐도어(113)의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가이더(114)는 프레임 바디(10)의 전방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개폐도어(113)의 가장자리 부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메인 개폐도어(113)는 제1 가이더(112)와 제2 가이더(114)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프레임 바디(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 케이스(300)의 프레임 바디(10)의 측면에는 내부의 수납 공간(11)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바디(10)에 음식물이 수납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 과정에서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프레임 바디 13,113, 313...메인 개폐도어
11...수납공간 15...구획 플레이트
17...슬라이딩 가이더 20...제1 수납부
21...제1 수납홀 22...제1 수납공간
23...자바라 포켓부재 25...제1 개폐도어
30...제2 수납부 31...제2 수납홀
32...제2 수납공간 33...제2 수납바디
35...제2 개폐도어 40...제3 수납부
41...제3 수납홀 43...제3 수납바디
45...제3 개폐도어 112..제1 가이더
114..제2 가이더 240...표시창

Claims (5)

  1.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측면에서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은 상기 제2 수납공간을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제2 수납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밀폐된 제3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3 수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바디는 방수(防水) 재질의 코팅부재가 표면에 도포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더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개폐도어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에는 제1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폴딩(folding) 가능한 자바라 포켓부재; 및
    상기 제1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도어;
    를 포함하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에는 제2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 바디; 및
    상기 제2 수납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도어;
    를 포함하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에는 제3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수납부는,
    상기 제3 수납홀과 연통되는 제3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3 수납바디; 및
    상기 제3 수납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 수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 개폐도어;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수납바디는, 격벽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음식물 배달 케이스.






KR2020130007734U 2013-09-13 2013-09-13 음식물 배달 케이스 KR200470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34U KR200470509Y1 (ko) 2013-09-13 2013-09-13 음식물 배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34U KR200470509Y1 (ko) 2013-09-13 2013-09-13 음식물 배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09Y1 true KR200470509Y1 (ko) 2013-12-23

Family

ID=5357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734U KR200470509Y1 (ko) 2013-09-13 2013-09-13 음식물 배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87Y1 (ko) 2000-11-10 2001-05-15 박상구 음식물 배달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87Y1 (ko) 2000-11-10 2001-05-15 박상구 음식물 배달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19350S1 (en) Wallet for cards, cash and memory
US7565979B1 (en) Medicine holding assembly
USD875644S1 (en) Collapsible car trunk and grocery organizer with hard cover and cooler bag
CN106605114B (zh) 冰箱
KR102203480B1 (ko) 내부 시인성이 향상된 저장 백
KR101032674B1 (ko) 절첩식 보관함
US8789702B1 (en) Collapsible toiletry container assembly
MX2016016522A (es) Envase con una pared movil.
US20090046956A1 (en) Transparent pouch with zipper access opening
US20180319571A1 (en) Garbage Bag Dispensing Assembly
US9694940B2 (en) Plastic storage bag with spout
KR200470509Y1 (ko) 음식물 배달 케이스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US20170095048A1 (en) Silverware/utensil wrap, storage and moving device
WO2008035562A1 (fr) Corps de stockage
USD846874S1 (en) Case
US9706838B2 (en) Authority controlled clothing locker for retaining and quickly exchanging inmate civilian and incarceration (jump suit) clothing such as prior to and following court appearances
USD880158S1 (en) Storage container with interior tether
US20120288219A1 (en) 3D storage bag having a 3D storage chamber
CN104792086B (zh) 冰箱
CN204383942U (zh) 多空间储物箱
CN209404217U (zh) 一种展示推车
JP7025192B2 (ja) 買物バッグ
KR20070075750A (ko) 배달용품 보관 주머니
KR20160134057A (ko) 여행용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