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340Y1 - 신발 주머니 - Google Patents

신발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340Y1
KR200467340Y1 KR2020130001635U KR20130001635U KR200467340Y1 KR 200467340 Y1 KR200467340 Y1 KR 200467340Y1 KR 2020130001635 U KR2020130001635 U KR 2020130001635U KR 20130001635 U KR20130001635 U KR 20130001635U KR 200467340 Y1 KR200467340 Y1 KR 200467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ag
slipper
coupling means
sho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영 filed Critical 정진영
Priority to KR202013000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3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2Bag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는 개방되어 신발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본체를 포함하는 신발 주머니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에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외면에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에 장착된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상기 결합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에는 실내화를 수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옥외용 신발은 신발 주머니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실내화는 실내화용 주머니에 수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실내화가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화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분리하여 세탁함에 의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내화의 청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신발 주머니 본체 그 자체로는 하나의 수납공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 본체 자체의 세탁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신발 주머니{Shoes Sack}
본 고안은 신발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착탈가능하게 신발 주머니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은 신발 주머니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실내화는 실내화용 주머니에 수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실내화가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분리하여 세탁함에 의하여 편리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신발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신발 주머니는 주로 학생이 학교의 실내공간에서 신는 실내화를 넣고 다니는 가방의 일종이다. 학생들은 등교 및 하교 시에는 신발 주머니에 실내화를 넣고 다니지만, 학교에서는 실내화를 신고 신발 주머니에는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을 넣어둔다. 하나의 수납공간이 있는 신발 주머니에 실내화와 옥외용 신발을 번갈아 수납하는 것은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신발 주머니가 더럽혀진 후 실내화가 오염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깨끗한 실내화를 신기 위해서는 자주 실내화를 세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를 자주 세탁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발 주머니의 수납공간을 격벽으로 분리하여 제1 수납공간에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고 제2 수납공간에는 실내화를 수납하는 신발 주머니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신발 주머니에 대한 제안은 특허등록 제10-0870497호(2008. 11. 19. 등록), 실용신안공개 제1999-0023736호(1999. 07. 05. 공개), 실용신안등록 제20-0247205호(2001. 09. 06.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제1 수납공간과 제2 수납공간을 잘 구분하지 않고 정해진 수납공간에 정해진 신발을 수납하지 않는 경우 수납공간을 구분해 놓은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은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일수록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신발 주머니에는 실내화만 담겨지거나 옥외용 신발만 담겨지게 되며, 실내화와 옥외용 신발이 동시에 담겨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1 수납공간과 제2 수납공간의 부피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의 신발 주머니의 경우에는 하나의 수납공간은 항상 사용되지 않아 신발 주머니의 크기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신발 주머니는 비효율적이다. 또한 격벽에 의하여 제1 수납공간과 제2 수납공간으로 분리된 공간을 가지는 신발 주머니는 학생이 혼동하여 잘못 사용한 경우 실내화를 깨끗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화를 세탁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 자체를 세탁하여야 하지만, 신발 주머니 자체를 세탁하는 것은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신발 주머니를 세탁하는 것보다 귀찮고 어려운 일이다.
한편,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7625호(2010. 07. 29. 공개)는 착탈식 신발주머니를 개시한다. 이 고안이 제시하는 착탈식 신발주머니는 어린 학생이 소지하는 책가방에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것이며, 책가방에 신발주머니를 부착시킴으로써 어린 학생이 신발주머니를 들고나니는 불편함과 신발주머니를 듦으로써 손의 자유가 제약되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착탈식 신발주머니는 책가방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신발주머니, 특히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신발주머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주머니는 위에서 언급한 신발주머니 자체의 단점을 전혀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화가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실내화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화를 착탈가능한 실내화용 주머니에 수납함으로써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분리하여 세탁함에 의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내화의 청결을 달성할 수 있게 신발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 주머니 자체는 하나의 수납공간만을 가지고 있어 신발 주머니 자체의 세탁이 용이한 신발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는 개방되어 신발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본체를 포함하는 신발 주머니이다. 상기 신발 주머니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 또는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에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외면에 또는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외면에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에 장착된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상기 결합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에는 실내화를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그리고 단추와 단추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바닥은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그물 형태의 주머니이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내면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에 실내화를 수용하고 상기 내면 결합수단을 체결하며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세탁하는데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포켓이 형성된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조 포켓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후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 중 하나에만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로부터 실내화를 꺼낸 후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결합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하단부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한 후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 옥외용 신발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에는 대응되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로부터 실내화를 꺼낸 후 상기 보조 포켓이 없는 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보조 포켓이 있는 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하단부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한 후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 옥외용 신발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내면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할 때 상기 내면 결합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착탈가능하게 신발 주머니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은 신발 주머니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실내화는 실내화용 주머니에 수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실내화가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화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분리하여 세탁함에 의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내화의 청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신발 주머니 본체 그 자체로는 하나의 수납공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 본체 자체의 세탁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주머니에서 실내화용 주머니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주머니에서 실내화용 주머니에 실내화를 넣을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주머니에서 실내화용 주머니를 보조 포켓에 넣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발 주머니에서 채용하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는 신발 주머니 본체(100)를 가진다. 신발 주머니 본체(100)는 전면(110), 후면(120), 좌측면(130), 우측면(140) 및 바닥면(150)으로 둘러싸인 수납공간(155)을 가지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수납공간(155)에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종래의 신발 주머니와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다는 점에서 그러한 종래의 신발 주머니와 다르다.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는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수납공간(155) 내에 수용되는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더 포함한다.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전면(210), 후면(220), 바닥면(230), 좌측면(260) 및 우측면(270)으로 이루어진다.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전면, 후면 및 바닥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전면(210) 및 후면(220)의 외면에는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241 내지 246)이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전면(210)과 후면(220) 모두에 결합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면(210)과 후면(220) 중 하나에만 결합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결합수단은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단추와 단추구멍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스냅단추가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두개의 동심원으로 표현된 스냅단추는 스냅단추의 결합부분이 해당 시야각에서 보이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하나의 원으로 표현된 스냅단추는 스냅단추의 결합부분이 해당 시야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실선으로 표시된 스냅단추는 육안으로 보이는 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스냅단추는 육안으로 보이는 면의 이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전면(210) 및 후면(220)의 내면에도 내면 결합수단(251 내지 254)이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결합수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도면에는 마찬가지로 스냅단추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냅단추는 맞은편에 있는 것과 결합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전면(210)의 내면에는 암스냅단추가 설치되고 후면(220)의 내면에는 숫스냅단추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신발 주머니 본체(100)에 장착되어 수납공간(155)에 수용되는데, 이를 위하여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의 내면에는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결합수단(241 내지 246)에 대응하여 그것과 결합하는 결합수단(161 내지 166)이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전면(210)의 외면에 스냅단추(244 내지 246), 예를 들어 숫스냅단추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전면(110)의 내면에는 스냅단추(164 내지 166), 예를 들어 암스냅단추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결합수단들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후면(220)의 외면에 스냅단추(241 내지 243), 예를 들어 숫스냅단추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후면(120)의 내면에는 스냅단추(161 내지 163), 예를 들어 암스냅단추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결합수단들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는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수납공간(155)에는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고, 실내화용 주머니(200)에는 실내화를 수납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수납공간(155)에 옥외용 신발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결합수단들(241 내지 246; 이하 '240'으로 통칭함)과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결합수단들(161 내지 166; 이하 '160'으로 통칭함)을 체결하면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수납공간(155)을 차지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는 어린 학생이라도 실내화용 주머니(200)에 옥외용 신발을 넣지 말아야 함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는 어린 학생이 분리된 공간의 구별없이 실내화와 옥외용 신발을 넣음으로써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실내화가 오염되는 일이 없게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동일한 칫수의 실내화라 하더라도 실내화는 운동화와 같은 옥외용 신발보다 부피가 작다. 본 고안에서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수납공간(155)보다 부피가 작다. 따라서, 수납공간(155)에 실내화용 주머니(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부피가 작아 실내화용 주머니(200)에 옥외용 신발을 넣기가 불편하므로 사용자(학생)은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수납공간(260)에 옥외용 신발을 넣는 잘못된 사용을 행하지 않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바닥은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바닥면(15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실내화용 주머니(200)가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바닥면(150)에 닿지 않아 실내화용 주머니(200)가 오염되는 일이 없게 된다.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를 도 2의 상태로 설치한 후 실내화용 주머니(200)에 실내화를 수용하여 등교 또는 하교를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학교에 도착한 후에는 신발 주머니(10)로부터 실내화를 꺼내어 신고, 옥외에서 신고 있던 옥외용 신발을 신발 주머니(10)에 넣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실내화를 꺼낸 후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전면(110)에 부착된 결합수단들(160)과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전면(210)에 부착된 결합수단들(240) 간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런 후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전면(210) 및 후면(220)의 내면에 부착된 내면 결합수단들(251 내지 254; 이하 '250'으로 통칭함)을 서로 결합시킨다. 그러면, 실내화용 주머니(200)에 의하여 막혔던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수납공간(155)은 상부로부터 열려지게 되고 사용자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공간(155)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옥외용 신발을 수납공간(155)에 넣을 때 실내화용 주머니(200)가 옥외용 신발을 수납공간(155)에 넣는 것을 확실하게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수납공간(155)에 수용된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실내화용 주머니(200)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그러한 추가적 수단은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후면(120)의 내면에 보조 포켓(180)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내면 결합수단(250)을 체결한 후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보조 포켓(180)에 수용한다. 그러면,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공간(155)에 넣을 때 확실하게 그것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또한 보조 포켓(180)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옥외용 신발에 의하여 더럽혀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에서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별도로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내화의 청결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에서 신발 주머니 본체(100)는 하나의 수납공간(155)만을 가지므로 신발 주머니 본체 자체의 세탁이 용이하므로 편리하다.
보조 포켓(180)은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그것이 큰 부피를 차지할 필요는 없으며, 신발 주머니 본체(100)의 후면(120)에 밀착하여 붙어있는 정도이면 충분하고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것의 상단부에는 고무로 된 탄성밴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그물 형태의 주머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실내화용 주머니(200)에 실내화가 수용된 채로 실내화용 주머니(200)의 내면 결합수단(250)을 체결하고 실내화용 주머니(200)를 신발 주머니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세탁기에 투입하여 실내화를 세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실내화용 주머니(200)는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10)에서 실내화를 수용하는 분리된 공간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실내화를 다른 세탁물과 함께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10: 신발 주머니 100: 신발 주머니 본체
110: 전면 120: 후면
130: 좌측면 140: 우측면
150: 바닥면 155: 신발주머니 수납공간
160,161,162,163,164,165,166: 신발주머니 스냅단추(암스냅단추)
170: 신발주머니 손잡이 180: 보조 포켓
190: 외부 포켓 200: 실내화용 주머니
210: 전면 220: 후면
230: 바닥면
240,241,242,243,244,245,246: 실내화용 주머니 외면 스냅단추(숫스냅단추)
250,251,252,253,254: 실내화용 주머니 내면 스냅단추
260: 실내화용 주머니 수납공간

Claims (7)

  1.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는 개방되어 신발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본체를 포함하는 신발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신발 주머니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실내화용 주머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 또는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에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외면에 또는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외면에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에 장착된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상기 결합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는 옥외용 신발을 수납하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에는 실내화를 수납하는 것이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포켓이 형성된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조 포켓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후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하나에만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로부터 실내화를 꺼낸 후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결합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하단부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한 후 상기 신발 주머니의 상기 수납공간에 옥외용 신발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에는 대응되는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로부터 실내화를 꺼낸 후 상기 보조 포켓이 없는 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보조 포켓이 있는 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하단부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한 후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 옥외용 신발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그리고 단추와 단추구멍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바닥은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닿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는 그물 형태의 주머니이고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내면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에 실내화를 수용하고 상기 내면 결합수단을 체결하며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상기 신발 주머니 본체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별도로 세탁하는데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의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내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내면 결합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신발 주머니의 사용자는 상기 실내화용 주머니를 상기 보조 포켓에 수용할 때 상기 내면 결합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발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
KR2020130001635U 2013-03-05 2013-03-05 신발 주머니 KR200467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5U KR200467340Y1 (ko) 2013-03-05 2013-03-05 신발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5U KR200467340Y1 (ko) 2013-03-05 2013-03-05 신발 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340Y1 true KR200467340Y1 (ko) 2013-06-13

Family

ID=5138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35U KR200467340Y1 (ko) 2013-03-05 2013-03-05 신발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09B1 (ko) 2018-04-30 2019-06-10 김동록 똑딱이 단추 주머니 결합 구조 및 결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216B1 (ko) 1998-10-21 2000-12-15 박진철 신발 주머니_
KR100870497B1 (ko) 2007-09-10 2008-11-25 신해규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216B1 (ko) 1998-10-21 2000-12-15 박진철 신발 주머니_
KR100870497B1 (ko) 2007-09-10 2008-11-25 신해규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09B1 (ko) 2018-04-30 2019-06-10 김동록 똑딱이 단추 주머니 결합 구조 및 결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935B2 (en) Shoe bag
US10099099B2 (en) Golf accessories for cleaning hands or equipment
EP2114194B1 (en) Amenities case
US20170245731A1 (en) Footwear Bag With Attached Mitten
US20180360179A1 (en) Tote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free standing inserts
KR200467340Y1 (ko) 신발 주머니
US20120193386A1 (en) Pac-a-poo
US20160135561A1 (en) Bag apparatus
KR200441409Y1 (ko) 분리대가 구성된 실내화 주머니
US20190039817A1 (en) Compartmented footwear bag
KR101335357B1 (ko) 실내외 겸용 신발
KR200493603Y1 (ko) 골프 가방
US10092144B2 (en) Golf accessories for cleaning hands or equipment
KR101928305B1 (ko) 아웃솔 탈부착형 실내외 겸용 슈즈
JP3218072U (ja) ゴルフ用小物入れ
KR200463635Y1 (ko) 보조 수납 공간이 마련된 가방
KR20090008514U (ko) 분리형 실내화주머니
KR101550310B1 (ko) 확장 및 개방이 가능한 위생 신발주머니
KR101718621B1 (ko) 안감 교체형 가방
KR20130014858A (ko) 포켓이 다수 형성된 신발주머니
CN104055265A (zh) 洁地鞋
KR200462540Y1 (ko) 다용도 보관망
JP3101922U (ja) 履物をはいたまま着る腰までの雨具
WO2009002650A1 (en) Boots, wash bag and outer container combination
US20070238594A1 (en) Protective shoe carrier bag for traveling and home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