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65Y1 - 물총 세트 - Google Patents

물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65Y1
KR200469865Y1 KR2020100008439U KR20100008439U KR200469865Y1 KR 200469865 Y1 KR200469865 Y1 KR 200469865Y1 KR 2020100008439 U KR2020100008439 U KR 2020100008439U KR 20100008439 U KR20100008439 U KR 20100008439U KR 200469865 Y1 KR200469865 Y1 KR 200469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or
assembly
temperature
thermochrom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244U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2020100008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6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0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 F41B9/005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the gun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ource of pressurised liquid during use of the gun, i.e. at least during ejection of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물총 세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물총 세트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조립체와, 상기 물통조립체와 연결되고, 구비된 분사버튼을 누르면 상기 물통조립체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물총조립체와, 상기 물총조립체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변색되며, 사용자에 의해 겨냥 가능하게 구비된 과녁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총 세트{SQUIRT GUN SET}
본 고안은 물총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표물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방아쇠를 당기면 전방으로 물이 분사되는 물총은 주로 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각종 놀이를 즐길 수도 있으며 스릴이 있으면서 위험하지는 않아 아이들이 즐겨 가지고 노는 완구로서, 연질 합성수지에 의하여 중공으로 이루어진 총 모양의 보디에 물을 담고 손으로 힘껏 움켜쥐어 압착하면 보디의 선단에 형성된 총구에서 물이 발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타입은 구조적 특성상 사정거리가 짧을 수밖에 없어 놀이 자체의 즐거움이나 만족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공기를 직접 펌프작용으로 물탱크에 연속하여 주입함으로써 부피를 축소시켜 압축공기화한 후 방아쇠를 조작하면, 압축공기와 물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하여 총구에서 물이 발사되도록 구성된 타입의 물총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물총의 보디 부분에 직접 물을 저장하는 타입의 경우, 충진할 수 있는 물의 양이 한정적이기 물총 보디에 직접 물을 저장하는 타입 이외에 별도로 소형 물탱크를 구비한 물총도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의 물총 완구는 적절한 수압으로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페인트볼을 이용한 서바이벌 게임 등에서 느낄 수 있는 타격여부에 대한 식별은 불가능하다. 즉, 페인트볼을 이용한 서바이벌 게임에서는 이용자가 방아쇠를 당겨 페인트볼을 발사하게 되어 목표물을 명중하게 되면 페인트볼 내부의 특정색을 가지는 형광물질이 명중 부위에 도포되어 명중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팀의 인원이 페인트볼에 맞지 않고 생존해 있는지 여부 등의 규칙을 정하여 서바이벌 게임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어서 보다 박진감 있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종래의 물총완구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며 특히 여름철의 경우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페인트볼을 이용한 서바이벌 게임과 같이 목표체의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팀을 구분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서바이벌 게임과 같은 규칙을 적용하여 특정 부위를 명중당한 사용자는 일정 시간을 대기한다던지 각 팀에서 목표물의 명중 횟수 등으로 승패를 결정하는 등의 정형화된 룰에 따른 재미를 반감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안되었으며, 본 고안의 과제는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과녁조립체를 포함하는 물총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여 일정한 룰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물총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물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도 박진감 있는 게임 진행이 가능한 물총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물총 세트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조립체와, 상기 물통조립체와 연결되고, 구비된 분사버튼을 누르면 상기 물통조립체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물총조립체와, 상기 물총조립체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변색되며, 사용자에 의해 겨냥 가능하게 구비된 과녁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총 세트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기의 온도에 의해서 일정한 색을 유지하다가 외기의 온도와 상이한 온도를 가지는 분사된 물에 의해 감온변색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과녁조립체를 포함하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감온변색 기능을 가지는 과녁조립체에 의해 분사된 물에 의해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여 명중된 사용자에 대한 패널티를 부가하는 등의 일정한 룰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물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도 박진감 있는 게임 진행이 가능하며,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물통조립체에 의해 장시간 물을 충전하지 않고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를 구성하는 물통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를 구성하는 물총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를 구성하는 과녁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변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혼색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의 혼색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변색"은 일정한 색이 다른 색으로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하거나, 무색(투명)이었다가 유색으로 변하는 경우 또는 유색이었다가 무색(투명)으로 변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조립체(10)와, 상기 물통조립체(10)와 연결되고, 구비된 분사버튼을 누르면 상기 물통조립체(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물총조립체(20)와, 상기 물총조립체(20)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변색되며, 사용자에 의해 겨냥 가능하게 구비된 과녁조립체(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 중 물통조립체(10)를 도시하며, 도 2는 물총조립체(20)를 도시하고, 도 3은 과녁조립체(30)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조립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태로서, 그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에 마개(11)를 구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마개(11)를 열어 물통조립체(10)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다. 물통조립체(10)는 일정한 수온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부재(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보온부재(12)는 물통조립체(10)의 내면에 형성된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온부재(12)는 물통조립체(10)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물통조립체(10)에 채워진 물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내면에 보온부재(12)가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일이 없으므로 내구성 및 보온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외면에 보온부재(12)가 형성된 경우에는 보온부재(12)가 일부 손상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온부재(12)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며, 열전달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고무, 염화비닐, 실리카, 펄라이트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질의 종류 중에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염화비닐은 발포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및 발포 염화비닐은 내부에 공기층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열효과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물통조립체(10)는 스트랩(13)이 구비된 백팩 형태로 등에 맬 수 있는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물총 완구에서와 같이 직접 물총(20)과 연결되어 주로 물총(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물을 물총(20)에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물통조립체(10)의 부피에 한계가 있다. 즉, 물총(20)은 주로 한손 또는 양손으로 파지하면서 방아쇠를 당겨 물을 분사하게 되는데, 물통조립체(10)의 부피가 크게 설치된 경우에는 물을 많이 담을 수 있는 반면 그 자체의 무게가 양손에 집중되어 일정 시간 이상 물총(20)을 사용할 수 없으며, 무게를 불안정하게 지탱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물통조립체(10)의 부피가 작게 설치된 경우에는 물을 물통조립체(10)에 자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사용 중간에 물을 채우기 위해 물 공급원인 수돗가 등을 왕복해야 하므로 진행 중인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통조립체(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피 이상의 대용량의 물을 운반할 수 있으면서 운반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형태인 백팩 형태로 구비될 경우 양손이 자유로울뿐더러 물을 자주 공급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게임의 진행이 원활하고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물통조립체(10)는 일정량의 물을 운반 및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물을 물총조립체(2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구비된 보온부재(12)에 의해 물통조립체(10)에 저장된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기 온도와 다른 수온을 가지는 분사된 물에 의해 타격된 과녁조립체(30)가 변색되어 명중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조립체(20)는 상기 물통조립체(1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21)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2)와,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방아쇠(23)와, 내부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관 및 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대(24)와, 상기 분사대(24)의 일단에 형성되고 물이 전방을 향해 분사되는 분사구(25)와, 피스톤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통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피스톤손잡이(2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급관(21)은 물통조립체(10)와 연결되어 물통조립체(10)에 저장된 물이 물총조립체(2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통조립체(10)가 물총조립체(20)의 일부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의 경우에는 공급관(21)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물통조립체(10)의 물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그 자체 수압에 의해 공급관(21)을 통해 물을 밀어낼 수 있으나, 물통조립체(10)의 물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압이 충분하지 않아서 공급관(21)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선택에 따라 별도의 소형펌프(미도시)와 같은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2)를 파지하고 방아쇠(23)를 당겨서 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방아쇠(23) 없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손잡이(26)를 왕복이동시켜 압축공기가 생성되면 방아쇠(23)없이 자동으로 물이 분사되게 된다.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받은 물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분사관을 통해 이동하고, 분사관 말단의 노즐에 의해 가속되어 전방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물총조립체(20)로부터 물이 분사되는데,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물을 향해 분사구(25)를 향하게 하여 과녁을 맞추게 된다. 과녁은 물체가 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는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직접 다른 사용자를 겨냥하여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그러나, 무색의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분사된 물을 계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지 않는 한 과녁에 분사된 물이 명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더욱이, 여름철에 페인트볼 대신 물총으로 편을 갈라서 서바이벌 게임을 즐기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몸에 분사된 물이 명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3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가 도시되어 있다. 과녁조립체(30)는 접착식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의복 또는 신체의 일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조끼 타입 또는 민소매 타입으로 제작되어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녁이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과녁조립체(30)는 물총조립체(20)로부터 분사된 물이 닿게 되면 현재 과녁조립체(30) 주위의 외기 온도와 분사된 물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변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름의 경우에 외기온도가 28도인 경우 분사된 물의 온도는 예를 들어 20도인 경우, 과녁조립체(30)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온도변화에 의해 변색되는 감온변색층이 반응하여 기존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녁조립체(30)에 명중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과녁조립체(30)를 설명하면, 과녁조립체(30)는 분사된 물에 닿기 전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색 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분사한 물에 닿게 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와 다른 수온에 의해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감온변색층이 반응하여 기존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색된다. 일정 시간 후에는 물이 증발되거나 물이 제거되어 다시 주변의 외기온도와 동일해지므로 다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온변색층이 원상으로 회복되어 기존의 변색 전의 상태로 회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과녁조립체(30)는 일회 사용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변색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온도차에 의해 변색되었다가 다시 원상복구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먼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3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과녁조립체(30)는 기재(31)와 기재의 상부에 적층된 감온변색층(31)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31)는 상기 과녁조립체(30)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감온변색층(32)을 보호하는 기능 및 감온변색층(32)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재(31)는 합성수지 재질의 광학시트 형태일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특히, 과녁조립체(30)는 반복적으로 물에 닿았다가 건조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의복 또는 신체에 접착되어 반복적으로 응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기재(31)는 질기고 가벼운 재질로서 보호작용에 뛰어난 PVC 또는 PET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기재(31)의 일면에는 감온변색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감온변색층(32)은 실제 닿는 물의 온도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30)의 명중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감온변색층(32)은 투명한 초박형 시트 상에 감온변색 염료가 도포된 형태이거나, 감온변색 염료가 형성된 층 자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2 감온변색층(33)도 마찬가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감온변색 염료(Thermochromic ink)는 외부온도에 따라 특정한 색상이 발현되거나 특정한 색상이 소멸하는 특수한 염료를 지칭한다. 제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감응온도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발현 또는 소멸되도록 할 수 있다. 감온변색 염료 입자는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가지며, 그 형태는 캡슐 또는 슬러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색이 변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가역성 색소와, 한번 온도가 변화하게 되면 색이 영구적으로 변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비가역 색소로 구분된다.
감온변색 염료는 감응온도 이상에서 일정한 화학결합구조를 유지하고 있다가 감응온도 이하가 되면 화학결합구조가 변형되어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색상을 나타내는 타입과, 감응온도 이하에서는 일정한 화학결합구조를 유지하고 있다가 감응온도 이상이 되면 화학결합구조가 변형되어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색상을 나타내는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고온 감온변색 염료와 저온 감온변색 염료로 나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30)도 고온 감지 필름과 저온 감지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별은 물통조립체(10)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와 계절별 외기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외기 온도가 높은 여름의 경우에는 외기의 온도가 저장되는 물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온의 물이 과녁조립체(30)에 닿았을 때 변색되어야 하므로, 이때 과녁조립체(30)를 구성하는 감온변색층은 저온 감온변색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외기의 온도가 물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고온 감온변색 염료를 사용하여 과녁조립체(30)의 감온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감온변색층(32)은 각 구조별로 감응온도 외 온도구간에서는 무색이었다가 감응범위 내의 온도구간에서는 유색인 타입이 있으며, 반대로 감응온도 외의 온도구간에서는 유색이었다가 감응온도 범위 내의 온도구간에서는 무색으로 변하는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유색에서 다른 유색으로 변하는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타입이 조합되어 필요한 조건에 따라 특정한 온도 이상 또는 이하에서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감온변색층(32)은 상기한 감온변색 염료가 포함되어,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거나, 일정한 저온 이하가 되면 색상이 변하여 사용자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여름철 외기 온도가 28도이고, 물통조립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온은 18도이며, 과녁조립체(30)를 구성하는 감온변색층(32)이 26도에서 변색되는 감온변색 염료를 사용한 경우, 사용자가 과녁조립체(30)에 물을 분사하면 감온변색층(32)이 18도의 물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여, 26도에 도달하게 되면, 기존의 무색에서 유색으로 변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분사된 물이 명중했다는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분사된 물에 의해 저격된 사용자에 대한 패널티를 부가하는 등의 일정한 룰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면서도 박진감 있는 게임의 진행이 가능한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총 세트의 과녁조립체(3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는 기재(31)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에서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제1 감온변색층(32)과,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에서 제2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제2 감온변색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1 색상과 제2 색상 또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감온변색층(32)과 동일한 원리의 감온변색 염료가 적용된 제2 감온변색층(33)이 더 추가되었으며, 제1 감온변색층(32)과 제2 감온변색층(33)은 감응온도나 발현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감온변색층(32)은 예를 들어 28도 이하에서 색이 발현되고, 제2 감온변색층(33)은 24도 이하에서 색이 발현되어 사용자가 과녁조립체(30)의 온도 하강을 단계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물총조립체(20)로부터 분사된 물이 과녁조립체(30)에 닿게 되면 과녁조립체(30)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는데, 외기 온도와 분사된 물의 온도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한번 분사된 물이 닿는 경우는 온도변화가 크지 않다. 따라서, 위와 같이 제1 감온변색층(32)은 28도 이하가 되면 색이 발현되도록 하고, 제2 감온변색층(33)은 24도 이하에서 색이 발현되도록 구성하면, 제1 색상은 분사된 물에 의해 바로 발현될 수 있으나 제2 색상은 분사된 물에 의해 반복적으로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되어야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색상 및 제2 색상 발현의 시간차이에 의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정된 규칙에 의해 게임 등을 진행하여 보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색상이 발현되면 경미한 부상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색상이 발현된 경우에는 중상을 의미하여 예를 들어 5분간 게임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감온변색층(32, 33)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감온변색층의 색상이 개별적으로 발현되지 않고, 각 색상이 혼합되어 발현될 수도 있다.
즉,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의 혼합색상이 발현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제1 감온변색층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B)과 제2 감온변색층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C)이 혼합된 색상(A)이 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온변색층(32)은 28도에서 색(B)이 발현되고, 제2 감온변색층(33)은 26도에서 색(C)이 발현되는 경우에는, 과녁조립체(30)에 분사된 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즉 반복적으로 분사된 물에 의해 저격당할 경우, 색이 B에서 A로 변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녁조립체(30)의 크기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제1 및 변색층(30, 40)의 크기도 제한이 없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복 또는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로 조끼 타입과 같이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의복에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과녁조립체(30) 전체가 아닌 일부 영역에만 감온변색층(32, 33)이 위치하도록 하여 변색에 의해 특정한 패턴 또는 글씨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재(31)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에서 변색되는 제1 감온변색층(32)과,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에서 변색되는 제2 감온변색층(33)과, 일정한 색상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착색시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시트(34)는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시트로서, 제1 및 제2 감온변색층(32, 33)과는 달리 온도에 감응하여 변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에 무관하게 착색시트(34)의 색상이 지속적으로 발현된다. 착색시트(34)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의 색상변화원리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녁조립체(30)에 사용된 감온변색 염료가 감응온도 이하가 되면 화학결합이 분리되어 투명하게 변색되는 타입이고, 물통조립체(1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섭씨 18도이고, 제1 감온변색층(31)이 변색(무색화)되는 제1 온도가 섭씨 26도, 제2 감온변색층(32)이 변색(무색화)되는 제2 온도는 섭씨 24도이고, 모든 층(32, 33, 34)의 색상이 다른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 때, 모든 층(32, 33, 34)의 색상이 각각 H, I, J인 경우, 26도 이상에서는 세 가지 색상의 혼합색인 D 색을 나타내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과녁조립체(30)가 다른 사용자의 물총조립체(20)로부터 분사된 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온도가 하강하여 26도 이하로 하강한 경우에는 제1 감온변색층(32)의 색상(H)이 소멸되어 G 색을 나타내게 된다. 과녁조립체(30)가 분사된 물에 의해 더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어 온도가 더 하강하여 24도 이하가 되면 제2 감온변색층(33)의 색상(I)이 소멸되어, 최종적으로 착색시트(34)의 색상인 J 색만이 발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감온변색층(32, 33)을 가진 구조체를 설명하였으나, 제3 이상의 감온변색층을 더 추가하는 구성이 가능함은 자명하며, 색을 3개 이상으로 다양화 하여 각 온도 구간 별로 상세한 온도 정보(분사된 물의 양 및 분사된 물에 노출된 시간 정보)를 색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기의 온도에 의해서 일정한 색을 유지하다가 외기의 온도와 상이한 온도를 가지는 분사된 물에 의해 감온변색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과녁조립체를 포함하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감온변색 기능을 가지는 과녁조립체에 의해 분사된 물에 의해 명중 여부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여 명중된 사용자에 대한 패널티를 부가하는 등의 일정한 룰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물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도 박진감 있는 게임 진행이 가능하며,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물통조립체에 의해 장시간 물을 충전하지 않고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물총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10: 물통조립체 11: 마개
12: 단열부재 13: 스트랩
20: 물총조립체 21: 공급관
22: 손잡이부 23: 방아쇠
24: 분사대 25: 분사구
26: 피스톤손잡이 30: 과녁조립체
31: 기재 32: 제1 감온변색층
33: 제2 감온변색층 34: 착색시트

Claims (9)

  1.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조립체와,
    상기 물통조립체와 연결되고, 구비된 분사버튼을 누르면 상기 물통조립체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물총조립체와,
    상기 물총조립체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변색되며, 사용자에 의해 겨냥 가능하게 구비된 과녁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물통조립체는, 상기 물통조립체에 저장된 상기 물의 온도변화를 감소시키는 보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과녁조립체는,
    기재;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에서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제1 감온변색층;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에서 상기 제2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제2 감온변색층; 및
    제3 색상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변색되지 않는 착색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된 제1 감온변색층의 색상과 상기 변색된 제2 감온변색층의 색상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감온변색층 및 상기 제2 감온변색층은 각각 상기 물통조립체에 저장된 상기 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결정되어 사용되고,
    상기 제1 감온변색층 및 상기 제2 감온변색층이 모두 변색된 경우, 상기 변색된 제1 감온변색층의 색상과 상기 변색된 제2 감온변색층의 색상이 혼합된 혼합 색상이 표시되는 물총 세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재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고무, 염화비닐, 실리카, 펄라이트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물총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재는 상기 물통조립체의 내면에 형성된 물총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조립체는 스트랩이 구비된 백팩 형태인 물총 세트.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녁조립체는 접착식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물총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녁조립체는 의복 또는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물총 세트.
KR2020100008439U 2010-08-13 2010-08-13 물총 세트 KR200469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39U KR200469865Y1 (ko) 2010-08-13 2010-08-13 물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39U KR200469865Y1 (ko) 2010-08-13 2010-08-13 물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44U KR20120001244U (ko) 2012-02-22
KR200469865Y1 true KR200469865Y1 (ko) 2013-11-08

Family

ID=4593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439U KR200469865Y1 (ko) 2010-08-13 2010-08-13 물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46U (ko) 2022-03-31 2023-10-10 최우진 놀이용 백팩 물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6268A2 (en) * 1988-01-25 1989-08-02 Novatech Energy Systems, Inc. Apparatus for firing a jet of electrically charged liquid
KR930006936B1 (ko) * 1990-06-20 1993-07-24 주식회사 코오롱 변색성포지의 제조방법
KR20060104781A (ko) * 2005-03-31 2006-10-09 안헌상 메시지용 스티커
JP4387524B2 (ja) * 1999-11-22 2009-12-16 芦森工業株式会社 可搬式放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6268A2 (en) * 1988-01-25 1989-08-02 Novatech Energy Systems, Inc. Apparatus for firing a jet of electrically charged liquid
KR930006936B1 (ko) * 1990-06-20 1993-07-24 주식회사 코오롱 변색성포지의 제조방법
JP4387524B2 (ja) * 1999-11-22 2009-12-16 芦森工業株式会社 可搬式放液装置
KR20060104781A (ko) * 2005-03-31 2006-10-09 안헌상 메시지용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44U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1445A (en) Color memory toy set
US8128450B2 (en) Thermochromic transformable toy
US5256099A (en) Contact-activated pressurized water release toy
US9345270B2 (en) Water-activated thermochromic materials
US201101899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glowing trail onto a surface
US20070259592A1 (en) Thermochromic toy for revealing hidden codes
EP1914503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positing liquid on an object
US20120225739A1 (en) Flying disc toy, accessories and games
US200900539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lluminating sports, entertainment, emergency, and safety devices
US103324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lluminating sports, entertainment, emergency, and safety devices
KR200469865Y1 (ko) 물총 세트
CN101305257B (zh) 流体射弹发射和检测装置以及它们的设备
US20190282873A1 (en) Light-up sword game
US20150296890A1 (en) Wearable garment with interchangeable wetness indicator
CN101310158B (zh) 流体射弹射击设备及游戏
AU2009221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lluminating sports, entertainment, emergency, and safety devices
US11097198B2 (en) Pop mechanism and device for revealing a winner
US9375651B2 (en) Toy glove including fluid retaining portion
CN206285444U (zh) 发光发声回力球
US20150044935A1 (en) Toy system for sending and reading secret messages
JP5207672B2 (ja) 必殺技機能を兼ねた記憶媒体を利用可能なゲーム装置
WO2017021571A1 (es) Sistema de marcado para armas simuladas de combate cuerpo a cuerpo, arrojadizas y de asedio
CN202207469U (zh) 安全飞镖套件
TWM256207U (en) Tchouk-ball
JP2004223030A (ja) サバイバルゲーム用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