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17Y1 -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917Y1 KR200469917Y1 KR2020130004688U KR20130004688U KR200469917Y1 KR 200469917 Y1 KR200469917 Y1 KR 200469917Y1 KR 2020130004688 U KR2020130004688 U KR 2020130004688U KR 20130004688 U KR20130004688 U KR 20130004688U KR 200469917 Y1 KR200469917 Y1 KR 2004699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se
- storage space
- dishwasher
- detergent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7—Consumable products, e.g. detergent, rinse aids or salt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하부 케이스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식기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통 또는 주방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가 힌지결합되며,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지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영역에 식기 세척 및 헹굼에 필요한 린스통 및 세제통이 수납되고,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과 각각 연결되어 식기 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의 각 액체가 소량이 남았을 시 이를 전부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을 소정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경사판이 구비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의 다리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손잡이가 힌지결합되며,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지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영역에 식기 세척 및 헹굼에 필요한 린스통 및 세제통이 수납되고,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과 각각 연결되어 식기 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의 각 액체가 소량이 남았을 시 이를 전부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을 소정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경사판이 구비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의 다리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하부 케이스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식기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통 또는 주방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업소용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전식 세척노즐과 헹굼노즐을 설치하고, 그러한 세척실의 하부에는 음식찌꺼기의 거름망 덮개가 복개되는 세척수조와 헹굼수조가 본체 내부에 위치되게 내장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조와 헹굼수조의 세척수 및 헹굼수를 펌프로 펌핑하여 세척노즐 및 헹굼노즐로 분사하는 등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세척실에 놓인 식기들을 세척수로 세척을 한 후 80~90℃의 헹굼수로 살균과 헹굼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도록 세척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위와 같은 식기세척기의 형상은 공개특허번호 제2009-117535호, 2009-113939호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있어 식기세척기의 내부에 식기 넣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위로 상승을 시켜야 상부케이스가 상승을 하면서 내부의 식기거치대에 식기트레이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기세척기의 형태이다.
상기한 식기세척기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에 필요한 세제 및 린스는 각각 통(세제통 : 133, 린스통 : 143)에 구비되어 식기세척기 옆의 싱크대 하부에 놓여지고, 상기 각각의 통(133, 143)은 식시세척기의 내부의 각 펌프(135, 145)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135, 145)의 펌핑 작동에 의해 식기세척기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세제통(133) 및 린스통(143)을 안착시켜야 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주방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제통(133) 및 린스통(143)과 연결되는 호스를 식기세척기로 인출하여 사용하여야 되는데 이때 상기 식기세척기 및 싱크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호스를 인출시키는데 어렵고, 호스를 인출시키기 위한 작업이 힘들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제통(133) 및 린스통(143)이 수평으로 놓이기 때문에 세제와 린스가 전부 소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기세척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수납공간에 세제통, 린스통 또는 각종 주방용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가 힌지결합되며,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지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영역에 식기 세척 및 헹굼에 필요한 린스통 및 세제통이 수납되고,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과 각각 연결되어 식기 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의 각 액체가 소량이 남았을 시 이를 전부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을 소정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경사판이 구비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의 다리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그 단면의 형상이 'W'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의 다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이 소정각도 기울어져 일측 모서리가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 단면의 형상이 'L'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의 다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이 식기세척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린스통 및 세제통에는, 린스와 세제의 유출입을 위한 각각의 뚜껑 외에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상기 호스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호스 삽입공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그 전면에 내부의 수용물을 가리기 위하여 상기 일측부 다리에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첫째, 식기 세척에 필요한 세제통 및 린스통을 식기세척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기존과 같이 세제통 및 린스통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주방의 공간 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수납공간에 경사판을 더 구비하여 세제통 및 린스통에 수용된 세제와 린스를 전량 소진시킬 수 있어 세제 및 린스를 절약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덜게 된다.
셋째, 수납공간에 주방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도어를 설치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주방용품들을 가릴 수 있어 미관상 보기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공간에 경사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경사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건들이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및 도 10은 도 3의 내지 도 6에서 경사판의 종류에 따라 세제 또는 린스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호스 삽입공에 마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공간에 경사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경사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건들이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및 도 10은 도 3의 내지 도 6에서 경사판의 종류에 따라 세제 또는 린스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호스 삽입공에 마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납공간에 경사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경사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경사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건들이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및 도 10은 도 3의 내지 도 6에서 경사판의 종류에 따라 세제 또는 린스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호스 삽입공에 마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는, 손잡이(21)가 힌지결합되며,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구비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수납공간(30)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의 다리(11)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로 구성된다.
기존 식기세척기의 하부케이스(10)는 헹굼수조, 세척수조, 기계실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납공간(30)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헹굼수조와 세척수조의 깊이가 감소하는 만큼 기계 장치들 간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기계실의 용량을 줄이고, 각 수조의 폭을 늘림으로서 기존 식기세척기의 부품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수납공간(3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30)에는, 그 내측 영역에 식기 세척 및 헹굼에 필요한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수납되며,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과 각각 연결되어 식기 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43, 44)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30)에는, 그 바닥면에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의 각 액체가 소량이 남았을 시 이를 전부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을 기울이기 위한 경사판(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경사판(50)은 두 가지 종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을 식기세척기의 측면으로 기울이기 위한 것과 나머지 하나는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을 식기세척기의 전면으로 기울이기 위한 것으로 두 가지의 경사판(5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각 경사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W'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51)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의 다리(1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소정각도 기울어져 일측 모서리가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세제와 린스가 소진될 수 있게 한다.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L'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53)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의 다리(1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식기세척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실시예의 경사판(50)의 경우는 일체로 형성되며,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경사판(50)이 좌우로 분리 형성되어 각각이 상기 식기세척기 전면부 다리(11)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스통(41) 및 세제통(42)에는 린스와 세제의 유출입을 위한 뚜껑(45) 외에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43, 44)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되는 호스 삽입공(47)에 힌지 형태의 마개(4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 삽입공(47)과 힌지 형태의 마개(46)는 식기세척기의 수납공간(30)에 놓이는 린스통(41)과 세제통(42)이 상기 경사판(50)에 놓였을 때 린스통(41)과 세제통(42)의 최상위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경사판(50)의 경우 린스통(41)과 세제통(42)을 식기세척기의 측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삽입공(47)은 린스통(41)과 세제통(42)의 최상위부인 상부 일측 모서리에 근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경사판(50)의 경우 린스통(41)과 세제통(42)을 식기세척기의 전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삽입공(47)은 린스통(41)과 세제통(42)의 상부 전면부에서 최상위부인 뚜껑(45)의 대각선상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30)은, 그 전면에 내부의 수용물을 가리기 위하여 상기 일측부 다리(11)에 결합되는 도어(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를 도어(60)로 개폐하여 상기 수납공간(30)의 내측에 수용된 물품들을 가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은 그 내측에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수납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경사판(50)을 회동시켜 일측에 위치시킨 후 그 내부에 주방용품(그릇, 컵, 양념통 등)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식기 세척에 필요한 세제통 및 린스통을 식기세척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기존과 같이 세제통 및 린스통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주방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납공간에 경사판을 더 구비하여 세제통 및 린스통에 수용된 세제와 린스를 전량 소진시킬 수 있어 세제 및 린스를 절약할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다른 유형의 식기세척기, 즉, 랙-컨베이어타입 식기세척기, 플라이트 식기세척기 등에도 같은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부케이스 11 : 다리
20 : 상부케이스 21 : 손잡이
30 : 수납공간 41 : 린스통
42 : 세제통 43, 44 : 호스
45 : 뚜껑 46 : 마개
47 : 삽입공 50 : 경사판
51, 53 : 힌지 60 : 도어
20 : 상부케이스 21 : 손잡이
30 : 수납공간 41 : 린스통
42 : 세제통 43, 44 : 호스
45 : 뚜껑 46 : 마개
47 : 삽입공 50 : 경사판
51, 53 : 힌지 60 : 도어
Claims (5)
- 손잡이(21)가 힌지결합되며,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10)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지도록 수납공간(30)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30)의 내측 영역에 식기 세척 및 헹굼에 필요한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수납되고,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과 각각 연결되어 식기 세척에 필요한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호스(43, 44) 및 상기 수납공간(30)의 바닥면에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의 각 액체가 소량이 남았을 시 이를 전부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을 소정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경사판(50)이 구비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의 다리(11)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50)은,
그 단면의 형상이 'W'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51)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의 다리(1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소정각도 기울어져 일측 모서리가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50)은,
그 단면의 형상이 'L'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힌지(53)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의 다리(1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이 식기세척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져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통(41) 및 세제통(42)에는,
린스와 세제의 유출입을 위한 각각의 뚜껑(45) 외에 린스 및 세제를 이송하는 상기 호스(43, 44)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호스 삽입공(47)에 결합되는 마개(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30)은,
그 전면에 내부의 수용물을 가리기 위하여 상기 일측부 다리(11)에 결합되는 도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688U KR200469917Y1 (ko) | 2013-06-11 | 2013-06-11 |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688U KR200469917Y1 (ko) | 2013-06-11 | 2013-06-11 |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917Y1 true KR200469917Y1 (ko) | 2013-11-20 |
Family
ID=5074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4688U KR200469917Y1 (ko) | 2013-06-11 | 2013-06-11 |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917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698Y1 (ko) | 2002-04-11 | 2002-07-13 | 허정석 | 업소용 식기 세척기 |
JP2003024261A (ja) | 2001-07-18 | 2003-01-2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食器洗浄機 |
KR100779404B1 (ko) | 2006-12-29 | 2007-11-23 | 송영일 | 세척기세정제자동공급장치 |
KR20110054093A (ko) * | 2009-11-17 | 2011-05-25 | 김이빈 | 세제용기 및 린스용기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
-
2013
- 2013-06-11 KR KR2020130004688U patent/KR20046991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24261A (ja) | 2001-07-18 | 2003-01-2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食器洗浄機 |
KR200281698Y1 (ko) | 2002-04-11 | 2002-07-13 | 허정석 | 업소용 식기 세척기 |
KR100779404B1 (ko) | 2006-12-29 | 2007-11-23 | 송영일 | 세척기세정제자동공급장치 |
KR20110054093A (ko) * | 2009-11-17 | 2011-05-25 | 김이빈 | 세제용기 및 린스용기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7131B2 (en) | Rack assembly in dishwasher | |
KR101315619B1 (ko)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 탱크 | |
US9924851B2 (en) | Modular dishwasher rack system | |
US20140259381A1 (en) |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 |
KR20170021641A (ko) |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 |
TR201807869T4 (tr) | En azından döner bir püskürtme kolu ile bulaşık yıkama makinesi. | |
US10478042B2 (en) | Baskets for use in a dishwasher appliance | |
KR200469917Y1 (ko) |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
CN104983329A (zh) | 一种滑动式洗菜装置 | |
CN204541873U (zh) | 一种折叠水盆 | |
KR20140033693A (ko)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 |
GB2495870A (en) | Apparatus for cleaning of knives, crockery or other kitchenware. | |
KR101477889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1208867B1 (ko) | 식기세척 장치 | |
CN219557212U (zh) | 一种用于洗碗机的小型餐具清洗篮 | |
CN205548492U (zh) | 一种新型清洗臂及洗碗机喷淋清洗系统 | |
CN215899597U (zh) | 置物架、承载篮和家用电器 | |
KR101240801B1 (ko) |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 |
CN209863737U (zh) | 洗涤剂投放装置 | |
CN211270581U (zh) | 一种组合式多工位洗碗机 | |
CN215305659U (zh) | 一种洗碗机塑料清洗篮 | |
CN215899596U (zh) | 承载篮和家用电器 | |
CN216569849U (zh) | 一种收纳组件及收纳装置 | |
CN208973775U (zh) | 一种洗碗机筷子篮 | |
KR20070008808A (ko) | 식기 세척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