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06Y1 - 돗자리 겸용 가방 - Google Patents

돗자리 겸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06Y1
KR200468806Y1 KR2020110006081U KR20110006081U KR200468806Y1 KR 200468806 Y1 KR200468806 Y1 KR 200468806Y1 KR 2020110006081 U KR2020110006081 U KR 2020110006081U KR 20110006081 U KR20110006081 U KR 20110006081U KR 200468806 Y1 KR200468806 Y1 KR 200468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attachment member
center
ba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04U (ko
Inventor
변민정
최근석
Original Assignee
최근석
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석, 변민정 filed Critical 최근석
Priority to KR2020110006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0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8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hammocks, litters or sleeping-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가방 및 돗자리로 이용될 수 있는 돗자리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정삼각형 형상의 센터 면부 및 센터 면부와 같은 정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센터 면부와 변과 변이 맞닿도록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사이드 면부를 갖는 몸체,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착부재, 제 1 부착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몸체의 타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착부재, 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이드 면부는 센터 면부의 변과 맞닿은 한쪽 변을 중심으로 접혀 센터 면부와 각각 겹쳐짐으로써 센터 면부와 복수의 사이드 면부 사이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각각의 사이드 면부가 접힌 상태에서 제 1 부착부재와 제 2 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됨으로써 센터 면부와 각각의 사이드 면부가 겹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접을 경우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펼 경우 돗자리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Description

돗자리 겸용 가방{Bag used as mat}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접을 경우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펼 경우 돗자리로 사용할 수 있는 돗자리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 시간의 증가로 사람들의 레저 활동이나 야외 활동 기회가 늘어나면서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돗자리의 수요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휴대용 돗자리는 비닐 또는 방수막이 코팅된 소재로 이루어져 습기를 차단할 수 있고, 흙, 모래, 풀 등이 있는 지면에 깔아놓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돗자리는 접거나 마는 방법으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나 운반이 편리하다.
돗자리는 사용하고 나면 흙, 모래, 풀, 또는 다른 오염물이 묻어 있기 쉽다. 따라서, 여행이나 야외활동을 위해 돗자리를 챙기는 경우, 돗자리를 다른 짐들과 함께 가방이나 배낭 등에 담으면 돗자리에 묻어있는 오염물에 의해 다른 짐들이 오염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돗자리는 다른 짐들과 함께 가방이나 배낭 등에 담기지 않고 별도로 운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돗자리를 가방이나 배당 등에 담지 않고 별도로 운반하면 짐이 늘어나고, 짐을 꾸리거나 운반하는 일이 번거로워진다. 따라서, 사용된 돗자리는 사용장소에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돗자리는 필요할 때가 있지만 자주 사용되지는 않으므로 그 활용도가 낮고, 창고나 수납장 등에 장시간 방치되기 쉽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접을 경우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펼 경우 돗자리로 사용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돗자리 겸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정삼각형 형상의 센터 면부 및 상기 센터 면부와 같은 정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면부와 변과 변이 맞닿도록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사이드 면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착부재, 상기 제 1 부착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착부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 면부는 상기 센터 면부의 변과 맞닿은 한쪽 변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센터 면부와 각각 겹쳐짐으로써 상기 센터 면부와 상기 복수의 사이드 면부 사이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 면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착부재와 상기 제 2 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센터 면부와 상기 각각의 사이드 면부가 겹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상기 손잡이를 상기 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끈 타잎으로 이루어지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부착부재 및 상기 제 2 부착부재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부착부재 및 상기 제 2 부착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 및 상기 몸체의 타면 가장자리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면부는 상기 센터 면부의 세 변 모두에 연결되도록 세 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정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돛자리 겸용 가방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접을 경우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펼 경우 돗자리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돗자리로 사용할 경우,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고 다양한 크기의 돗자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센터 면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사이드 면부를 접음으로써 보자기처럼 물건을 쌀 수 있고, 복수의 사이드 면부를 펴서 수납공간을 신속히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물건을 신속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일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접어 가방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돗자리로 이용하기 위해 여러 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가방으로 이용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자전거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가방으로 이용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일면 및 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은 정삼각형 형상의 몸체(110), 몸체(110)의 일면 가장자리 및 타면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 몸체(110)에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130)(1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돗자리로 이용될 수 있고, 접으면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몸체(110)는 하나의 센터 면부(111)와 세 개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포함한다. 이들 센터 면부(111)와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정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센터 면부(111)의 세 개의 변에 하나씩 연결된다. 즉, 각각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센터 면부(111)와 변과 변이 맞닿도록 연결된다. 센터 면부(111)의 변과 각 사이드 면부(112)(113)(114)의 변이 만나는 부분에는 접힘선(115)(116)(117)이 마련되어,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각각의 접힘선(115)(116)(117), 즉 센터 면부(111)의 변과 맞닿은 한 쪽 변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그 크기 및 형상이 센터 면부(111)와 같아서 접힐 경우 센터 면부(111)에 정확하게 포개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수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비닐 또는 방수막이 코팅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 1 부착부재(120)는 몸체(110)의 일면 가장자리 전체에 배치되고, 제 2 부착부재(125)는 몸체(110)의 타면 가장자리 전체에 배치된다. 즉,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는 몸체(110)의 세 변에 모두에 마련된다.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는 서로 부착될 수 있어서,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접은 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 1 부착부재(120)를 다른 하나에 마련된 제 2 부착부재(125)에 부착함으로써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겹쳐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는 몸체(110)와 다른 몸체(110)를 결합하는데 이용된다. 즉, 어느 하나의 몸체(110)에 구비된 제 1 부착부재(120)에 다른 몸체(110)의 제 2 부착부재(125)를 부착함으로써 몸체(110) 여러 개를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하나의 돗자리로 이용할 수 있다.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를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10)의 가장자리 전체에 마련하면, 돗자리로 이용할 때 다른 몸체(1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몸체(110)와 몸체(110)의 연결 부분이 들뜨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는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부착부재(120)는 루프(loop)를 갖는 부착 테잎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부착부재(125)는 후크(hook)를 갖는 부착 테잎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부착부재(120)와 제 2 부착부재(125)는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 1 부착부재(120)와 제 2 부착부재(125)는 벨크로 이외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단추나 접착 테잎 등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것이 제 1 부착부재(120)와 제 2 부착부재(125)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착부재(120) 및 제 2 부착부재(125)는 몸체(110)의 가장자리 전체에 마련되지 않고, 하나 또는 복수가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손잡이(130)(135)는 몸체(110)의 타면에 결합된다. 각각의 손잡이(130)(135)은 끈 타잎으로 이루어지고, 각 손잡이(130)(135)의 끝단은 몸체(110)에 고정된다. 손잡이(130)(135)는 도시된 것과 같은 끈 타잎 이외에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130)(135) 중 제 1 손잡이(130)는 센터 면부(111)에 결합되고, 제 2 손잡이(135)는 센터 면부(1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면부(114)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손잡이(130)(135)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을 접어 가방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사이드 면부(112)를 이와 센터 면부(111)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힘선(115)을 중심으로 접는다. 이때, 제 1 사이드 면부(112)는 센터 면부(111)와 겹쳐진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사이드 면부(113)를 이와 센터 면부(111) 사이에 마련된 제 2 접힘선(116)을 중심으로 접는다. 이때, 제 2 사이드 면부(113)는 센터 면부(111)와 겹쳐진 제 1 사이드 면부(112)와 포개지며, 제 2 사이드 면부(113)에 구비된 제 1 부착부재(120)가 먼저 접힌 제 1 사이드 면부(112)의 제 2 부착부재(125)에 부착된다. 따라서, 차례로 접힌 두 개의 사이드 면부(112)(113)는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접힌 사이드 면부(112)(113)는 가방의 전면을 구성하고 센터 면부(111)는 가방의 후면을 구성하고, 사이드 면부(112)(113)와 센터 면부(111)의 사이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40;도 6참조)이 마련된다. 이 수납공간(140)은 제 3 사이드 면부(114) 쪽으로 개방되어 이를 통해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제 1 사이드 면부(112) 및 제 2 사이드 면부(113)가 센터 면부(111)와 함께 가방의 본체를 구성하는데 반해, 제 3 사이드 면부(114)는 가방의 덮개를 구성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3 사이드 면부(114)를 이와 센터 면부(111) 사이에 마련된 제 3 접힘선(117)을 중심으로 접으면, 수납공간(140)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제 3 사이드 면부(114)의 제 1 부착부재(120)는 먼저 접힌 제 2 센터 면부(111)의 제 2 부착부재(125)에 부착되어, 수납공간(140)의 개방된 부분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3 사이드 면부(114)를 제 2 사이드 면부(113)로부터 분리하여 펴면 수납공간(140)을 개방할 수 있어, 수납공간(140)에 물건을 담거나, 수납공간(140)에 담긴 물건을 빼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은 가방으로 사용될 경우, 센터 면부(111)를 중심으로 복수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접음으로써 보자기처럼 물건을 쌀 수 있고, 복수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펴서 수납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물건을 신속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은 몸체(110)를 폄으로써 하나만으로 돗자리로 이용될 수 있지만, 다른 돗자리 겸용 가방(100)과 연결되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돗자리 겸용 가방(100)을 준비하고, 각각의 몸체(110)를 편 후 각 몸체(110)의 제 1 부착부재(120)와 제 2 부착부재(125)를 이용하여 복수의 몸체(110)를 연결하면 크기가 확장된 돗자리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돗자리 겸용 가방(100)의 연결 개수를 변화시켜 돗자리를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200)은 손잡이(210)(22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몸체(1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점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100)과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손잡이(210)(2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손잡이(210)(220)는 센터 면부(11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끈(211)(221), 제 2 사이드 면부(113)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길이 조절끈(212)(222), 길이 조절끈(212)(222)을 연결끈(211)(221)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끈(211)(221)의 끝단에 결합되는 버클(213)(223)를 포함한다. 연결끈(211)(221)과 센터 면부(111)의 결합 구조는 똑딱이 단추 구조로 이루어지고, 길이 조절끈(212)(222)과 센터 면부(111)의 결합 구조 역시 똑딱이 단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센터 면부(111)에는 한 쌍의 단추 돌기(230)가 구비되고, 연결끈(211)(221)의 끝단에는 단추 돌기(230)에 대응하는 단추 홈(214)(224)이 마련된다. 또한, 제 2 사이드 면부(113)에는 한 쌍의 단추 돌기(235)가 구비되고, 길이 조절끈(212)(222)의 끝단에는 단추 돌기(235)에 대응하는 단추 홈(215)(225)이 마련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20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개의 사이드 면부(112)(113)(114)가 센터 면부(111)와 포개짐으로써 가방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센터 면부(111) 및 제 3 사이드 면부(114)는 가방의 후면을 구성하고, 제 1 사이드 면부(112) 및 제 2 사이드 면부(113)는 가방의 전면을 구성한다. 가방을 구성하기 위해 세 개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는 제 3 사이드 면부(114), 제 1 사이드 면부(112) 및 제 2 사이드 면부(113) 순서로 접히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40)은 제 3 사이드 면부(114)와 제 2 사이드 면부(113) 사이에 형성된다.
세 개의 사이드 면부(112)(113)(114)를 접어 가방 본체를 구성한 후, 제 1 연결끈(211)의 제 1 버클(213)에 제 1 길이 조절끈(212)을 연결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1 손잡이(210)를 구성할 수 있고, 제 2 연결끈(221)의 제 2 버클(223)에 제 2 길이 조절끈(222)을 연결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 손잡이(2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손잡이(130)(135)는 길이 조절끈(212)(222)과 버클(213)(223)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 조절끈(212)(222)을 버클(213)(223)에 길게 연결하면, 어깨에 멜 수 있을 정도로 긴 손잡이(210)(220)를 구성할 수 있다. 반면, 길이 조절끈(212)(222)을 버클(213)(223)에 짧게 연결하면 짧은 길이의 손잡이(210)(220)를 구성할 수 있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전거(10)와 같은 운반 장치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210)(220)의 착탈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 각종 후크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이용하는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10)(220)의 고정 위치도 센터 면부(111)와 제 2 사이드 면부(113)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210)(220)의 일단을 센터 면부(111)에 결합하고 손잡이(210)(220)의 타단을 제 3 사이드 면부(114)에 결합하면 제 3 사이드 면부(114)를 가방의 덮개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300)은 몸체(310), 몸체(310)의 일면 가장자리 및 타면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제 1 부착부재(320) 및 제 2 부착부재(325), 몸체(310)에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330)(3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30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돗자리로 이용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힌 상태에서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몸체(310)는 하나의 센터 면부(311)와 센터 면부(311)의 좌우 변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면부(312)(313)를 포함한다. 센터 면부(311)와 각각의 사이드 면부(312)(313)는 변과 변이 맞닿도록 연결되고, 센터 면부(311)와 각각의 사이드 면부(312)(313)의 사이에는 접힘선(314)(315)이 마련된다. 센터 면부(311)에는 제 1 손잡이(330)가 결합되고, 제 2 사이드 면부(313)에는 제 2 손잡이(335)가 결합된다.
제 1 부착부재(320) 및 제 2 부착부재(325)는 몸체(310)의 일면 및 타면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부착부재(320)와 제 2 부착부재(325)를 이용하면 센터 면부(311) 쪽으로 접힌 사이드 면부(312)(313)를 센터 면부(311)에 포개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몸체(310)를 다른 몸체(3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300)은 제 1 사이드 면부(312) 및 제 2 사이드 면부(313)를 차례로 접음으로써 가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센터 면부(311)는 가방의 후면을 구성하고, 한 쌍의 사이드 면부(312)(313)는 가방의 전면을 구성한다.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40;도 6참조)은 센터 면부(311)와 제 1 사이드 면부(312)의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돗자리 겸용 가방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접을 경우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펼 경우 돗자리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또한 돗자리로 사용할 경우, 다른 것들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확장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300 : 돗자리 겸용 가방 110, 310 : 몸체
111, 311 : 센터 면부
112, 113, 114, 312, 313 : 사이드 면부
115, 116, 117, 314, 315 : 접힘선
120, 320 : 제 1 부착부재 125, 325 : 제 2 부착부재
130, 135, 210, 220, 330, 335 : 손잡이
211, 221 : 제 1, 2 연결끈 212, 222 : 제 1, 2 길이 조절끈
213, 223 : 제 1, 2 버클 230, 235 : 단추 돌기
214, 224, 225, 235 : 단추 홈

Claims (6)

  1. 정삼각형 형상의 센터 면부와, 상기 센터 면부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정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면부의 좌변, 우변 및 밑변에 각각 연결된 좌측 사이드 면부, 우측 사이드 면부 및 하부 사이드 면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부착부재;
    상기 몸체의 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부착부재와 결합하는 제 2 부착부재;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면부와 상기 우측 사이드 면부는 상기 센터 면부의 맞닿은 한쪽 변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센터 면부와 겹쳐짐으로써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면부와 상기 우측 사이드 면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착부재와 상기 제 2 부착부재가 서로 결합 부착됨으로써 상기 센터 면부, 상기 좌측 사이드 면부 및 상기 우측 사이드 면부가 겹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하부 사이드 면부는 상기 센터 면부의 맞닿은 한쪽 변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센터 면부와 겹쳐지는 경우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서로 결합 부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 겸용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상기 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 겸용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끈 타잎으로 이루어지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 겸용 가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재 및 상기 제 2 부착부재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 겸용 가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재 및 상기 제 2 부착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 및 상기 몸체의 타면 가장자리 전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 겸용 가방.
  6. 삭제
KR2020110006081U 2011-07-04 2011-07-04 돗자리 겸용 가방 KR200468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81U KR200468806Y1 (ko) 2011-07-04 2011-07-04 돗자리 겸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81U KR200468806Y1 (ko) 2011-07-04 2011-07-04 돗자리 겸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04U KR20130000304U (ko) 2013-01-14
KR200468806Y1 true KR200468806Y1 (ko) 2013-09-10

Family

ID=5139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81U KR200468806Y1 (ko) 2011-07-04 2011-07-04 돗자리 겸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54Y1 (ko) * 2019-11-13 2020-09-23 김은경 매트 겸용 가방
KR20230106880A (ko) 2022-01-07 2023-07-14 유성빈 가방 겸용 돗자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837B1 (ko) 2018-01-31 2020-01-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가방 겸용 돗자리
US11975909B1 (en) 2019-12-27 2024-05-07 Daniel H. Walden Multi-purpose cushion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885U (ko) * 2009-03-02 2010-09-10 우태욱 다용도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885U (ko) * 2009-03-02 2010-09-10 우태욱 다용도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54Y1 (ko) * 2019-11-13 2020-09-23 김은경 매트 겸용 가방
KR20230106880A (ko) 2022-01-07 2023-07-14 유성빈 가방 겸용 돗자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04U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7451A1 (en) Expandable Tackle Bag
US9578937B2 (en) Reusable bag
US10085901B1 (en) Lightweight integrated field transport system
US20070164064A1 (en) Convertible storage bag
US20180014614A1 (en) Modular bag
AU2009101372A4 (en) Convertible luggage and dressing station
US20150173473A1 (en) Convertible Activity Mat
KR200468806Y1 (ko) 돗자리 겸용 가방
US20150173475A1 (en) Storage assembly
MX2014012621A (es) Bolso mejorado.
US20200121062A1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CN107072378B (zh) 可调式携带包
US20040222059A1 (en) Combination carrying bag
US10653230B1 (en) Convertible backpack
CN201194599Y (zh) 可拆分组合式旅行箱包
KR20110007570U (ko) 스프링후크를 이용한 탈부착식 가방
KR200445766Y1 (ko) 크기가 조절되는 장바구니
KR20130001439U (ko) 휴대가 간편한 배낭
US20120199623A1 (en) Multi-Barreled Backpack
KR101539176B1 (ko) 이중 가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내부가방
KR20140005457U (ko) 여행용 가방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KR101244719B1 (ko) 돗자리 겸용 가방
US20140346209A1 (en) Ski and sports equipment carrier: ski mule
JP6080673B2 (ja) キャリ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