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58Y1 - Enveloper For Seeds - Google Patents

Enveloper For See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58Y1
KR200470258Y1 KR2020130004609U KR20130004609U KR200470258Y1 KR 200470258 Y1 KR200470258 Y1 KR 200470258Y1 KR 2020130004609 U KR2020130004609 U KR 2020130004609U KR 20130004609 U KR20130004609 U KR 20130004609U KR 200470258 Y1 KR200470258 Y1 KR 200470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soil
sheet
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6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지윤
Original Assignee
양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윤 filed Critical 양지윤
Priority to KR2020130004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5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Abstract

본 고안은 토양에 설치하여 씨앗을 발아시킬 수 있으며 심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씨앗 포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는 씨앗안착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흙에 파묻히는 식립부(10, 植立部); 씨앗을 상기 씨앗안착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식립부(10)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하는 씨앗포장부(40); 상기 식립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식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 packing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on soil to germinate seeds and exhibit aesthetic effect. The composition is; A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anting section (10) for providing a seed placing section on which plant seeds are placed, the planting section being buried in soil; A seed packing part 40 fixedly attached to the placing part 10 for fixing the seed to the seed receiving part and allowing the seed to germinate in direct contact with moisture and soil; And a decorative part 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ssed part 10.

Description

씨앗 포장기구{Enveloper For Seeds}{Enveloper For Seeds}

본 고안은 씨앗 포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양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씨앗을 발아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 취향에 맞게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씨앗 포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 pac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 packing apparatus tha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soil to germinate seeds and can provide various aesthetic effects according to consumer's taste, thereby providing an aesthetic effect.

화초 또는 작물 등 다양한 식물의 씨앗이 널리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씨앗은 수분과 공기의 출입이 차단된 포장지에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일단 포장지를 개봉하여 파종하면 수분 및 토양의 영양성분과 접촉하여 발아하게 되고, 식물은 생장성분이 공급되는 한 지속적으로 생장을 하게 된다. Seeds of various plants such as plants or crops are widely supplied. These seeds are packaged in wrapping paper that blocks moisture and air in and out, and is supplied to consumers. Once the packaging is sowed, the seed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utrients of water and soil, and the plants germinate as long as the growth components are supplied.

씨앗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는 크기나 디자인이 일률적이며 오랜 기간 변화가 없다. 씨앗은 그의 종류는 물론이고 크기 등 특성이 저마다 다름에도 불구하고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이러한 공급 방식은 다양한 취미감을 가진 소비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주기 힘들다. The wrapping paper for seed packaging is uniform in size and design and does not change over time. The seeds are always packed in the same way and supplied to consumers, despite their differences as well as their size and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who have a variety of hobbies to provide satisfaction.

또한 식물의 발아과정은 다소 따분하고 지루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새싹이 토양 위로 움트기까지는 화분이나 텃밭에 아무런 징조나 표식이 없으며, 따라서 씨앗을 파종한 다음에도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제모습을 갖추기까지 한참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Also, the process of germination of plants can be somewhat tedious and boring. There is no sign or mark on the flowerpot or garden until the sprout is tilted up to the soil, so even after sowing the seed, the seed must germinate and wait for a while until the sprout appears.

때로는 텃밭에 씨앗을 파종한 다음 한참 지나서 새싹이 자라나는 경우 이것이 잡초의 새싹인지 파종한 씨앗의 새싹인지 초보자로서는 분간하기 힘들 때가 있다. 그래서 파종한 위치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 아쉬울 때가 많다.
Sometimes, after sowing seeds in a garden, if the sprout grows after a long tim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as a weed bud or a seed bud of a sowing seed. So, there are many times when the means of accurately indicating the sowing position is not good.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1998-026558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26558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씨앗을 화분이나 텃밭 등에 파종한 경우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파종 후 발아하여 새싹이 자라기 까지의 시간 동안 식물을 재배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발아 후 싹이 성장하여 식물로서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주변의 장식미를 보완할 수 있으며, 식물을 재배하는 사용자에게 색다른 취미감을 제공해줄 수 있는 씨앗 포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design for the above problem is to make it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when the seed is sowed in a flowerpot or a garden garden, to give pleasure to grow the plant for the time from sowing to germin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ed packing apparatus that can complement the surrounding decoration until the bud grows and become a plant, and can provide a different taste to the user who grows the plant.

위와 같은 목적은,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는 씨앗안착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흙에 파묻히는 식립부(10, 植立部); 씨앗을 상기 씨앗안착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식립부(10)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하는 씨앗포장부(40); 및 상기 식립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를 제공한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seed placing part for placing seeds of a plant, the placing part (10) being buried in the soil; A seed packing part 40 fixedly attached to the placing part 10 for fixing the seed to the seed receiving part and allowing the seed to germinate in direct contact with moisture and soil; And a decorative part (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cing part (10).

상기 식립부(10)와 장식부(20)는 시트 형태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20)는 상기 식립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ortion 10 and the decorative portion 20 are integrally formed as a sheet and the decorative portion 2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recessed portion 10.

상기 식립부(10)는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rtion 12 is formed to be pointed so that the placing portion 10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상기 식립부(10)는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빳빳한 2장의 시트(P1,P2)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안착부는 시트(P1,P2)에 타공된 관통공(11) 형태이며; 상기 씨앗포장부(40)는 상기 관통공(11)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11)을 양측에서 덮도록 상기 씨앗안착부에 설치되는 2장의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rtion 10 is composed of two rigid sheets P1 and P2 whose lower end portions 12 are pointed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The see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11 formed in sheets P1 and P2; The seed packing part 40 is composed of two water-resistant wrapping paper 41 provided on the seed receiving part so as to cover the through-hole 11 from both sides in a state where the seeds are arranged in the through-hole 11 desirable.

상기 식립부(10)는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1장의 시트(P1)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안착부는 상기 시트(P1)에 움푹 패인 홈(42, recess) 형태이며; 상기 씨앗포장부(40)는 상기 홈(42)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42)을 덮도록 상기 씨앗안착부에 설치되는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cing part 10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P1 whose lower end 12 is pointed so as to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The seed seat part is in the form of a recess 42 in the seat P1; The seed packing part 4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aterproof wrapping paper 41 installed on the seed receiving part to cover the groove 42 in a state where seeds are arranged in the groove 42.

상기 식립부(10)는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1장의 시트(P1)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안착부는 상기 시트(P1)에 마련되는 관통공(11) 형태이며; 상기 씨앗포장부(40)는 상기 관통공(11)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11)을 양측에서 덮도록 상기 씨앗안착부에 설치되는 2장의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cing part 10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P1 whose lower end 12 is pointed so as to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The seed seat part is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11) provided in the seat (P1); The seed packing part 40 is composed of two water-resistant wrapping paper 41 provided on the seed receiving part so as to cover the through-hole 11 from both sides in a state where the seeds are arranged in the through-hole 11 desirable.

상기 식립부(10)는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1장의 시트(P1)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안착부는 상기 시트(P1)에 타공되는 다수의 장방형 새싹통과공(13)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cing part 10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P1 whose lower end 12 is pointed so as to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The seed seating part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rectangular sprout holes 13 formed in the sheet P1.

상기 식립부(10)는 반으로 접히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씨앗포장부(40)는 접히는 선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cing part 10 is folded in half and the seed packing part 40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folding lin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흙 위로 올라올 때까지 장식부는 비어 있는 토양 위를 장식하게 된다. 이것은 씨앗이 파종된 위치나 씨앗의 종류를 잊지 않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장식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만의 화분에 자신의 이야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미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rnamental part decorates the empty soil until the seeds germinate and the buds rise above the soil. This can keep track of where the seeds were planted and the kind of seeds. Furthermore, by providing various decorative parts, the user can direct his own story to his own flowerpot. Thereby, the user can satisfy an aesthetic desire, and can obtain an emotional satisfa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씨앗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앗카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앗카드의 식립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씨앗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seed c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 card installa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ed c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들을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Basically,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but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where necessary.

본 고안의 씨앗카드는 식립부(10, 植立部)와 장식부(20)를 가진다. 식립부(10)와 장식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또는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식립부(10)는 식물의 씨앗(50)이 안착되는 씨앗안착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화분이나 밭의 토양에 파묻히는 부분이다. The seed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ssed portion (10) and a decorative portion (20).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decorative portion 20 can be connected directly or by the connection portion 30. [ The placing part 10 provides a seed seating part where the seed 50 of the plant is seated and is buried in the soil of a flower pot or a field.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식립부(10)는 기본적으로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다. 식립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로 된 1쌍의 시트(P1,P2)가 서로 포개져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시트(P1)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씨앗안착부는 각 시트(P1,P2)의 중간에 원형으로 타공된 관통공(11) 형태일 수 있으며(도 3 참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으로 우목한 홈(42, recess)의 형태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nd 12 is basically pointed at the mounting portion 10 basically. 5, a pair of sheets P1 and P2 in the shape of a triangle can be formed by overlapping each other, and one sheet P1,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seed seat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11 circularly formed in the middle of each seat P1 and P2 (see FIG. 3), and a seed seat 42 Lt; / RTI >

도 3은 씨앗(50)을 설치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식립부(10)는 1장의 빳빳한 시트(P1)로 구성되며, 씨앗(50)은 시트(P1)의 일면에 접착되는 포장지(41)에 의해 덮임으로써 식립부(10)에 고정 설치된다. 포장지(41)는 물에 녹는 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로 되어 있다. 씨앗안착부는 씨앗이 통과될 수 없는 넓이를 갖는 다수의 장방형 새싹통과공(13)이 시트(P1)에 타공되는 형태일 수 있다. 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manner in which the seeds 50 are installed. The placing portion 10 is constituted by a single sheet P1 and the seed 50 is fixed to the placing portion 10 by being covered with a wrapping paper 41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sheet P1. The wrapping paper 41 is made of a water-soluble material or a porous material. The seed seat pa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rectangular sprocket holes 13 having an extent that the seeds can not pass through are punctured in the seat P1.

식립부(10)는 별다른 도구 없이도 흙에 꽂기 쉽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빳빳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얇은 합성수지 시트(P1,P2)가 사용될 수 있다. 낱장의 시트(P1,P2)가 접합된 것일 수도 있으나 서로 일체를 이루고 있는 2장의 시트(P1,P2)를 접은 다음 가장자리를 접착한 형태도 가능하다. 식립부(10)가 합성수지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빳빳한 종이, 얇은 목재 또는 부식되지 않는 금속 박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씨앗 포장기구는 모종삽이 없이도 흙을 파고 또는 흙에 꽂아 씨앗을 파종할 수 있게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10 is made of a stiff material having a lower end portion 12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oil without any tools. For example, thin synthetic resin sheets P1 and P2 may be used. The sheets P1 and P2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ut the two sheets P1 and P2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may be folded and then the edges may be bonded. The mounting portion 10 is not limited to a synthetic resin, and stiff paper, thin wood or a metal sheet which is not corroded may be used. 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the seed pa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eeds to be sown by digging the soil or inserting it into the soil without the need of a seedling.

씨앗포장부(40)는 씨앗안착부에 씨앗(5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식립부(10)에 설치된다. 씨앗포장부(40)는 식립부(10)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D)만큼 하부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D)는 씨앗이 파종되는 적당한 깊이에 해당하게 된다. The seed packing part 40 is installed in the placing part 10 to fix the seed 50 to the seed receiv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ed packing part 40 is installed at a lower dist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cing part 10. This distance (D) corresponds to the appropriate depth at which the seed is sown.

씨앗포장부(40)는 수분에 의해 녹아 없어짐으로써 그 속에 담겨 있던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씨앗포장부(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수용성 소재로 구성된 포장지(41)가 그 내부 공간에 씨앗을 담은 채로 포개진 상태에서 씨앗안착부에 고정된 형식일 수 있다. 포장지(41)의 가장자리는 시트(P1,P2)의 씨앗안착부의 주위에 도넛 형태로 마련된 접착영역(A,A')에 접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도 2,3,4,5 참조). The seed packaging portion 40 is melted by moisture, so that the seeds contained in the seed packaging portion 40 can directly contact with moisture and soil to germinate. 4 to 5, the seed packaging unit 40 may be of a type in which a wrapping paper 41 composed of two water-soluble materials is fixed to the seed receiv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eeds are held in the inner space thereof have. The edges of the wrapping paper 41 can be fixed by adhering to the adhesive regions A and A 'provided in the form of donuts around the seed receiving portions of the sheets P1 and P2 (see Figs.

식립부(10)가 토양에 수직으로 묻힌 상태에서 포장지(41)가 녹아 사라지게 되면 씨앗(50)은 시트(P1,P2)로부터 양방향 또는 어느 일방향으로 퍼지면서 발아하게 된다.
When the wrapping paper 41 is melted and disappears in a state where the placing portion 10 is vertically buried in the soil, the seed 50 spreads in both directions or in one direction from the sheets P1 and P2 and germinates.

한편 씨앗포장부(40)는 어떠한 형식이든 그 안에 포장되어 있는 씨앗(50)이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반드시 수분에 녹아 없어지는 재질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분과 흙 속의 양분이 통과되고 나아가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씨앗(50)보다는 입경이 작으나 뿌리를 통과시킬 수는 있는 다공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소재는 공지사항이며 당업자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ed packaging unit 40 need onl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seeds 50 packaged in any form can germinat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material that melts and disappears into the water, but it only need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and nutrients in the soil pass through and the plant can take root. For example, a porous material having a smaller particle size than the seed 50 but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root can be used. The material of such a function is publicly known and can be obtained easi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식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식립부(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있다. 장식부(20)는 식립부(10)를 기초로 삼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위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장식부(20)는 장식적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식립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경제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장식부(20)는 식립부(10)에 접착 또는 융착 등으로 부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식립부(10)와는 다른 소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lacing portion 10 by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decorative part 20 is a part that stands upright on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8 based on the placing part 10 as a base. It is preferable for the decorative part 20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essed portion 10 a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decorative effect for economical reasons. However, the decorative part 20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0 by adhesion or welding, or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olding part 10.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장식부(20)는 소녀를 관념하는 실루엣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장식부(20)는 소정의 관념을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실루엣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장식부(20)에는 인쇄에 의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장식부(20)는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히기 위해 매우 다양한 실루엣 내지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1, the decorative part 20 has a silhouette that allows a girl to be seen. 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ilhouette capable of instant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concept. Needless to say, the decorative portion 20 may be formed with a pattern by printing. The decorative part 20 can be provided in a wide variety of silhouettes or patterns to widen the selection range of the consumer.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식부(20)와 식립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는 식립부(10)의 중심선(C, 도 1 참조)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30 connecting the decorative portion 20 and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form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line C (see Fig. 1) of the mounting portion 10 have.

그래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관념의 장식부(20,20')를 하나의 화분(60)에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주제 또는 스토리가 화분(60) 안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소녀를 관념하는 장식부(20)는 작물(M)을 관찰하고 돌보는 것을 상상하게끔 할 수 있고, 오리를 관념하는 장식부(20')는 풀밭(M')을 거닐고 있는 것을 상상하게끔 할 수 있다. Thus, a simple subject or story can be made in the pot 60 by installing the decorating parts 20, 20 'of different notions in one pot 60 as shown in Fig. The decoration unit 20 imagining the girl can imagine observing and caring for the crop M and imagine that the ornamental unit 20'studing the duck is walking on the grass M ' .

물론, 연결부(30)가 식립부(10)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면, 새싹의 발아 시 연결부(30)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Of course, if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C of the placing portion 1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0 when germinating the bud.

장식부(20)는 식립부(10)를 흙에 깊숙히 꽂기 용이하도록 그 자체가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장식부(20)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장식부(20)는 지면에 대하여 고정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는 정도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파악하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장식부(20)에는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scale)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decorative part 20 may function as a hand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placing part 10 deep into the soil. The decorative part 20 can be provided with functionality in some cases. Since the ornamental portion 20 has a fix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visually grasp the extent to which the plant grows. In order to assist such a function, a scale indicating a length may be displayed on the decorative part 20. [

도 6은 식립부(10)가 다른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식립부(10)는 반으로 접히는 구성을 가지며 접히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씨앗포장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씨앗포장부(4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씨앗이 포장될 수도 있다. 각 씨앗포장부(40)의 구성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6 illustrates that the insert 10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as wel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serting portion 10 has a structure of folding in half, and the seed pack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olding line. Different types of seeds may be packed in the seed packaging portion 40. The constitution of each seed packing part 40 may be any one of the schemes shown in FIGS.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씨앗포장부(40)로 하여금 식립부(10)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식부(20)와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씨앗(50)을 각각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package 40 may be replaceable at the insert 10. According to this, the consumer can select and combine the seeds 50 of the desired kind with the decorative part 20 desired by the customer.

본 고안의 씨앗 포장기구는 방습포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방습을 위한 다양한 공지의 수단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씨앗 포장기구는 사인 간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카드(축하, 인사 또는 감사용) 형태로 보급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식부(20)는 소정의 메모가 가능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의 메모공간이 장식부(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seed pack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moisture-proof packaging. Various known means for moisture proofing may be employed. The seed pa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card (for celebration, personnel or audit) capable of conveying a message between signatures. Therefore, the decorative part 20 can be provided as a material capable of making a predetermined memo, and a predetermined memo space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part 20.

일반적으로 카드는 가운데가 접혀져 일면은 외부로 노출된 전면 및 후면을 이루고, 타면은 내부를 구성하는 구조로, 본 고안의 씨앗 포장기구가 카드 형태로 형성된 경우, 씨앗 포장기구는 전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한 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테두리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카드로 사용한 후, 카드의 일면에서 절취선을 따라 씨앗 포장기구를 분리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In general, the card is folded in the middl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surface is the inside structure. When the seed pack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d, 8, and the seed packaging dev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one side of the card along the perforated line and used as shown in FIG.

즉, 카드 형태의 씨앗 포장기구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되, 테두리에 절취선 또는 일부 절개선이 형성되어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씨앗 포장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드 대신 엽서 형태일 수도 있다.That is, the card-shaped seed packing mechanism may be formed of a seed packing mechanism that is formed o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is formed with a perforated line or a partial incision on the rim and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It may be in the form of a postcard instead of a card.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본 고안의 기본적 기술사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way,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expressed in the claims.

10 : 식립부(植立部) 11 : 관통공
12 : 하단부 13 : 새싹통과공
20,20' : 장식부 30 : 연결부
40 : 씨앗포장부 41 : 포장지
50 : 씨앗 60 : 화분
P1,P2 : 시트 M(M') : 작물(풀밭)
C : 중심선
10: an embedding part 11: a through hole
12: Lower end 13: Sprout through hole
20, 20 ': decorative part 30: connection part
40: seed packing part 41: wrapping paper
50: Seeds 60: Flower pots
P1, P2: Sheet M (M '): Crop (grass)
C: Center line

Claims (9)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고 빳빳한 2장의 시트(P1,P2)로 구성되어 흙에 파묻히되, 상기 시트(P1,P2)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는 관통공(11)이 각각 타공되어 있는 식립부(10, 植立部);
상기 관통공(11)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시트(P1,P2)에 각각 타공된 상기 관통공(11)을 덮도록 상기 시트(P1,P2)에 각각 부착되는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씨앗포장부(40);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scale)이 표시되는 장식부(20); 및
상기 식립부(10)와 상기 장식부(20)를 연결하되, 상기 식립부(10)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새싹의 발아시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연결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
A through hole 11 through which seeds of plants are seated is formed on the sheets P1 and P2 so that the lower ends 12 of the sheets P1 and P2 are composed of two sharp and stiff sheets P1 and P2, A mounting portion (10, erected portion) which is respectively formed in a hollow shape;
A water-soluble wrapping paper 41 attached to the sheets P1 and P2 so as to cover the through-holes 11 formed in the sheets P1 and P2 with the seeds disposed in the through-holes 11, A seed packing part 40 for providing the seeds to germinate in direct contact with moisture and soil;
A decoration unit 20 displaying a scale indicating the length; And
A connecting part 30 connecting the placing part 10 and the decorative part 20 and form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line C of the placing part 10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hen germinating the bud;
Wherein the seed packing mechanism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고 빳빳한 1장의 시트(P1)로 구성되어 흙에 파묻히되, 상기 시트(P1)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는 움푹 패인 홈(42, recess)이 마련되어 있는 식립부(10, 植立部);
상기 홈(42)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시트(P1)에 마련된 상기 홈(42)을 덮도록 상기 시트(P1)에 부착되는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씨앗포장부(40);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scale)이 표시되는 장식부(20); 및
상기 식립부(10)와 상기 장식부(20)를 연결하되, 상기 식립부(10)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새싹의 발아시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연결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
The lower end 12 is made of a sharp and rigid sheet P1 so that it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and is buried in the soil. The sheet P1 is provided with a recess 42 in which seeds of plants are seated (10, an erection section);
And a water-soluble wrapping paper (41) adhered to the sheet (P1) so as to cover the groove (42) provided in the sheet (P1) with the seeds arranged in the groove (42) A seed packing part (40) for providing direct germination;
A decoration unit 20 displaying a scale indicating the length; And
A connecting part 30 connecting the placing part 10 and the decorative part 20 and form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line C of the placing part 10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hen germinating the bud;
Wherein the seed packing mechanism comprises:
흙에 직접 꽂을 수 있도록 하단부(12)가 뾰족하고 빳빳한 1장의 시트(P1)로 구성되어 흙에 파묻히되, 상기 시트(P1)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는 관통공(11)이 마련되어 있는 식립부(10, 植立部);
상기 관통공(11) 내에 씨앗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시트(P1)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11)의 양측을 덮도록 상기 시트(P1)의 양측에 부착되는 수용성 포장지(41)로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수분 및 흙과 직접 접촉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씨앗포장부(40);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scale)이 표시되는 장식부(20); 및
상기 식립부(10)와 상기 장식부(20)를 연결하되, 상기 식립부(10)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새싹의 발아시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연결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
The lower end portion 12 of the seat P1 is made of a sharp and rigid sheet P1 so that the seed P1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and the sheet P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 in which seeds of plants are placed, (10, planting section);
And a waterproof wrapping paper 41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heet P1 so as to cover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1 provided in the sheet P1 in a state that the seeds are arranged in the through hole 11, A seed packing part (40) for providing the seeds to germinate in direct contact with moisture and soil;
A decoration unit 20 displaying a scale indicating the length; And
A connecting part 30 connecting the placing part 10 and the decorative part 20 and form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line C of the placing part 10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hen germinating the bud;
Wherein the seed packing mechanism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부(10)는 반으로 접히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lacing part (10) has a structure folded in hal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부(10)와 상기 장식부(20)는 엽서 또는 카드 형태로 형성된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되, 테두리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포장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acing part (10) and the decorating part (20) are integrally formed in a body formed in the form of a postcard or a card, and a perforated line is formed at the rim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KR2020130004609U 2013-06-10 2013-06-10 Enveloper For Seeds KR2004702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09U KR200470258Y1 (en) 2013-06-10 2013-06-10 Enveloper For See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09U KR200470258Y1 (en) 2013-06-10 2013-06-10 Enveloper For See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58Y1 true KR200470258Y1 (en) 2013-12-06

Family

ID=5075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609U KR200470258Y1 (en) 2013-06-10 2013-06-10 Enveloper For See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5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00Y1 (en) * 2014-03-21 2015-08-20 주식회사 서준 Seed Bag Stickers
KR20180078863A (en) * 2016-12-30 2018-07-10 양지윤 Seed kit
RU205684U1 (en) * 2021-04-23 2021-07-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ганик» Pack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558A (en) * 1996-10-10 1998-07-15 김건중 Plastic seed paper
KR20040062939A (en) * 2004-06-18 2004-07-09 김종식 a sowing band
KR20120003563U (en) * 2010-11-15 2012-05-23 안상훈 Paper media having seed pocket
KR20120117300A (en) * 2011-04-15 2012-10-24 유재진 Stick having germin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558A (en) * 1996-10-10 1998-07-15 김건중 Plastic seed paper
KR20040062939A (en) * 2004-06-18 2004-07-09 김종식 a sowing band
KR20120003563U (en) * 2010-11-15 2012-05-23 안상훈 Paper media having seed pocket
KR20120117300A (en) * 2011-04-15 2012-10-24 유재진 Stick having germination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00Y1 (en) * 2014-03-21 2015-08-20 주식회사 서준 Seed Bag Stickers
KR20180078863A (en) * 2016-12-30 2018-07-10 양지윤 Seed kit
RU205684U1 (en) * 2021-04-23 2021-07-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ганик» Pac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59139A (en) Seed or embryo plant planting cartridge
KR200470258Y1 (en) Enveloper For Seeds
CZ368497A3 (en) Device for presentation bunch of flowers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JP3173159U (en) Simple cultivation tool
US20140290133A1 (en) Seed mat
US526512A (en) Moritz weber
KR20130096595A (en) Flowerpot manufacturing kit
WO2015134713A1 (en) Garden seed planter
US20160135358A1 (en) Seed growing device
KR102380880B1 (en) Upcycling package box being usable for hydroponics port
JP7166814B2 (en) Plant growing body, plant growing container and planting method
US4138802A (en)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roots of a live osmunda fern
JPH08289669A (en) Solid type planter
JP4972663B2 (en) Gardening tag
JP2582280B2 (en) Seed set using seed paper
KR20150004397U (en) Paper pot
KR101511938B1 (en) Eco-friendly recycled notebook
US407822A (en) Seed-planting
KR20120006691U (en) Soil pellet containing seeds
JP3172708U (en) calendar
KR200457292Y1 (en) An advertisement card
JP3124793U (en) Plant nursery pot
JP2000014249A (en) Simple plant culturing container and show case therefor
KR101511940B1 (en) Eco-friendly recycled note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