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22Y1 - 일상 표현용 시계 - Google Patents

일상 표현용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22Y1
KR200467522Y1 KR2020130000799U KR20130000799U KR200467522Y1 KR 200467522 Y1 KR200467522 Y1 KR 200467522Y1 KR 2020130000799 U KR2020130000799 U KR 2020130000799U KR 20130000799 U KR20130000799 U KR 20130000799U KR 200467522 Y1 KR200467522 Y1 KR 200467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haracter
background plate
hour
min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548U (ko
Inventor
변동진
Original Assignee
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진 filed Critical 변동진
Priority to KR2020130000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2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일상 표현용 시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상 표현용 시계는,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시계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풍경을 이루는 사물이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표현된 배경판; 동작이나 걸음이 느리게 연상되는 시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시침; 상기 시침의 캐랙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분침용 캐랙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분침; 및 상기 분침의 캐릭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초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초침을 포함하고,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이 회전할 때,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은 상기 배경판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만 노출되며,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가 풍경이 표현된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시간을 표시하거나 시간을 연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상 표현용 시계{CLOCK FOR EVERYDAY LIFE SHOW}
본 고안은 일상 표현용 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침과 분침 및 초침에 맞는 캐릭터를 부여하고, 이 캐릭터의 하루 일과가 배경판의 풍경을 통해서 표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간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를 보는 사람에 새로운 미감 및 재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일상 표현용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보는 사람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주 기능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시차를 알 수 있도록 하거나, 일몰/일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시계가 개시된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9589호(공개일 : 2000.06.05)에는 시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지침판으로 배열된 숫자가, 자개로 각각 가공되어 지침판)에 부착되고, 지침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지침이, 자개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즉, 지침과 숫자를 자개로 구성함으로써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시계들은 단순히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을 장식하고 숫자를 장식하는 것에 불과하고, 시침과 분침 초침 들이 각 시간을 나타내는 기호나 숫자를 가르키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시계는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이미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거나 장식을 하는 기능밖에 없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9589호(공개일 : 2000.06.05)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시계가 갖는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하루 기상에서 잠자리에 들기까지의 일상적인 일들을 독특한 배경과 캐릭터로 표현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롭고 독특한 재미를 느끼게 하고, 시간을 가늠하거나 유추하도록 함으로써 보는 사람의 두뇌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시계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풍경을 이루는 사물이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표현된 배경판; 동작이나 걸음이 느리게 연상되는 채색된 시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시침; 상기 시침의 캐랙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채색된 분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분침; 상기 분침의 캐릭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채색된 초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초침; 상기 배경판에 마련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백라이트가 일출 전의 시간에는 푸른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해가 뜨는 시간에는 아침햇살의 연상을 위한 붉은빛을 발산되도록 하며, 정오에는 정오의 태양이 연상되도록 백색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석양이 지는 일몰 전, 후에는 붉은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24시간을 기준으로 각 시간에 따라 빛의 색과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들은, 상기 배경판을 12 등분하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각 캐릭터의 전면에 빛이 직접 비춰지고, 상기 배경판의 이면에 빛이 비춰져 상기 배경판이 실루엣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배경판의 이면에서 상기 배경판과 초침,분침 또는 시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이 회전할 때,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은 상기 배경판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백라이트의 빛이 비춰지는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만 노출되며,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가 풍경이 표현된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시간을 표시하거나 시간을 연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시침용 캐릭터는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 상기 분침용 캐릭터는 소녀 또는 소년, 상기 시침용 캐랙터는 강아지, 고양이 또는 토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경판에 표현되는 풍경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각 사물에 대한 형상을 오려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배경판에는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숫자 또는 기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날씨를 포함한 주변환경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날씨를 포함한 주변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물로 표현된 풍경을 구비한 배경판의 가장자리를 서로 다른 속도의 움직임을 연상시키는 캐릭터가 서로 다른 속도로 움식이도록 함으로써, 속도가 서로 다른 각 캐릭터를 토대로 시간을 연상하거나 유추할 수 있어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상에서 잠자리에 들기까지의 일상적인 일들을 통하여 새롭고 독특한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의 위치를 토대로 시간을 가늠하거나 유추하도록 함으로써 보는 사람의 두뇌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백라이트에 의해 각각의 시간에 따른 빛의 색과 세기를 연출함으로써 시간을 각각의 캐릭터 위치와 함께 빛의 세기나 색으로도 느끼거나 유추 또는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상 표현용 시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계를 도시한 정면 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경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사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경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a,5b,5c는 도 1에 도시된 시계에 백라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상 표현용 시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계를 도시한 정면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상 표현용 시계는 시침용 캐릭터(32)가 구비된 시침(30)과 분침용 캐릭터가 구비된 분침(40) 및 초침용 캐릭터가 구비된 초침(5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0)와, 이 구동부(10)가 배면에 설치되고 풍경이 표현된 배경판(20)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10)는 배경판(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시침(30)과 분침(40) 및 초침(5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시계의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10)와 배경판(20)은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결합된다.
시침(30)은 일단이 구동부(10)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시침용 캐릭터(32)가 구비된다. 이 시침용 캐릭터(32)는 시침(30)과 같이 동작이나 걸음 등이 느리게 연상되는 등이 굽고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 모자를 쓰고 두루마기를 입은 할아버지 또는 아버지나 어머니, 거북이, 나무늘보, 코알라, 코끼리, 자전거 등 분침(40)이나 초침(50) 또는 분침용 캐릭터(42) 또는 초침용 캐릭터(52)에 비하여 느린 움직임이나 느린 속도를 연상시키는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침(30)이 초침(50)이나 분침(40)에 비하여 느린 움직이는 것을 표현하고, 시침(30)을 연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분침(40)은 일단이 구동부(10)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분침용 캐릭터(42)가 구비된다. 이 분침용 캐릭터(32)는 시침용 캐릭터(32)에 비하여 빠른 동작이 연상되는 소녀나 소년, 자동차 등 시침용 캐릭터(32)에 비하여 빠르고, 초침용 캐릭터(52)에 비하여 느린 동작이나 속도를 연상시키는 사물이나 인물, 동물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침용 캐릭터(32)에 비하여 빠르고, 초침용 캐릭터(52)에 비하여 느린 움직임을 표현하고, 분침(42)을 연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초침(50)은 일단이 구동부(10)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초침용 캐릭터(52)가 구비된다. 초침용 캐릭터(52)는 시침(32) 또는 분침(42)에 비하여 빠른 동작이 연상되는 강아지, 비행기, 얼룩말, 사슴, 돌고래, 보트 등 분침용 캐릭터(42)나 시침용 캐릭터(32)에 비하여 빠른 동작이나 속도를 연상시키는 사물이나 인물, 동물 캐릭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침용 캐릭터(32)나 분침용 캐릭터(52)에 비하여 빠른 움직임을 표현하고, 초침(52)을 연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경판(20)은 중심을 기준으로 풍경을 이루는 사물(22)이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표현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판(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다양한 사물(22)이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풍경을 이룬다. 예를 들면,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숲, 바위, 풀, 이정표, 개집, 작은 나무 큰 나무, 오두막, 울타리, 초원, 연못, 다리와 같은 평온한 마을의 풍경, 또는 야자숲, 바다, 배, 야자나무, 파도, 고래 등과 같은 열대 섬의 풍경이나, 빌딩, 탑, 자동차, 전광판, 광장, 비행기 등과 같은 도심의 풍경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우주선이나 우주인, 달, 토성, 목성 등 우주의 풍경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경판(20)에 표현되는 풍경은 각각의 사물(22)들이 배경판(20)의 가장자리에서 오려져 표현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물(22)이 배경판(20)의 가장자리 일부가 오려져서 그림자처럼 실루엣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경판(20)의 가장자리에 표현된 사물(22)들에 연관되는 풍경이 중앙부에 표현되고, 사물(22)들을 포함한 풍경이 채색되어 전체적으로 풍경이 컬러플하게 사실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경판(20)의 자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에 지구를 컬러플하게 표현하고, 가장자리에 각 대륙의 특징적 상징물, 바다, 갈매기 등으로 이루어진 사물(22)로 풍경을 이루고, 초침용 캐릭터(32)는 사람, 분침용 캐릭터(42)는 배, 초침용 캐릭터(52)는 비행기나 우주선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사물(22)들은 배경판(20)을 12 등분하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캐릭터(32,42,52)가 해당 사물(22)에 겹쳐질 때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집은 3시를 나타내고, 울타리의 끝부분은 6시를 나타내며, 밴치는 7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판(20)은 얇은 종이, 합성수지판, 금속판, 나무판,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상 표현용 시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 배경판(20)의 풍경은 숲과 이정표, 나무, 집, 울타리, 밴치, 큰 나무, 연못, 다리 등의 사물(22)들로 이루어진 평온한 마을을 표현한 것이다. 또한, 시침용 캐릭터(32)는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 분침용 캐릭터(42)는 소녀, 초침용 캐릭터(52)는 강아지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침(30), 분침(40), 초침(50)은 배경판(20)에 가려져 전방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침(30), 분침(40), 초침(50)은 배경판(20)의 끝단부에 구비된 시침용 캐릭터(32)와 분침용 캐릭터(42) 및 초침용 캐릭터(52) 만 배경판(20)의 가장자리로 노출된다. 즉, 배경판(20)의 전면에서는 시침용 캐릭터(32)와 분침용 캐릭터(42) 및 초침용 캐릭터(52)와 사물(22)만 볼 수 있다.
각각의 시침용 캐릭터(32)와 분침용 캐릭터(42) 및 초침용 캐릭터(52)는 구동부(10)에 의해 각각의 위치를 지나고 있다. 즉, 할머니와 손녀(소녀), 강아지가 각각의 속도 개념에 맞도록 시침용 캐릭터(32)와 분침용 캐릭터(42) 및 초침용 캐릭터(52)로 표현되어 배경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의 속도에 따라 움직인다.
할머니와 손녀 그리고 강아지는 서로 다른 속도로 일상의 풍경 속에서 산책을 한다.
시침용 캐릭터(32)인 할머니는 숲에서 나와 바위를 지나고 이정표를 지나 어느덧 밴치로 사물(22)에 다다른다. 그리고 초침용 캐릭터(52)인 강아지는 빠르게 움직이나 현재 울타리로 된 사물(22)을 지났으며, 분침용 캐릭터(42)인 손녀는 이정표로 된 사물(22)을 지나 개집으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서 할머니는 산책을 시작해서 어느덧 밴치에 다다랐고, 강아지는 부지런히 풍경속을 뛰어다니며, 손녀는 이제 할머니를 따라가기 위해 산책을 시작하는 것으로 연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캐릭터(32,42,52)가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일상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침용 캐릭터(32)인 할머니가 6시 지점인 울타리를 지나 아직 밴치에 도착한 상태가 아니고, 분침용 캐릭터(42)인 손녀가 3시 지점인 개집에 도착하지 않았으며, 초침용 캐릭터(52)인 강아지가 할머지 뒤에 있는 것으로 볼 때, 6시 14분 33초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배경판(20)에 사물(22)들을 구비시켜 풍경을 표현하고, 이 풍경에 연관되고 서로 다른 속도나 움직임을 연상시키는 캐릭터를 시침과 분침, 초침에 구비시켜 각 캐릭터가 풍경 속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일상을 연상할 수 있고, 각 캐릭터의 위치를 통하여 시간을 파악하거나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경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사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계는 배경판(20)이 열대의섬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경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계는 배경판(20)의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숫자(24)나 기호 등이 표현된 것이다. 즉, 배경판(20)을 12등분하여 각 등분위치에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24)를 표현하여 시간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5a,5b는 도 1에 도시된 시계에 백라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계는 배경판(20)의 이면(배면)에 백라이트(60)가 구비된 것이다.
백라이트(60)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가 벽면에 설치되었을 때 배경판(20)의 이면에서 빛을 발광하여 배경판(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사물(22) 들의 실루엣이 보다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고, 시계의 장식효과 및 간접 조명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백라이트(60)를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장식효과 및 간접 조명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엘이디(LED)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백라이트(60)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백라이트(60)가 24시간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빛의 색과 세기가 다르게 제어되는 것이다. 즉, 일출 전의 시간에는 푸르스름한 색, 즉 옅은 파란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해가 뜨는 시간에는 아침햇살을 연상할 수 있도록 옅은 붉은 빛, 점심(정오) 때는 정오의 태양을 연상할 수 있도록 강한 백색 빛을 발산하도록 하며, 석양이 지는 일몰 전, 후에는 붉은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각각의 시간에 따른 빛의 색과 세기를 연출함으로써 시간을 각각의 캐릭터(32,42,52) 위치와 함께 빛의 세기나 색으로도 느끼거나 유추 또는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c에 되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60)의 빛이 각 캐릭터(32,42,52)를 비추도록 하여, 배경판(20)의 사물(22)은 실루엣으로 나타나고, 각 캐릭터(32,42,52)는 빛을 받아 선명하게 나타나고, 빛의 색이 표현되도록 하여 배경판(20)과 각 캐릭터(32,42,52)가 선명하게 구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백라이트(60)가 배경판(20)의 이면에서 배경판(20)과 초침,분침 또는 시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는, 타이머를 내장하여 백라이트(60)가 각 시간에 맞는 빛을 연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백라이트(60)는 RGB 칩을 갖는 LED나 다양한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 칩이 사용될 수 있으며, LED가 아닌 다양한 조명기구가 사용되리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는 주변환경(날씨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주변 환경에 맞도록 백라이트(6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구동부 20 : 배경판
22 : 사물 24 : 숫자
30 : 시침 32 : 시침용 캐릭터
40 : 분침 42 : 분침용 캐릭터
50 : 초침 52 : 초침용 캐릭터
60 : 백라이트

Claims (6)

  1.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시계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풍경을 이루는 사물이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표현된 배경판;
    동작이나 걸음이 느리게 연상되는 채색된 시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시침;
    상기 시침의 캐랙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채색된 분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분침;
    상기 분침의 캐릭터에 비하여 동작이나 걸음이 빠르게 연상되는 채색된 초침용 캐릭터가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침용 캐릭터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초침;
    상기 배경판에 마련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백라이트가 일출 전의 시간에는 푸른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해가 뜨는 시간에는 아침햇살의 연상을 위한 붉은빛을 발산되도록 하며, 정오에는 정오의 태양이 연상되도록 백색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석양이 지는 일몰 전, 후에는 붉은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24시간을 기준으로 각 시간에 따라 빛의 색과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들은,
    상기 배경판을 12 등분하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각 캐릭터의 전면에 빛이 직접 비춰지고, 상기 배경판의 이면에 빛이 비춰져 상기 배경판이 실루엣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배경판의 이면에서 상기 배경판과 초침,분침 또는 시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이 회전할 때, 상기 시침과 분침 및 초침은 상기 배경판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백라이트의 빛이 비춰지는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만 노출되며, 상기 시침용 캐릭터와 분침용 캐릭터 및 초침용 캐릭터가 풍경이 표현된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시간을 표시하거나 시간을 연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용 캐릭터는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 상기 분침용 캐릭터는 소녀 또는 소년, 상기 시침용 캐랙터는 강아지, 고양이 또는 토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판에 표현되는 풍경은,
    상기 배경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각 사물에 대한 형상을 오려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판에는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숫자 또는 기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날씨를 포함한 주변환경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날씨를 포함한 주변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표현용 시계.
KR2020130000799U 2013-01-30 2013-01-30 일상 표현용 시계 KR200467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99U KR200467522Y1 (ko) 2013-01-30 2013-01-30 일상 표현용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99U KR200467522Y1 (ko) 2013-01-30 2013-01-30 일상 표현용 시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08A Division KR20120099899A (ko) 2011-03-02 2011-03-02 일상 표현용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48U KR20130001548U (ko) 2013-03-07
KR200467522Y1 true KR200467522Y1 (ko) 2013-06-19

Family

ID=5138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99U KR200467522Y1 (ko) 2013-01-30 2013-01-30 일상 표현용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3232B2 (en) * 2014-06-19 2017-02-07 Umm Al-Qura University Wrist-mounted device to assist pilgri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778Y1 (ko) 2004-07-20 2004-10-11 주식회사 좋은시계 패션시계
KR200434920Y1 (ko) 2006-07-03 2007-01-02 이재민 시침을 이용한 시간 조명시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778Y1 (ko) 2004-07-20 2004-10-11 주식회사 좋은시계 패션시계
KR200434920Y1 (ko) 2006-07-03 2007-01-02 이재민 시침을 이용한 시간 조명시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선닷컴(런던디자인페스티벌에서 개성 넘치는 '시계'디자인을 선보인 3인3색 스토리, http://style.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25/2010112501307.html, 2010.12.01. 공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48U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bison Reflections on baroque
Hibbard Bernini
Welch A king's book of kings: the Shah-nameh of Shah Tahmasp
Best-Maugard A method for creative design
Suthor Rembrandt's Roughness
Ruskin On the nature of Gothic architecture: And herein of the true functions of the workman in art
KR200467522Y1 (ko) 일상 표현용 시계
Flaccus The spirit and substance of art
KR20120099899A (ko) 일상 표현용 시계
Janeczko et al. A poke in the i
Morgan Window display: new visual merchandising
Davis " Just apply a weight": Thoreau and the Aesthetics of Ornament
CN203535385U (zh) 钟表用表盘以及钟表
Yang Tang dynasty Changsha ceramics
Aziz The Meaning of Islamic Art: Explorations in Religious Symbolism and Social Relevance
Gonsalves Imagine a World
CN218458537U (zh) 一种泡泡熊实体式互动体验装置
Somov Connotations in semiotic systems of visual art (through the example of works by MA Vrubel)
Mashiyane Beadwork: Its cultural and linguistic significance among the South African Ndebele people
Kilalea Ok, Mr. Field: A Novel
Pomer Dance composition: An interrelated arts approach
O'Brien Green and Gray
Zapruder Come on All You Ghosts
Ghiselin The Birth of a Poem
Kovalenko Pavel Tchelitchew and Jean Giraudoux’s Ond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