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43Y1 - 치과용 의료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43Y1
KR200470343Y1 KR2020090008209U KR20090008209U KR200470343Y1 KR 200470343 Y1 KR200470343 Y1 KR 200470343Y1 KR 2020090008209 U KR2020090008209 U KR 2020090008209U KR 20090008209 U KR20090008209 U KR 20090008209U KR 200470343 Y1 KR200470343 Y1 KR 200470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high frequency
generator
radiofrequency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193U (ko
Inventor
한스-조아힘 쿠르트
Original Assignee
하거 운트 베르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거 운트 베르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하거 운트 베르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00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46Dental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th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고주파 치료 및/또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의료용 조합 장치로서,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고주파 발생기와, 레이저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고주파 전류 및 레이저 방사선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들과, 상기 고주파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 그리고 이 두 발생기로 조합된 발생기를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기 및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하나의 장치에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조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고주파 치료, 레이저 치료, 고주파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스위칭 장치, 의료용 조합장치

Description

치과용 의료 장치{MEDICAL DEVICE FOR DENTAL TREATMENT}
본 고안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고주파 치료 및/또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의료용 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년 전부터, 인간 의학, 특히 치과 의학과 수의학에서, 조직을 절개하고, 제거하여, 응고하기 위해, 연부 조직 치료를 위한 레이저 장치뿐 아니라 고주파 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레이저의 추가 응용은 치아 미백(치과)용 표백제의 열적 활성화뿐만 아니라, 치료의 의미에서 광역학 치료를 위한 조직의 방사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응용에서 뿐 아니라, 레이저의 응용에서도, 목적은 유입되는 열을 바탕으로 탈수 및 단백질 응고를 통해 혈관을 폐쇄하고 출혈을 멈추게 하는 방식으로 조직을 변경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출력이 제공될 시에 조직액의 폭발성 기화와, 그에 따라 세포막의 파열이 달성되며, 이는 조직의 분리를 초래한다. 기계적으로 실시하는 절개에 비해, 고주파 처리 및 레이저 처리는 절개 가장자리를 지혈시키는 장점이 있다.
외과학에서 열적 응용을 위한 두 기술(고주파 및 레이저)은 종종 다루기 힘든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경쟁 상대로서 간주된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치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생산자 측에서 고주파 기술과 레이저 기술은 상호 간에 상충되는 기술로서 나타나는 그런 상황이다. 비록 수년 전부터 치과 응용 영역에서 연부 조직 치료를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고 있지만, 오늘날까지 타개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산업에 의해 사전 설정되고 마케팅의 논쟁 거리로서 이용되는 경향으로 인해 최대 40W의 출력을 보유하는 장치가 제공되면서 출력 전력이 계속해서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는 결코 사용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치과-외과학 조치를 위한 경우에도 10W 이상의 출력을 필요로 하는 사례는 드물다. 그 반대로 그렇게 높은 레이저 출력은 다소 치과 의사로부터 용인받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오히려 열에 의해 파괴되는 레이저 시스템, 제어 불가능한 에너지 방사 및 예측 불가능한 깊이 효과 등에 의해 치료하는 치과 의사에게 걱정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 최대 5W까지 영역에서의 응용은 용인되며, 큰 부작용 없이도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응용은 치내 요법(치근관의 소독)과 치주 병학(치주 포켓의 소독 및 세정)에서 확인될 뿐 아니라, 임플란트 외과학에서 치료 목적으로, 그리고 치아 미백(Bleaching) 분야에서 확인되고 있다.
그에 반해 특히 치과-외과학 영역에서 수년 전부터 고주파 기술이 매우 잘 정착될 수 있었다. 고주파 도포기(high-frequency applicator)의 우수한 촉각 가이드를 통해 치료하는 치과 의사는 매우 높은 안전감을 가지며, 지정된 환부는 레 이저에 의해 생성된 절개 또는 응고 구역보다도 어렵지 않게 측부 상처(lateral damage)로부터 분류된다.
이처럼 문제점이 있는 상황은 입증된 기술들을 조합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요구한다. 따라서 치과학을 위한 해결 방법으로서 고주파 발생기(1.2 - 2MHz, 외과학 응용을 위한 50W)와 레이저(예컨대 940nm, 치내 요법, 치주 병학, 임플란트 외과학 및 치료 요법과 같은 응용 영역을 위한 최대 6W)의 조합이 제공되어야 한다.
비뇨기 과학에 따른 실례에 따르면, BPH(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경우 고주파 기술이 유효 표준인데 반해, 레이저의 이용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각각 100W 이상의 출력을 갖는 녹색 스펙트럼 영역(532nm) 및 적외선 스펙트럼 영역(2100nm)의 레이저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런 실례의 경우, 레이저 기술은 제한된 조건에서만 이용될 수 있으며, 광전도성 프로브(photo-conductive probe)의 측면 손상 및 빈번한 파괴와 관련하여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조합 장치(예: 3MHz 및 150W급 HF와 조합된 940nm 및 80W 레이저)는 치료하는 외과 의사에게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선택 자유도를 부여하면서도, 추가 장치의 구입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다수의 다양한 절차 과정을 필요로 하는 치료가 간단한 형식 및 최적화된 순서로 실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이저 장치와 고주파 장치를 조합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장치군(equipment pool)을 감소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조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고주파 및 레이저의 두 가지 치료 방식을 별도로 이용할 뿐 아니라,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원의 본질적인 핵심은, 프로그램 가능 제어 장치를 통해, 집도의가 수술 중에 결정 과정으로 부담을 느끼지 않아도 되는 방식으로, 그 집도의에게 최적화된 수술 진행 순서를 사전 설정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개별 수술 단계 중에 각각 최선의 방법(고주파, 레이저 또는 그 둘의 조합)이 집도의에게 사전 설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주파 및 레이저의 두 가지 치료 방식을 별도로 이용할 뿐 아니라,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본 고안은 도 1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는 고주파 발생기(20)와 레이저 발생기(31, 32)로 이루어진 조합 장치(10)의 구성 부품 중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본질적인 구성 부품과, 고주파 및 레이저 외과 수술에 관련한 추가 구성 부품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 부품들은 조직(1)에 인접하여 도시된 중립 전극(24)을 구비한 단극성 핸드피스(23)와 양극성 핸드피스(22)이며, 이 두 핸드피스는 고주파 발생기(20)의 출력단(21)과 연결된다. 또한, 레이저 핸드피스들(35, 36)은 레이저 섬유(34)를 통해 레이저 발생기들(31 및 32)의 출력단들(33)과 연결된다.
본원의 실조합 장치(10)의 핵퓰 HF 전류를 생성하거나, 또는 HF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가능한 고주파 발생기(20)에 있다.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1과 10MHz 사이이며, 방출되는 출력은 5 ~ 100W이다. 전압 설정을 통해 원하는 전류 세기가 결정된다. 고주파 발생기는 단극성 응용뿐 아니라, 양극성 응용에 적합하게 설계된다.
또한, 본원의 조합 장치(10)의 핵심은 레이저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가능한 레이저 발생기들(31, 32)에 있다. 파장은 500 ~ 300nm이며, 연속해서(cw) 방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펄스 형태(5m 및 100ms의 펄스 시간)로 방출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를 통해 원하는 출력 전략과 펄스 시간이 결정된다.
또한, 본원의 조합 장치(10)의 핵심은, 개별 수술을 위한 순서의 저장 및 호출을 위해, 그리고 안전성과 관련한 모니터링을 위해서, 고주파 및 레이저의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 제어 장치(10)에 있다.
또한, 본원의 조합 장치(10)는 실제 모드와 대응하는 작동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이용한다.
스위칭 장치(40)를 통해서는 선택에 따라 고주파 출력, 레이저 출력, 또는 그 두 출력의 조합된 출력이 방출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 부호 리스트>
1: 조직 10: HFL(고주파 + 레이저) 조합 장치
11: 디스플레이 12: 제어 장치
20: 고주파 발생기 21: 고주파 출력단
22: 양극성 고주파 핸드피스
23: 단극성 고주파 핸드피스
24: 고주파 중립 전극 31: 레이저 1
32: 레이저 2 33: 레이저 출력단
34: 레이저 섬유 35: 레이저 1 핸드피스
36: 레이저 2 핸드피스 40: 릴리스 메커니즘

Claims (5)

  1. 고주파 치료 및 레이저 치료를 위한 치과용 의료 장치로서,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고주파 발생기와,
    레이저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고주파 발생기에 연결된 고주파 핸드피스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에 연결된 레이저 핸드피스와,
    상기 고주파 전류 및 레이저 방사선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와,
    상기 고주파수 발생기 및 레이저 발생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기 및 상기 레이저 발생기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서로 연동하여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핸드피스와 레이저 핸드피스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서로 간의 이동이 자유롭게 분리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공동의 응용을 위해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소정의 수술을 최적화된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가능 제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료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핑거 스위치 또는 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료 장치.
KR2020090008209U 2008-06-28 2009-06-25 치과용 의료 장치 KR2004703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8008712U DE202008008712U1 (de) 2008-06-28 2008-06-28 Medizinisches Kombinationsgerät für die Hochfrequenz und/oder Laserbehandlung
DE202008008712.0 2008-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93U KR20100000193U (ko) 2010-01-06
KR200470343Y1 true KR200470343Y1 (ko) 2013-12-11

Family

ID=3994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209U KR200470343Y1 (ko) 2008-06-28 2009-06-25 치과용 의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0470343Y1 (ko)
CN (1) CN201558164U (ko)
DE (1) DE202008008712U1 (ko)
FR (1) FR2932974B3 (ko)
IT (1) ITTO20090090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130B2 (ja) * 2020-11-26 2024-03-1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治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15A (ja) * 1999-06-25 2001-01-09 Tohoku Ricoh Co Ltd 排紙積載装置
JP2006527602A (ja) * 2003-06-17 2006-12-07 ファン、スン−ヤン イオン導入機能を有する皮膚美容器、及び該皮膚美容器に関するディスプレー装置
KR100842040B1 (ko) * 2007-07-26 2008-06-30 (주)디오시스엠엔엠 피부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15A (ja) * 1999-06-25 2001-01-09 Tohoku Ricoh Co Ltd 排紙積載装置
JP2006527602A (ja) * 2003-06-17 2006-12-07 ファン、スン−ヤン イオン導入機能を有する皮膚美容器、及び該皮膚美容器に関するディスプレー装置
KR100842040B1 (ko) * 2007-07-26 2008-06-30 (주)디오시스엠엔엠 피부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08008712U1 (de) 2008-11-06
CN201558164U (zh) 2010-08-25
ITTO20090090U1 (it) 2009-12-29
FR2932974A3 (fr) 2010-01-01
KR20100000193U (ko) 2010-01-06
FR2932974B3 (fr)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0722A1 (en) Flash vaporization surgical systems
US11253317B2 (en) Soft tissue selective ablation surgical systems
JP5870109B2 (ja) 電気手術用導電性ガスによる焼痂を改善するための切開ならびに血管および組織のシーリングを可能に成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624715B1 (en) Electrosurgical systems
EP3512448B1 (en) Dual-wavelength laser treatment
EP2366351B1 (en) System for multi-pole phase-shifted radio frequency application
MX2007009147A (es) Dispositivo para tratar la piel.
JP2004502489A (ja) 携帯用レーザー治療装置
EP2358286B1 (en) Dynamic laser pulse systems
US20180214210A1 (en) Soft tissue selective ablation surgical systems
KR200470343Y1 (ko) 치과용 의료 장치
Messenger et al. Electrosurgery and energized dissection
Qaiser et al. Physics for surgeons-Part 4: Energy devices in surgery
RU2535454C2 (ru) Способ рассечения биоткани лазерным излуч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Messenger et al. Electrosurgery and energized dissection
Gupta Lasers in surgery: from past to present
Roux et al. 1.32 μm Nd: YAG laser during neurosurgical procedures experience with about 70 patients operated on with the MC 2100 unit
GB2609233A (en) System for treating tissue with energy
KR20080068872A (ko) 환자의 의료적 치료방법
JP2009095536A (ja) レーザ治療装置
Steinbrecher et al. Energy used in endoscopic surgery
Manni Basic aspects of medical and dental lasers
Gibson et al. The design of the PlasmaJet® thermal plasma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surgery
Shende et al. Study Of Technique Of Dissecting Soft Tissue
WO2023073675A1 (en) Large area hemostasis with vessel s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