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37Y1 - A bracelet with necklace - Google Patents

A bracelet with neck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37Y1
KR200468837Y1 KR2020120001312U KR20120001312U KR200468837Y1 KR 200468837 Y1 KR200468837 Y1 KR 200468837Y1 KR 2020120001312 U KR2020120001312 U KR 2020120001312U KR 20120001312 U KR20120001312 U KR 20120001312U KR 200468837 Y1 KR200468837 Y1 KR 200468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stopper
bracelet
neckla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3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4648U (en
Inventor
박현균
Original Assignee
박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균 filed Critical 박현균
Priority to KR2020120001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37Y1/en
Publication of KR20120004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4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3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Jewels transformable into other jewels, e.g. finger rings transformable into ea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22Link constructions with links threaded on at least one filamentary cor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 겸용 팔찌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장신구로 목걸이와 팔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장신구는 목과 팔에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착용줄 선단에는 고급스러운 형태의 장식구가 다수 결합되고, 이에 상기 장식구들의 최외측 및 사이 마다에는 장식구들을 두고 착용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취향과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combined bracelet.
Accordingly,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single ornament to be used while varying necklaces and bracelet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he ornamen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ear lines to be worn around the neck and arms, and the plurality of The end of the wear line is combined with a number of luxury ornaments, and the stopper that is free to vary the length of the wear line with the ornaments on the outermost and between each of the ornaments are formed to allow the user to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provide various presentations according to preference.

Description

목걸이 겸용 팔찌{A bracelet with necklace}Necklace bracelet {A bracelet with necklace}

본 고안은 하나의 장신구로 목걸이와 팔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장신구는 목과 팔에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착용줄 선단에는 고급스러운 형태의 장식구가 다수 결합되고, 이에 상기 장식구들의 최외측 및 사이 마다에는 장식구들을 두고 착용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취향과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겸용 팔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single ornament to be used while varying the necklace and bracele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ornamen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ear straps to be worn around the neck and arms, the plurality of wear cords A large number of luxurious ornaments are combined, and a stopper for freely varying the length of the wear line with the ornaments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and between the ornaments, allowing the user to vary the appearance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s and preferen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and a combined bracelet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provide a presentation.

일반적으로 목걸이와 팔찌는 공개실용 제20-1996-0003748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174917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복과 함께 신체를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장신구의 일종으로서, 예로부터 물체에 초자연적인 힘이 붙는다는 주물숭배에서, 또 한편으로는 장식의 의미로 인체의 중요 부분인 목과 팔 부분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가꾸는데 사용되었다.In general, necklaces and bracelets are a kind of ornaments that express beauty by decorating the body with clothing,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03748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4917. In the fetishism of the strong power, on the other hand, it was used to decorate the neck and arms, which are important parts of the human body, in the sense of decoration.

이러한 목걸이와 팔찌의 재료는 금을 비롯하여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석류석, 오팔 등 각종 보석이 주로 사용되며, 금이나 보석 외에 유리, 칠보 등 다채로운 인공보석도 사용되곤 한다.Materials such as necklaces and bracelets are mainly used for gold, diamonds, sapphires, garnets, opals, and other gems. In addition to gold or gems, various artificial gems such as glass and cloisonne are also used.

또한, 통상적으로 목걸이와 팔찌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석 등의 메달을 체인이나 가는 줄 등의 착용줄에 매달아 장식하는 펜던트형 목걸이 또는 팔찌나 착용줄 자체의 형상을 아름답게 디자인하여 미감을 살리는 체인형 목걸이 또는 팔찌 등으로 당업계에 출시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kinds of necklaces and bracelets, but a beautiful design of the pendant-shaped necklace or bracelet or the strap itself that hangs medals, such as jewelry, on a belt or chain It is a situation that has been released in the art as a chain necklace or bracelet to s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목걸이 또는 팔찌는 경우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지속되어 오고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necklaces or bracelets continue to be disadvantageous in that it can not be used to change the shape in some cases.

즉, 사용자가 목걸이나 팔찌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형태로서의 장식구를 착용하고 있다가 상황에 따라 이를 달리 연출하고 싶을 때, 손쉽게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식구가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when a user wears a decorative tool as a selected form of a necklace or a bracelet and wants to produce it differently according to a situation, there is a demand in the art for a decorative tool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다시 말해, 종전의 목걸이 또는 팔찌는 단편적인 장식적 기능을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conventional necklaces or bracelets are mostly expressing fragmentary decorative function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satisfy various tastes and desires of consumers.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장신구로 목걸이와 팔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장신구는 목과 팔에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착용줄 선단에는 고급스러운 형태의 장식구가 다수 결합되고, 이에 상기 장식구들의 최외측 및 사이 마다에는 장식구들을 두고 착용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취향과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echnical gist of the necklace and bracelet to be used as a single ornament to the user's choice while varying, the ornament is a plurality of pieces to be worn around the neck and arms The wearer is formed, but a plurality of luxury ornaments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wearers, and the stoppers can freely vary the length of the wearer with ornaments on the outermost side and between the ornaments. Is formed to provide the user to provide a variety of productions according to personal tastes and preference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목 또는 팔에 선택적으로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100,100-1)이 형성되되, 상기 착용줄(100,100-1)의 선단에는 통공(210)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200)들의 최외측 및 각 사이 마다에는 착용줄(100,100-1) 선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 이송시 소정의 외력이 요구되도록 마찰부재(310)가 구비되며 동시에 관통공(320)이 형성되는 스토퍼(300)가 결합되어 상기 착용줄(100,100-1)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착용줄의 길이가 가변되어 목걸이 또는 팔찌로의 선택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wear lines (100, 100-1) are formed to be selectively wound around the neck or arm, the end of the wear line (100, 100-1) formed through holes 210 A plurality of ornaments 200 are formed, and the friction member 310 so that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required when transporting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n the line of wear 100, 100-1 between the outermost side and each of the ornaments 200. ) And a stopper 300 having a through hole 320 formed at the same time is coupled to the length of the wear line is variable as the wear line 100, 100-1 is pull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o the necklace or bracelet. Selective use is possible.

이때, 상기 마찰부재(310)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iction member 310 is preferably filled with any one of silicon, rubber.

또한, 상기 착용줄 중 어느 하나의 착용줄 단부에는 체결용 걸쇠(400)가 결합되고, 타 착용줄 단부에는 상기 걸쇠와 대응되는 걸고리(5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clasp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ear line of the wear line, and the hook 500 corresponding to the clasp is formed at the other wear line end.

이때, 상기 장식구(200)는 스토퍼(300)와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 면상에 상기 스토퍼(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상기 장식구(200)의 고유 장신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rnament 20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20 to accommodate the stopper 3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00 to form a unique height of the ornament 20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cure.

또한, 상기 스토퍼(300)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샌딩 처리된 오목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300 has a sanding recess 3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hand by hand.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목과 팔에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착용줄 선단에는 고급스러운 형태의 장식구가 다수 결합되고, 이에 상기 장식구들의 최외측 및 사이 마다에는 장식구들을 두고 착용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취향과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wear lines are formed to be worn around the neck and the arm, and a plurality of luxury ornaments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wear lines, and thus the outermost and between the ornaments. There is a stopper that can freely vary the length of the wear line with the ornaments,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provide a variety of production according to personal tastes and preferenc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겸용 팔찌를 팔찌로서 형성한 후 착용 전 착용줄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팔찌에 대하여 착용줄을 걸쇠와 걸고리로 채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겸용 팔찌를 목걸이로서,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착용줄을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목걸이에 대하여 착용줄을 걸쇠와 걸고리로 채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fold the wearing line before wearing after forming the necklace combined brace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filled with a clasp and hook for the bracelet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pulling a plurality of wear lin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for use as a necklace, bracelet, neck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lso a state filled with a clasp and hook for the necklace of Figure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또는 팔찌로의 길이 가변이 가능한 복수의 착용줄(100,100-1)과, 상기 착용줄 선상에서 장신미를 더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장식구(200)와, 상기 장식구들이 착용줄 선상에서 이탈 없이 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착용줄의 길이 가변(당김, 늘림)시에는 정해진 길이에서 줄의 유동을 방지하여 목걸이 또는 팔찌로 선택 사용이 가능하도록 스토퍼(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6, a plurality of wearable straps (100,100-1)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to a necklace or bracelet, and a plurality of ornaments to add a high beauty on the wear line ( 200) and the ornaments are supported at the same time while leaving the line on the wearing line while being fixed at the same time, when the length of the wear (variable, stretched) when preventing the flow of the str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necklace or bracelet The stopper 30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selective use.

이때, 상기 착용줄(100,100-1)은 목 또는 팔에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인 또는 줄 형태로서, 상기 체인은 사슬 형태의 귀금속 연결편이 서로 연달아 이어지는 것이고, 상기 줄은 귀금속 띠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ear strap 100, 100-1 is a plurality of chains or strings to be worn around the neck or arm, the chain is a chain-shaped precious metal connecting pie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uccession, the strap is a precious metal band integrally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is formed.

이때, 상기 착용줄 중 어느 하나의 착용줄 단부에는 체결용 걸쇠(400)가 결합되고, 타 착용줄 단부에는 상기 걸쇠와 대응되는 걸고리(5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clasp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ear line of the wear line, and the hook 500 corresponding to the clasp is formed at the other wear line end.

이는 목걸이 또는 팔찌 중 어느 하나로 사용시 목이나 팔에 감긴 상태에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형성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orm a fasten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oss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neck or arm when used as a necklace or bracelet.

이때, 상기 장식구(200)는 원형, 각형 중 어느 하나의 외관을 갖으면 외주면에 다수개의 보석 장식들이 형성됨으로써, 고급스럽고 화려함이 강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rnament 200 is a round, angular shap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jewelry ornament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emphasize the luxury and luxury.

또한, 상기 장식구의 중앙부에는 내외부가 일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줄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rnament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 is penetrated in one direction, the inner and outer parts are formed to fit in the wear line.

다시 말해, 상기 착용줄(100,100-1)의 선단에는 통공(210)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200)들의 최외측 및 각 사이 마다에는 착용줄(100,100-1) 선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 이송시 소정의 외력이 요구되도록 마찰부재(310)가 구비되며 동시에 관통공(320)이 형성되는 스토퍼(300)가 결합되어 상기 착용줄(100,100-1)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착용줄의 길이가 가변되어 목걸이 또는 팔찌로의 선택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ornaments 200 formed with through holes 210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wear lines 100 and 100-1, and wear lines 100 and 100-are formed at the outermost side and between each of the ornaments 200. 1) The friction member 310 is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required when the ship is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n the ship, and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300 having the through hole 320 is coupled to the wear line 100, 100-1 in one direction. Alternatively, the length of the wear line is variable as it is pulled in the other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ve use as a necklace or bracelet is possibl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최초 끝단이 동일한 복수의 착용줄은 팔찌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는 길이가 짧은 형태로서, 상기 착용줄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장식구와 스토퍼가 형성되며, 손목에 감아 채우게 되면 체결용 걸쇠와 걸고리가 대응되면서 손목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wear lines having the same first end are used to form a bracelet. This is a form of short length, a plurality of ornaments and stoppers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wear strap,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wrist while the fastening clasp and the hook correspond to the wrist.

이후, 사용자가 목걸이로의 사용이 필요할 때, 상기 착용줄 중 어느 하나의 착용줄의 끝단은 왼손에, 다른 착용줄의 끝단은 오른손에 잡고 당기면 동일했던 길이의 착용줄이 상대방 길이만큼 떨어지면서 길게 늘어나게 되고, 이는 결국 목걸이로서의 길이를 갖게 되는 바, 팔찌와 역시 같은 체결방법으로 목에 채우게 된다.Then, when the user needs to use it as a necklace, the end of one of the wearing line is held in the left hand, the other end of the wearing line in the right hand when pulling the same length of the wear line falls by the other length As a result, it has a length as a necklace, and the neck is filled with the same fastening method as a bracelet.

이때, 상기 스토퍼의 마찰부재(310)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는 소정의 외력 만큼에는 착용줄로부터 스토퍼가 부드럽게 마찰을 가하게 되지만, 목걸이 또는 팔찌로 가변 후 상태에서는 외력이 발생되지 않는 한 정해진 설정에서 장식구가 유동하거나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iction member 310 of the stopper is preferably filled with any one of silicon, rubber. This is because the stopper gently rubs from the wear line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user, but in the state after changing with the necklace or bracelet, the ornament does not flow or the length is changed at the predetermined setting unless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s formed.

이때, 상기 장식구(200)는 스토퍼(300)와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 면상에 상기 스토퍼(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상기 장식구(200)의 고유 장신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rnament 20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20 to accommodate the stopper 3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00 to form a unique height of the ornament 20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cure.

다시 말해, 상기 결합홈은 장식구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어 스토퍼가 장식구에 수납됨으로써, 오로지 장식구와 착용줄로서의 목걸이 또는 팔찌가 장신미를 더하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coupling groov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so that the stopper is accommodated in the ornament, so that only the ornament and the necklace or bracelet as the wear strap are added to add the beauty.

또한, 상기 스토퍼(300)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샌딩 처리된 오목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300 has a sanding recess 3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hand by hand.

이는 사용자가 착용줄 선상에서 장식구의 위치를 가변하고 싶을 때, 또는 착용줄의 길이를 가변하고 싶을 때, 스토퍼의 잡기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for the user to easily grip and move the stopper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rnament on the wear line or the length of the wear line.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100-1 ... 착용줄 200 ... 장식구
210 ... 통공 300 ... 스토퍼
310 ... 마찰부재 320 ... 관통공
330 ... 오목부 400 ... 체결용 걸쇠
500 ... 걸고리
100, 100-1 ... Wearline 200 ... Ornament
210 ... through hole 300 ... stopper
310 ... friction member 320 ... through hole
330 ... recess 400 ... latch
500 ... hook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목 또는 팔에 선택적으로 감아 착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용줄(100,100-1)이 형성되되, 상기 착용줄(100,100-1)의 선단에는 통공(210)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200)들의 최외측 및 각 사이 마다에는 착용줄(100,100-1) 선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 이송시 소정의 외력이 요구되도록 마찰부재(310)가 구비되며 동시에 관통공(320)이 형성되는 스토퍼(300)가 결합되어 상기 착용줄(100,100-1)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착용줄의 길이가 가변되어 목걸이 또는 팔찌로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걸이 겸용 팔찌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310)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충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착용줄 중 어느 하나의 착용줄 단부에는 체결용 걸쇠(400)가 결합되고, 타 착용줄 단부에는 상기 걸쇠와 대응되는 걸고리(500)가 형성되며,
상기 장식구(200)는 스토퍼(300)와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 면상에 상기 스토퍼(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상기 장식구(200)의 고유 장신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겸용 팔찌.
A plurality of wear lines 100 and 100-1 are formed to be selectively wound around a neck or an arm, and a plurality of ornaments 200 formed with through holes 210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wear lines 100 and 100-1. The friction member 310 is provided at the outermost side and between each of the decorative tools 200 so that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required when transferring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n the line of wear (100, 100-1) and the through hole 320 at the same time. ) Is combined with the stopper 300 is formed by pulling the wear line 100, 100-1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he length of the wear line is variable, the necklace combined bracelet to enable the selective use as a necklace or bracelet To
The friction member 310 is formed to be filled with any one of silicon, rubber,
A fastening clasp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ear line of the wear line, and a hook 500 corresponding to the clasp is formed at the other wear line end.
The ornament 20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20 to accommodate the stopper 3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00 to secure the unique height of the ornament 200 Necklace combined bracelet characterized b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0)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샌딩 처리된 오목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겸용 팔찌.
5. The bracelet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has a sanding reces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a user.
KR2020120001312U 2012-02-21 2012-02-21 A bracelet with necklace KR2004688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12U KR200468837Y1 (en) 2012-02-21 2012-02-21 A bracelet with neck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12U KR200468837Y1 (en) 2012-02-21 2012-02-21 A bracelet with neckl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48U KR20120004648U (en) 2012-06-27
KR200468837Y1 true KR200468837Y1 (en) 2013-09-11

Family

ID=468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12U KR200468837Y1 (en) 2012-02-21 2012-02-21 A bracelet with neck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37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90Y1 (en) * 1982-02-27 1983-09-17 청신산업주식회사 necklace
KR200239174Y1 (en) 2001-04-07 2001-10-11 손경찬 Personal ornaments capable of adjusting length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90Y1 (en) * 1982-02-27 1983-09-17 청신산업주식회사 necklace
KR200239174Y1 (en) 2001-04-07 2001-10-11 손경찬 Personal ornaments capable of adjusting length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48U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140150496A1 (en) Multi-Use Jewelry Device
US20080041098A1 (en) Modular jewelry set
KR200468837Y1 (en) A bracelet with necklace
KR200474073Y1 (en) Accessary of a position control and changing decoration
US20120077416A1 (en) Anti-Twisting Fashion Jewelry Bra Strap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77051U (en)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CN206760950U (en) A kind of pendant structure
KR101604653B1 (en)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KR101241052B1 (en) A combination bracelet and necklace
CN216493891U (en) Gold ornaments convenient to adjust rope length
KR200465134Y1 (en) A accessory with multipurpose
CN210158139U (en) Multifunctional ornament capable of converting state
JP3141402U (en)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JP3104855U (en) Eyeglass holder
KR200468991Y1 (en) connector for accessory
KR100760470B1 (en) The accessory
CN207721325U (en) Bracelets
KR200389919Y1 (en) Length adjustable necklace
JP3145186U (en) Jewelry to wear
KR200487416Y1 (en) Spinel ornaments
KR200295939Y1 (en) coupling bar of accessory cup-stone
CN202653321U (en) Bracelet with adjustable size
KR200225758Y1 (en) Neck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