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73Y1 - bubb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ubb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73Y1
KR200467973Y1 KR2020110006673U KR20110006673U KR200467973Y1 KR 200467973 Y1 KR200467973 Y1 KR 200467973Y1 KR 2020110006673 U KR2020110006673 U KR 2020110006673U KR 20110006673 U KR20110006673 U KR 20110006673U KR 200467973 Y1 KR200467973 Y1 KR 200467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ap
led chip
ligh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6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0736U (en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2020110006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73Y1/en
Publication of KR20130000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3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7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작동전원부(214)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작동스위치(218)가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전원부(214)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칩(L)과, 일단에는 비눗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공(273,283,293)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상기 엘이디칩(L)과 마주보도록 고정되어 상기 엘이디칩(L)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관통공(273,283,293) 주변으로 전달하는 작동몸체(250)를 포함하는 본체어셈블리(200)와, 내부에 상기 비누액을 보관하고 상기 작동몸체(25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분사되는 비눗방울에 엘이디칩(L)의 빛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되므로 단순한 비눗방울 생성에 더하여 심미감을 더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214 therein and a housing 210 having an operation switch 218 on one sid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0. LED chip (L) for irradiating light by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214, and through-holes (273, 283, 293) for generating soap bubbles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t one side of the housing (210) The body assembly 200 is fixed to face the LED chip (L) and includes a working body 250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L) around the through holes (273, 283, 293), and the in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100 for storing the soap solution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210 in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body 250 is inse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of the LED chips (L) can be irradiated with light of various colors by spraying bubbles, the aesthetics can be added to simple soap bubbles, which can cause user's interest.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비눗방울 발생장치{bubbling apparatus} Soap bubble generator

본 고안은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LED조명을 이용하여 심미감을 더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that adds aesthetic sense by using LED lighting in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일반적으로 아이들의 놀이기구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눗방울 발생장치는, 그 대부분이 비누액이 담기는 통체와, 이 통체에 담긴 비누액을 찍어내 묻은 용액을 입으로 불어 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생구로 구성된다The soap bubble generator,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children's play equipment, is composed of a cylinder in which most of the soap liquid is contained,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droplets by blowing a solution of the soap liquid contained in the cylinder into the mouth. do

그리고, 비눗방울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통채의 비누액에 상기 발생구를 담그면 발생구의 요철부에 의하여 비누액이 발생구의 전면에 막을 형성하면서 묻어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공기가 막을 가압하게 되면 막에서 비눗방울이 발생토록 되는 것이다.And, in order to generate soap bubbles, when the immersion hole is immersed in the soap liquid of the whole body, the soap liquid is buried by forming the membra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enerating hole by the uneven portion of the generating hole, and when the air pressurizes the membrane in that state, the soap bubbles are released from the membrane. It will happen.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는 통체와 발생구가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이를 보관 및 관리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However,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ide that is difficult to store and manage because the cylinder and the generating port is separated.

또한, 종래에는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의하여 단순히 비눗방울이 발생될 뿐 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이를 사용하는 아이들이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soap bubbles are simply generated by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re is no other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hildren who use them easily lose interes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비눗방울을 발생시키는 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자동으로 비눗방울을 발생시킬 뿐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oap bubbles using a motor or the like has been proposed, but this also automatically generates soap bubbles and does not perform other functions.

그리고, 종래에는 비눗방울에 다른 기능, 예를 들어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는 방식도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비눗방울을 형성하기 위한 링형상 주변을 둘러 다수개의 광원(LED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부품수 및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실질적으로 비누액이 묻혀져 비눗방울이 형성되는 링형상 주변에 광원이 설치되므로 방수문제 등에 의해 광원을 비롯한 전자부품에 손상이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 method of irradiating light using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 light source, has been disclosed. However, in this cas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LEDs) are installed around the ring shape to form the bubbles. Since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must be increased, and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around the ring shape in which soap bubbles are substantially buried with soapy liquid, damage to electronic parts including light sources is prevented due to waterproof problems. There was also a growing problem.

(특허문헌 1) KR10-2005-0101279 A
(Patent Document 1) KR10-2005-0101279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수의 엘이디칩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발생장치 주변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small number of LED chips to irradiate light around the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storage of the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비눗방울의 발생량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soap bubbl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작동전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전원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칩과, 일단에는 비눗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엘이디칩과 마주보도록 고정되어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관통공 주변으로 전달하는 작동몸체를 포함하는 본체어셈블리와, 내부에 상기 비누액을 보관하고 상기 작동몸체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having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and an operating switch on one sid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selectively power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LED chip for irradiating light and receiving light, and a through hole for generating soap bubbles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face the LED chip at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is around the through hole. Body assembly including an operating body to be delivered to, and the case is stored in the soap solution therein and the case is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housing in the operating body is inserted.

상기 작동몸체는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일측에 걸어지고 상기 엘이디칩과 마주보는 걸림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비눗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oper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one end of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facing the LED chip,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ring portion in which a through hole for generating bubbles is formed.

상기 베이스부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두 가닥의 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포스트는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면서 이를 상기 링부 주변으로 전달한다. The base portion includes two stranded post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posts being emitt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and transferring them around the ring portion.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과 상기 링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엘이디칩의 빛이 강조된다. At least one light em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so that light of the LED chip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portion is emphasized.

상기 두 포스트는 상기 링부를 향한 일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발광홈은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The two posts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oward one end toward the ring por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걸림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링부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하는 일단을 향해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는 레그부가 구비된다.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djacent to th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eg portion which protru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protrudes toward one e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상기 레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을 둘러 90˚간격으로 총 4개가 구비된다. A total of four leg parts are provided at 90 ° intervals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상기 링부는 서로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개가 상기 작동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부의 가장자리에는 요철부가 구비된다. A plurality of ring parts having different sizes from each other are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body, and an uneven part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ring part.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작동몸체의 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실링을 위한 파킹부가 구비된다. A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and the working body and a parking part for sealing are provided in the housing.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switch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고안에서는 분사되는 비눗방울에 엘이디칩의 빛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되므로 단순한 비눗방울 생성에 비하여 심미감을 더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design, since the light of the LED chips can be irradiated with light of various colors, the aesthetics can be added to simple bubbles, thereby inducing a user's interest.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비눗방울 형성을 위한 링부의 주변을 둘러 다수개의 엘이디칩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에 하나의 엘이디칩이 구비되고 엘이디칩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본체어셈블리의 포스트를 따라 링부 주변에 전달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부품과 비용으로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D chips are not provided around the ring part for forming bubbles, and one LED chip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chip is provided around the ring part along the post of the main assembly. Since it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luminous effect with relatively few parts and cost, and there is an economic effect.

또한, 본 고안에서는 광원인 엘이디칩이 비눗방울 형성을 위한 링부 주변이 아니라 이로부터 이격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엘이디칩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포스트에 의해 링부 주변에 전달되므로, 비누액의 누수에 의해 엘이디칩을 비롯한 전자부품이 손상될 염려가 줄어들어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chip as a light sourc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ring portion for forming bubbles,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chip is transmitted around the ring portion by a post, thus preventing leakage of soap liquid. This reduces the risk of damage to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LED chips,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ubble generator.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비누액이 담긴 케이스와 본체어셈블리가 결합되면 본체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자연스럽게 뚜껑 역할을 하여 케이스의 비누액 누설을 막게 되므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이동/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e containing the soap liquid and the main body assembly are combined,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assembly naturally serves as a li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soap liquid in the case,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 storage of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본체어셈블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링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비교적 좁은 폭의 본체어셈블리에서 충분히 많은 양의 비눗방울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assemb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soap bubbles in a relatively narrow main assemb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iniaturize the soap generating apparatus. It also work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어셈블리의 상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어셈블리의 하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어셈블리의 제어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엘이디칩으로부터 빛이 조사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pper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body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oap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는 크게 본체어셈블리(200)와 케이스(1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비누액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S)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본체어셈블리(200)의 작동몸체(250)가 함께 수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oap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main assembly 200 and the case 100. Referring to the case 100 first, the case 100 has a storage space (S) that can contain a soap solution therein, the body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storage space (S) The working body 250 of) may be housed together.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본체어셈블리(2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S)이 차폐되어 비누액의 누설이 방지된다. 즉, 작동몸체(250)가 수납공간(S)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어셈블리(20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후술할 하우징(210)이 상기 수납공간(S)의 입구부를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The case 100 is coupled to the main assembly 200 so that the storage space S is shielded to prevent leakage of the soap solution. That is, the housing 210 to be described later shields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S in a process in which the working body 250 is coupled to the main assembly 2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S.

상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투광성이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에서 비누액이 남은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납된 본체어셈블리(200)의 작동몸체(250)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심미감과 호기심을 유발시키기 위함이다. The case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preferably made to be light-transmissive. This is to induce aesthetics and curiosity by visually confirming the operation body 250 of the main assembly 200 stored therein from the outside while allowing the outside to recognize the degree of soap liquid remaining from the outside.

상기 케이스(100)의 수납공간(S) 입구 가장자리에는 나사산(110)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하우징(210)의 나사산(212)과 나사체결을 위한 것이다. A thread 110 is formed at an edge of the storage space S of the case 100, which is for screwing into the thread 212 of the housing 21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체어셈블리(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본체어셈블리(200)는 도 1에서 보듯이, 하우징(210)와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작동몸체(2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그 내부에 엘이디칩(L)을 비롯한 작동전원부(214)가 실장되고, 내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2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11')가 그 외면에 구비된다. Next, the main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The main assembly 200 includes a housing 210 and an operation body 250 coupled to the housing 210 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210 has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214 including an LED chip L therein, and a switch unit 211 ′ for operating the operating switch 218 installed therein is provided at an outer surface thereof.

이때, 상기 스위치부(211')는 하우징(2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210)을 손잡이와 같이 사용하게 되므로, 하우징(210)을 잡는 과정에서 스위치부(211')를 자연스럽게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is case, the switch unit 211 ′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210. Since the user uses the housing 210 as a handle, the switch unit 211 ′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holding the housing 210. 211 ') to be pressed naturally.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스커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에는 나사산(21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212)은 상기 케이스(100)의 나사산(110)에 대응되어 나사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케이스(100)와의 결합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뚜껑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내부로 요입된 형상이다. A skirt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210, and a screw thread 212 is form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The screw thread 212 is a screw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110 of the case 100. At this time, the skirt portion is to serve as a lid substantially in the coupling process with the case 100, it is concave inwardly.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실장부(219)가 구비된다. 상기 실장부(219)는 엘이디칩(L) 및 후술할 작동몸체(250)의 걸림부(259)가 걸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10)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210 is illustrated in FIG. 5. As shown in this, a mounting part 219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mounting part 219 includes a part on which the LED chip L and the locking part 259 of the operation body 250 to be described later are hooked, and protrudes into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210.

상기 실장부(219)에는 엘이디칩(L)이 설치된다. 상기 엘이디칩(L)은 상기 실장부(219)에 실장되고 작동전원부(214)에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게 된다. An LED chip (L)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unit 219. The LED chip L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19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214 by a wire W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irradiate light.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칩(L)은 작동몸체(250)의 걸림부(259) 저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조사된 빛은 걸림부(259)의 저면을 통해 작동몸체(250)에 전달된다. As shown, the LED chip (L) is installed to face the bottom of the engaging portion 259 of the operating body 250, the light irradiated to the operating body 250 through the bottom of the engaging portion 259 Delivered.

참고로, 상기 엘이디칩(L)은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엘이디칩(L)으로 가해지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는 3 COLOR 엘이디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되면서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R,G,B 세가지 색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깜박임을 반복하면서 상기 엘이디칩(L)이 발광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엘이디칩(L)은 한가지 색상(예를 들어, 흰색,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발광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일정시간을 두고 깜박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LED chip L may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More precisely, it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while varying in various colors using 3 COLOR LEDs, etc., which may emit various colors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LED chip (L). For example, the LED chip L emits light while repeating flicke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ree colors of R, G, and B. Of course, the LED chip L may emit light in one color (for example, white, red, blue, yellow, green, etc.), and in this case, may be configured to blink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작동전원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전원부(214)에는 스프링(215)이 설치되어 작동전원(건전지)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5에는 작동전원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An operating power source 214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and a spring 215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power source 214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battery). 5 shows the operating power is omitted.

상기 하우징(210)에는 체결공(2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213)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하우징(210) 사이를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A fastening hole 213 is formed in the housing 210. The fastening hole 213 is for fastening between the housings 210 having two bodies by fasteners such as bolts.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작동스위치(218)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스위치(218)는 눌러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전원부(214)의 전원을 상기 엘이디칩(L)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우징(210)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부(211')가 눌려지는 과정에서 함께 눌려지게 된다. An operation switch 218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operation switch 218 transfers the power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214 to the LED chip L by an operation of being pressed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switch unit 211 ′ formed in the housing 210. Will be pressed together.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218)가 눌려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동스위치(218)가 눌려있는 동안에만 ON상태가 되어 엘이디칩(L)이 발광되거나, 또는 작동스위치(218)가 한번 눌리면 ON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눌리면 OFF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작동스위치(218)가 한번 눌리면 일정시간 동안 ON상태를 유지한 후에 OFF되도록 타이머기능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는 별도의 회로기판(미도시)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the operation switch 218 is presse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he LED chip L is turned on only when the operation switch 218 is pressed, or is turned on when the operation switch 218 is pressed once, and is turned off when the operation switch 218 is pressed once. It may be. In some cases, when the operation switch 218 is pressed once, the timer function may be inserted to turn off after maintaining the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Such control may be possible by a separate circuit board (not shown).

이어서 본체어셈블리(200)의 작동몸체(2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작동몸체(250)는 상기 하우징(210)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비눗방울 형성을 위한 링부(270,280,2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몸체(250)의 골격은 베이스부(251,253)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251,2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닥의 포스트(2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ext, the operation body 250 of the main body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The working body 250 has one end fixed to the housing 2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ring portions 270, 280, and 290 for forming bubbles. . Skeleton of the working body 250 is formed by the base portion 251, 253, the base portion (251, 253) is composed of two posts 251, as shown.

상기 포스트(251)는 상기 베이스부(251,253)의 일단으로부터 쌍을 이루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포스트(251)는 상기 베이스부(251,253)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259)와 연결되어 상기 엘이디칩(L)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걸림부(259)를 거쳐 전달받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하게 된다. The posts 251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n pairs from one end of the base parts 251 and 253 and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post 251 is connected to the catching portion 259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ortions 251 and 253 to recei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L through the catching portion 259, thereby emitting light. do.

이를 위해, 상기 포스트(251)를 포함하는 작동몸체(250)는 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몸체(25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엘이디칩(L)의 빛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working body 250 including the post 251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working body 250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ED chip (L).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포스트(251)의 사이에는 연결편(253)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편(253)은 상기 포스트(251)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얇은 막으로 베이스부(251,253)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3, a connecting piece 253 is provided between the posts 251, and the connecting piece 253 is a kind of thin film connecting the posts 251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parts 251 and 253. It plays a role.

상기 포스트(251)의 외면에는 발광홈(255)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홈(255)은 상기 포스트(251)의 외면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포스트(251)를 통해 이동되는 빛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발광홈(255)이 형성된 부분에서 엘이디칩(L)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발산하면서 강조되는 것이다(도 7참조).Light emitting grooves 25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51. The light emitting groove 255 is formed by rec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51 to emphasize the light moving through the post 251.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L is emphasized while being emitt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grooves 255 are formed (see FIG. 7).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포스트(251)의 일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210)을 향한 상기 포스트(251)의 일단에는 걸림부(259)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59)는 앞서 설명한 하우징(210)의 실장부(219)에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210)과 본체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5, one end of the post 251, more precisely, one end of the post 251 facing 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259. The locking portion 259 is a portion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19 of the housing 210 described above, and serves to couple the housing 210 and the main assembly 200.

이때, 상기 걸림부(259)의 저면은 상기 엘이디칩(L)과 마주보도록 설정되어, 상기 엘이디칩(L)의 빛을 상기 포스트(251)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59 is set to face the LED chip (L), and also serves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LED chip (L) to the post (251).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걸림부(259)와 상기 포스트(251)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레그부(258)가 구비된다. 상기 레그부(258)는 상기 하우징(210)의 스커트부 외면에 접하는 상기 포스트(251)의 말단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이스부(251,253)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링부(270,280,290)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접하는 일단을 향해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leg portion 258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259 and the post 251. The leg portion 25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stal outer surface of the post 251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of the housing 210, more precise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251, 253) It protrudes and is formed such that the degree of protruding is increased toward one e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housing 21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270, 280, 290).

상기 레그부(258)는 상기 하우징(210)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베이스부(251,253)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엘이디칩(L)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퍼지지 않고 상기 포스트(251)에 조금 더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부(258)는 상기 베이스부(251,253)의 외면을 둘러 90˚간격으로 총 4개가 구비된다. The leg part 258 is form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using 21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parts 251 and 253,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L does not spread, but is slightly further to the post 251. It helps to keep you focus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our leg parts 258 are provided at 90 ° intervals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base parts 251 and 253.

레그부(258) 유무에 따른 포스트(251)의 조도 변화를 실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이때, 상기 포스트(251)의 조도는 낮은 편으로, 측정을 위해 총 3개의 본체어셈블리(200)를 합친 상태로 측정하였다.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lluminance change of the post 251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g part 258 was as follows. At this time, the roughness of the post 251 was low, and the total body assembly 200 was measured for the measurement.

레그부(258)의 유무Leg part (258) presence or absence 포스트(251)의 조도측정1(lm)Roughness measurement of post 251 1 (lm) 포스트(251)의 조도측정2(lm)Roughness measurement of post 251 2 (lm) radish 4.14.1 3.93.9 U 5.25.2 4.54.5

이에 보듯이, 상기 레그부(258)가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포스트(251)의 조도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엘이디칩(L)의 빛이 상기 베이스부(251,253)와 하우징(210)이 접하는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을 상기 레그부(258)가 어느 정도 방지하기 때문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roughness of the post 251 is greater when the leg portion 258 is present. This is because the leg portion 258 prevents the light of the LED chip L from spreading radially at a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s 251 and 253 and the housing 2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251,253)에는 링부(270,280,290)가 구비된다. 상기 링부(270,280,290)는 실절적으로 비눗방울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중심에 관통공(273,283,29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273,283,293)에 비누액이 막상태로 맺혀진 상태에서 관통공(273,283,293)에 강한 바람이 전달되면 비누막은 비눗방울이 되는 것이다. Next, the base parts 251 and 253 are provided with ring parts 270, 280 and 290. The ring portions 270, 280, and 290 are parts that form soap bubbles, and through holes 273, 283, and 293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at is, when a strong wind is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s (273, 283, 293) in the state in which the soap liquid is formed in the membrane state in the through holes (273, 283, 293), the soap film becomes soap bubbles.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링부(270,280,290)는 제1링(270)과 제2링(280) 그리고 제3링(290)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상기 베이스부(251,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함께 비눗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270), 제2링(280) 및 제3링(290)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공(273,283,293) 가장자리를 둘러 요철부(275,285,295)가 구비된다. 상기 요철부(275,285,295)는 링부(270,280,290) 외면의 표면적을 넓혀 상기 비누액이 충분히 머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비누막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링(270), 제2링(280) 및 제3링(290)은 발생되는 비눗방울의 크기가 다양해 질 수 있도록 서로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ring portions 270, 280, and 290 are composed of a first ring 270, a second ring 280, and a third ring 290, which are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s 251, 253. It is provided to form a bubble together.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ing 270, the second ring 280, and the third ring 290 are provided with uneven parts 275, 285, and 295 surrounding edges of the through holes 273, 283, and 293. The uneven parts 275, 285, and 295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ring parts 270, 280, and 290 so that the soap liquid can sufficiently remain, thereby consequently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the soap film. For reference, the first ring 270, the second ring 280 and the third ring 290 is preferably formed by changing the size of each other so that the size of the bubbles generated.

이때, 상기 링부(270,280,290)는 가이드암(26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가이드암(260)은 상기 포스트(251)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링부(270,280,290)의 양측을 감싸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칩(L)으로부터 상기 포스트(251)에 전달된 빛을 다시 상기 링부(270,280,290)에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ring parts 270, 280, and 290 are surrounded by the guide arm 260. The guide arm 26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st 251, and serve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ring parts 270, 280, and 290,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ED chip L to the post 251 again. It also serves to deliver to the ring portion (270, 280, 290).

상기 가이드암(260)의 외면에도 발광홈(265)이 형성되는데, 상기 발광홈(265)은 상기 포스트(251)의 발광홈(255)과 마찬가지로 전달된 빛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The light emitting groove 26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arm 260, and the light emitting groove 265 is for emphasizing the transmitted light like the light emitting groove 255 of the post 251.

도 4의 미설명부호 P는 파킹부로 하우징(210)의 스커트부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의 방수를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210)과 작동몸체(250)의 사이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도 실링을 위한 파킹부가 구비된다.
Reference numeral P in FIG. 4 is a parking part for waterproofing between the skirt part of the housing 210 and the case 100. Although not shown for reference, a parking portion for sealing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working body 250 and inside the housing 210.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비눗방울 발생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사용자는 상기 본체어셈블리(200)가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한다. 즉, 상기 본체어셈블리(200)의 하우징(210)과 케이스(100)가 나사결합된 상태(도 2의 상태)를 이들을 상대회전시켜 해제하게 된다. First, the user releases the state in which the main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case 100.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housing 210 and the case 100 of the main assembly 200 are screwed together (the state of FIG. 2) is relatively rotated to release them.

이렇게 되면 상기 본체어셈블리(200)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본체어셈블리(200)의 작동몸체(250)에는 비누액이 묻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물론 이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납공간(S)에 비누액이 보관된 경우에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main assembly 2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100, and the working body 250 of the main assembly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soap liquid is applied. Of course, this is possible if the soap solu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 of the case 100.

비누액이 묻은 작동몸체(250)가 노출되면, 상기 작동몸체(250)의 링부(270,280,290)의 관통공(273,283,293)에도 비누막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관통공(273,283,293)을 향해 바람을 불거나 또는 본체어셈블리(200)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게 되면 관통공(273,283,293)에 맺힌 비누막이 비눗방울이 되어 날리게 된다. When the working body 250 is exposed to the soap solution, the soap film is also formed in the through-holes 273, 283, 293 of the ring portions 270, 280, 290 of the working body 250. In this state, when the user blows wind toward the through holes 273, 283, 293 or moves the main assembly 200 at a high speed, the soap film formed in the through holes 273, 283, 293 becomes bubbles and is blown.

이때, 사용자가 상기 본체어셈블리(200)의 하우징(210)에 구비된 스위치부(21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엘이디칩(L)에 전원이 공급되어 엘이디칩(L)으로부터 빛이 조사되고, 이 빛은 상기 작동몸체(250)의 걸림부(259) 및 포스트(251)를 거쳐 상기 링부(270,280,290)에 전달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기 포스트(251) 역시 발광하게 되고, 특히 포스트(251)에 형성된 발광홈(255)에서 이러한 빛은 더 강조될 수 있다(도 7참조).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unit 211 ′ provided in the housing 210 of the main assembly 200,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chip L to irradiate light from the LED chip L. Light is transmitted to the ring parts 270, 280, and 290 through the locking part 259 and the post 251 of the working body 250. Of course, the post 251 also emits light in this process, and the light may be further emphasized in the light emitting groove 255 formed in the post 251 (see FIG. 7).

그리고, 상기 링부(270,280,290) 가장자리에 전달된 빛은 비눗방울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비눗방울이 날리는 순간 특정한 색을 띄게 되므로, 심미감이 강조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엘이디칩(L)으로부터 빛이 포스트(251)를 통해 전달되어 링부(270,280,290) 가장자리까지 미치게 되고, 이는 포스트(251) 및 링부(270,280,290)의 발광을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므로, 심미감이 더욱 강조될 수 있고, 많은 수의 엘이디칩(L)이 필요치 않게 된다.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edges of the ring portions 270, 280, 290 affects the bubbles so that the bubbles appear in a specific color at the moment the bubbles are blown, thereby enhancing the aesthetics. In particular, light is transmitted from one LED chip L through the post 251 to reach the edges of the ring portions 270, 280, 290, which is visually confirmed by the user through light emission of the post 251 and the ring portions 270, 280, 290. Aesthetics can be further emphasized, and a large number of LED chips L are not required.

사용자는 비눗방울을 날린 후에 스위치부(211')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엘이디칩(L)으로부터 조사되던 빛이 중지된다.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that presses the switch unit 211 'after blowing the bubbl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L is stopp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부(270,280,290)가 3개로 구성되므로, 이들로부터 각각 비눗방울이 생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에서 많은 수의 비눗방울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ing portion 270, 280, 290 is composed of three in this embodiment, soap bubbles are generated from each of them can be generated a large number of bubbles in a relatively small siz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엘이디칩(L)은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되고, 그 빛은 포스트(251)를 통해 전달되므로, 링부(270,280,290)와 엘이디칩(L)의 거리는 매우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비누액 또는 비눗방울이 엘이디칩(L)에 닿아 엘이디칩(L)이 손상될 염려는 매우 줄어들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D chip L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210, and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st 251,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ng parts 270, 280, 290 and the LED chip L is very spaced apart. to be. Therefore, the soap solution or the soap bubbles come in contact with the LED chip (L) is very much less likely to damage the LED chip (L).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작동몸체(250)에 두 개의 포스트(251)가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포스트(251)가 생략되고 상기 작동몸체(250)가 직접 엘이디칩(L)의 빛을 전달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body 250 has two posts 251 provided as an example, but the post 251 is omitted and the operation body 250 can directly transmit the light of the LED chip (L). It may be.

또한, 상기 링부(270,280,290)의 개수 역시 반드시 3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한 개나 두 개 또는 4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ring portions 270, 280, 29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ree, but may be one, two, or four or more.

100: 케이스 200: 본체어셈블리
210: 하우징 250: 작동몸체
260: 가이드암 270,280,290: 링부
100: case 200: main assembly
210: housing 250: working body
260: guide arm 270, 280, 290: ring portion

Claims (10)

비누액으로부터 비눗방울을 발생시키는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작동전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전원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칩과,
일단에는 비눗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엘이디칩과 마주보도록 고정되어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관통공 주변으로 전달하는 투명재질의 작동몸체를 포함하는 본체어셈블리와,
내부에 상기 비누액을 보관하고 상기 작동몸체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In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oap bubbles from soap liqui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wer supply inside and an operation switch on one side;
An LED chip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to radiate light;
One e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generating soap bubbles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face the LED chip on one side of the housing including a transparent body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around the through hole Body assembly,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case for storing the soap solution therein and the case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main assembly as the operating body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몸체는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일측에 걸어지고 상기 엘이디칩과 마주보는 걸림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비눗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orking body is
A base part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A lock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part to be walked on one side of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facing the LED chip;
And a r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a r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generating soap bubb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두 가닥의 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포스트는 상기 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면서 이를 상기 링부 주변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portion comprises two post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the post is emitt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while generating a soap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round the ring por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과 상기 링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엘이디칩의 빛이 강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light em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uter ring portion of the r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of the LED chip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portion is emphasized. Bubble genera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포스트는 상기 링부를 향한 일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발광홈은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two posts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oward one end toward the ring,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링부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하는 일단을 향해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는 레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djacent to the engaging portion protrudes toward one end of th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Bubble gene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g portion is increa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을 둘러 90˚간격으로 총 4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7.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total of four leg parts are provided at 90 ° intervals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서로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개가 상기 작동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부의 가장자리에는 요철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8.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ring parts having different sizes are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body, and an uneven part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ring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작동몸체의 사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실링을 위한 파킹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9.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arking part for sealing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orking body and inside the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작동스위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

10. The soap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switch part for operating the operating swit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KR2020110006673U 2011-07-22 2011-07-22 bubbling apparatus KR2004679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73U KR200467973Y1 (en) 2011-07-22 2011-07-22 bubb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73U KR200467973Y1 (en) 2011-07-22 2011-07-22 bubb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36U KR20130000736U (en) 2013-01-30
KR200467973Y1 true KR200467973Y1 (en) 2013-07-15

Family

ID=5139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673U KR200467973Y1 (en) 2011-07-22 2011-07-22 bubb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73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918B1 (en) * 2002-06-13 2003-10-21 Mark Chernick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pporting and illuminating bub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918B1 (en) * 2002-06-13 2003-10-21 Mark Chernick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pporting and illuminating bub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36U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090B2 (en) LED night light with interchangeable display unit
CA2442861C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
EP1630474A3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unit
DE60117006D1 (en) DEVICE FOR LIGHT THERAPY
JP3168866U (en) Lighting lamp
KR200422340Y1 (en) light-emitting diode lamp for decoration
KR200467973Y1 (en) bubbling apparatus
KR200433632Y1 (en) A fountain illuminator
KR200477712Y1 (en) A slide having lighting
KR101196833B1 (en) Led lighting apparatus
KR101346590B1 (en) A LED Lamp Connecting Structrur
KR20160003134U (en) Led lamp
CN211017115U (en) Side-inclined upward-scattering light-emitting RGB multifunctional L ED device
KR100771671B1 (en) A lamp device for illumination structure
JP2009289650A (en) Light-emitting diode lamp
EP1440649A3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060096406A1 (en) Gear lever having a light emitting effect
KR101801180B1 (en) A electrical float for fishing
JP2018185910A (en) Lighting device
CN206682721U (en) Water proof type lamp socket and plant growth lamp
KR101260572B1 (en) Lighting connection device
KR200407388Y1 (en) Lighting device using LED bulb
KR200454562Y1 (en) Fountain lighting
TWM559594U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buoy having the same
JP4311283B2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