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55Y1 -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 Google Patents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55Y1
KR200468855Y1 KR2020130000767U KR20130000767U KR200468855Y1 KR 200468855 Y1 KR200468855 Y1 KR 200468855Y1 KR 2020130000767 U KR2020130000767 U KR 2020130000767U KR 20130000767 U KR20130000767 U KR 20130000767U KR 200468855 Y1 KR200468855 Y1 KR 200468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eeze protection
valve body
constant
fr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항
Original Assignee
이기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항 filed Critical 이기항
Priority to KR2020130000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에 관한 것으로, 수도시설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물)가 흐르도록 하여 결빙 및 이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고, 이 과정에서 낙수에 의한 고드름이 생기지 않고 낙수가 바닥에 결빙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는, 상수 공급관(1)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11)가 구비된 밸브 몸체(10)와; 상기 밸브 몸체 내부 유로(11)의 개도를 조정하여 상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 개폐기(20)와; 상기 출수 개폐기를 조작하는 출수 레버(30)와; 상기 밸브 몸체 또는 상기 상수 공급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밸브 몸체 또는 상기 상수 공급관에 공급되는 상수가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관(40)과; 상기 동파방지관을 개폐하는 동파방지 개폐기(50)와; 상기 동파방지 개폐기를 조작하는 동파방지 레버(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Water valve with freeze protection-pipe}
본 고안은 상수 공급관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아 출수하는 수도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수(수도물)가 흐르도록 하여 수도 밸브와 상수 공급계통(계량기, 배관 등)에서 정체하는 상수의 결빙으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고, 이 과정에서 상수가 수도밸브에 고드름의 형태로 결빙되지 않고 바닥에 결빙되지 않도록 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 공급 계통(수도밸브, 계량기, 배관 등) 내부의 상수는 혹한기에 상수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외부 기온에 의해 결빙되어 상수 공급 계통의 동파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도밸브에 보온재를 씌우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보온재를 덮는 방법은 보온재의 관리가 불편하고 보온 효과가 약하여 결빙 및 이로 인한 동파를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수도밸브를 열어 상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즉, 겨울철에는 수도시설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도밸브를 조금 개방하여 소량의 물을 흘려보내면 물이 정체하지 않기 때문에 물의 결빙 및 이로 인한 수도시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혹한기에 보온이 되지않는 시설이나 야외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은 고드름으로 변하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물방울이 차츰 두텁게 결빙되어 결국 수도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고 동파사고로 이어지곤 한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공개특허 제10-2010-0114958호)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바이메탈와셔를 통해 소량의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수의 결빙 및 이로 인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수가 수도밸브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그대로 있으며,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원가가 비싸고, 온도만을 근거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출수를 제어하지 못함으로써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14958호 공개특허 제10-2003-0039907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시설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물)가 흐르도록 하여 결빙 및 이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고, 이 과정에서 낙수에 의한 고드름이 생기지 않고 낙수가 바닥에 결빙되지 않도록 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는, 상수 공급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구비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 내부 유로의 개도를 조정하여 상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 개폐기와; 상기 출수 개폐기를 조작하는 출수 레버와; 상기 밸브 몸체 또는 상기 상수 공급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밸브 몸체 또는 상기 상수 공급관에 공급되는 상수가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관과; 상기 동파방지관을 개폐하는 동파방지 개폐기와; 상기 동파방지 개폐기를 조작하는 동파방지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에 의하면, 수도밸브에 공급되는 상수가 결빙되지 않는 조건에서 흐르도록 하여 결빙 및 이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며, 이때, 동파방지를 목적으로 흐르는 상수가 수도밸브의 출수구에 고드름으로 결빙되지 않아 결빙으로 인한 동파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낙수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낙수의 결빙으로 인한 오염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파방지 개폐기를 관리자가 자유롭게 조정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상수의 배출량을 조정함으로써 극저온의 경우에도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파방지관을 사용하지 않는 기후조건에서 동파방지관(소켓 등)을 분리하여 일반 수도밸브와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효용성과 신뢰성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동파방지관이 연결되는 연결포트 또는 동파방지관을 보조 출수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2곳에 상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의 변형 단면도.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는, 상수 공급관(1)에 연결되어 상수 공급관(1)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를 출수하는 밸브 몸체(10), 밸브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1)의 개도를 조정하는 출수 개폐기(20), 출수 개폐기를 조작하는 출수 레버(30), 밸브 몸체(10)[또는 상수 공급관(1), 이하에서는 밸브 몸체(10)를 예로 들어 설명함]에 연결되어 밸브 몸체(10)에 공급되는 상수가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관(40), 동파방지관(40)을 개폐하는 동파방지 개폐기(50), 동파방지 레버(60)로 구성된다.
밸브 몸체(10)는 일측이 상수 공급관(1)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수를 공급받으며 내부의 유로(11)를 경유하는 상수가 타측 단부의 출수구(12)를 통해 출수되도록 한다.
밸브 몸체(10)는 유로(11)에 연결공(14)을 갖는 격벽(13)이 형성된다. 즉 밸브 몸체(10)는 격벽(13)에 의해 상수 공급관(1)과 연결되는 상수 유입부 및 상수가 출수되는 상수 출수부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연결공(14)을 통해 상수가 통과한다.
밸브 몸체(10)는 동파방지관(40)의 연결을 위하여 둘레부에 연결포트(15)가 형성된다. 연결포트(15)는 동파방지관(40)의 연결 위치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달라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몸체(10)의 상기 상수 유입부에 연결된다.
출수 개폐기(20)는 밸브 몸체(10)의 유로(11)의 개도를 조정(상수의 출수와 단수 및 상수량의 제어를 위하여 개도를 조정)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밸브 몸체(10) 내의 유로(1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결공(14)을 개폐한다. 물론,출수 개폐기(20)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버터플라이밸브 등도 사용 가능하다.
출수 레버(30)는 출수 개폐기(20)와 연결되면서 밸브 몸체(10)에 출수 개폐기(2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예컨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 개폐기(20)를 개폐구동시킨다.
동파방지관(40)은 일측의 유입부가 연결포트(15)에 연결(끼움 등)되어 밸브 몸체(10)에 공급되는 상수가 밸브 몸체(10) 안에 정체되지 않고 흐르도록 함으로써 밸브 몸체(10)와 상수 공급관(1) 등이 동파되지 않도록 하며, 타측의 배출부는 하수계통에 연계되어 상수가 하수 처리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저장조에 연계되어 상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동파방지관(40)은 유연성 있는 호스 등 다양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수의 배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파방지 개폐기(50)는 상수 공급관(1)에서 공급되는 상수가 동파방지관(40)을 통해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밸브 몸체(10)를 통해 출수되도록 하는 것이며, 연결포트(15)에 장착되어 연결포트(15) 내부를 개폐함으로써 상수의 흐름을 제어한다.
동파방지 개폐기(50)는 출수 개폐기(2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연결포트(15)를 개폐할 수 있다.
동파방지 레버(60)는 동파방지 개폐기(5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동파방지 개폐기(50)와 동파방지 레버(60)는 출수 개폐기(50)와 출수 레버(60)로부터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동파 방지 수도 밸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동절기 기온 저하로 인하여 수도밸브의 동파가 예상되는 경우 상수를 출수하여 사용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출수 개폐기(20)를 통해 밸브 몸체(10)의 유로(11)를 폐쇄, 즉 연결공(14)을 폐쇄한다.
아울러, 동파방지관(40)을 통해 상수가 흐르도록 상수 공급관(1), 밸브 몸체(10) 및 동파방지관(40)이 유체 연통 가능하도록 하며, 이는 동파방지 개폐기(50)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동파방지 레버(60)를 돌려 동파방지 개폐기(50)에 의해 연결포트(15)가 개방되도록 하며, 동파방지는 소량의 물만 흐르더라도 가능한 것이므로 소량의 상수가 흐르도록만 개방한다.
동파방지 개폐기(50)에 의해 연결포트(15)가 개방되는 순간 수압에 의해 상수가 상수 공급관(1)을 통해 공급되어 밸브 몸체(10)의 연결포트(15)를 경유한 후 동파방지관(40)을 통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수가 수도 밸브(100) 및 상수 공급관(1)에 정체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온도가 낮더라도 상수의 결빙에 의한 동파가 일어나지 않는다.
동파 방지를 위하여 상수가 동파방지관(40)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중에 상수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동파가 일어나지 않을 온도인 경우 동파방지 개폐기(50)를 통해 연결포트(15)를 폐쇄한 상태에서 출수 개폐기(20)를 조작하면, 상수 공급관(1)에서 공급되는 상수가 밸브 몸체(10)의 유로(11)를 경유한 후 동파방지관(40)으로 흐르지 못하고 출수구(12)를 통해 출수된다.
<실시예 2>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동파 방지 수도 밸브(100)는, 밸브 몸체(10)의 연결포트(15)에 별도의 소켓(부레관)(7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나사식 등)되어, 소켓(70)을 매개로 하여 동파방지관(40)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소켓(70)은 연결포트(15)를 통해 흐르는 상수를 동파방지관(40)으로 유도하는 것이며, 동파방지관(40)의 배출부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수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지거나 투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소켓(7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육안 확인이 용이하도록 직경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을 갖는 구조일 수 있고, 단일 직경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파 방지를 위하여 출수 개폐기(20)를 통해 밸브 몸체(10)의 연결공(14)을 폐쇄한 상태에서 동파방지 개폐기(50)를 통해 연결포트(15)를 개방하면, 상수가 연결포트(15) - 소켓(70)을 경유한 후 동파방지관(40)을 통해 흐르게 되어 수도 밸브(100)와 상수 공급관(1)의 동파를 방지한다. 이때, 외부에서 소켓(70)을 보면서 상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하고, 따라서, 상수의 양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파방지 개폐기(50)는 연결포트(15)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소켓(80)을 매개로 하여 밸브 몸체(10)에 적용될 수 있다.
소켓(80)은 동파방지 개폐기(50)가 장착된 관형이며 일측은 연결포트(15)에 연결되고 타측은 동파방지관(4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동파방지 개폐기(50)가 손상된 경우 밸브 몸체(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소켓(80)만 교체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그리고, 동파방지관(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소켓(80)을 분리하고 연결포트(15)를 마개로 폐쇄하여 불필요한 동파방지 레버(60)와 동파방지관(40)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도밸브의 미관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처럼 연결포트(15)에 동파방지 개폐기(50)가 적용된 경우에도 동파방지관(40)을 연결포트(15)에서 분리한 후 연결포트(15)를 마개로 폐쇄할 수 있지만, 동파방지 개폐기(50)와 동파방지 레버(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노화가 더 빨리 이루어지고 미관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소켓(80)은 전술한 것처럼, 상수가 배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 또는 투명의 투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동파방지관(40)이 밸브 몸체(10)의 연결포트(15)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동파방지관(40)은 밸브 몸체(10)에 근접되는 상수 공급관(1)에 연결되는 것도 포함된다.
1 : 상수 공급관, 10 : 밸브 몸체
11 : 유로, 12 : 출수구
13 : 격벽, 14 : 연결공
15 : 연결포트, 20 : 출수 개폐기
30 : 출수 레버, 40 : 동파방지관
50 : 동파방지 개폐기, 60 : 동파방지 레버
70 : 소켓,

Claims (5)

  1. 상수 공급관(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유로(11)가 형성되면서 상기 유로에는 연결공(14)을 갖는 격벽(13)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후방에 연결포트(15)가 연장 형성된 밸브 몸체(10)와;
    상기 밸브 몸체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앞쪽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공의 개도를 조정하여 상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 개폐기(20)와;
    상기 출수 개폐기를 조작하는 출수 레버(30)와;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포트(15)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밸브 몸체에 공급되는 상수가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관(40)과;
    상기 연결포트를 개폐하는 동파방지 개폐기(50)와;
    상기 연결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동파방지 개폐기를 조작하는 동파방지 레버(60)와;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포트와 상기 동파방지관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수의 출수를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진 소켓(70)을 포함하여, 상기 동파방지관이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공 후방에 형성된 연결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몸체의 출수구(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수가 상기 동파방지관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0767U 2013-01-29 2013-01-29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KR200468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7U KR200468855Y1 (ko) 2013-01-29 2013-01-29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7U KR200468855Y1 (ko) 2013-01-29 2013-01-29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55Y1 true KR200468855Y1 (ko) 2013-09-06

Family

ID=5139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67U KR200468855Y1 (ko) 2013-01-29 2013-01-29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5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07A (ko) * 2001-11-16 2003-05-22 이승철 바이메탈을 이용한 유량 조절장치
KR200334828Y1 (ko) * 2003-07-28 2003-12-01 이태형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90096808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20100114958A (ko) * 2009-04-17 2010-10-27 박춘근 수도관동파방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07A (ko) * 2001-11-16 2003-05-22 이승철 바이메탈을 이용한 유량 조절장치
KR200334828Y1 (ko) * 2003-07-28 2003-12-01 이태형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90096808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20100114958A (ko) * 2009-04-17 2010-10-27 박춘근 수도관동파방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446B1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US6883534B2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KR101687936B1 (ko) 부동급수전
CN104728455A (zh) 一种防冻快速取水阀
CN110397118A (zh) 一种防冻给水装置及方法
CN208455721U (zh) 一种管道防冻裂保护装置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US6857442B1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KR200468855Y1 (ko)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US6830063B1 (en) Freezeless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CN204512460U (zh) 一种防冻快速取水阀
KR20180000124U (ko) 수도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2143074B1 (ko) 저온가스 배출관의 결빙방지장치
CN202708290U (zh) 一种防冻排水阀
AU2015100859A4 (en) Ember supression junction
WO2008090581A3 (en) Automatic filling unit for hydraulic systems with a closed circuit like heating systems and similar
ATE500389T1 (de) Feuerhydrant mit anschlüssvorrichtung
CN209495077U (zh) 一种给排水管道防冻装置
US9964315B1 (en) Water conservation via convective circulation
KR101019819B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US8752567B2 (en) Rupture protection device for a frost-free hydrant
RU167941U9 (ru) Выходной эл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а в установке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05494750U (zh) 快开自泄消防炮
US9182044B1 (en) Tank valve
CN205494755U (zh) 自泄防冻消防软管卷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