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40Y1 -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 Google Patents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40Y1
KR200467540Y1 KR2020120001191U KR20120001191U KR200467540Y1 KR 200467540 Y1 KR200467540 Y1 KR 200467540Y1 KR 2020120001191 U KR2020120001191 U KR 2020120001191U KR 20120001191 U KR20120001191 U KR 20120001191U KR 200467540 Y1 KR200467540 Y1 KR 200467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coupler
fixing
fixing plate
screw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1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재호
문형욱
임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2020120001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4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3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at least one of the guides being a coaxial line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장착용 하우징의 홀에 장착되는 기둥 형태의 방향성 커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 홀이 형성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를 가져서, 볼록한 부분이 눌려져서 펴질 경우에 그 펴지는 측면으로 방향성 커플러의 측면을 밀어서 고정하게 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나사 홀을 관통하여 장착용 하우징에 고정되게 체결되며, 체결시 나사 헤드에 의해 고정판의 볼록한 부분을 누르게 되는 가압 나사를 포함한다.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directional coupler in the form of a column to be mounted in a hole of a mounting housing, wherein a screw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has a convexly curved upper or lower side, so that when the convex part is pressed and extended, A fixing plate fixed to push the side of the directional coupler to the open side; It is fixed to the mounting housing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xing plate, it is fixed to include a pressing screw which is presse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y the screw head.

Description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Directional Coupler Fixtur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본 고안은 무선 통신 장비에 사용되는 방향성 커플러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방향성 커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coupler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ixing a directional coupler.

무선 통신 장비에 사용되는 방향성 커플러는 해당 무선 통신 장비가 처리하는 고주파 신호에서 진단 및 제어를 위해 필요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주 선로(main line)에 근접하는 커플링 선로(coupling line)를 구비하고 커플링 선로에 유기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The directional coupler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used to detect a signal necessary for diagnosis and control in the high frequency signal proces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s a coupling close to the main line through which the high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line and has a structure for detecting a signal induced in the coupling line.

도 1은 종래의 방향성 커플러의 일 예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 중 A-A' 부분 및 B-B' 부분 절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기둥 형태의 방향성 커플러(110)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상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장착 홀(12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방향성 커플러(110)의 하부에는 커플링 선로(111)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주 선로(121)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 선로(121)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유기되는 신호가 커플링 선로(111)에서 발생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rectional coupler, and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B', respectively. 1 to 3, the cylindrical directional coupler 110 ha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and mounted in a circular mounting hole 12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120. A coupling line 111 is installed below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nd a main line 121 is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housing 12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line 111. Accordingly, a signal induced by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line 121 is generated in the coupling line 111.

방향성 커플러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실질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신호 전달용 주 선로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커플링 선로만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The directional coupler may have various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3, but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3 is a couple located substantially close to a main line for signal transmission of a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providing only the ring line, it has a simple and easy installation structure.

즉, 상기 장착용 하우징(120)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주 선로(121)도 별도로 설치되는 아니라, 해당 무선 통신 장비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신호 전달용 선로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장착용 하우징(120) 및 주 선로(121)가 해당 무선 통신 장비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방향성 커플러를 해당 무선 통신 장비와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That is, the mounting housing 120 may not be provided separately, but may be part of a housing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main line 121 may not be separately installed, but the signal transmission basically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ragon tracks are available. Of cours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mounting housing 120 and the main line 12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so that the directional couple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이와 같은 구조의 방향성 커플러에 관한 기술은 텔콘(주)사에서 선출원한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10-2010-73568호(명칭: 무선 통신장비용 커플러, 고안자: 안경준, 박선웅, 강민구, 출원일: 2010년 7월 29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73568 (name: coupl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designer: Ahn, Jun-jun, Park Sun-woong, Kang Min-gu, filing date: 2010) For example, on July 29).

한편, 상기한 구조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110)를 장착용 하우징(120)의 장착 홀(122)에 삽입한 후,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측면에서 상기 장착 홀(122)로 관통되도록 예를 들어, 2개의 나사 홀(124)을 마련하고, 해당 나사 홀(124)에 각각 고정용 나사(130)를 체결하고, 고정용 나사(130)를 조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On the other hand, after insert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the mounting hole 122 of the mounting housing 120, in order to fix the directional coupler 110, the mounting on the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20 For example, two screw holes 124 are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les 122, fastening the fixing screws 130 to the corresponding screw holes 124, and tightening the fixing screws 130. Used.

이러한 고정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방향성 커플러(110)의 고정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방향성 커플러(110)의 커플링 선로(111)와 주 선로(121)간의 거리 및 서로간의 정렬 상태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방향성 커플러(110)의 성능에 상당한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장착용 하우징(120)의 장착 홀(122)에 삽입한 후,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기 전에, 방향성 커플러(110)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면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켜 최적의 특성을 나타내는 위치를 찾게 된다. 이후 방향성 커플러(110)가 최적의 위치를 가질 때, 장착용 하우징(120)의 나사 홀(124)에 체결된 고정용 나사(130)를 조여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게 된다. Applying this fixing method is necessary to precisely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That 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ccording to the slight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line 111 and the main line 121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nd the alignment state between each other. Therefore, after insert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nto the mounting hole 122 of the mounting housing 120, before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while check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the directional coupler 110 Rotate and move up and down to find the position that shows the best characteristics. Then, when the directional coupler 110 has an optimal position,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fixed by tightening the fixing screw 130 fastened to the screw hole 124 of the mounting housing 120.

그런데, 이와 같은 방향성 커플러(110) 고정 방식은 장착용 하우징(120)의 측면에서 나사 홀(124)을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번거로운 가공 공정을 수행하여 하며, 고정 작업시에도 방향성 커플러(110)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상부 면 상에서 움직이면서 고정용 나사(130)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측면에서 조이는 작업을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By the way, such a directional coupler 110 is fixed to perform a relatively cumbersome machining process to form a screw hole 124 on the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20,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mounted even during the fixing operation Moving scre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the fixing screw 130 is inconvenient because the work to tighten the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20.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의 방향성 커플러가 무선 통신 장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에서는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하우징(10)에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가 구비되는 상태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의 장착용 하우징(100)은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10)의 일부에 해당하게 되며,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용 나사(130)는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나사 홀(124)에 체결된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 i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 FIG. 4, a state in which two directional couplers 11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have. At this time, the mounting housing 100 of the two directional coupler 110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entire housing 10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 plurality of fixing for fixing the two directional coupler 110 The screw 130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screw holes 124 formed on the side of the entire housing 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10)의 상면에 방향성 커플러(110)를 비롯한 여타의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가공 공정을 수행한 다음, 측면에서 다수의 나사 홀(124)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을 하기 위해 (가공 머신에 대응되도록) 전체 하우징(10)을 측면이 상측으로 가도록 자세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작업상 매우 번거로우며, 이에 따른 작업 공정 시간 및 전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방향성 커플러(110)의 고정 작업시에도, 방향성 커플러(110)를 전체 하우징(10)의 상부 면 상에서 움직이면서 고정용 나사(130)는 전체 하우징(10)의 측면에서 조이는 작업을 하므로 불편함이 있게 된다. Accordingly, a machining process for mount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nd other compone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housing 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n to form a plurality of screw holes 124 on the sid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entire housing 10 to the upper side (to correspond to the machining machine), it is very cumbersome in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work process time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even when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fixed, the fixing screw 130 is tightened on the side of the entire housing 10 while mov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housing 10. Will be.

또한,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10)은 통상 일면 예를 들어, 상부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방향성 커플러(110)를 포함한 각종 부품을 설치한 다음에 커버(미도시)를 통해 개방된 상부면을 밀폐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에서는 전체 하우징(10)에 커버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홀(12)이 형성됨이 도시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entire housing 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usually opened through a cover (not shown) after installing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therein on one surface, for example, with the upper surface open. It has a structure to seal the upper surface. In FIG. 4, a screw hole 12 for screwing the cover to the entire housing 10 is formed.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이, 방향성 커플러(110)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나사(130)가 전체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홀(124)에 체결되는 구조에서는, 방수 등을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고정용 나사(130) 및/또는 나사 홀(124)에 부착하거나,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추가적으로 몰딩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screw 130 for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124 formed on the side of the entire housing 10, a separate structure for waterproofing, etc. Is attached to the fixing screw 130 and / or the screw hole 124, or,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molding to be performed with silicon or the like.

또한, 이러한 방향성 커플러 고정 구조에 따르면, 해당 방향성 커플러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의 측면과 맞닿는 외곽부에 형성하여야 함이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설계시에 제약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such a directional coupler fixing structure, since the directional coupler is almost required to be formed in the out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entire hous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overall desig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 공정이 간단 및 용이하고, 밀폐 구조를 구현하기에 용이하며, 해당 방향성 커플러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비의 설계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for simple and easy working process, easy to implement a sealed structure, and to increase the design freedom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directional coupler.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착용 하우징의 홀에 장착되는 기둥 형태의 방향성 커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 홀이 형성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를 가져서, 상기 볼록한 부분이 눌려져서 펴질 경우에 그 펴지는 측면으로 상기 방향성 커플러의 측면을 밀어서 고정하게 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나사 홀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용 하우징에 고정되게 체결되며, 체결시 나사 헤드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상기 볼록한 부분을 누르게 되는 가압 나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directional coupler of the pillar-shaped mounted in the hole of the mounting housing, a screw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has a convexly curved upper or lower side When the convex part is pressed and stretched, the fixing plate which is fixed by pushing the side of the directional coupler to the unfolding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screw which is fixed to the mounting housing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xing plate, and presses the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y the screw head during the fastening.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는 해당 방향성 커플러가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의 상면에서만 가공 및 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이 간단 및 용이하고, 밀폐 구조를 구현하기에 용이하며, 아울러, 해당 방향성 커플러의 설치 위치를 보다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어서, 무선 통신 장비의 설계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Since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and work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hous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is installed, the work process is simple and easy, and it is easy to implement a sealed struc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desig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rectional coupl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sign freedom of th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more.

도 1은 종래의 방향성 커플러의 일 예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A-A' 부분 절단면도
도 3은 도 1 중 B-B' 부분 절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방향성 커플러가 무선 통신 장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 중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5의 A-A' 부분 절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 중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방향성 커플러가 무선 통신 장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rectional coupler
FIG. 2 is a fragmentary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 i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of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8 and 9 are AA 'partial cutaway view of FIG.
10 is a side view of a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of FIG.
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1 i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 중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5의 A-A' 부분 절단면도로서, 도 8은 고정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9는 고정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of Figure 5, Figure 7 is a side view of Figure 6, Figure 8 a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not completed, and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completed.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원기둥 형태의 방향성 커플러(1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장착용 하우징(220)의 상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장착 홀(22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방향성 커플러(110)의 하부에는 커플링 선로(111)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는 장착용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주 선로(미도시)가 위치하게 된다. 5 to 9,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directional coupler 110 is circular mounting hole 22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220 as in the prior art )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the coupling line 111 is installed below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nd a main line (not shown) is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housing 12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line 111.

이러한 구조에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장착용 하우징(220)의 장착 홀(222)에 삽입한 후, 그 성능 특성을 확인하면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장착용 하우징(2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240) 및 가압 나사(230)를 구비한다. In this structure, after insert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nto the mounting hole 222 of the mounting housing 220, a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while checking i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mounting housing ( The fixing plate 240 and the pressure screw 2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220.

고정판(240)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절곡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가 눌려져서 펴질 경우에, 그 펴지는 방향의 측면으로 장착용 하우징(220)의 장착 홀(222)에 놓여진 방향성 커플러(110)의 측면을 밀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판(240)은 판스프링 구조와 유사한 구조 및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ixing plate 240 may have a bent portion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s, and when the bent portion is pressed and extended, the directional coupler 110 placed in the mounting hole 222 of the housing 220 for mount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It is installed to be fixed by pushing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240 may have a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leaf spring structure.

이때 장착용 하우징(220)에서는 장착 홀(222)에서 연장되어 상기 홀(222)과 단이 지게 마련되는 고정장치용 홈(224)이 구비되며, 고정장치용 홈(224)에 상기 고정판(240)이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housing 220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groove 224 extending from the mounting hole 222 so that the end and the hole 222 is provided, the fixing plate 240 in the fixing device groove 224. ) Can be mounted stably.

고정판(240)에는 나사 홀(242)이 형성되며, 또한 고정장치용 홈(224)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가압 나사(230)가 상기 고정판(240)의 나사 홀(242)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장치용 홈(224)의 나사 홈에 체결됨으로써, 고정판(24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240)에 나사 홀(2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나, 고정판(240)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거된 부분으로 가압 나사(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함도 당업자에게 충분히 유추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240)에는 별도의 홀이나 제거된 부분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가압 나사(230)의 헤드부분이 상기 고정판(240)의 절곡부를 가압하도록 함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A screw hole 242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240, and a screw groove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fixing device groove 224, so that the pressure screw 230 is a screw hole 242 of the fixing plate 240. Through and fastened to the screw groove of the fixing device groove 224,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late 240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screw hole 242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240 as an example, but a part of the fixing plate 240 is removed so that the pressure screw 230 can be fastened to the removed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fer sufficient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of the pressure screw 230 will be enough to press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40 even if a separate hole or a removed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fixing plate 240.

고정판(240)은 예를 들어, 도 7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 나사(230)가 체결되어 조여질 경우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헤드에 의해 볼록한 부분이 눌려져서 펴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고정판(240) 펴지게 되면, 고정판(240)의 펴지는 방향의 측면으로 맞닿아 있는 방향성 커플러(110)의 측면에 미는 힘을 가하여,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more clearly, the fixing plate 240 has a bent portion convexly curved upward, and when the pressure screw 230 is fastened and tightened, FIG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x portion is pushed and unfolded by the screw head. When the fixing plate 240 is extended in this manner, a pushing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which abuts on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240 in the unfolding direction, thereby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이러한 고정판(240)에서 방향성 커플러(110)와 맞닿는 부분의 평면 형상은 양 가장자리가 돌출되고 가운데가 오목한 형태의 가압면을 가져서,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할 경우에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planar shap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n the fixed plate 240 has a pressing surface of the form protruding both edges and concave in the center, it i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en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Can be.

또한 이러한 고정판(240)은 도 10에서 제2실시예의 고정판(34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가 아니라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의 절곡부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2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bent portion of the shape convexly curved downward, as shown in the fixed plate 340 of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본 실시예의 고정 장치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설명과 같이 고정판 2개를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구현할 수 있는바,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 중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에서 고정판(440)은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판(240, 3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고정판이 2개가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The fix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can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can improve the fixing force. In addition, as shown below it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two fixed plates integrally,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rectional coupler fixed in Figure 11 Top view of the device. In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xing plate 440 has two fixing plates tha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xing plates 240 and 34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t is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and is integrally connected.

즉,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판(440)은 제1고정판부(440-1)와, 제2고정판부(440-2) 및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442)로 구현할 수 있는데, 제1고정판부(440-1) 및 제2고정판부(440-2) 각각은 상기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볼록한 부분이 눌려져서 펴질 경우에, 그 펴지는 측면으로 장착용 하우징(220)의 장착 홀(222)에 놓여진 방향성 커플러(110)의 측면을 밀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fixing plate 4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the first fixing plate portion 440-1, the second fixing plate portion 440-2, and a connection member 442 connecting them. Each of the first fixing plate part 440-1 and the second fixing plate part 440-2 is convexly curved upward or downw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hown in FIGS. 5 to 10. When each convex part is pressed and unfolded, it is configured to push and fix the side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placed in the mounting hole 222 of the mounting housing 220 to the unfolded side.

이때 장착용 하우징(220)에서는 고정판(440)이 장착되기 위한 고정장치용 홈(225)은 도 5 등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mounting housing 220, the fixing device groove 225 for mounting the fixing plate 440 has a larger area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또한, 고정판(440)의 제1 및 제2고정판부(440-1, 440-2) 각각의 나사 홀에 대응되게 고정장치용 홈(225)에는 나사 홈들이 형성되며, 가압 나사들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screw grooves are formed in the fixing device grooves 225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 portions 440-1 and 440-2 of the fixing plate 440, and the pressure screws are first implemented. It can be faste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ample.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커플러(110)가 원통형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부(440-1, 440-2)의 가압면이 상기 방향성 커플러(110)의 외주면에 정확히 맞닿도록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됨은 당연할 것이다. 11 and 12, when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cylindrical, the press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 parts 440-1 and 440-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t would be natural to be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ce so that they are exactly abut.

도 13은 도 11의 방향성 커플러가 무선 통신 장비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13에서는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하우징(20)에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가 구비되는 상태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의 장착용 하우징(200)은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20)의 일부에 해당하게 되며, 두 개의 방향성 커플러(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440)는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20)에서 방향성 커플러(110)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 예를 들어 전체 하우징(20)의 상부면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고정 장치(440)의 가압 나사가 장착용 하우징(200)의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성 커플러의 삽입 방향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비롯한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의 고정 장치를 이용할 경우의 작업 환경을 살펴보면,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20)의 상부면에 방향성 커플러(110)를 비롯한 여타의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가공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본 고안 따른 고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우징의 자세 변경없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1 is appli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FIG. 13, a state in which two directional couplers 110 are provided in a housing 20 of a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shown as an example. have. In this case, the mounting housing 200 of the two directional coupler 110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entire housing 20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fixing device 440 for fixing the two directional coupler 110 It can be seen that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housing 20,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installed in the entire housing 2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screw of the fixing device 44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coupler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housing 200. Referring to FIG. 13,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case of using the fixing device of the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clud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housing 2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 the case of performing a machining process for mounting the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for install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ed simultaneously (without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housing).

또한, 방향성 커플러(110) 및 본 고안에 따른 고정 장치를 포함한 각종 부품을 설치한 다음에, 커버(미도시)를 나사 홈(22)을 통해 전체 하우징(20)에 나사 결합하여 개방된 상부면을 밀폐함으로써, 해당 무선 통신 장비에 대한 하우징의 밀폐가 간단히 완료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installing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and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pened by screwing the cover (not shown) to the entire housing 20 through the screw groove 22 By sealing the, the sealing of the housing to the corresponding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simply completed.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는 전체 하우징(20)에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고정판(440)을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전체 하우징(20)의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이 아닌 도면상 측면으로 방향성 커플러(110)의 고정을 위한 나사 등을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방향성 커플러(110)의 고정이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공정에서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fixing the fixing plate 440 in a direction in which a cov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entire housing 20. 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crew or the like for fixing the directional coupler 110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drawing rather th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of the entire housing 20 is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al coupler ( The fixing of 110 may be ma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which is conveni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에 따르면, 해당 방향성 커플러는 종래와는 달리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무선 통신 장비의 전체 설계시에 보다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al coupler does not need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entire hous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nlike the prior art, it can be easier during the overall desig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외에도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hile there can be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고정판이 장착용 하우징에 형성되는 고정장치용 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방향성 커플러가 보다 돌출되게 설치되는 구조에서는 고정판이 홈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방향성 커플러의 측면을 밀수 있게 되므로, 고정장치용 홈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x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device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housing, but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is installed to protrude more, even if the fixing plate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Since the side of the coupler can be pushed, the groove for the fixing device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또한, 도 11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구조는 마치 제1, 제2실시예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이 2개가 인접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이 3개 이상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2개가 일체형이 아니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고정판과 가압 나사를 상기 장착용 하우징의 미리 설정된 2개소에 각각 한 쌍씩 설치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1 is described as similar to that in which the fixing plat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integrally formed in two symmetrical shapes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r more fixing plat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Alternatively, the two fixing plat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instead of integrally. That is, a pair of fixing plate and a pressurizing screw may be provided at each of two preset positions of the mounting housing.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방향성 커플러가 원기둥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방향성 커플러는 사각 기둥이나 여타 다른 기둥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irectional coupler is described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but in addition to the directional coupler, the directional coupler may have a square pillar or other pillar shape.

110: 방향성 커플러 220: 장착용 하우징
222: 장착 홀 224: 고정장치용 홈
230: 가압 나사 240: 고정판(제1실시예)
340: 고정판(제2실시예) 440: 고정판(제3실시예)
440-1: 제1고정판부 440-2: 제2고정판부
442: 연결부재
110: directional coupler 220: mounting housing
222: mounting hole 224: fixing groove
230: pressure screw 240: fixing plate (first embodiment)
340: fixing plate (second embodiment) 440: fixing plate (third embodiment)
440-1: first fixing plate part 440-2: second fixing plate part
442: connecting member

Claims (6)

장착용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며 무선 통신 신호를 커플링하기 위한 방향성 커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절곡부를 가져서, 상기 장착용 하우징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절곡부가 눌려져서 펴질 경우에 그 펴지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성 커플러의 측면을 밀어서 고정하게 되는 고정판과;
상기 장착용 하우징에 고정되게 체결되며, 상기 고정판의 절곡부가 펴지도록 가압하는 가압나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 고정장치.
A device for fixing a directional coupler inserted into a hole of a mounting housing for coup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 fixing plate having a bent portion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ly or downwardly, and being push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directional coupler in the unfolding direction when the bent portion is pressed and unfo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mounting housing;
It is fixed to the mounting housing,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screw for press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fixing plate to be expa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나사는,
상기 장착용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는 방향성 커플러의 삽입방향으로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의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screw,
Fixing device of the directional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coupler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mount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가압나사가 관통하기 위한 나사 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용 하우징은,
상기 방향성 커플러가 장착되는 홀에서 연장되고 단이 지게 형성된 고정장치용 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장치용 홈은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며, 상기 가압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late is further formed with a screw hole for penetrating the pressure screw,
The mounting housing,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oove for a fixing device extending from the hole in which the directional coupler is mounted, th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The fixing device groove is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late is seated, the screw groove for forming the pressing screw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방향성 커플러와 맞닿는 부분은 양 가장자리가 돌출되고 가운데가 오목한 형태를 갖는 가압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ion of the fix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directional coupler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surface protruding both edges and a concave in the midd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압 나사는 상기 장착용 하우징의 미리 설정된 개소에 복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The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xing plate and the pressure screw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mounting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압 나사는 상기 장착용 하우징의 인접한 2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인접한2개소에 설치된 고정판들은,
연결 부재를 통해 좌우대칭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plate and the pressure screw are installed in two adjacent places of the mounting housing,
Fixing plates installed in two adjacent places,
A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ted in a symmetrical shap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KR2020120001191U 2012-02-16 2012-02-16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KR2004675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91U KR200467540Y1 (en) 2012-02-16 2012-02-16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91U KR200467540Y1 (en) 2012-02-16 2012-02-16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40Y1 true KR200467540Y1 (en) 2013-06-18

Family

ID=5138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191U KR200467540Y1 (en) 2012-02-16 2012-02-16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4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7585A (en) * 2022-07-20 2022-09-27 贵州省广播电视局八五九台 Adjustable directional coupler for broadcast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15U (en) * 1993-07-23 1995-02-14 日本無線株式会社 Scalar ring fixing mechanism for receiving antenna device
JP2000049510A (en) 1998-07-29 2000-02-18 Nec Eng Ltd Directional coupler
KR20110003160A (en) * 2009-07-03 2011-01-11 김일호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ear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15U (en) * 1993-07-23 1995-02-14 日本無線株式会社 Scalar ring fixing mechanism for receiving antenna device
JP2000049510A (en) 1998-07-29 2000-02-18 Nec Eng Ltd Directional coupler
KR20110003160A (en) * 2009-07-03 2011-01-11 김일호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ear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7585A (en) * 2022-07-20 2022-09-27 贵州省广播电视局八五九台 Adjustable directional coupler for broadcast transmission
CN115117585B (en) * 2022-07-20 2023-05-26 贵州省广播电视局八五九台 Adjustable directional coupler for broadcast trans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471B1 (en) Fixture
US7674129B1 (en) Clamping device for DIN rail
CN104105891B (en) Fixture and there is the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of this fixture
WO2005072173A3 (en) Adjustable gripping tool
US20160150305A1 (en) A loudspeaker module
TWI543485B (en) Cable clamp
CN101465223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467540Y1 (en) Directional coupler fixing device
KR20100007565U (en) A joint clip of a profile pipe
KR102017233B1 (en) Device for fixing grating panel
CN109523929B (en) Radian lock
JP6397976B1 (en) Pipe holding band fitting and its assembling method
KR20110017759A (en) A terminal
TW201309411A (en) Fixing mechanism
KR102091756B1 (en) Apparatus for gripping semi-conductive board with vacuum
KR200417340Y1 (en) Fixing tool for curtain bar
KR200468390Y1 (en) Rotary device for a cutting too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KR102171876B1 (en) Fixing device
KR20190001306U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for fixing thermocouple
KR101424338B1 (en) Assembly Structure of Elbow
JP6341568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CN217223281U (en) Stator riveting subassembly
KR102347260B1 (en) Difar sensor housing and apparatus for disassembling the difar sensor housing
JP3212222U (en) Container for liquid sample inspection tool
KR101424337B1 (en) Assembly Structure of Elb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