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92Y1 -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292Y1
KR200468292Y1 KR2020110004893U KR20110004893U KR200468292Y1 KR 200468292 Y1 KR200468292 Y1 KR 200468292Y1 KR 2020110004893 U KR2020110004893 U KR 2020110004893U KR 20110004893 U KR20110004893 U KR 20110004893U KR 200468292 Y1 KR200468292 Y1 KR 200468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andle
label
ethylene
outer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8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8530U (en
Inventor
장을호
Original Assignee
장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을호 filed Critical 장을호
Priority to KR2020110004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92Y1/en
Publication of KR20120008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3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09F3/0289Pull- or fold-out lab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건전지의 인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라벨은, 열수축성 재질로써 일측 선단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중앙에 천공홀을 구비한 인출용 손잡이가 마련되며, 외장 라벨의 타측 선단에는 천공홀의 중앙 및 인출용 손잡이의 외주를 관통하여 일측 선단의 일부와 중첩되고, 외장라벨은 건전지 캔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권취부; 권취부의 일측 선단에서 연장되는 인출용 손잡이; 및 권취부의 타측 선단에서 인출용 손잡이의 외주 방향으로 회피하고, 천공홀을 관통하여 권취부의 일측 선단과 중첩되도록 삽설홈이 마련된 중첩부로 구성되며; 중첩부 및 권취부의 안측에는 캔과 접착을 유도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전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때, 건전지의 인출이 극히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용 손잡이의 중앙에 천공홀을 구비하고 외장 라벨의 선단이 이를 통해 중첩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외장 라벨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인출용 손잡이의 사용과정에서 외장 라벨의 분리 훼손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is an external label structure of a battery capable of easily inducing the extraction of the battery.
Exterior lab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shrinkable material is extended to protrude from one side end, the withdrawal handle is provided with a punching hole in the center, the outer end of the center of the punching hole and the handle for drawing out the other end of the outer label Overlapping a portion of one end of the penetrating body, the outer label comprising: a winding unit for accommoda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Pull out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an overlapping portion provided with an inserting groove provided so as to avoid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l-out handle from the other end of the take-up part and penetrate the hole to overlap with the one end of the take-up part; The inner side of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wind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induce adhesion with the ca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extraction of the battery is extremely easy when the battery is separated from the case. In addition, by hav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center of the takeout handle and bonding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label overlaps, it secures the durability of the outer label and prevents separation, damage or detachment of the outer label during the use of the takeout handle. It can be effective.

Description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Exterior label structure of battery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본 고안은 건전지 외장 라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전지 케이스로 인입 사용된 폐건전지의 인출 분리를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해, 건전지 외장 라벨의 일단을 연장하여 인출용 손잡이를 형성한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outer label, and more particularly, an outer label of a battery in which one end of the battery outer label is extended to form a pullout handle to easily induce detachment of waste batteries used in and out of the battery case. It's about structure.

일반적으로, 건전지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구분된다. 우리가 흔히 건전지라고 부르는 것은 1차 전지를 말한다. 1차전지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망간 건전지, 알카리 전지, 산화은 전지, 수은-아연 전지, 망간-리튬 전지가 있고 2차 전지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아연전지, 리튬-산화망간 전지, 리튬-산화코발트 전지, 리튬-고분자 전지(lithium-polymer cell)등이 있는데 1차 전지인 알칼리 건전지에서는 아연이 일단 아연 이온으로 산화되고 나면 그것이 다시 금속아연으로 환원되는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Generall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prim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What we commonly call a battery is a primary battery. Primary batteries cannot be reused. Manganese batteries, alkaline batteries, silver oxide batteries, mercury-zinc batteries, manganese-lithium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are lead acid batteries,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manganese oxide batteries. , Lithium-cobalt oxide battery, lithium-polymer cell, etc. In an alkaline battery which is a primary battery, once zinc is oxidized to zinc ions, it is not reduced to metal zinc again.

반면에, 2차 전지인 축전지에서는 다 쓴 전지에 역방향의 전류를 걸어 주면 전류를 만들어낼 때 일어났던 산화-환원 반응의 역반응이 일어나 전지의 내용물을 원래대로 돌려놓는다.On the other hand, in a secondary battery,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o a used battery, a reverse reac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which occurs when a current is generated, causes the contents of the battery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와 같이 1차 전지 및 2차 전지는 내부 구조 또는 화학적 반응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정 내에서는 다수 종류의 리모콘, 손전등, 전자기기, 시계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건전지 케이스 내부에 인입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건전지 케이스 내부에는 건전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건전지의 음극단에 스프링이 내설되는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have a difference in internal structure or chemical reaction and are used in various ways in real life. In particular, in the home, it is essentially used for many types of remote controllers, flashlights, electronic devices, watches, and the like. Such batteries are installed and us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the battery cas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ring is installed at the negative end of the battery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또한, 건전지 케이스의 양극단에는 평판 구조의 접촉단이 마련됨에 따라, 건전지가 케이스에 삽설될 때, 음극단의 스프링에 의해 건전지를 가압하여 접촉 불량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전지 케이스는 스프링에 의해 건전지를 탄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폐건전지를 인출 분리하기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end of the flat plate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positive end of the battery case, when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case, the contact of the battery is pressed by the spring of the negative end to prevent contact failure in advance. However, since such a battery case supports the battery by a spring, the user feels a lot of inconvenience in taking out and separating the waste battery.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공보 20-0161367호 '리모콘의 건전지 인출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건전지의 인출이 용이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1367 'battery withdrawal device of the remote control'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propose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take out the batter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본체부(1)의 저면 일측으로 건전지 수납홈(3)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건전지(2)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건전지 수납홈(3)의 상측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건전지(2)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4)가 착설되어 리모콘을 동작하게 된다. 상기 건전지(2)가 수납되는 건전지 수납홈(3)은, 그 일측인 리모콘 본체부(1)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전지 인출버튼(5)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인출버튼(5)을 눌러주어 건전지(2)를 자동적으로 인출시킬 경우에는, 상기 전지 인출버튼(5) 하측에 가이드 바(6)를 일체의 사출물로 하향 설치하여 리모콘 본체부(1) 내에 설치되는 힌지축(7)과 연결 설치된 후, 이와 수평방향으로 링크 바(6)가 연설되어 건전지 수납홈(3) 내의 건전지(2)를 인출시키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and the battery 2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is formed. In the cover (4) for protecting the battery (2) stored therein is installed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in which the battery 2 is accommodated has the battery lead button 5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lead button 5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on one side thereof. In the case where the battery 2 is automatically taken out by pressing, the hinge shaft 7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by installing the guide bar 6 downwardly as an integral part under the battery withdrawal button 5 is installed. After the connection and the installation, the link bar (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ulled out to take out the battery (2) in the battery receiving groove (3). 상기 건전지 수납홈(3) 내의 건전지 인출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리모콘 본체부(1) 표면에 돌출된 전지 인출버튼(5)을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이와 일체로 그 하측으로 연설되는 가이드 바(6)가 하측으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바(6) 의 하방 이송에 의해 그 하측으로 위치되는 단면이 ㄴ자 형상의 링크 바(8)의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7)에 결합되어 역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시소의 원리에 의해 상기 링크바아(8)의 선단부를 들어 올리게 된다.Referring to the battery withdrawal process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the guide bar (6) is integrally addressed to the lower side by pressing the battery withdrawal button (5)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6) ) Is transferred downward, and one end of the N-shaped link bar (8) having a cross section positioned downward by the downward transfer of the guide bar (6)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7) and also moves downward. While lifting the tip of the link bar (8) by the principle of seesaw. 이때, 상기 링크 바(8) 선단부 상측에는 스프링 결합홈(9)이 요설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8)을 탄설하여 링크 바(8) 선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링크 바(8)의 선단부가 상승함에 따른 전지 인출돌턱(11)이 건전지 수납홈(3) 하측으로 돌출되어 건전지(2)의 저면을 강하게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건전지 수납홈(3) 내의 건전지(2)는 일측이 건전지 수납홈(3)외부로 인출되어 건전지를 손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spring coupling groove 9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link bar 8, and the spring 8 is installed therein to elastically press the tip of the link bar 8, thereby leading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bar 8; As the battery withdrawal protrusion 11 protrud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as it rises, the battery 2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 is strongly pushed. The outside of the storage groove (3) is drawn out so that the battery can be easily and easily taken out by han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건전지 인출장치는 리모콘의 형상과 내부 구조에 따라 설계가 달리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예상되어 실용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건전지 인출장치는 리모컨에 적용하도록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전자기기에서 유발되는 동일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However, since the battery extraction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different design depending on the shap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practically because it is expensive to apply.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battery extractor is limited to be applied to a remote controller, it is pointed out that it does not fundamentally solve the same problem caused by many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전지 케이스의 구조에 관계없이 폐건전지의 교체 또는 이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er label structure of a battery that can easily induce replacement or removal of a waste battery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ca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전지 외장 라벨의 일단을 연장하여 인출용 손잡이 구조를 제시하되, 인출용 손잡이의 중앙부를 천공하여 외장 라벨의 선단이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의 인출과정에서 라벨의 훼손 또는 분리가 되지 않아 외장 라벨의 기능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the end of the outer label of the battery to present the handle structure for drawing, but by punctur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for the overlap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label overlap, damage or separation of the label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handle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of the outer label is to provide an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전지 외장 라벨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로부터 구성되는 열수축성 라벨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제조공정 없이 건전지의 인출용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는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er label structure of a battery that can implement a handle for extracting the battery without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by applying a heat-shrinkable label composed of a polyester resin.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는, 망간 또는 알카라인 전지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 전극단과, - 전극단을 구성하는 건전지의 외주면 상으로 부착되는 필름 형태의 외장 라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장 라벨은 열수축성 재질로써, 외장라벨의 일측선단에는 중앙에 천공홀을 구비한 인출용 손잡이가 연장돌출되고, 상기 건전지의 외주면을 감싼 외장라벨의 타측선단은 상기 일측선단 손잡이의 연장돌출된 부분과 대응된 부분에 삽설홈을 형성하여 외장라벨의 일측선단 상부로 일정폭 중첩되도록 하되, 상기 일측선단 손잡이의 돌출된 부분은 타측선단의 삽설홈에 내입되어 통과되도록 하고, 일측선단의 손잡이 연장 돌출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만 타측선단이 중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 electrode end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nganese or alkaline batteries, and the film-type exterio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electrode end In the label structure, the outer label is a heat-shrinkable material, and a pull-out handle having a perforation hole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outer label, 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labe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is one sid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protrusion of the tip handle so as to overlap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top of one side of the exterior label, bu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other end so as to pass through.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overlapped except for the handle extension protruding portion of the one en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장라벨은, 건전지 캔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일측 선단에서 연장되는 인출용 손잡이; 및 상기 권취부의 타측 선단에서 상기 인출용 손잡이의 외주 방향으로 회피하고, 상기 천공홀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부의 일측 선단과 중첩되도록 삽설홈이 마련된 중첩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첩부 및 권취부의 안측에는 상기 캔과 접착을 유도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xterior lab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A pull-out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an overlapping portion provided with an inserting groove provided so as to avoid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l-out handle from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penetrate the drilling hole to overlap the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 adhesive layer for inducing adhesion with the can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of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winding portion.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로부터 구성되는 열수축성 필름으로 건전지의 외장 라벨을 재단하되, 외장 라벨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인출용 손잡이를 구성함으로써, 건전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때, 건전지의 인출이 극히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용 손잡이의 중앙에 천공홀을 구비하고 외장 라벨의 선단이 이를 통해 중첩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외장 라벨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인출용 손잡이의 사용과정에서 외장 라벨의 분리 훼손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shrinkable film composed of a polyester-based resin to cut the outer label of the battery, but by configuring a pull-out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label, When detached from the case, the extraction of the battery is extremely easy. In addition, by hav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center of the takeout handle and bonding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label overlaps,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outer label, and to prevent separation or detachment of the outer label during use of the takeout handle.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종래 건전지 인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의 외장라벨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라벨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용 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battery extracting device.
2 is a view showing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terior label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terior lab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ll-ou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가 적용된 건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to which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망간 또는 알카라인 전지의 규격화된 원통형 구조의 캔(211)을 포함하여, 상기 캔(211)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 전극단(213)과, - 전극단(215)을 구성하는 건전지(200)의 외주면 상에 필름 형태의 외장 라벨(221)이 도포된 구조이다. 상기 외장 라벨(221)은 일측 선단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중앙에 천공홀(225)을 구비한 인출용 손잡이(223)가 마련되며, 상기 외장 라벨(221)의 타측 선단에는 상기 천공홀(225)의 중앙 및 인출용 손잡이(223)의 외주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 선단의 일부와 중첩되어 접합 된다.As shown, including the can 211 of a standardized cylindrical structure of a manganese or alkaline battery, the + electrode end 213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can 211, and-the electrode end 215 The outer label 221 in the form of a film is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200. The exterior label 221 extends to protrude from one side end, and a withdrawal handle 223 having a drilling hole 225 in the center is provided, and the drilling hole 225 at the other end of the exterior label 221. ) Is penetrat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and the withdrawal handle 223 and overlapped with a part of the one end.

상기 외장 라벨(221)은 접합과 인장성이 좋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구성되는 열수축성 재질이며, 상기 캔(211)의 외주면 상에 접착된 후 소정의 가열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열의 폴리 염화 비닐 수지, 폴리스틸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사용될 수 있다.The exterior label 221 is a heat-shrinkable material composed of a polyester-based resin having good bonding and tensile properties, and is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 211, and is firmly attached by predetermined heating. The polyester resin may b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olefin-based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 like may be used. .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라벨(221)의 재단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라벨(221)은 상기 캔(211)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권취부(323)와, 상기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에서 연장되는 인출용 손잡이(223)와, 상기 권취부(323)의 타측 선단에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의 외주 방향으로 회피하고, 상기 천공홀(225)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과 중첩되도록 삽설홈(325)이 마련된 중첩부(321)로 구성되며, 상기 중첩부(321) 및 권취부(323)의 안측에는 접착제가 도포 된다.3 is a view showing a cutting configuration of the exterior label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3A, the exterior label 221 is a winding part 323 for accommod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 211 and a pull-out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art 323. 223 and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323 to avoi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l-out handle 223, to penetrate the drilling hole 225 to overlap with the one end of the winding part 323 Consists of the overlapping portion 321 provided with the insertion groove 325,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of the overlapping portion 321 and the winding portion 323.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상기 권취부(323)의 선단 일측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레그(313)와 상기 각 레그(313)를 잇는 브릿지(311)로부터 상기 천공홀(225)을 형성하며, 상기 삽설홈(325)은 상기 각 레그(313)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삽설홈(325)을 제외한 중첩부(321)는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에 중첩되어 접합되기 때문에, 상기 각 레그(313)는 중첩부(321)로부터 지지된다.The pull-out handle 223 forms the punching hole 225 from two legs 31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art 323 and a bridge 311 connecting the legs 313. The insertion groove 325 accommodates each leg 313. Therefore, since the overlapping portion 321 excluding the insertion groove 325 is joined to overlap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323, the legs 313 are supported from the overlapping portion 321.

즉, 상기 레그(313)와 권취부(323) 사이의 연결부는 인출용 손잡이(223)의 인장 시 취약한 부분으로 인지됨에 따라, 중첩부(321)를 통해 상기 각 레그(313)의 하부 주변을 압착시켜, 인출용 손잡이(223)를 이용하여 건전지가 인출될 때, 인출용 손잡이(223)와 권취부(323)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as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eg 313 and the winding portion 323 is recognized as a weak part when the pullout handle 223 is pulled, the lower periphery of each leg 313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 321. When the battery is pulled out using the pull-out handle 223, it is compressed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pull-out handle 223 and the winding part 323.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라벨(221)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라벨(221)은 인출용 손잡이(223), 권취부(323) 및 중첩부(321)로 구성된 외피(331)와, 상기 외피(331)의 하부에 도포되어 상기 캔(211)의 외주면 상으로 부착을 유도하는 접착제층(333)으로 이루어진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rior label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outer label 221 is an outer shell 331 composed of a pull-out handle 223, a winding portion 323 and an overlapping portion 321, and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331 to the can ( It consists of an adhesive layer 333 to induce adhes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11.

상기 접착제층(333)은 금속 재질의 캔(211)의 외주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감열성(感熱性) 접착제이며 에틸렌(ethylene)-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에틸,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2-에틸헥실(ehhyl hexyl) 등의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에스테르(ester)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에틸(ethyl) 등의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에스테르(ester) 공중합체이거나, 아이오노머(ionorm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제종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 가능하며, 테르펜(terpene) 수지나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안정화제, 개질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제층(333)은 외장라벨(221)의 하부면 중 상기 권취부(323)와 중첩부(321)에 해당하는 면에 도포 된다.The adhesive layer 333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can 211 and is a thermosensitive adhesive, and is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 Ethylene-acrylic acid ester copolymers such as (ethylene) -meth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 (ethylene) -ethyl acrylate, ethylene (ethylene) -ethyl 2-ethylhexyl (ehhyl hexyl), ethylene (ethylene) Ethylene (meth) -methacrylic acid ester (ester) copolymers, such as ethyl (meth) methacrylate, or ionomer (ionormer) etc. can be used. In addition, each typ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and tackifiers such as terpene resins and petroleum resins, stabilizers, modifiers,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333 is applied to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part 323 and the overlapping part 321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ior label 221.

상기 접착제층(333)은 감열성 접착제로써 소정의 가온 상태에서 접착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층(333)을 이용하여 캔(211)의 외주 면상에 외장라벨(221)을 부착한 후, 가온 공정을 통해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즉, 외장라벨(221)의 도포 공정은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데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라벨(221)을 부착하기 위한 건전지의 측부에 롤러가 밀착되고, 상기 롤러에는 외장라벨(221)이 권취된다.The adhesive layer 333 is a thermosensitive adhesive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in a predetermined warm state. Therefore, after attaching the exterior label 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 211 using the adhesive layer 333, it is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through the heating process. That is, the coating process of the outer label 221 can refer to Figure 4, as shown in 4a, the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for attaching the outer label 221, the outer label 221 to the roller ) Is wound.

이후, 상기 건전지와 롤러가 상호 안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권취된 외장라벨(221)은 건전지와 롤러 사이를 통해 건전지의 외주 면 상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외장라벨(221)의 일측선단 즉, 인출용 손잡이(223)가 우선적으로 건전지의 외주 면상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인출용 손잡이(223)는 건전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323)의 선단부터 건전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다.Thereafter, when the battery and the roller rotate inward, the outer label 221 wound on the roller is attach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through the battery and the roller. Here, one end of the outer label 221, that is, the pull-out handle 223 is preferentially draw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Therefore, as shown in FIG. 4A, the pull-out handle 223 is attach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from the front end of the winding part 323 in a state where it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상기 건전지와 롤러가 상호 맞닿도록 회전함에 따라, 외장라벨(221)은 도 4b와 같이 건전지의 외주 면상에 부착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건전지와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건전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4c와 같이 상기 외장라벨(221)의 인출용 손잡이(223)는 건전지와 롤러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건전지와 롤러 사이에서 접히게 되고, 외장라벨(221)의 중첩부(321)는 인출용 손잡이(223)의 외향면과 천공홀(225)의 안측면 상으로 부착된다.As the battery and the roller rotate to abut each other, the outer label 221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as shown in Figure 4b is rotated. At this time, the pull-out handle 223 is not adhered to the battery, so that it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the pull-out handle 223 of the outer label 221 is fold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roller by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battery and the roller, and the overlapping portion 321 of the outer label 221 is It is attach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ull-out handle 223 and the inner side of the drilling hole 225.

그리고, 도 4d의 공정을 통해 외장라벨(221)이 부착된 건전지에 온열을 가미시켜, 상기 접착제층(333)의 접착력을 높이고, 상기 외장라벨(221)의 수축을 도모한다.4D, heat is applied to the battery having the exterior label 221 attached thereto,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333, and constraining the exterior label 221.

한편, 본 고안에서 인출용 손잡이(223)의 천공홀(225)은 사용자의 파지 과정에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외장라벨(221)은 최후 공정 과정에서 상표 프린트 및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출용 손잡이(233)의 표면 마찰력이 저하되는데, 상기 천공홀(225)을 구현함으로써 손잡이의 파지 시 미끌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illing hole 225 of the pull-out handle 22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in the grip process of the user. That is, since the exterior label 221 is a trademark printing and coating is made in the final process, the surface friction force of the pull-out handle 233 is lowered, by implementing the punching hole 225, the grip phenomenon during the grip of the handle It is to prevent.

상기 천공홀(225)은 인출용 손잡이(233)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상기 천공홀(225)에 의해 손가락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며, 인출용 손잡이(233)의 인출 시 외장라벨(221)의 표면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이 유도된다. 따라서, 인출용 손잡이(233)를 파지한 상태에서 건전지를 인출할 경우 적절한 파지력으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drilling hole 225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thdrawal handle 233,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ngers is made by the drilling hole 225, and the withdrawal handle 233 is provided. The frictional force greater than the surface frictional force of the exterior label 221 is induced during the withdrawal. Therefore, when the battery is drawn out while the extraction handle 233 is held, it can be drawn out with an appropriate grip force.

그리고, 건전지는 케이스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 전극단(215)은 탄성 스프링과 접촉되고, + 전극단(213)은 평판 구조의 전극단과 접촉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인출용 손잡이(223)는 + 전극단(213)에 근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건전지의 이탈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인출용 손잡이(223)의 인장 시 상기 - 전극단(215)에 접촉된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is seated on the case, the electrode end 215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spring, and the + electrode end 213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end of the flat plat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close to the + electrode end 213. In addition, the take-out handle 223 is intended to remove the battery, it may be designed to press the spring in contact with the-electrode end 215 when the pull-out handle 223 is tensioned.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출용 손잡이 구조는 다른 실시 예로서 제시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인출용 손잡이(223)가 건전지의 전방 즉, + 전극단(213)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되, 건전지의 후방 즉, - 전극단(215)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인출용 손잡이(223)가 사용자에 의해 인장될 때, 건전지가 후방으로 가압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상기 - 전극단(215)에 접촉된 스프링을 가압하여 건전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pullout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ented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A, the pull-out handle 223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front of the battery, that is, the + electrode end 213, and may be designed to have a shap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battery, that is, the electrode end 215. . This allows the battery to be pressed backward when the takeout handle 223 is tensioned by the user, which is to press the spr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end 215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은, 사용자가 인출용 손잡이(223)의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인출용 손잡이(223)를 가압 인출하도록 유도함에 있다. 즉, 사용자는 감각적으로 손잡이의 방향성을 인지하고, 방향성에 대응하는 인출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와 같은 잠재적 의식을 이용하여 건전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ithdrawal handle 223 has a form inclined backward, to guide the user to pull out the withdrawal handle 223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withdrawal handle 223. That is, the user senses the direction of the handle and senses the direction of drawing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so that the battery can be easily taken out using this potential consciousness.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b와 같이 상기한 두 개의 레그(313)의 두께를 달리하는 것으로, 건전지의 + 전극단(213)에 근접한 제1 레그의 두께 또는 면적을 - 전극단(215)에 근접한 제2 레그 보다 크도록 한다. 이는 인출용 손잡이(223)를 건전지의 후방으로 가압하여 인출할 경우, 상대적으로 인장력이 가중되는 제1 레그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two legs 313 as shown in Figure 5b, the thickness or area of the first leg close to the + electrode end 213 of the battery-the electrode end ( 215) larger than the second leg in proximity to the second leg. This is to protect the first leg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relatively increased when the pull-out handle 223 is pushed out to the rear of the battery.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의 외장라벨(221)은 인출용 손잡이(223)가 돌출되도록 건전지 캔(211)의 외주 면상으로 부착됨으로써, 건전지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된다. 또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폴리에스테르계 재질로서 가요성이 높기 때문에, 다수 개의 건전지가 케이스 내에 장착되더라도 인출용 손잡이(223)는 방해요소가 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outer label 221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211 so that the withdrawal handle 223 is protruded, it is induced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battery . In addition, since the extraction handle 223 has a high flexibility as a polyester-based material, even if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mounted in the case, the extraction handle 223 does not become an obstacle.

또한, 상기 인출용 손잡이(233)는 그 길이가 건전지 원주 길이 보다 작게 설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건전지 원주 길이의 1/4 내지 1/2로 설계함으로써, 건전지 외관의 미려함을 훼손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건전지 케이스의 구조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인출용 손잡이(233)의 돌출이 불편할 경우에는 건전지의 삽설 후, 건전지를 회전시켜 인출용 손잡이(233)가 건전지와 건전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건전지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건전지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출용 손잡이(233)를 외향으로 돌출시킨 후, 이를 파지한 후 건전지를 인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ake-out handle 233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attery circumference, preferably by designing 1/4 to 1/2 of the battery circumference, so as not to compromise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In addition, when the protrusion of the takeout handle 233 is inconvenie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user selection of the battery case, after the insertion of the battery, the battery may be rotated so that the takeout handle 233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battery case. . Of course, when the battery is to be withdrawn, the battery may be rota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o protrude the outgoing handle 233 outwards, and the battery may be withdrawn after grasping it.

그리고, 상기 천공홀(2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용 손잡이(223)의 파지 시 마찰력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천공홀(225)의 크기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천공홀(225)은 다수 개의 천공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소정의 캐릭터화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drilling hole 225 is applied as a means for inducing a friction force when holding the pull-out handle 223 as described above, the size and shape of the drilling hole 225 will not be limited. For example, the drilling hole 225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r of course, may be implemented in a predetermined characterized shape.

200 : 건전지 211 : 캔
213 : + 전극단 215 : - 전극단
221 : 외장라벨 223 : 인출용 손잡이
225 : 천공홀 311 : 브릿지
313 : 레그 321 : 중첩부
323 : 권취부 325 : 삽설홈
331 : 외피 333 : 접착제층
200: battery 211: can
213: + electrode end 215:-electrode end
221: exterior label 223: pull out handle
225: drill hole 311: bridge
313 leg 321 overlap
323: winding unit 325: inserting groove
331: sheath 333: adhesive layer

Claims (6)

망간 또는 알카라인 전지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 전극단(213)과, - 전극단(215)을 구성하는 건전지(200)의 외주면 상으로 부착되는 필름 형태의 외장 라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장 라벨은 열수축성 재질로써, 외장라벨의 일측선단에는 중앙에 천공홀(225)을 구비한 인출용 손잡이(223)가 연장돌출되고,
상기 건전지의 외주면을 감싼 외장라벨의 타측선단은 상기 일측선단 손잡이의 연장돌출된 부분과 대응된 부분에 삽설홈(325)을 형성하여 외장라벨의 일측선단 상부로 일정폭 중첩되도록 하되,
상기 일측선단 손잡이의 돌출된 부분은 타측선단의 삽설홈에 내입되어 통과되도록 하고, 일측선단의 손잡이 연장 돌출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만 타측선단이 중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In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film form attached to the + electrode end 213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manganese or alkaline batterie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200 constituting the electrode end 215,
The outer label is made of a heat-shrinkable material, and at one end of the outer label, a pull-out handle 223 having a punching hole 225 at the center thereof is extended and protruded.
The other end of the outer label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25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protrus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so as to overlap a predetermined width above the one end of the outer label,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other end to pass through, and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nly overlaps the other end except the handle extension protrusion of the one en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라벨은 건전지 캔(211)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권취부(323);
상기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에서 연장되는 인출용 손잡이(223); 및
상기 권취부(323)의 타측 선단에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의 외주 방향으로 회피하고, 상기 천공홀(225)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과 중첩되도록 삽설홈(325)이 마련된 중첩부(321)로 구성되며;
상기 중첩부(321) 및 권취부(323)의 안측에는 상기 캔(211)과 접착을 유도하기 위한 접착제층(333)이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ior label may include a winding unit 323 for accommoda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211;
A pull-out handle 22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art 323; And
Insertion groove 325 to avoi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l-out handle 223 at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323, penetrates the drilling hole 225 and overlaps with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323 It is composed of the overlapping portion 321 is provided;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layer 333 for inducing adhesion with the can 211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of the overlapping portion 321 and the winding portion 32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333)은 감열성(感熱性) 접착제로써, 에틸렌(ethylene)-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에틸,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2-에틸헥실(ehhyl hexyl) 등의 에틸렌(ethylene)-아크릴산 에스테르(ester)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에틸(ethyl) 등의 에틸렌(ethylene)-메타크릴산 에스테르(ester) 공중합체이거나, 아이오노머(ionor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layer 333 is a thermosensitive adhesive, and includes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an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and ethylene Ethylene, such as ethyl acrylate and ethylene, such as ethylene and 2-ethylhexyl acrylate, and ethylene such as ethylene and ethyl methacrylate. An external label structure of a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ethacrylic acid ester (ester) copolymer, or comprises any one of ionome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상기 권취부(323)의 선단 일측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레그(313)와, 상기 각 레그(313)를 잇는 브릿지(311)로부터 상기 천공홀(225)을 형성하며;
상기 삽설홈(325)은 상기 각 레그(313)를 수용하도록, 상기 중첩부(321)가 권취부(323)의 일측 선단에 중첩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각 레그(313)가 중첩부(321)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ll-out handle 223 forms the drilling hole 225 from two legs 31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323 and a bridge 311 connecting the legs 313. ;
The insertion grooves 325 are overlapped and joined to one end of the winding part 323 so as to accommodate the legs 313 so that the legs 313 overlap each other. The outer label structure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fr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용 손잡이(223)는 건전지의 전방인 상기 + 전극단(213)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되, 건전지의 후방인 - 전극단(215)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l-out handle 223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 electrode end 213 that is the front of the battery, the outer label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inclined toward the electrode end 215, which is the rear of the battery rescu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재질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계열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열의 폴리 염화 비닐 수지, 폴리스틸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의 외장라벨 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heat-shrinkable material is any one of polyester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olefin (polyolefin)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propylene) Or an outer label structure of a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from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R2020110004893U 2011-06-02 2011-06-02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KR2004682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893U KR200468292Y1 (en) 2011-06-02 2011-06-02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893U KR200468292Y1 (en) 2011-06-02 2011-06-02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30U KR20120008530U (en) 2012-12-12
KR200468292Y1 true KR200468292Y1 (en) 2013-08-05

Family

ID=5139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893U KR200468292Y1 (en) 2011-06-02 2011-06-02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9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30B1 (en) * 2017-12-07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435749B1 (en) * 2021-02-16 2022-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Easy To Remove Label and Labe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035U (en) * 1997-11-28 1999-06-25 전주범 Remote control for easy battery replacement
JP2002368237A (en) 2001-06-04 2002-12-20 Sony Corp Optical charged type secondary c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035U (en) * 1997-11-28 1999-06-25 전주범 Remote control for easy battery replacement
JP2002368237A (en) 2001-06-04 2002-12-20 Sony Corp Optical charged type seconda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30U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176B2 (en) Product dispenser
US8056273B2 (en) Container for beverages
KR200468292Y1 (en) Structure for jacket label of battery
CN104335385A (en) Destructive battery closure
KR20150128402A (en) Flexible secondary battery
EP3567666A1 (en) Electrode assembly
US4860890A (en) Battery holder
EP1320496A1 (en) Product dispenser
EP1368851A2 (en) Tab for zinc/air cell
EP3174171A1 (en) Self winding linear unit
JP2008171726A (en) Battery pack
EP1588441A2 (en) Product dispenser
KR102294856B1 (en) The Film Type Outer Packaging Material
JP2005216754A (en) Battery
JP4867977B2 (en) Plug removal aid
JP5132990B2 (en) Battery pack
CN213843764U (en) Selenium drum with protection is drawn and is detained
CN216624495U (en) Battery compartment
US3948683A (en) Electric generators particularly dry cell batteries
CN201868486U (en) Battery compartment structure
CN214068837U (en) Recyclable rechargeable battery
TWI696579B (en) Rechargeable adhesive tape device with a battery installed inside a sleeve thereof
CN215014216U (en) Charging storage box for eye posture detection device
JP4566947B2 (en) Crimp terminal cover
JP4316870B2 (en) Battery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