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57Y1 -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57Y1
KR200468157Y1 KR2020120011858U KR20120011858U KR200468157Y1 KR 200468157 Y1 KR200468157 Y1 KR 200468157Y1 KR 2020120011858 U KR2020120011858 U KR 2020120011858U KR 20120011858 U KR20120011858 U KR 20120011858U KR 200468157 Y1 KR200468157 Y1 KR 200468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rectangular
vinyl house
protru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삼 용 한
Original Assignee
삼 용 한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 용 한, 이정훈 filed Critical 삼 용 한
Priority to KR2020120011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식장이나 양어장에 사용되는 비닐하우스 프레임을 간편하게 체결하는 조립식 비닐하우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절 첩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절단부가 호형으로 구비된 제 1프레임 삽입부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부가 구성되며,
상기한 연결부 내측에 장 방향의 돌출부가 제 2프레임 삽입까지 연장되고 상기한 돌출부는 사각통공을 구비하고, 통공하부로 반원형의 제 2프레임 삽입부 형성되고, 제 2프레임 삽입부 외주 면에 호형의 힘살부가 좌 우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한 힘살부 하부에 사각통공이 형성 되며,
상기한 각각의 사각통공에 근각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vinyl greenhouse frame connectors}
본 고안은 조립식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식장이나 양어장에 사용되는 비닐하우스 프레임을 간편하게 체결하는 조립식 비닐하우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조립식 비닐하우스의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여 사용함으로써, 2개 이상의 프레임이 사용되며 기존의 용접처리하여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은 태풍이나 폭설 등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0727593호"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는, 파이프로 된 상, 하측의 횡지간을 대소 이음구 몸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하고 상기한 대소이음구의 체결 홈에는 종지지 간을 그리고 대형 이음구몸체에 형성된 보조지지간 경사 체결 홈 사이에는 보조지지간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이음구 몸체의 타측을 결합한 후 볼트로 체결함으로 작업이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태풍과 같은 강풍에 쉽게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탈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제작시 금형을 2개 이상 제작해야함으로 제작 원가가 높아지고, 대단지 비닐하우스일 경우 트랜스용 이음구가 수백 개 이상 소요됨으로 재정으로 큰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절단부를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 1프레임 삽입부와 돌출부 및 반원형의 제 2프레임 삽입부로 이루어짐으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일체로 형성이 되었기 별도의 금형이 추가로 필요 없음으로, 제작 단가도 저렴하며,
설치시 최소인원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에 큰 기여가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의 구성은;
절 첩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절단부(101)가 호형으로 구비된 제 1프레임 삽입부(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부(103)가 구성되며,
상기한 연결부(103) 내측에 장 방향의 돌출부(102)가 제 2프레임 삽입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한 돌출부(102)는 사각통공(300)을 구비하고, 통공(300) 하부로 반원형의 제 2프레임 삽입부(200) 형성되고, 제 2프레임 삽입부(200) 외주 면에 호형의 힘살부(201)(202)가 좌 우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한 힘살부(201)(202) 하부에 사각통공(301)이 형성 되며,
상기한 각각의 사각통공(300)(301)에 근각볼트(310)와 너트(32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도 2;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 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중요한 요지는 제 1프레임 삽입부(100)과 제 2프레임 삽입부(200)에 프레임을 삽입한 후 인력으로 한 쌍의 제 2 프레임(200)을 손쉽게 절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제 1프레임 삽입부(100) 상단에 다수개의 절단부(101)가 형성된 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절 첩이 가능토록 한 것이므로 사람의 힘으로 절 첩이 가능해야 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프레임의 무게와 길이에 따라 절단부(101)를 다수 개로 늘려 손쉽게 절 첩이 가능토록 해야한다.
제 1프레임 삽입부(100)에서 제 2프레임 삽입부(200)까지 돌출부(102)가 연장 되었기 때문에 제 1프레임 삽입부(100)에 프레임(400)이 삽입될 경우 받는 중량을 제 2프레임 삽입부(200)에 분산 시키기 되며,
제 2프레임 삽입부(200) 외주 면에 호형의 힘살부(201)(202)가 형성되어 제 2프레임 삽입부(200)에 삽입된 프레임(500)의 중량과 앞서 서술한 제 1프레임 삽입부(100)의 프레임 중량을 함께 가하게 되어도 프레임이 지표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부(103)에 구비된 사각통공(300)은 근각볼트(3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근각볼트(310)의 규격에 맞추어 사각형의 사각통공(300)으로 이루어져 있어 태풍이나 강풍에 프레임(400)(500)이 흔들릴 경우 사각형의 사각통공에 근각볼트의 사각형 돌출부가 접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 긴밀하게 고정이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 도 4; 도 3 은 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이다. 올바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400)의 지름에 맞게 제 2프레임 삽입부(2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이에 연결된 제 1프레임 삽입부(100)도 같이 들어올리게 됨에 따라 제 1프레임 삽입부(100)가 프레임(400) 지름에 맞게 된 후, 제 1 프레임(400)을 제 1프레임 삽입부(100)에 삽입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프레임(500)을 제 2프레임 삽입부(200)에 한 후 연결부에 형성된 사각통공(300)과 일 측 편에 형성된 사각통공(300-1)으로 근각볼트(310)와 너트(320)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된다.
제 1프레임 삽입부 100
절단부 101
돌출부 102
연결부 103
제 2프레임 삽입부 200
힘살부 201, 202
사각통공 300, 301, 300-1.
근각볼트 310
너트 320
제 1프레임 400
제 2프레임 500

Claims (1)

  1. 절 첩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절단부(101)가 호형으로 구비된 제 1프레임 삽입부(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부(103)가 구성되며,
    상기한 연결부(103) 내측에 장 방향의 돌출부(102)가 제 2프레임 삽입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한 돌출부(102)는 사각통공(300)을 구비하고, 통공(300) 하부로 반원형의 제 2프레임 삽입부(200) 형성되고,
    제 2프레임 삽입부(200) 외주 면에 호형의 힘살부(201)(202)가 좌 우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한 힘살부(201)(202) 하부에 사각통공(301)이 형성 되며,
    상기한 각각의 사각통공(300)(301)에 근각볼트(310)와 너트(320)를 이용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KR2020120011858U 2012-12-14 2012-12-14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KR200468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58U KR200468157Y1 (ko) 2012-12-14 2012-12-14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58U KR200468157Y1 (ko) 2012-12-14 2012-12-14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57Y1 true KR200468157Y1 (ko) 2013-07-26

Family

ID=5139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858U KR200468157Y1 (ko) 2012-12-14 2012-12-14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47U (ko) * 2016-09-28 2018-04-05 강성원 농작물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14A (ko) * 2001-03-23 2002-10-04 박환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구
KR200383272Y1 (ko) * 2005-02-21 2005-05-03 윤의한 이중골조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의 체결장치
KR100727593B1 (ko) 2006-09-27 2007-06-14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20080026742A (ko) * 2006-09-21 2008-03-26 박광수 비닐하우스용 골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14A (ko) * 2001-03-23 2002-10-04 박환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구
KR200383272Y1 (ko) * 2005-02-21 2005-05-03 윤의한 이중골조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의 체결장치
KR20080026742A (ko) * 2006-09-21 2008-03-26 박광수 비닐하우스용 골조
KR100727593B1 (ko) 2006-09-27 2007-06-14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47U (ko) * 2016-09-28 2018-04-05 강성원 농작물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77434A (en) Synthetic handrail system
KR100697841B1 (ko)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하우스용 골조
KR200468157Y1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연결구
CN203399584U (zh) 植物授粉隔离网罩
KR10089800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CN107476643A (zh) 快速安装钢木救援帐篷
US20030079428A1 (en) Structural building system
CN203828342U (zh) 一种办公桌
CN203716820U (zh) 一种可扩展平移门
CN201835593U (zh) 一种立体篱笆
CN203103816U (zh) 箱式变电站易拆装箱体
CN201771909U (zh) 跳床框管的连接结构
CN208329166U (zh) 一种快速装配式原竹接头
KR101030702B1 (ko) 천막의 고정구조
CN210224790U (zh) 一种电网建设用公路跨越撑架
CN209723302U (zh) 一种装配式预制柱墙强化节点构造
CN206971472U (zh) 冷弯薄壁型钢钢板剪力墙
CN201810028U (zh) 一种帐篷架
KR101604821B1 (ko) 골조용 형강
CN206163830U (zh) 连接器卡接结构
CN205423434U (zh) 两节杆连接结构
KR200322534Y1 (ko) 가두리 양식장용 연결파이프 고정구조
CN220706173U (zh) 一种连接组件及床架
CN208480371U (zh) 一种方便安装的金属框架蔬菜大棚
CN203684792U (zh) 一种帐篷管件连接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