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91Y1 -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 Google Patents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91Y1
KR200468691Y1 KR2020130003085U KR20130003085U KR200468691Y1 KR 200468691 Y1 KR200468691 Y1 KR 200468691Y1 KR 2020130003085 U KR2020130003085 U KR 2020130003085U KR 20130003085 U KR20130003085 U KR 20130003085U KR 200468691 Y1 KR200468691 Y1 KR 200468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nel
furniture panel
furniture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우 filed Critical 김재우
Priority to KR2020130003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가 개시된다. 본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테두리 마감재는, 상단부, 하단부, 측부 및 상기 테두리 마감재가 상기 가구용 패널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의 외주면이 상호 맞물리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바디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바디부의 내부를 교번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구용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추가 연장된 한 쌍의 압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나사결합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테두리 마감재가 패널에 밀착결합될 수 있게 되고, 패널과의 결합을 위해 패널 상에 추가적인 가공을 요하지 않게 되며, 패널에 결합된 후 해제되는 작업이 반복되더라도 지속적인 압지력과 밀착력을 가지며 패널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Edge finishes of furniture panel}
본 고안은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나사 결합 없이 가구용 패널에 장착가능하며 손잡이로 병용될 수 있는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싱크대에는 소품이나 주방용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납 공간은 미관상의 목적이나 안전상의 문제 등을 이유로 전면 패널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마련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가구나 싱크대에 마련된 전면 패널을 열어 내부의 수납 공간에 마련된 용품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전면 패널을 열기 위해 일반적으로 손잡이가 사용된다. 근래에는 전면 패널의 테두리 마감용 부재를 손잡이로 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손잡이가 별도로 마련되는 구조나 테두리 마감재로 병용되는 구조 모두 전면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나사 결합 등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나사 결합은 추가적인 작업이 소요되어 번거롭고 나사 결합시 전면 패널의 후면에 대한 심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로 병용되는 테두리 마감재의 경우 전면 패널의 모서리를 따라 테두리 마감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나사 결합의 횟수가 많아져 번거로움이 배가되게 된다.
물론, 별도의 나사 결합 없이 단순히 전면 패널에 손잡이 병용 테두리 마감재를 끼워 넣는 구조에 대해서도 안출되고 있으나, 이 경우 테두리 마감재가 전면 패널에 끼워지기 위해 전면 패널에 별도의 선가공을 해야 한다거나, 테두리 마감재의 장착/해제가 반복되거나 시간이 지날수록 테두리 마감재가 전면 패널로부터 헐거워지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를 지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나사 결합을 거치지 않고 테두리 마감재가 전면 패널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병행하며, 장착이 반복되거나 노후되더라도 전면 패널과의 결합이 헐거워지지 않고, 패널 상에 별도의 선가공을 요하지 않는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테두리 마감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테두리 마감재는, 상단부, 하단부, 측부 및 상기 테두리 마감재가 상기 가구용 패널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의 외주면이 상호 맞물리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바디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바디부의 내부를 교번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구용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추가 연장된 한 쌍의 압지부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는, 상기 한 쌍의 바디부에 전달된 외압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지부 간의 간격이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압지부 간의 간격이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하는 외압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한 쌍의 압지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가구용 패널이 장착될 때 상기 가구용 패널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공간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 간의 간격은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는, 상기 한 쌍의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지지봉이 관통 삽입된 후 상기 지지봉이 삽입된 부분을 막기 위한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압지부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구용 패널의 장착이 완료된 경우,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가구에 장착된 상기 가구용 패널을 상기 가구로부터 여닫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별도의 나사결합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테두리 마감재가 패널에 밀착결합될 수 있게 되고, 패널과의 결합을 위해 패널 상에 추가적인 가공을 요하지 않게 되며, 패널에 결합된 후 해제되는 작업이 반복되더라도 지속적인 압지력과 밀착력을 가지며 패널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가 패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테두리 마감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두리 마감재가 패널에 장착된 싱크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100)가 가구용 패널(20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며, 도 3은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테두리 마감재(100)의 정면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100)는 한 쌍의 바디부(110, 120), 지지봉(130), 탄성 부재(140, 145) 및 캡부(150, 155)로 구성된다.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는 결합하여 한 쌍의 바디부(110, 120)를 구성한다.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는 상단부, 하단부, 정면부, 후면부, 내측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진다.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호 결합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를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ㅅ'자로 꺽여진 형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테두리 마감재(100)에 가구용 패널(200)이 장착된 경우에,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호 결합되어 평평한 형태를 형성하고, 테두리 마감재(100)에 가구용 패널(200)이 장착되지 않거나 테두리마감재(100)에 별도의 외압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호 결합되어 'ㅅ'자로 꺽여진 형태를 형성한다.
한편,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하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1, 121)를 포함하고 이러한 연장부(111, 121)에는 내측으로 삽입된 가구용 패널(200)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연장부(111, 121)에서 내측으로 추가 연장된 압지부(123)가 마련된다. 이러한 압지부(123)는 우측 연장부(121) 뿐만 아니라 좌측 연장부(111)에도 마련되어 한 쌍을 구성한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111, 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ㅅ'자로 꺽여진 형태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해, 서로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α)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패널(200)의 두께를 'A'라고 하고, 한 쌍의 연장부(111, 121) 간의 간격을 'B'라고 했을 때, 한 쌍의 연장부(111, 121)에 의해 가구용 패널(200)이 고정 지지 및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B'는 'A'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11, 121)에는 한 쌍의 압지부(123) 사이의 공간에 가구용 패널(200)이 장착될 때 가구용 패널(200)이 슬라이딩되어 이러한 공간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127)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패널(200)의 두께를 'A'라고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127) 간의 간격을 'C'라고 했을 때, 한 쌍의 연장부(111, 121)를 벌리기 위한 과다한 힘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구용 패널(200)이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127)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한 쌍의 연장부(111, 121)의 사이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C'는 'A'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구용 패널(200)이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127) 사이로 슬라이딩되어 한 쌍의 바디부(110, 120)의 사이로 진입할 때 한 쌍의 압지부(123)에 의해 걸리지 않되 자연적으로 진입이 해제되어 이탈될 때 한 쌍의 압지부(123)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압지부(123)는 상부 방향으로 지향된 돌기를 구비하게 된다.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정면부와 후면부는 전술한 연장부(111, 121)에 의해 전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門)'자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한다. 또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에는 지지봉(130)이 관통하기 위한 지지봉 삽입 개구(135)가 마련되게 된다.
지지봉 삽입 개구(135)에는 지지봉(130)이 삽입되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봉(130)은 한 쌍의 바디부(110, 120)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바디부(110, 120)의 내부를 교번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바디부(110)에 세 개의 지지봉 삽입 개구(135)가 마련되고 제2 바디부(120)에 두 개의 지지봉 삽입 개구(135)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서로 같은 개수의 지지봉 삽입 개구(135)가 마련되거나 제2 바디부(120)의 지지봉 삽입 개구(135)가 더 많게 마련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또한, 캡부(150, 155)는 한 쌍의 바디부(110, 120)의 내부에 지지봉(130)이 관통 삽입되게 되면, 지지봉(130)이 삽입된 부분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캡부(150, 155) 역시 지지봉(130)이 삽입되는 측의 지지봉 삽입 개구(135)를 막기 위한 캡부(150)와 반대쪽 캡부(155)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어느 한쪽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캡부(150, 155)는 나사 결합식으로 지지봉 삽입 개구(135)를 막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캡부(150, 155)의 목적이 지지봉 삽입 개구(135)를 막아 지지봉(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미관상 심미감을 주기 위한 것이라면 나사 결합식이 아닌 경우도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한편,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내측부는 외주면이 상호 맞물리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전술한 지지봉(130)에 의해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부가 사각 형태를 가진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곡선을 가지는 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테두리 마감재(100)에 가구용 패널(200)이 장착되지 않거나 테두리마감재(100)에 별도의 외압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호 결합되어 'ㅅ'자로 꺽여진 형태를 형성한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를 위해, 한 쌍의 바디부(110, 120)에는 막대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의 직선 형태의 탄성 부재(140, 145)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140, 14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인 제1 탄성 부재 삽입 개구(160, 170) 및 제2 탄성 부재 삽입 개구(165, 175)가 마련되게 된다.
물론, 두 개의 개구가 마련되도록 구현한 것도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러한 개구의 갯수는 테두리 마감재(100)의 전체적인 길이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막대 스프링이나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아니더라도, 별도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바디부(110, 120)에 전달된 외압이 해제되면 한 쌍의 압지부(123) 간의 간격이 가구용 패널(200)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하여 'ㅅ'자로 꺽여진 형태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가구용 패널(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가구용 패널(200)에 대한 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대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1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마감재(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손잡이부(115, 125)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한 쌍의 손잡이부(115, 125)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기 편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러한 한 쌍의 손잡이부(115, 125)를 파지하여 한 쌍의 압지부(123) 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외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한 쌍의 압지부(123) 간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패널(200)이 삽입되도록 하거나 삽입된 패널(200)이 이탈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부(115, 125)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127) 간의 간격인 'D'가 'A'보다 크거나 같을 뿐 아니라 작게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두리 마감재(100)가 패널(200)에 장착된 싱크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한 쌍의 압지부(123) 사이의 공간으로 가구용 패널(200)의 장착이 완료된 경우, 한 쌍의 바디부(110, 120)의 상단부와 한 쌍의 손잡이부(115, 125)는, 사용자가 싱크대에 장착된 가구용 패널(200)을 여닫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테두리 마감재(100)가 손잡이 역할로 병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테두리 마감재(100)가 손잡이 역할을 병행하는 것도 일 예시에 불과하며, 테두리 마감재(100)에 별도의 손잡이가 장착되도록 구현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한 쌍의 바디부(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의 외측에 손잡이가 장착될 수 있는 체결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에는 이러한 체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대응 부재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는 사용자의 미적 감각과 기호에 따라 변경 장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테두리 마감재 110 : 제1 바디부
111 : 제1 연장부 115 : 제1 손잡이부
120 : 제2 바디부 125 : 제2 손잡이부
121 : 제2 연장부 123 : 제2 압지부
127 : 제2 슬라이딩 보조부 130 : 지지봉
135 : 지지봉 삽입 개구 140 : 제1 탄성 부재
145 : 제2 탄성 부재 150 : 제1 캡부
155 : 제2 캡부 160 : 제1 탄성 부재 삽입 개구
165 : 제2 탄성 부재 삽입 개구 170 : 제1 탄성 부재 삽입 개구
175 : 제2 탄성 부재 삽입 개구 200 : 패널

Claims (6)

  1.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테두리 마감재에 있어서,
    상단부, 하단부, 측부 및 상기 테두리 마감재가 상기 가구용 패널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의 외주면이 상호 맞물리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바디부;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바디부의 내부를 교번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봉;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지지봉이 관통 삽입된 후 상기 지지봉이 삽입된 부분을 막기 위한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구용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추가 연장된 한 쌍의 압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디부에 전달된 외압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지부 간의 간격이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압지부 간의 간격이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하는 외압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마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한 쌍의 압지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가구용 패널이 장착될 때 상기 가구용 패널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공간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보조부 간의 간격은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마감재.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지부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구용 패널의 장착이 완료된 경우,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가구에 장착된 상기 가구용 패널을 상기 가구로부터 여닫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마감재.
KR2020130003085U 2013-04-22 2013-04-22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KR200468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85U KR200468691Y1 (ko) 2013-04-22 2013-04-22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85U KR200468691Y1 (ko) 2013-04-22 2013-04-22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691Y1 true KR200468691Y1 (ko) 2013-08-29

Family

ID=5139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085U KR200468691Y1 (ko) 2013-04-22 2013-04-22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9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508A (en) * 1982-09-30 1984-04-17 Norfab, Inc. Edge protector
KR200263083Y1 (ko) 2001-10-25 2002-01-31 주식회사 맥시멈 긴길이의 물품정리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508A (en) * 1982-09-30 1984-04-17 Norfab, Inc. Edge protector
KR200263083Y1 (ko) 2001-10-25 2002-01-31 주식회사 맥시멈 긴길이의 물품정리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8524S1 (en) Handbag
USD959822S1 (en) Key fob
USD910194S1 (en) Massage appliance
USD916468S1 (en) Hair brush
USD828261S1 (en) Vehicle rear corner fascia
USD834310S1 (en) Bag
USD815961S1 (en) Watch case
USD841993S1 (en) Chair
USD861570S1 (en) Vehicle rim
USD856880S1 (en) Central screen in a car
USD810613S1 (en) Multiple facet gemstone
USD876238S1 (en) Bottle
USD789267S1 (en) Liftgate panel of car
USD863800S1 (en) Swivel chair
USD798657S1 (en) Faucet
USD859175S1 (en) Bottle
USD862353S1 (en) Vehicle rim
USD802999S1 (en) Mug
USD852149S1 (en) Key button
USD814555S1 (en) Colored piano mat
USD934652S1 (en) Door handles for switchgear cabinet
USD921099S1 (en) Spectacles
USD871599S1 (en) Massager
USD867158S1 (en) Bottle
USD830839S1 (en)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