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41Y1 -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41Y1
KR200467441Y1 KR2020110006157U KR20110006157U KR200467441Y1 KR 200467441 Y1 KR200467441 Y1 KR 200467441Y1 KR 2020110006157 U KR2020110006157 U KR 2020110006157U KR 20110006157 U KR20110006157 U KR 20110006157U KR 200467441 Y1 KR200467441 Y1 KR 200467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able terminal
delete delete
support
wireless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1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0358U (en
Inventor
성부현
Original Assignee
성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부현 filed Critical 성부현
Priority to KR202011000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41Y1/en
Publication of KR20130000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5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4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이 본체에 회동장치를 매개로 연결되고 본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이 제1지지부에 연결되어 본체와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각종 동영상 매체의 시청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 접촉 단자를 통한 기존의 접촉 충전 방식이 아닌 무접촉의 무선 충전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high frequency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ing wirelessly via a portable terminal;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via a pivoting device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the first support part, which can be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viewing of various video media from a user's point of view, as well as contact terminals. Through the non-existent contact charging metho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can be effective to implemen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통한 동영상(또는 사진) 매체를 시청하기에 편리하도록 세로 보기 및 가로 보기가 가능하게 하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wireless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a portrait view and a landscape view to be convenient for watching a video (or photo) medium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o enable a touch screen or a butt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mounted to facilitate operation with one hand.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더욱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mer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their portability, and are being modified to adapt to a multimedia environment or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at can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점차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함께 동영상 매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Such portable terminals are gradually being converted into a structure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consumer demand increases, it is possible to watch a moving picture medium together with a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speed data.

한편,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시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uses a rechargeable battery pack therein, which requires a separate charging device because it is limited in use time.

그러나 대부분의 충전장치는 충전 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며, 유선으로만 충전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항상 세로 보기 방향으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충전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charging devices are not used for other purposes than charging, and since they are charged only by wir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should always be mounted in the vertical view direction, and it is im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same time as the charging. There was a problem.

더구나,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나타난 화면을 보다 광폭으로 보기를 원하는 가로 보기 본능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Moreo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user has a landscape viewing instinct that wants to view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a wider manner.

이에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통한 동영상 매체를 시청하기에 편리하도록 세로 보기 및 가로 보기가 가능하게 하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ortrait view and landscape view for convenient viewing of a video medium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mounts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mounting the touch screen or a button for easy operation with one h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holder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장치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 generating a high frequency transmission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ing wirelessly via a portable terminal;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via a pivoting device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the first support part.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includes: a main bod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high frequency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ing wirelessly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케이스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includes a case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main bod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high frequency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ing wirelessly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s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본 고안에 따르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및 각종 동영상 매체의 시청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 접촉 단자를 통한 기존의 접촉 충전 방식이 아닌 무접촉의 무선 충전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make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viewing of various video media 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s well as the conventional contactless charging method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lement a charging method.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er-compatible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used for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and a case are mounted on a dual charger-type hol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서 X축 방향은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wireless charger combin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the X-axis direction represents a horizontal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represents a vertical direc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이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120); 이 본체(120)에 회동장치(141)를 매개로 연결되어 본체(12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40); 및 이 제1지지부(140)에 연결되어 본체(120)와 제1지지부(14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dle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a commercial power source A main body 120 which generates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from the mobile terminal 10 and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terminal 10; A first support part 1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via a pivoting device 141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And a second support part 16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40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and the first support part 140.

본체(120)는 휴대 단말기(10)의 형상에 맞춰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다. 사실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본체(1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120) 상에 놓인다. 본체(120)의 받침면(1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122)이 받침면(1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123)이 받침면(1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122, 1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is somewhat larg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10. In fac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20 acts as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and the battery pack 20 (see FIG. 3)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main body 120. The support surface 121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to be generally flat, but the horizontal engaging jaw 122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121 at the front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distal end, the vertical catching jaw 123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121. These locking jaws 122 and 123 may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on both sides, but may be formed only on ei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only on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121)에 놓을 때, 항상 본체(120)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121, the main body 120 may be alway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 Is also effective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outside.

본체(120)의 받침면(1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1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1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Some of the support surfaces 121 of the main body 120 may be selective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slippage, such as silicon. 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n LED 124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에는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놓여 충전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placed and charged in the main body 120.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20)는 제1정류부(29), 고주파 발생회로(28), 1차 코일(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27 ~ 29)은 모두 전술한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특히 본체(120) 내에 내장된 1차 코일(27)은 받침면(121)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20 includes a first rectifying unit 29, a high frequency generation circuit 28, and a primary coil 27. All of these components 27 to 29 are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main body 120, and in particular, the primary coil 27 embedded in the main body 120 is positioned immediately below the support surface 121. do.

배터리 팩(20)은 2차 코일(21), 제2정류부(22), 배터리(23) 등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팩(20)은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된 상태이거나 별도로 분리된 상태이다. 또한, 2차 코일(21)과 제2정류부(22) 등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20 includes a secondary coil 21, a second rectifier 22, a battery 23, and the like. The battery pack 2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 or is separat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21 and the second rectifier 22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여기서, 도 3에는 배터리 팩(20) 내에 2차 코일(21), 제2정류부(22), 배터리(23) 등이 포함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팩(20)이 없이 휴대 단말기(10) 내에 2차 코일(21)과 제2정류부(22)가 구비되고, 배터리(23)는 제2정류부(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10)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는 구조여도 된다.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21, the second rectifier 22, the battery 23,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ary coil 21 and the second rectifier 22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10, and the battery 23 is detachably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ctifier 22. The structure may be sufficient.

본체(120)는 외부의 상용 전원(30)을 이용하여 1차 코일(27)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배터리 팩(20)은 1차 코일(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2차 코일(21)에 생성된 유도전류를 제2정류부(22)를 경유하여 배터리(23)에 제공한다. 본체(10)에 공급되는 상용 전원(30)은 주로 상용 교류 전원이지만, 경우에 따라 직류 전원일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20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primary coil 27 by us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30, and the battery pack 20 generates the secondary coil 21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27. Generated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23 via the second rectifier 22. The commercial power supply 30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is mainly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but may be a DC power supply in some cases.

본체(120)는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전류를 공급받는다. 제1정류부(29)는 이 교류전류를 입력받아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고주파 발생회로(28)는 제1정류부(29)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아 고주파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1차 코일(27)은 고주파 발생회로(28)가 출력한 교류전류를 입력받아 자계를 발생시킨다.The main body 120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to receive an AC current. The first rectifier 29 receives the AC current, converts the DC current, and outputs the DC current.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circuit 28 receives a DC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rectifying unit 29 and converts the DC current into a high frequency AC current. The primary coil 27 receives an alternating current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generation circuit 28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만일, 본체(120)에 공급되는 전원이 고주파 발생회로(28)를 구동시키기에 적절한 직류 전원일 경우, 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류는 바로 고주파 발생회로(28)로 제공된다. 이때는 제1정류부(29)가 불필요해진다.If the power supplied to the main body 120 is a DC power supply suitable for driving the high frequency generation circuit 28, the DC current supplied from this power supply is directly provided to the high frequency generation circuit 28. At this time, the first rectifier 29 becomes unnecessary.

본체(120)의 1차 코일(27)에서 자계가 발생하면, 배터리 팩(20)의 2차 코일(21)은 1차 코일(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한다. 제2정류부(22)는 2차 코일(21)에서 생성된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배터리(23)는 제2정류부(22)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는다.Wh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27 of the main body 120, the secondary coil 21 of the battery pack 20 generates an induced current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27. The second rectifier 22 receives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the secondary coil 21 and converts the DC current into a DC current, and the battery 23 receives the DC current output by the second rectifier 22.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본체(120)의 1차 코일(27)에 발생한 자계에 의해 배터리 팩(20)의 2차 코일(21)에서 유도전류가 생성되어 배터리(23)에 충전되는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for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wo of the battery pack 20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27 of the main body 120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in the difference coil 21 to charge the battery 23.

한편,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의하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composed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woun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21 is the same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27.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be adjacent to the sufficient magnetic flux linkage so that the appropriate power can be transfer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harging. In particular,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be coinciden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Centering of the second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made automatically.

아울러, 배터리 팩(20)이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될 때 배터리 팩(20)은 휴대 단말기(10)의 내부회로와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한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ack 2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battery pack 20 further includes a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an internal circu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제1지지부(1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회동장치(141)를 매개로 하여 본체(120)와 연결되고 이 본체(12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부(140)는 본체(120)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거치된 휴대 단말기(10)에 안정감과 보기 편한 각도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40)는 힌지(161)에 의해 제2지지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40 is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rotation device 141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unit 140 supports the main body 120 in an inclined manner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a comfortable angle to the mounted mobile terminal 10. Optionally, the first suppo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160 by a hinge 161.

회동장치(161)는 플랜지를 갖춘 핀부재와 링부재로 구성되거나, 구형상의 피봇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장치(161)로 인해, 휴대 단말기(10)가 놓인 본체(120)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본체(120)가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어서 휴대하기에도 편리한 부가적 장점이 제공된다.Rotating device 161 may be composed of a pin member and a ring member having a flange, or may be composed of a spherical pivot hinge. Due to the rotation device 161, the main body 120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may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ain body 120 can be displac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is convenient to carry.

제2지지부(16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제1지지부(140)와 연결되고 이 제1지지부(14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지지부(160)는 힌지(161)에 의해 제1지지부(14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161)로 연결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6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제1지지부(140)를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지지부(160)에 대한 제1지지부(14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16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upport part 160 is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40 and supports the first support part 14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upport par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40 by the hinge 161. The first support part 1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60 connected by the hinge 16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relatively rotating to adjus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irst support portion 140 inclined at various angles.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unit 1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adjustable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hinge 161 to have at least two or more inclination steps.

또한, 제2지지부(160)는 저면에 자석이나 양면 테이프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를 임의의 장소에 부착시켜 장착할 수도 있다. 제2지지부(160)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30)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 or a double-sided tape on the bottom thereof to attach and mount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rbitrary place.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provided with a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so that the commercial power supply 30 is applied.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는, 제2지지부(160)와 제1지지부(140)를 통과하여 본체(1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의 인가에 따른 LED(1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60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140 through the firs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27 in the body 120 A power supply circuit may be provided. One of the power supply circuits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n optimal current for the portable terminal 10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 Can be controlled.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또는 사진)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하면 본체(120)를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10)를 가로 보기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charged or perform a call while being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compatibl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viewed us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 it is easy to operate a touch screen or a button with one hand.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main body 120 can be rotated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used in a horizontal view.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describing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ereof are identical.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220); 및 이 본체(220)에 연결되어 본체(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220)는 힌지(241)에 의해 지지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from the commercial power source 30 (see FIG. 3), the mobile terminal 10 Body 220 for charging wirelessly; And a support 2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0 to support the main body 220. Optionally, the body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240 by a hinge 241.

본체(22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훨씬 크게 확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본체(2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220) 상에 놓인다. 본체의 받침면(2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222)이 받침면(2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223)이 받침면(2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222, 2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세로걸림턱(223)은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The main body 2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much larg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20 serves as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and the battery pack 20 (see FIG. 3)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main body 220. The support surface 221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generally flat, but the transverse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jaw 22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221, the longitudinal end is extended vertically The locking jaw 223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221. These locking jaws 222 and 223 may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only on either side. At this time, the vertical locking jaw 223 serves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221)에 놓을 때, 가능한 본체(220)에 내장된 1차 코일(27; 도 3 참조) 상에 휴대 단말기(10)의 2차 코일(21; 도 3 참조)이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본체(220)의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In this way, when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221, two of the portable terminals 10 may be placed on the primary coil 27 (see FIG. 3) built into the main body 220. Not only can the difference coil 21 (see FIG. 3) be placed, but also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main body 220.

본체(220)의 받침면(2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2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2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Some of the supporting surfaces 221 of the main body 220 may be selective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slippage, such as silicon. 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LED 224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서, 예컨대 본체(220)의 오른쪽 하측에 단일한 1차 코일(27)이 내장되면 2차 코일(21)은 배터리 팩(20) 내 하측의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223)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composed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woun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21 is the same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27.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be adjacent to the sufficient magnetic flux linkage so that the appropriate power can be transfer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harging. Therefore, in the cradle 200 of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4 and 5, for example, if a single primary coil 27 is built i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main body 220 secondary The coil 21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in the battery pack 20 so that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coincide with each other. Centering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can be made simply by a mechanical means such as the vertical jaw 223.

더불어,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선정과 코일들의 중심맞춤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230)가 선택적으로 본체(2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센서(230)로는 홀센서 또는 광학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홀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상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미도시)이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나 배터리 팩(20)이 본체(2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자석의 자력이 홀센서에 영향을 미쳐 홀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2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 pair of position sensors 230 for detecting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20 and the proper centering of the coils are optionally included in the main body 220. Can be installed. As the position sensor 230, a Hall sensor or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Hall sensor is used,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not shown)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 Will be mounted.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main body 220,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ffects the Hall sensor, and sends a signal from the Hall sensor to the controller described later. The lighting signal is sent to the LED 224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lig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20.

또, 위치센서(230)로 광학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본체(220)에는 수광센서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나 배터리 팩(20)이 본체(2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발광센서로부터 나온 빛이 수광센서에 영향을 미쳐 수광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2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optical sensor is used as the position sensor 230, a light emitting sensor (not shown) is moun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20. do.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main body 220,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affects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sends a signal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the controller described later. The controller transmits a lighting signal to the LED 224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lign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20.

지지부(2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220)와 연결되고 이 본체(2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40)는 힌지(241)에 의해 본체(2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241)로 연결된 본체(220)와 지지부(2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2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240)에 대한 본체(2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2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art 240 is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0 and supports the main body 22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0 by the hinge 241. When the main body 220 and the supporter 240 connected by the hinge 241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main body is adjusted. 220 can be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dy 2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40 is adjustable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hinge 241 to have at least two or more inclination steps.

또한, 지지부(240)는 저면에 자석이나 양면 테이프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를 임의의 장소에 부착시켜 장착할 수도 있다. 지지부(240)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30)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er 24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or a double-sided tape on the bottom thereof to attach and mount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rbitrary place.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240 is provided with a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so that the commercial power 30 is applied.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는, 지지부(240)를 통과하여 본체(2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2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dual charg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27 in the main body 220 through the support 240. One of the power supply circuits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supply of an optimal current for the portable terminal 10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Can be controlled.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charge or perform a call while being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of FIG. 10 may be used for convenient viewing, and the touch screen or the button may be easily operated by one hand.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describing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ile giv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320); 및 이 본체(320)에 연결되어 본체(320)를 지지하는 지지부(3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320)는 힌지(341)에 의해 지지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from a commercial power supply 30 (see FIG. 3), and passe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 Body 320 for charging wirelessly; And a support part 3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320 to support the main body 320. Optionally, the main body 3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340 by a hinge 341.

본체(32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훨씬 크게 확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 본체(3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320) 상에 놓인다. 본체의 받침면(3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X축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322)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Y축 방향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323)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322, 3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도 된다. The main body 3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much larg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320 serves as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and the battery pack 20 (see FIG. 3)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main body 320. Although the supporting surface 321 of the main body is generally flat, the horizontal engaging jaw 322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ing surface 321 at the front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 the Y-axis direction. A vertical locking jaw 323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321 at the tip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se locking jaws 322 and 32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but may be formed only on any one of the top and bottom or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또한, 이 본체(320)의 중심을 지나는 Y축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세로받침(325a)과, 본체(320)의 중심을 지나는 X축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상기 거리(D)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가로받침(325b)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받침턱(325)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때 받침턱(325)은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Moreover, from the longitudinal support 325a which is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D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axis of the Y-axis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is main body 320, and from the axis of the X-axis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20. A pair of support jaws 325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support 325b, which is moved downward by the distance D in the Y-axis direction, protrude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321. At this time, the base jaw 325 serves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321)에 놓을 때, 가능한 본체(320)의 중심에 내장된 1차 코일(27; 도 3 참조) 상에 휴대 단말기(10)의 2차 코일(21; 도 3 참조)이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본체(320)의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pack 20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321,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on the primary coil 27 (see FIG. 3)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20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secondary coil 21 (see FIG. 3), the battery pack 20 or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main body 320.

본체(320)의 받침면(3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3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3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Some of the supporting surfaces 321 of the main body 320 may be selective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slippage, such as silicon. 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LED 324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서, 예컨대 본체(320)의 중심에 단일한 1차 코일(27)이 내장되면 2차 코일(21)은 배터리 팩(20) 내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323)과 받침턱(325)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composed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woun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21 is the same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27.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be adjacent to the sufficient magnetic flux linkage so that the appropriate power can be transfer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harging. Therefore, in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6 and 7, for example, when a single primary coil 27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20, the secondary coil is used. 21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battery pack 20 so that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coincide with each other. Centering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can be simply made by mechanical means such as the vertical jaw 323 and the support jaw 325.

더불어, 본체(3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선정과 코일들의 중심맞춤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330)가 선택적으로 본체(3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센서(330)로는 홀센서 또는 광학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 pair of position sensors 330 for detecting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20 and the centering of the coils are optionally included in the main body 320. Can be installed. As the position sensor 330, a Hall sensor or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and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지지부(3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320)와 연결되고 이 본체(3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340)는 힌지(341)에 의해 본체(3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341)로 연결된 본체(320)와 지지부(3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3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340)에 대한 본체(3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3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art 340 is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320 and supports the main body 32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320 by the hinge 341. When the main body 320 and the support 340 connected to the hinge 341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install 320 incline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dy 3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340 is adjustable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hinge 341 to have at least two or more inclination steps.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는, 지지부(340)를 통과하여 본체(3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3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dual charger charg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27 in the main body 320 by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art 340. One of the power supply circuits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to supply an optimum current suitable for the mobile terminal 10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Can be controlled.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7, the mobile terminal 10 may charge or perform a call while being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compatible hold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of FIG. 10 may be used for convenient viewing, and the touch screen or the button may be easily operated by one hand.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 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describing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to 30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hile giv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420); 및 이 본체(420)에 연결되어 본체(420)를 지지하는 지지부(4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420)는 힌지(441)에 의해 지지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reless charger dual crad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from the commercial power source 30 (see FIG. 3), and passe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 Body 420 to charge wirelessly; And a support part 4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420 to support the main body 420. Optionally, the body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440 by a hinge 441.

본체(420)는 휴대 단말기(10)의 형상에 맞춰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 본체(4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420) 상에 놓인다. 본체(420)의 받침면(4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면(423)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422)이 선단면(42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4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is somewhat larg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420 serves as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and the battery pack 20 (see FIG. 3) or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main body 420. The supporting surface 421 of the main body 420 is formed to be flat in its entirety, but is located in a groove formed concave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end surface 42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horizontal locking jaw 422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end surface 423 at the front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421)에 놓을 때, 항상 본체(420)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가로 보기로 이용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10)가 선단면(423)을 가로질러 놓이되 가로걸림턱(422)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무선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is way, when the battery pack 20 or the mobi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421, the main body 420 may be alway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owev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used in the horizontal view,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across the front end surface 423 but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locking jaw 422.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may not be performed.

또, 본체(4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4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4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LED 424 tha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applied.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의하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However,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composed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woun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21 is the same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27.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be adjacent to the sufficient magnetic flux linkage so that the appropriate power can be transfer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harging. In particular,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should matc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8 and 9 Centering of the secondary coil 27 and the secondary coil 21 is made automatically.

지지부(4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420)와 연결되고 이 본체(4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440)는 힌지(441)에 의해 본체(4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441)로 연결된 본체(420)와 지지부(4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4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440)에 대한 본체(4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4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art 440 is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420 and supports the main body 42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420 by the hinge 441. When the main body 420 and the support 440 connected to the hinge 441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main body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420 incline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dy 4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440 is adjustable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hinge 441 to have at least two or more inclination steps.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는, 지지부(440)를 통과하여 본체(4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4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dual charger charg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27 in the main body 420 through the support 440. One of the power supply circuits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n optimum current for the portable terminal 10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Can be controlled.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9, the mobile terminal 10 may charge or perform a call while being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of FIG. 10 may be used for convenient viewing, and the touch screen or the button may be easily operated by one hand.

가로 보기를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일측 선단을 가로걸림턱(422)에 맞추어 올려놓고 통화 및 시청을 할 수 있다.In the horizontal view,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placed in line with the intercepting jaw 422 to make a call and watch.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 4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used i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ortable terminal and the case mounted o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describing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100 to 4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While giv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는, 휴대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는 케이스(510); 상용 전원(30; 도 12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와 케이스(5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520); 및 이 본체(520)에 연결되어 본체(520)를 지지하는 지지부(5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520)는 힌지(541)에 의해 지지부(540)와 연결될 수 있다. Wireless charger dual crad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510 for receiving the portable terminal 1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 main body 520 which generates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30 (see FIG. 12) and wirelessly charge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ase 510; And a support part 5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520 to support the main body 520. Optionally, the body 5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540 by a hinge 541.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 300)에서, 위치센서(230, 330)로 홀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내부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장착시키면 사용자의 다른 전자기기나 신용카드 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고, 위치센서(230, 330)로 광학센서 등과 같은 소자를 적용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 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설계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battery pack when the hall sensor is used as the position sensor 230 or 330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o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f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is mounted inside the 20, the user may adversely affect other electronic devices or credit cards, and if the device such as the optical sensor is applied to the position sensors 230 and 330, the portable terminal 10 Or, due to spatial constraints in the battery pack 20, it may be difficult to design.

따라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서는, 휴대 단말기(10)를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 올려놓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510)가 추가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510 which can be used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500 is added.

케이스(510)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에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홈(511) 내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 도 1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5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10)는 책의 표지 또는 수첩의 케이스 등과 같이 덮개를 갖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510 is a substantially plate-shaped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511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on one side. In the accommodating groove 511, a connection terminal 512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3 (see FIG.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installed. The case 5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 a cover such as a cover of a book or a case of a notebook.

또, 케이스(510)에는, 본체(520) 내에 설치된 위치센서(530)가 홀센서인 경우에 이 홀센서를 작동하게 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미도시)이 상응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 및 케이스(510)가 본체(520) 상의 정위치에 놓이면 자석의 자력이 홀센서에 영향을 미쳐 홀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5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5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510, when the position sensor 5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520 is a hall sensor,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not shown) for operating the hall sensor is moun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ase 510 ar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main body 520,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ffects the hall sensor, and sends a signal from the hall sensor to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ing signal is sent to the LED 524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lig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520.

예컨대, 위치센서(530)로 광학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510)의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본체(520)에는 수광센서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 및 케이스(510)가 본체(5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발광센서로부터 나온 빛이 수광센서에 영향을 미쳐 수광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5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5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n optical sensor is used as the position sensor 530, a light emitting sensor (not shown) is moun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ase 510,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520.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ase 510 ar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main body 520,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affects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sends a signal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the controller described later. The ligh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ED 524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lign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520.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서, 본체(520) 및 지지부(540)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 300)와 동일하다. 예시를 위해 도 1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서 미설명부호 522는 가로걸림턱을 표시하고 있다.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520 and the support 540 is a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00). 11 illustrates the cradle shown in FIGS. 4 and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11, reference numeral 522 denotes a horizontal jaw.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520)에는 케이스(510)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10)가 놓여 충전될 수 있다.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in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 accommodated in the case 510 may be placed and charged in the main body 520.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520)는 제1정류부(525), 고주파 발생회로(526), 1차 코일(5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525 ~ 527)은 모두 본체(520)의 내부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main body 520 includes a first rectifying unit 525, a high frequency generating circuit 526, and a primary coil 527. These components 525 to 527 are all installed inside the body 520.

한편, 케이스(510)는 2차 코일(513), 제2정류부(514)로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10)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는 배터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2차 코일(513), 제2정류부(514) 등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510 includes a secondary coil 513 and a second rectifying unit 51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3 detachably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513, the second rectifier 514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본체(520)는 외부의 상용 전원(30)을 이용하여 1차 코일(527)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케이스(510)는 1차 코일(5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2차 코일(513)에 생성된 유도전류를 제2정류부(514)를 경유하여 휴대 단말기(10)에 있는 배터리(23)에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는 연결단자(512)를 매개로 하여 제2정류부(514)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는다. 본체(520)에 공급되는 상용 전원(30)은 주로 상용 교류 전원이지만, 경우에 따라 직류 전원일 수도 있다. The main body 520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primary coil 527 by us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30, and the case 510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secondary coil 513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527. The generated induced current is provided to the battery 23 in the mobile terminal 10 via the second rectifying unit 514. The battery 23 of the portable terminal 10 receives the DC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rectifying unit 514 via the connection terminal 512. The commercial power supply 30 supplied to the main body 520 is mainly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but may be a DC power supply in some case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본체(520)의 1차 코일(527)에 발생한 자계에 의해 케이스(510)의 2차 코일(513)에서 유도전류가 생성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에 충전되는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for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ary coil 513 of the case 510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527 of the main body 520.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and is charged to the battery 23 of the mobile terminal 10.

한편,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513)의 축 방향은 1차 코일(5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523) 또는 받침턱(미도시)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oil 527 and the secondary coil 513 is composed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woun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513 is the same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527.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527 and the secondary coil 513 should be adjacent to the sufficient magnetic flux linkage so that the appropriate power can be transferred to increase the charging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s 527 and the secondary coils 513 should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ing of the primary coils 527 and the secondary coils 513 is the vertical jaw 523 or the support jaw. It can be made simply by mechanical means such as (not shown).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는, 지지부(540)를 통과하여 본체(520) 내 1차 코일(5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5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527 in the main body 520 through the support 540. One of the power supply circuits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to supply an optimum current suitable for the mobile terminal 10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Can be controlled.

더욱이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케이스(510)가 개재된 채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 거치되어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1,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charged on the portable charger-compatible crad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ase 510 interposed therebetween to charge or perform a call. The user can conveniently watch various video media us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t is easy to operate the touch screen or the button with one hand.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위치센서(230, 330)가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의 본체(120, 420) 내에 위치센서가 내장됨으로써, 본체(120, 4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position sensors 230 and 330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of the first and fourth embodiments. Bar, the position sensor is built in the main body 120, 420 of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20, 420) This becomes possible.

다른 예로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310)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의 본체 내에 위치센서가 내장되는 경우에 본체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case 310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wireless charger dual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sensor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of the dual charger charg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possible.

따라서,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500 :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10 : 휴대 단말기
20 : 배터리 팩
30 : 상용 전원
120, 220, 320, 420, 520 : 본체
140 : 제1지지부
160 : 제2지지부
230, 330, 530 : 위치센서
240, 340, 440, 540 : 지지부
510 : 케이스
100, 200, 300, 400, 500: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mobile terminal
20: battery pack
30: commercial power
120, 220, 320, 420, 520: main body
140: first support
160: second support
230, 330, 530: Position sensor
240, 340, 440, 540: support
510: Case

Claims (2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 가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제1정류부, 고주파 발생회로 및 1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2차 코일과 제2정류부를 구비하고,
배터리가 상기 제2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상기 가로걸림턱 및 상기 세로걸림턱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하여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의 중심맞춤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A main bod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high frequency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ing wirelessly via a portable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In the main body, a horizontal locking jaw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locking jaw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body has a first rectifying unit, a high frequency generating circuit and a primary coil,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econdary coil and a second rectifying unit,
The battery is detachably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ctifying uni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jaw jaw and the vertical jaw jaw serve as a reference for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centering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Wireless charger hold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힌지가 개재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A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having a hing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세로받침과,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상기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가로받침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턱이 돌출하여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body has a longitudinal support that is spaced apart by the sam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is moved downward by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Stand for wireless charger combined with a protruding pedestal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verse st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선정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pair of position charger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pair of position sensors detect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correc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홀센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osition sensor is a hall sensor,
Corresponding holder of the wireless charger is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광학센서인 수광센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발광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osition sensor is a light receiving sensor that is an optical sensor,
Corresponding holder of the wireless charger i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sens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 1차 코일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One side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ower input terminal so that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e wireless charger combined cradle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코일의 축 방향과 상기 2차 코일의 축 방향은 동일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s made of a single coil or a plurality of coil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is the same charger charger.

KR2020110006157U 2011-07-06 2011-07-06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74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en) 2011-07-06 2011-07-06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en) 2011-07-06 2011-07-06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58U KR20130000358U (en) 2013-01-16
KR200467441Y1 true KR200467441Y1 (en) 2013-06-14

Family

ID=5242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en) 2011-07-06 2011-07-06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41Y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49B1 (en) * 2013-06-18 2015-01-26 주식회사 대동 Apparatus to fix a mobile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KR20150069952A (en)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101819855B1 (en) * 2017-02-20 2018-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upporter
KR20180108317A (en) * 2017-03-24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aspect of a cradle i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135304B2 (en) 2013-09-05 2018-11-20 Lg Innotek Co., Ltd. Supporter
KR20200135748A (en) * 2013-12-16 2020-12-03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20220168052A (en) * 2021-06-15 2022-12-22 유광용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tablet PC
KR20230014213A (en) 2021-07-21 2023-01-30 김성윤 Mobile phone cradl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KR20230024021A (en)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Wireless charger
WO2023080415A1 (en)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US11763703B2 (en) 2021-11-0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944B1 (en) * 2013-02-06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4181909A1 (en) * 2013-05-07 2014-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device for sterilizing same
KR102019869B1 (en) * 2013-05-10 2019-09-10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old Type Wireless Power Charger
KR101443007B1 (en)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50115256A (en) * 2014-04-03 2015-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harger
KR101579683B1 (en) * 2014-05-30 2015-12-22 추진우 Smartphone charging dock
KR102059810B1 (en) 2014-10-10 2019-12-30 주식회사 위츠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6786920B (en) * 2015-02-16 2019-10-29 李明渊 Wireless charging type mobile power source
KR101707119B1 (en) * 2015-06-08 2017-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KR101699621B1 (en) * 2015-09-10 2017-01-24 정규홍 Connecting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WO2017069326A1 (en) * 2015-10-21 2017-04-27 권의준 Portable-terminal cradle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terminal
KR101702244B1 (en) * 2015-12-09 2017-02-02 정규홍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2093478B1 (en) * 2018-11-09 2020-04-20 (주)파트론 A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N109217440B (en) * 2018-11-21 2024-01-19 东莞市浩力升电子科技有限公司 Wireless charger capable of being used as mobile phone support
US11070098B2 (en) 2019-01-16 2021-07-20 Google Llc Wireless charger with adaptive alignment assistance
KR20210044421A (en)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팝폰 Charger for mobile phone with UV lamp
KR102320154B1 (en) * 2019-11-28 2021-11-29 주식회사 드리온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a holding function for a mobile 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en)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A combination case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15264A (en) * 2005-07-30 2007-02-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Rechargeable power supply, battery device, contact-less charger systems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c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en)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A combination case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15264A (en) * 2005-07-30 2007-02-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Rechargeable power supply, battery device, contact-less charger systems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cell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49B1 (en) * 2013-06-18 2015-01-26 주식회사 대동 Apparatus to fix a mobile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US10135304B2 (en) 2013-09-05 2018-11-20 Lg Innotek Co., Ltd. Supporter
US10923965B2 (en) 2013-09-05 2021-02-16 Lg Innotek Co., Ltd. Supporter
KR102261384B1 (en) 2013-12-16 2021-06-09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102182669B1 (en) * 2013-12-16 2020-11-26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20200135748A (en) * 2013-12-16 2020-12-03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20150069952A (en)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101819855B1 (en) * 2017-02-20 2018-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upporter
KR20180108317A (en) * 2017-03-24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aspect of a cradle i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2380348B1 (en) * 2017-03-24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aspect of a cradle i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220168052A (en) * 2021-06-15 2022-12-22 유광용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tablet PC
KR102570376B1 (en) * 2021-06-15 2023-08-25 유광용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tablet PC
KR20230014213A (en) 2021-07-21 2023-01-30 김성윤 Mobile phone cradl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KR20230024021A (en)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Wireless charger
WO2023080415A1 (en)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US11763703B2 (en) 2021-11-0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58U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441Y1 (en)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0389160B2 (en) Car charger and cradle with wireless charging connectivit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US8143850B2 (en) Inductive charger battery replacement system and device
KR101285084B1 (en) Wireless charger with cradling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WO2019142807A1 (en) Wearable device, and battery and power feed system used in said wearable device
TWM493192U (en) Wireless charging dock in flat or angled position
KR101250267B1 (en)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wireless for car
JP3996171B2 (en) Battery pack lid providing non-contact charging interface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battery pack lid
JP2012019666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266446B1 (en) A charger
JP6102946B2 (en) Mobile terminal and non-contact charging method thereof
JP5490626B2 (en) Charger
JP2004260917A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15517293A (en) Automatic positioning wireless charger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28137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160145963A (en) Wireless charging holder to be moved a coil attachment portion to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JP2014087137A (en) Contactless charger
KR20140062837A (en)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support typ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571552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uxiliary battery device
KR20170020058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259784B1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170142738A (en) Hybrid charger to charge using the USB and wired and wireless
US20220035170A1 (en)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accessory
CN104426193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