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18Y1 -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18Y1
KR200469318Y1 KR2020110004479U KR20110004479U KR200469318Y1 KR 200469318 Y1 KR200469318 Y1 KR 200469318Y1 KR 2020110004479 U KR2020110004479 U KR 2020110004479U KR 20110004479 U KR20110004479 U KR 20110004479U KR 200469318 Y1 KR200469318 Y1 KR 200469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evice
static electricity
user
device case
electrostatic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53U (ko
Inventor
조여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엔
Priority to KR2020110004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18Y1/ko
Priority to PCT/KR2012/002138 priority patent/WO2012134117A2/ko
Publication of KR20120008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흡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 상기 제어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로 전달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를 연결하는 센서 연결 부재; 및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에서 정전기가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정전기 전달 방지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흡입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인체의 정전기가 직접 전달되거나 유도되는 형태로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어, 센서 연결 부재를 통해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정전기 감지 센서로 전달되어 감지됨으로써, 사용자 인체 중 손과 입 등 특정한 부분의 터치가 감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 부재에서 흡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흡입 대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장치 케이스를 잡거나 입으로 물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흡입 장치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흡입 장치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수단의 구조가 간단해져서 고장률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입 장치{Inhaling apparatus}
본 고안은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인체에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흡입 장치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의 형태로는, 액체는 물론 고체도 포함된다. 이러한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는 것이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이다.
이러한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대상물로는 니코틴 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대표적인 흡입 장치로는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가 있다.
최근 금연 보조용으로 담배 잎 가루를 종이로 말아놓은 실제 담배와 유사한 전자 담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실제 담배를 피울 때처럼 전자 담배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게 되면, 전자 담배의 노출된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유사한 불빛이 발생되고, 전자 담배의 사용자 입 내부의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사한 연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담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담배는 신체에 해로운 타르를 함유하지 아니하고, 담배의 유효 성분인 니코틴만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담배 사용의 만족감을 주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해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는 다수 개의 분할 부재로 분할되고, 그 부재 중 제일 앞쪽의 분할 부재 내에 발광 다이오드, 전기 공급 부재 및 회로 기판이 수용되고,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연기 제조 장치가 수용되며,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니코틴 액을 함유한 필터가 수용된다.
상기 연기 제조 장치는 필터와 접촉되어 필터로부터 니코틴 액이 스며드는 액체 유도체와, 그 액체 유도체에 스며든 니코틴 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화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로 기판이 설치된 분할 부재에 선택 부재 관통 홀이 형성되고, 그 선택 부재 관통 홀을 통해 승강될 수 있고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조작 버튼 등의 선택 부재가 설치된다.
종래의 흡입 장치에서는, 부압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흡입 시에 흡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이 감지되거나, 사용자가 수동 선택 버튼을 눌러 선택하는 경우 등에 흡입 장치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의 흡입압을 이용하여 작동하게 되어 정확성이 떨어지고, 부압 감지 센서의 고장이 잦으며, 버튼 사용으로 인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정확하고 간편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 상기 제어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로 전달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를 연결하는 센서 연결 부재; 및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에서 정전기가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정전기 전달 방지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인체의 정전기가 직접 전달되거나 유도되는 형태로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어, 센서 연결 부재를 통해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정전기 감지 센서로 전달되어 감지됨으로써, 사용자 인체 중 손과 입 등 특정한 부분의 터치가 감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 부재에서 흡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흡입 대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장치 케이스를 잡거나 입으로 물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흡입 장치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흡입 장치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수단의 구조가 간단해져서 고장률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센서 연결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흡입 장치로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 방식의 장치가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수용 액체로는 니코틴 액 대신 주사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액체가 흡입 장치 내에서 기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구성 요소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 이외에 고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00)는 정전기 전달부와, 제어 부재(114)와, 정전기 감지 센서(140)와, 센서 연결 부재(141)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흡입 장치(100)는 제 1 분할 부재(110)와, 제 2 분할 부재(120)로 분할된다. 이러한 부재(110, 120)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분할 부재의 구성 갯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에는 발광 다이오드(113), 전기 공급 부재(115) 및 제어 부재(11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에는 기화 부재(130), 액체 수용 부재(122) 및 뚜껑(125)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는 흡입 장치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 장치(100)의 작동 시, 예를 들어 상기 흡입 장치(100)를 사용자가 물고 흡입 시에, 상기 제어 부재(114)의 제어에 따라 붉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13)는 케이스(111) 전면의 전면 부재(112)에 형성된다.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는 상기 흡입 대상물이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인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제어 부재(114),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머 리튬 전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회로가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흡입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부재(114)는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에서 전달된 감지값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 등 상기 흡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손, 입 등 신체가 닿아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가 전달되거나 그러한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에 의해 유도된 정전기를 상기 센서 연결 부재(141)를 통해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로 전달하는 것으로, 정전기 전달부로 정의된다.
상기 정전기 전달부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전체가 정전기 전달부로 기능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는 상기 제어 부재(114)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 부재(114)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는 그러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결 부재(141)는 상기 정전기 전달부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를 연결하여,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를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로 전달시킨다.
상기 센서 연결 부재(141)는 금속, 도전성 실리콘, 도전성 유리 등 도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기의 전달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로 전달될 정전기가 도입되는 수단으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루는 상기 정전기 전달부가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흡입 시 사용자의 손이 닿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중앙부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인체의 정전기가 직접 전달되거나 유도되는 형태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어, 상기 센서 연결 부재(141)를 통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로 전달되어 감지됨으로써, 사용자 인체 중 손과 입 등 특정한 부분의 터치가 감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부재(114)에서 상기 흡입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흡입 대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장치 케이스를 잡거나 입으로 물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흡입 장치(100)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 장치(100)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수단의 구조가 간단해져서 고장률이 저감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6a는 선택 부재로서, 상기 선택 부재(116a)는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 등이 작동되어 상기 흡입 장치(100)가 흡입 대상물 흡입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선택 부재(116a)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는 함께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선택 부재(116a) 없이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16b는 외기 도입 홀로서,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 말단부(116)를 통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를 거치면서 기화된 흡입 대상물과 혼합되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홀(124)을 통해 상기 뚜껑(125)에 형성된 흡입 홀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사용자가 흡입 시에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상기 말단부(116)로 도입되는 외기는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에 의해 기화된 흡입 대상 기체인 니코틴과 함께 사용자에게 흡입된다.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는 상기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부재(114)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로부터 공급되는 니코틴 액 등의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가 작동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에서 전달된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에 의해 기화된 니코틴은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홀(124)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100)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기 위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를 잡으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사용자 인체의 정전기가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전달된 정전기는 상기 센서 연결 부재(141)를 통해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로 전달되고,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140)에서 그러한 정전기를 감지하고, 그러한 감지 정보는 상기 제어 부재(114)로 전달된다.
상기 감지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에 작동 명령을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130)가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발광 및 발열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니코틴 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기는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 내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얻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연결 부재(241, 242)가 흡입 시 사용자의 손이 닿는 흡입 장치 케이스의 중앙부와 흡입 시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말단부와, 정전기 감지 센서(240)를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24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 연결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서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센서 연결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연결 부재(341)가 탄성을 가진 탄성 스프링 형태를 이루어진다. 그러면, 별도로 상기 센서 연결 부재(341)를 흡입 장치 케이스 내면과 연결할 필요가 없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면과 정전기 감지 센서(340) 사이에 배치되기만 하면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340)에 닿을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장치(400)가 정전기 전달부(441, 444)를 제외한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에서 정전기가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441, 444)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정전기 전달 방지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전달부(441, 444)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중앙부와 말단부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전달 방지부(450)는 고무 재질 등 도전성이 없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물질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거나, 별도 부재로 제작된 다음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외주면에 끼워지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를 덮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정전기 전달 방지부(450)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정전기 전달부(441, 444) 외의 다른 부분에서의 정전기 전달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정전기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장치(500)가 근접 센서(560)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560)는 뚜껑(525)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입에 물고 흡입을 하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말단부와 사용자의 인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의 근접 정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인체가 일정 거리 범위 내로 근접된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 부재(514)가 그러한 감지값에 따라 상기 흡입 장치(500)의 각 구성 요소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흡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 센서(560)의 작동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다음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첫째,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로서, 검출 코일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자계 내에 검출 대상체, 즉 사용자의 얼굴 등이 접근할 때 전자유도 현상에 의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에너지 손실에 따라 검출코일에서 발생되는 발진 진폭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검출 대상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다.
둘째,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로서, 검출 대상체가 극판에서 멀어지면 분극현상이 약해져서 정전용량이 적어지고, 반대로 극판쪽으로 접근하면 분극현상이 커져 정전용량이 커지는데 이러한 변화량을 검출하여 검출 대상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다.
셋째, 적외선 이용 근접 센서로서, 적외선을 발진시켜 검출 대상체에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검출 대상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근접 센서(560)가 적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얼굴을 가까이 가져가는 행위 등으로도 상기 흡입 장치(500)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에 의하면, 정확하고 간편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5)

  1.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에 있어서,
    흡입 장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정전기 전달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
    상기 제어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기 감지 센서;
    상기 정전기 전달부에 전달되거나 유도된 정전기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로 전달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를 연결하는 센서 연결 부재; 및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에서 정전기가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정전기 전달부를 제외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정전기 전달 방지부;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 부재는 흡입 시 사용자의 손이 닿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중앙부와 흡입 시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정전기 감지 센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 부재는 탄성을 가진 탄성 스프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4479U 2011-03-25 2011-05-23 흡입 장치 KR200469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79U KR200469318Y1 (ko) 2011-05-23 2011-05-23 흡입 장치
PCT/KR2012/002138 WO2012134117A2 (ko) 2011-03-25 2012-03-24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기화 부재, 흡입 장치용 외피,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79U KR200469318Y1 (ko) 2011-05-23 2011-05-23 흡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3U KR20120008253U (ko) 2012-12-03
KR200469318Y1 true KR200469318Y1 (ko) 2013-10-04

Family

ID=4751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79U KR200469318Y1 (ko) 2011-03-25 2011-05-23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1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494A (ja) * 2003-04-29 2006-11-02 力 ▲韓▼ 不燃性電子式スプレータバコ
KR20060129022A (ko) * 2004-02-24 2006-12-14 마이크로도스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방향성 흐름 센서 흡입기
JP2007532118A (ja) 2004-04-14 2007-11-15 ベスト、パートナーズ、ワールドワイド、リミテッド 電子式微粒化煙草
KR20110004156U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손엔 기화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494A (ja) * 2003-04-29 2006-11-02 力 ▲韓▼ 不燃性電子式スプレータバコ
KR20060129022A (ko) * 2004-02-24 2006-12-14 마이크로도스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방향성 흐름 센서 흡입기
JP2007532118A (ja) 2004-04-14 2007-11-15 ベスト、パートナーズ、ワールドワイド、リミテッド 電子式微粒化煙草
KR20110004156U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손엔 기화 흡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3U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6779A1 (en) Power supply assembly,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and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ation system
KR102324486B1 (ko) 압력-기반 에어로졸 송달 기구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송달 장치
KR20160129693A (ko) 전자담배
CN108463126A (zh) 气溶胶递送设备的电容式感测输入设备
KR102178421B1 (ko)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08697161A (zh) 用于气溶胶递送设备的接近度感测
CN113507849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233985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KR101326661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KR101345358B1 (ko)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KR101165772B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40083983A (ko) 휴대용 전자 증기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130127412A (ko)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KR20120006582U (ko)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
KR10248549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129757A (ko)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09714992A (zh) 电子蒸汽供应系统
KR102631312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0469318Y1 (ko) 흡입 장치
KR101275191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 부재
KR101296158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KR20100011034U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20128060A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200477220Y1 (ko) 흡입 장치의 잔여 흡입횟수 표시 구조
KR20210081561A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기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