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01Y1 -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 Google Patents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01Y1
KR200470501Y1 KR2020130001419U KR20130001419U KR200470501Y1 KR 200470501 Y1 KR200470501 Y1 KR 200470501Y1 KR 2020130001419 U KR2020130001419 U KR 2020130001419U KR 20130001419 U KR20130001419 U KR 20130001419U KR 200470501 Y1 KR200470501 Y1 KR 200470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ear
fastening
fastening holes
adapt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
Priority to KR202013000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2Toothed members; Worms with body or rim assembled out of detach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가 개시되는 것으로,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축설구멍(11)이 관통되는 보스부(12)가 연장되고 내측에 방사상으로 제1체결구멍(13)들이 통공된 어댑터(10)와, 상기 어댑터(10)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1체결구멍(13)들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21)들이 관통된 제1체인기어(20)와,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제2체결구멍(21)들을 각각 연결하는 체결볼트(30)와, 상기 체결볼트(30)에 끼워지는 와셔(41) 및 상기 체결볼트(30)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댑터(10)의 보스부(12)는, 상기 어댑터(1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체결구멍(13)들에 대응되는 제3체결구멍(51)들이 관통된 제2체인기어(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20)는, 상기 어댑터(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스부(12) 중 일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상기 제2체결구멍(21)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체인기어(50)는, 상기 제1체인기어(20)가 결합되는 보스부(12)의 타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상기 제3체결구멍(51)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가 상기 양측에 각각 보스부(12)가 연장되는 어댑터(10)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의 회전시에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볼트(30)는, 상기 제3체결구멍(51)들과 제1체결구멍(13)들 및 제2체결구멍(21)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와셔(41) 및 체결너트(40)는, 상기 제1체인기어(20)의 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3체결구멍(51)들과 제1체결구멍(13)들 및 제2체결구멍(21)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볼트(30)에 끼워져 상기 어댑터(10)와 제1체인기어(20) 및 제2체인기어(50)가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체인기어의 마모가 발생되면 어댑터와 체인기어를 분리한 후 마모된 체인기어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인기어의 교체작업성 향상은 물론 어댑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2개의 체인기어를 연결하여 더블기어를 제작할 때 간단한 볼트와 너트결합에 의해 2개의 체인기어를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더블기어의 제작시간의 단축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Chain gear with adapter}
본 고안은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기어와 보스와의 용접연결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블체인기어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기어는 회전축에 고정시켜 체인을 감아 걸고 중량물을 끌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호이스트(Hoist)나 셔터(shutter)를 열고 닫는 장치 또는 자전거와 같이 구동샤프트와 연동샤프트를 체인으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주형에 의해 철 주물로 된 형상물을 연삭기 등에 의해 마무리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두꺼운 평판으로된 강판(鋼鈑)을 필요한 크기에 따라 고압의 프레스를 이용하여 원판상(圓板狀)으로 재단할 때 함께 원판상의 원주면에 체인이 걸리도록 톱니를 형성시키고 상기 원주면에 형성되는 톱니의 양면을 절삭하고 연삭하여 경사지게 형성하고 마무리 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체인기어를 샤프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샤프트가 축설되는 보스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바, 통상 보스와 체인기어의 연결구조가 용접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보스형태의 환봉의 외주면에 체인기어의 내측에 통공된 구멍을 끼운 다음 환봉의 외주면과 체인기어의 구멍 사이를 용접함으로써 체인기어가 보스형태의 환봉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체인기어는 예컨대 체인기어가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인기어와 보스가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체인기어만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체인기어와 보스를 같이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경제적인 비효율성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보스에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된 체인기어만을 분리하여 새 것으로 체인기어를 교체한 후 보스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먼저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된 체인기어를 보스와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고 다시 보스의 외주면을 그라인더로 갈아주어야 하며, 다시 새로운 체인기어를 보스의 외주면에 끼운 후 재차 용접작업하여 체인기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2개의 체인기어를 하나의 보스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용접작업에 의해 하나의 보스에 2개의 체인기어를 연결할 수 밖에 없어 작업시간이 2배로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2개의 체인기어를 갖는 더블기어의 경우 어느 하나의 체인기어가 마모되거나 할 경우에 마모된 체인기어만을 교체할 수 없음에 따라 더블기어 전체를 교체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가중성은 물론 인건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500496호인 기어형 구동 링 커플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지지표면이 구비된 제1링과, 지지표면이 구비된 제2링과, 지지표면이 구비된 제3링과, 지지표면이 구비된 제4링과,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어형 구동 링 커플러로서, 상기 제1링과 제2링은 상기 제1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링과 제4링은 상기 제2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제1링, 제2링, 제3링, 제4링이 지지구와 리테이너 및 베어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체인을 연결하는 체인기어에 적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렵고, 4개의 링을 체인기어로 구성하더라도 지지구와 리테이너 및 베어링을 서로 연결 구성하여야 함에 따라 연결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과 인건비용의 가중에 대한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구성요소들이 많아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옴은 당연한 결과이기 때문에 오히려 비용가중을 유발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00496호(2005.07.0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03998호(2005.07.19 등록)
본 고안은 용접작업이 아닌 볼트와 너트 결합에 의해 체인기어와 보스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작업성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더블체인기어 중 어느 하나의 체인기어가 마모될 경우 마모된 체인기어만을 쉽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는,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축설구멍이 관통되는 보스부가 연장되고 내측에 방사상으로 제1체결구멍들이 통공된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1체결구멍들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들이 관통된 제1체인기어와, 상기 제1체결구멍들과 제2체결구멍들을 각각 연결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와셔 및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댑터의 보스부는, 상기 어댑터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체결구멍들에 대응되는 제3체결구멍들이 관통된 제2체인기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는, 상기 어댑터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스부 중 일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들과 상기 제2체결구멍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체인기어는, 상기 제1체인기어가 결합되는 보스부의 타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들과 상기 제3체결구멍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가 상기 양측에 각각 보스부가 연장되는 어댑터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의 회전시에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제3체결구멍들과 제1체결구멍들 및 제2체결구멍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와셔 및 체결너트는, 상기 제1체인기어의 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3체결구멍들과 제1체결구멍들 및 제2체결구멍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볼트에 끼워져 상기 어댑터와 제1체인기어 및 제2체인기어가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본 고안은 어댑터에 의해 체인기어를 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 용접작업에 의한 체인기어와 보스와의 연결작업에 의해 야기되는 작업시간의 지연과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체인기어의 마모가 발생되면 어댑터와 체인기어를 분리한 후 마모된 체인기어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인기어의 교체작업성 향상은 물론 어댑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체인기어를 연결하여 더블기어를 제작할 때 간단한 볼트와 너트결합에 의해 2개의 체인기어를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더블기어의 제작시간의 단축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는, 어댑터(10)와 제1체인기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10)는,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축설구멍(11)이 관통되는 보스부(12)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에 방사상으로 제1체결구멍(13)들이 통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부(12)의 샤프트축설구멍(11)에는 구동샤프트 또는 연동샤프트가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 구동샤프트 또는 연동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스부(12)가 회전되면서 보스부(12)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어댑터(10)가 회전된다.
상기 보스부(12)는 주물작업에 의해 상기 어댑터(10)의 일측으로부터 어댑터(10)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어댑터(10)와 보스부(12)를 따로 제작한 후 볼트결합 또는 용접작업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구멍(13)들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체인기어(20)는, 상기 어댑터(10)의 제1체결구멍(13)들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21)들이 관통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체결구멍(21)들의 개수는 상기 어댑터(10)의 제1체결구멍(13)들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제2체결구멍(21)들의 위치는 상기 어댑터(10)의 제1체결구멍(1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어댑터(10)에 제1체인기어(2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30)를 상기 제1체결구멍(13)들로부터 인입하여 상기 제2체결구멍(21)들을 관통하도록 각각 끼우고, 상기 체결볼트(30)에 와셔(41)를 끼운 다음, 체결너트(40)를 제2체결구멍(21)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30)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어댑터(10)와 제1체인기어(20)를 견고하게 결합고정하면 본 고안인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체결볼트(30)는 고장력볼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1체인기어(20)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회전장력에 견고하게 대응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기 제1체인기어(20)와 어댑터(10)에 체결볼트(30)와 체결너트(40)로 결합됨으로써 종래 체인기어에 보스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작업을 함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 및 작업효율성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인기어(20)를 어댑터(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어댑터(10)의 제1체결구멍(13)과 제1체인기어(20)의 제2체결구멍(21)들을 체결볼트(30)로 연결하여 끼운 다음 체결너트(40)로 체결볼트(30)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제1체인기어(20)와 어댑터(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어댑터(10)에 보스부(1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결합구조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제1체인기어(20)와 어댑터(10)를 연결하여 제1체인기어(20)에 보스부(12)를 구비할 수 있음에 따라 체인기어와 보스와의 결합작업이 간단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용접작업에 의해 체인기어와 보스를 연결할 때 야기되는 작업시간의 지연이나 생산성 저하 및 작업효율성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제2체인기어(50)를 더 결합하여 더블체인기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스부(12)에는 제2체인기어(50)가 더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2체인기어(50)는, 상기 제1체결구멍(13)들 및 제2체결구멍(2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제3체결구멍(51)들이 통공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체결구멍(51)들에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제2체결구멍(21)들을 연결하는 상기 체결볼트(30)가 끼워진 후 상기 체결너트(40)가 상기 제1체결구멍(13)과 제2체결구멍(21) 및 제3체결구멍(51)을 연결하는 상기 체결볼트(30)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가 상기 어댑터(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어댑터(10)에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를 같이 구비할 수 있음에 따라 더블체인기어를 제작함이 용이하고 더욱이,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를 어댑터(10)에 연결하는 구성이 용접작업이 아닌 체결볼트(30)와 체결너트(4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 중 어느 하나의 체인기어가 마모될 경우에는 체결볼트(30)와 체결너트(40)를 풀어 마모된 체인기어만을 교체한 후 다시 체결볼트(30)와 체결너트(4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체인기어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비용 및 시간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어댑터 11 : 샤프트축설구멍
12 : 보스부 13 : 제1체결구멍
20 : 제1체인기어 21 : 제2체결구멍
30 : 체결볼트 40 : 체결너트
41 : 와셔 50 : 제2체인기어
51 : 제3체결구멍

Claims (2)

  1. 삭제
  2.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축설구멍(11)이 관통되는 보스부(12)가 연장되고 내측에 방사상으로 제1체결구멍(13)들이 통공된 어댑터(10)와, 상기 어댑터(10)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1체결구멍(13)들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21)들이 관통된 제1체인기어(20)와,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제2체결구멍(21)들을 각각 연결하는 체결볼트(30)와, 상기 체결볼트(30)에 끼워지는 와셔(41) 및 상기 체결볼트(30)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댑터(10)의 보스부(12)는,
    상기 어댑터(1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체결구멍(13)들에 대응되는 제3체결구멍(51)들이 관통된 제2체인기어(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20)는, 상기 어댑터(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스부(12) 중 일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상기 제2체결구멍(21)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체인기어(50)는, 상기 제1체인기어(20)가 결합되는 보스부(12)의 타측에 끼워져 상기 제1체결구멍(13)들과 상기 제3체결구멍(51)들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가 상기 양측에 각각 보스부(12)가 연장되는 어댑터(10)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제1체인기어(20)와 제2체인기어(50)의 회전시에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볼트(30)는, 상기 제3체결구멍(51)들과 제1체결구멍(13)들 및 제2체결구멍(21)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와셔(41) 및 체결너트(40)는,
    상기 제1체인기어(20)의 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3체결구멍(51)들과 제1체결구멍(13)들 및 제2체결구멍(21)들에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볼트(30)에 끼워져 상기 어댑터(10)와 제1체인기어(20) 및 제2체인기어(50)가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KR2020130001419U 2013-02-25 2013-02-25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KR200470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19U KR200470501Y1 (ko) 2013-02-25 2013-02-25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19U KR200470501Y1 (ko) 2013-02-25 2013-02-25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01Y1 true KR200470501Y1 (ko) 2013-12-19

Family

ID=5357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19U KR200470501Y1 (ko) 2013-02-25 2013-02-25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70B1 (ko) 2014-03-18 2014-06-17 양승훈 기어 천공용 가이드 장치
CN109372979A (zh) * 2018-11-26 2019-02-22 李银聪 一种便于调节的针织机械用齿轮盘调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666A (ja) 1999-02-15 2000-08-29 Kazuyuki Sano スプロケットギアの取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666A (ja) 1999-02-15 2000-08-29 Kazuyuki Sano スプロケットギアの取付け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70B1 (ko) 2014-03-18 2014-06-17 양승훈 기어 천공용 가이드 장치
CN109372979A (zh) * 2018-11-26 2019-02-22 李银聪 一种便于调节的针织机械用齿轮盘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01Y1 (ko) 어댑터가 구비된 체인기어
CN103934061B (zh) 一种刀齿可拆卸的刀盘
CN102794211B (zh) 旋转式破碎机
CN103671824A (zh) 一种新型的齿轮
CN101966477A (zh) 一种破碎机的齿结构
CN202360603U (zh) 一种张紧套轴承结构
CN206246499U (zh) 挖掘机斗轴免拆轴快速拆装垫片
CN205270359U (zh) 一种短应力线轧机
CN212407358U (zh) 一种定型机联轴器
CN202880331U (zh) 一种斗式提升机的链轮
CN203343782U (zh) 圆锯片的夹紧装置
CN107781389A (zh) 一种电铲回转齿轮固定结构
JP2012077915A (ja) 一部の歯のみが噛み合う歯車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207510546U (zh) 一种履带链拉紧装置
KR100971607B1 (ko) 형강재 절단기의 블레이드 클램핑장치
CN204140834U (zh) 一种汽车减速器闷盖
KR20100010865U (ko) 조립 구조를 갖는 선회 베어링 기어
CN205780729U (zh) 一种传输带张紧用皮带轮
CN204170778U (zh) 一种高速磨的组合式磨轮支架
KR200445040Y1 (ko)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
CN104279300A (zh) 一种能够快速拆装的齿轮
CN201952438U (zh) 高强耐磨脱水器
KR200478796Y1 (ko) 터빈 회전축 진동 발란싱용 착탈공구
CN204451919U (zh) 一种载重汽车平衡悬架总成
CN204253787U (zh) 一种分体式齿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