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763Y1 - A wicker tray - Google Patents

A wicker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763Y1
KR200467763Y1 KR2020110002558U KR20110002558U KR200467763Y1 KR 200467763 Y1 KR200467763 Y1 KR 200467763Y1 KR 2020110002558 U KR2020110002558 U KR 2020110002558U KR 20110002558 U KR20110002558 U KR 20110002558U KR 200467763 Y1 KR200467763 Y1 KR 200467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tal
reinforcing piece
reinforcement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5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6876U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2020110002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63Y1/en
Publication of KR20120006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7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은, 환형의 바디와, 환형의 바디 바닥에 시밍(seaming)을 통해 견고히 결속되는 망과, 바디 외면 측에 고정단을 형성한 손잡이 및, 바디 외면으로 손잡이를 결속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형의 바디 개구 측 선단을 따라서는 둥근 성형단면을 갖는 커링부가 형성되고, 보강편은 바디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상호 겹쳐져서 드러난 접착선 부분의 바디 외면에 용접을 부착 고정되되, 이 보강편의 상단부가 커링부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지점을 형성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Disclosed is a metal tray with reinforced rigidity of a handle attachment portion. Metallic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ular body, the mesh is firmly bound by seaming on the bottom of the annular body, the handle formed with a fixed end on the outer surface side, and the handle to the body outer surface It comprises a reinforcing piece to be attached to bind, and a curing portion having a round molding section is formed along the end of the annular body opening side, the reinforcing piece is the body of the adhesive line portion exposed by the overlapping metal plate material constituting the body The welding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piece is located inside the curling portion to form a supporting point that can cope with external load.

Description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A wicker tray}Metal wicker with reinforced rigidity of handle attachment part {A wicker tray}

본 고안은 금속채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chan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al channel reinforced with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과일 또는 야채를 섭취하기에 앞서, 과일이나 야채에 묻은 이물질 및 재배 과정에서 살포된 잔여 농약을 깨끗이 씻어 내거나 깨끗이 씻은 과일 및 야채로부터 물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통상 망상의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진 채반을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채반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합성수지 소재의 플라스틱 채반이다. Prior to ingesting fruits or vegetables, usually used reticulated baskets for the purpose of rinsing away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ruits or vegetables and residual pesticides sprayed during the cultivation process or to remove water from the washed fruits and vegetables. . There are many kinds of such trays, and representative ones of them are plastic trays made of synthetic resin.

합성수지 채반은 저렴하면서도 제작이 쉬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가벼워서 사용 및 휴대, 보관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채반은, 오랜 시간 사용 시 변색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와 함께, 물때가 쉽게 끼는 것과 같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열에 노출될 경우 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소재 특성으로 인해 사용 환경에 제약이 있다.Synthetic resin tray is inexpensive and easy to manufacture, so it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It is light and easy to use, carry and store. However, such plastic trays have a problem in that discoloration easily occurs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they are not sanitary, such as when water is easily caught. In particula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use environment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that can easily deform when exposed to heat.

위와 같은 플라스틱 채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 금속을 소재로 한 금속채반이다. 이와 같은 금속채반은 일반적으로, 내부식성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소재로 된 얇은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속이빈 원통형으로 바디를 형성하고, 가느다란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형성된 채망을 소정의 시밍(seaming)작업으로 상기 바디의 바닥부에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제작되며, 바디 일측에는 사용편의를 위한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with plastic trays, the proposed metal trays are metal. Such metal strips generally roll a thin metal plate made of a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o form a hollow cylindrical body, and a predetermined seaming net formed by weaving a thin wi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is produced by fixing firmly to the bottom of the body by the work, one side of the body can be attached to the handle for ease of use.

금속채반을 제작함에 있어 이 금속채반의 뼈대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경우, 경량화를 통한 휴대성 확보 및 원가절감을 위해 되도록 얇은 두께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바디 두께가 얇으면, 용접을 통해 손잡이를 부착함에 있어 충분한 용접두께가 확보되지 않음으로 인해 고열로 바디에 구멍이 나는 것과 같은 제작상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metal tray, the body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etal tray is manufactured to be as thin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portability and reduce cost through light weight.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body is thin, a defect in manufacturing such as a hole in the body due to high heat may occur due to insufficient welding thickness in attaching the handle through welding.

또한, 바디에 손잡이를 부착하더라도 얇은 바디 두께로 인해 부착 후 해당 용접부위의 강성이 취약하며, 따라서 사용 시 내용물의 무게가 조금만 무거워도 손잡이가 바디로 쉽게 탈락하거나,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의 바디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바디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채반의 무게 증가로 휴대성 및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body, due to the thin body thickness, the rigidity of the corresponding welded part is weak after the attachment. 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contents is a little heavy, the handle is easily dropped into the body or the part connected to the handle without overcoming the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dy is easily deformed.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body may solve this problem.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ility and ease of use ar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tray.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채반을 구성하는 바디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채반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metal tray that can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tray,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overall product .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 얇은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양 끝단이 서로 겹쳐지게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환형의 바디; 가느다란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형성되며, 상기 환형의 바디 바닥에 시밍(seaming)을 통해 견고히 결속되는 망; 상기 바디 외면 측에 고정단을 형성한 손잡이; 및 바디 외면으로 상기 손잡이를 결속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의 바디 개구 측 선단을 따라서는 둥근 성형단면을 갖는 커링부가 형성되고, 보강편은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상호 겹쳐져서 드러난 접착선 부분의 바디 외면에 용접을 통해 부착 고정되되, 이 보강편의 상단부가 상기 커링부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지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annular body formed by welding the two end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round the thin metal plate formed of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 thin wire is formed by weaving the wi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net is firmly bound to the annular body by seaming; A handle having a fixed en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reinforcing piece attached to bind the hand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a curing portion having a round molding section is formed along the annular body opening side tip, and the reinforcing piece is a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body.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sh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adhesive wire portion exposed by overlapping each other,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is located inside the curling portion to support the external load Provide this reinforced metal tra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편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얇은 금속판재이며, 그 길이방향 양 측변에는, 이 보강편의 양 측변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를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커링가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iece is a thin metal plate materia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nd a pair of pai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urling the wings extending outwards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iece to have a round molding sectio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또한, 원 또는 다각 단면의 기다란 봉을 절곡시켜 형성한 손잡이의 고정단을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끼웠을 때, 고정단과 손잡이의 파지부를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절곡부 안쪽이 안정되게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편의 장착부 상측 개구단에는 요홈형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end of the handle formed by bending an elongated rod of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is fit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connecting the fixed end and the grip portion of the handle vertically may be stably spanned and fixed. Groove-shaped cutouts may be formed at the upper opening end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손잡이의 고정단을 장착 고정함에 있어서는, 보강편의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손잡이의 고정단을 끼운 상태에서 상호 접촉부위를 점용접(spot welding)시킴으로써 접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fixing and fixing the fixed end of the handle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bond and fix each other by spot welding the mutual contact portions with the fixed end of the handle fit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 보강편, 손잡이는 내부식성을 갖는 단일 소재 예컨대, 스테인리스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the reinforcing piece, the handle may be made of a single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for example, stainless stee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에 따르면,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에 따르면,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그 양 끝단을 서로 겹쳐지게 한 상태로 용접시킨 바디 외면의 접착선 부분에 손잡이 부착을 위한 보강편이 부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al channel reinforced with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olled the metal sheet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thereof overlap each other The reinforcing piece for attaching a handl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ine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elded body.

따라서 상기 접착선의 외부노출이 보강편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어 제품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두 개의 판재가 서로 겹쳐져 두께가 증대된 부분으로 보강편 용접을 행함에 따라, 바디 두께를 늘리지 않고도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adhesive wire can be covered by the reinforcing piec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while welding the reinforcing piece to the part where the two plates overlap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thickness, welding without increasing the body thickness. There is a structural advantage to ensure the thickness can be easily mad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은, 환형의 바디 개구 측 선단에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커링부 안쪽으로 보강편 상단부가 끼워져 구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중량의 내용물의 처리하더라도 손잡이 연결부위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전체적인 제품의 내구성 및 나아가서는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채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In addition,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in a shape that is constrained by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urling portion formed to have a round molding cross section at the end of the annular body opening side. Accordingly, even if the handle of the weight of the handle portion is not easily deformed or damaged, the effect can be realized to implement a metal tray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and further reliability of the overall produc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금속채반의 바디와 손잡이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의 주요부를 확대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 주요부의 결합단면을 보이기 위한 종(縱)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 주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stiffened reinforced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body and the handle of the metal plate shown in FIG.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nlarged main portion of the metal cha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coupling sec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metal m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tiffening metal stiffness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금속채반의 바디와 손잡이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stiffened of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and the handle of the metal cha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1)은, 환형의 바디(10)와, 환형의 바디(10) 바닥에 시밍(seaming)을 통해 견고히 결속되는 망(12)과, 바디(10) 외면 측에 고정단을 형성한 손잡이(14) 및, 바디(10) 외면으로 상기 손잡이(14)를 결속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보강편(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to 2, the metal tra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ular body 10, the net is firmly bound through seaming (seaming) to the bottom of the annular body (10) 12), a handle 14 having a fixed e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ody 10, and a reinforcing piece 16 attached to bind the handle 14 to the body 10 outer surface. The configuration of the metal channel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바디(10)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 얇은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그 양 끝단이 서로 겹쳐지게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환형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이때 바디(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로는, 금속채반(1)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그에 적합한 두께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열성, 내부식성 및 강성을 갖춘 소재 예컨대, 스테인리스일 수 있다.Body 10 may be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Specifically, it may be an annular structure that is formed by welding a thin metal plate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and length to be rounded and its ends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thickness and size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size of the metal tray 1, and may be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rigidity, for example, stainless steel. .

망(12)은 가느다란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망(12)은 상기 환형의 바디(10) 바닥에 시밍(seaming)을 바디(10)와 서로 겹쳐 말아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망(12)은 도시한 매쉬망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처리 대상물에 따른 용처에 따라 그 구멍의 크기 및 간격, 그리고 패턴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즉, 망(12)에 형성된 구멍은 특정한 크기, 간격, 패턴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net 12 may be formed by weaving thin wir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net 12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annular body 10 in a form in which seaming is overlapped with the body 10. The mesh 12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esh mesh shape, and the size, spacing, and pattern of the holes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treated. That is, the holes formed in the net 12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size, spacing, or pattern.

손잡이(14)는 상기 바디(10) 외면 측에 보강편(16)을 매개로 부착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4)는 원 또는 다각 단면을 가진 기다란 하나의 봉을 도면의 도시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수평상의 파지부(142)와, 이 파지부(142)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고정단(140)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The handle 14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ody 10 via the reinforcing piece 16. The handle 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onfiguration formed by bending one long rod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into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Specifically, the horizontal gripping portion 142 corresponding to a portion substantially held by the user and a pair of fixed ends 140 bent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gripping portion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have.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손잡이(14)는, 상기 바디(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와 마찬가지로, 내열성, 내부식성 및 적당한 강성을 갖춘 소재이면 그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재로서 손잡이(14)의 파지부(142) 표면이 피복 처리된다면, 금속채반(1)을 통해 처리되는 내용물이 고온인 경우 손잡이(14)를 통해 전도되는 고온의 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다. The handle 14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moderate rigidity, similar to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body 10. Preferably, if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42 of the handle 14 is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or rubber, the high temperature conducted through the handle 14 when the contents to be processed through the metal tray 1 are hot. The handle can be implemented to prevent burns due to heat.

보강편(16)은 바디(10) 외면으로 상기 손잡이(14)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재에 해당된다. 이 보강편(16)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얇은 금속판재 예컨대 스테인리스일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양 측변에는, 이 보강편(16)의 양 측변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를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커링(curling) 가공함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 장착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iece 16 corresponds to a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handle 14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reinforcement piece 16 may be a thin metal plat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nd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iece are cured so as to have a round molding cross section at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iece 16. It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 mounting portion 160 formed by processing (curling).

본 실시예에서 바디 외면에 보강편을 부착함에 있어 상기 보강편(16)은, 상기 바디(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상호 겹쳐져서 드러난 접착선(100) 부분의 바디(10) 외면으로 용접을 통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바디(10)에 보강편(16)이 부착되는 구조 및 보강편으로 손잡이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면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ttaching the reinforcing pie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reinforcing piece 16 is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of the portion of the adhesive line 100, which is exposed by overlapping the metal plates constituting the body 10 with each other. Can be fixed through attach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piece 16 is attached to the body 10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piece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의 주요부를 확대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 주요부의 결합단면을 보이기 위한 종(縱)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 주요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nlarged main portion of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pecies (보이) to show the coupling section of the main meta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It is a cross section. And Figure 5 show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강편(16)은 바디(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상호 겹쳐져서 드러난 접착선(100) 부분의 바디(10) 외면에 용접(전기저항 용접 또는 점용접)을 통해 부착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바디(10) 외면에 보강편(16)을 용접을 통해 부착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편(16)의 상단부가 바디(10)의 커링부(102)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지점(P)이 형성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o 5, the reinforcing piece 16 is welded (electric resistance welding or spot wel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of the portion of the adhesive wire 100, which is exposed by overlapping the metal sheets constituting the body 10. It can be attached and securely fixed. In attaching and fixing the reinforcing piece 1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by welding,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piece 16 is located inside the curling portion 102 of the body 10 to support an external load. It is preferable to attach so that (P) is formed.

즉, 환형의 바디(10) 개구 측 선단에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커링부(102) 안쪽으로 상기 보강편(16) 상단부가 구속될 수 있도록 용접을 수행하면, 도 6의 참고도의 도시와 같이,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손잡이(14)를 쥐고 금속채반(1)을 들었을 때, 내용물 무게로 바디(10)가 아래(화살표 방향)로 쳐지려고 하더라도, 보강편(16) 상단은 커링부(102)에 구속된 채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제한되므로, 손잡이 부착부분의 내구성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weld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16 is restrained into the curling portion 102 formed to have a round molding cross section at the opening side front end of the annular body 10, it is shown in the reference figure of FIG. Likewise, when holding the handle 14 and holding the metal channel 1 while the contents are contained,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16 is cured even if the body 10 is to be struck downward (arrow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contents. Since the devia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while restrained by 102 is restricted, the durabil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손잡이(14)는 상기 보강편(16)의 양 측변에 형성된 손잡이 장착부(160)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14) 선단에 절곡 형성된 고정단(140)을 상기 손잡이 장착부(16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140)과 손잡이 장착부(160)가 상호 접촉하는 부위를 점용접(spot welding, 도시 생략)을 통해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두 구성요소를 견고히 연결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14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16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iece (16).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end 140 bent at the tip of the handle 14 is inserted into the handle mounting unit 160, a spot welding spot is formed between the fixed end 140 and the handle mounting unit 160. The two components can be firmly connected by bonding together by welding (not shown).

이때 상기 보강편(16)의 손잡이 장착부(160) 상측 개구단에는 손잡이(14)를 구성하는 봉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과 깊이로 요홈형 절개부(1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잡이(14) 결합 시 고정단(140)과 파지부(142)를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절곡부(도면에서 'ㄱ' 자 형태로 꺽인 부분, 부호 생략) 안쪽이 상기 요홈형 절개부(162)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강편(16)에 대해 손잡이(14)가 좌, 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roove-shaped cutout 162 may be formed at a width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od constituting the handle 14 at the upper opening end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160 of the reinforcing piece 16. In this case, when the handle 14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vertical portion 'b' shaped in the figure, the reference numeral omitted) connecting the fixed end 140 and the grip portion 142 vertically inside the groove-shaped cutout ( Since it is located at 16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le 14 from swinging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piece 16.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에 따르면,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그 양 끝단을 서로 겹쳐지게 한 상태로 용접시킨 바디 외면의 접착선 부분에 손잡이 부착을 위한 보강편이 부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metal reinforcement of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in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welded in a state in which the metal plate is rolled round and its ends overlap each other. It ha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reinforcing piece is attached.

따라서 상기 접착선의 외부노출이 보강편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어 제품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두 개의 판재가 서로 겹쳐져 두께가 증대된 부분으로 보강편 용접을 행함에 따라, 바디 두께를 늘리지 않고도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adhesive wire can be covered by the reinforcing piec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while welding the reinforcing piece to the part where the two plates overlap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thickness, welding without increasing the body thickness. There is a structural advantage to ensure the thickness can be easily mad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채반은, 환형의 바디 개구 측 선단에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커링부 안쪽으로 보강편 상단부가 끼워져 구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중량의 내용물의 처리하더라도 손잡이 연결부위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전체적인 제품의 내구성 및 나아가서는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채반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in a shape that is constrained by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urling portion formed to have a round molding cross section at the end of the annular body opening side. Accordingly, even if the handle of the weight of the handle portion is not easily deformed or damaged can implement a metal channel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and further reliability of the overall product.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describe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et fort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are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금속채반 10 : 바디
12 : 망 14 : 손잡이
16 : 보강편 100 : 접착선편
102 : 커링부 140 : 고정단
142 : 파지부 160 : 손잡이 장착부
162 : 요홈형 절개부
1: metal tray 10: body
12: net 14: handle
16: reinforcing piece 100: adhesive wire piece
102: curling portion 140: fixed end
142: grip portion 160: handle mounting portion
162: grooved incision

Claims (5)

일정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 얇은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양 끝단이 서로 겹쳐지게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환형의 바디;
가느다란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형성되며, 상기 환형의 바디 바닥에 시밍(seaming)을 통해 견고히 결속되는 망;
상기 바디 외면 측에 고정단을 형성한 손잡이; 및
바디 외면으로 상기 손잡이를 결속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의 바디 개구 측 선단을 따라서는 둥근 성형단면을 갖는 커링부가 형성되고, 보강편은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상호 겹쳐져서 드러난 접착선 부분의 바디 외면에 용접을 통해 부착 고정되되, 이 보강편의 상단부가 상기 커링부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지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
An annular body formed by roundly rolling a thin metal plate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and length so that both ends thereof overlap each other;
A thin wire is formed by weaving the wi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net is firmly bound to the annular body by seaming;
A handle having a fixed en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nd a reinforcing piece attached to bind the hand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 curing portion having a round molded section is formed along the annular body opening side tip, and the reinforcing piece is attached and fixed by wel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adhesive line portion exposed by the overlapping metal plates forming the body. Stiffness reinforced metal handle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bias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curling portion to form a support point that can respond to the external lo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얇은 금속판재이며, 그 길이방향 양 측변에는, 이 보강편의 양 측변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를 둥근 성형단면을 갖도록 커링 가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piece is a thin metal plate materia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nd a pair of handle mount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urling the wings extending outward on both side sides of the reinforcement piece to have a round molding section. Stiffness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chae reinforc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의 장착부 상측 개구단에는, 원 또는 다각 단면의 기다란 봉을 절곡시켜 형성한 손잡이의 고정단을 손잡이 장착부에 끼웠을 때, 상기 고정단과 손잡이의 파지부를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절곡부 안쪽이 안정되게 걸쳐져 위치할 수 있는 요홈형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xing end of the handle formed by bending an elongated rod of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which vertically connects the holding end of the handle and the grip portion vertically is stable at the upper opening end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Stiffness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of the meta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haped incision is formed that can be located so as to be 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고정단은 보강편의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끼워진 상태로 점용접(spot welding)을 통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end of the handle is a metal reinforcement of the rigidity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is fixed by spot welding in the state fit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보강편, 손잡이는 내부식성 단일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부분의 강성이 보강된 금속채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reinforcement piece, the handle is reinforced with metal stiffness of the handle attach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ingle corrosion-resistant material.
KR2020110002558U 2011-03-28 2011-03-28 A wicker tray KR2004677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558U KR200467763Y1 (en) 2011-03-28 2011-03-28 A wicker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558U KR200467763Y1 (en) 2011-03-28 2011-03-28 A wicker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76U KR20120006876U (en) 2012-10-08
KR200467763Y1 true KR200467763Y1 (en) 2013-07-03

Family

ID=4750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558U KR200467763Y1 (en) 2011-03-28 2011-03-28 A wicker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6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80B1 (en) * 2014-01-27 2015-02-27 이재성 A wicker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491A (en) * 2006-08-23 2006-09-19 이재권 A masks and sticking function the havea wicker tr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491A (en) * 2006-08-23 2006-09-19 이재권 A masks and sticking function the havea wicker t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80B1 (en) * 2014-01-27 2015-02-27 이재성 A wicker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76U (en)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36366S1 (en) HVAC device
US11142367B2 (en) Basket structure
US20140159327A1 (en) Shopping Cart
US20140263344A1 (en) In-Frame Wire Fry Basket With Shortened, Corner-Protecting Wires
CZ2010697A3 (en) Reinforced structural part
KR200467763Y1 (en) A wicker tray
CN20759064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bowl basket
US8047463B2 (en) Wire winding spool
JP2012162911A5 (en)
US3109647A (en) Basketball net
KR101361000B1 (en) Zinc steel plate use greenhouse car pedestal
KR102291967B1 (en) Zig for hot dip galvanzing
CN106457601A (en) Chopping aid
KR20120003176U (en) Lower arm for vehicle
JP6697464B2 (en) Foo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ocks etc.
JP2012509185A5 (en)
US20120006769A1 (en) Crockery basket and crockery basket system
CN209154607U (en) A kind of bowl of basket
JP2019058622A (en) Shelf body for racks
JP5388047B2 (en) Furniture and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US475973A (en) Marginal binding or rim
US1100851A (en) Basket-support.
CN209404008U (en) A kind of netted rack that installation is firm
KR101278616B1 (en) Connector and assemb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96918B1 (en) Clip for holding mesh and chair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