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64Y1 - 파고라 기둥 - Google Patents

파고라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64Y1
KR200467064Y1 KR2020110011418U KR20110011418U KR200467064Y1 KR 200467064 Y1 KR200467064 Y1 KR 200467064Y1 KR 2020110011418 U KR2020110011418 U KR 2020110011418U KR 20110011418 U KR20110011418 U KR 20110011418U KR 200467064 Y1 KR200467064 Y1 KR 200467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ube
side plate
panel
coupled
pago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to KR2020110011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용 기초관에 알루미늄 측판과 판넬을 부착함으로써, 측판에 결합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파고라 기둥을 제공한다. 또한, 측판 및 판넬은 주변 환경과 대응되는 무늬 및 문양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설치 후 별도의 도색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판넬을 목재 무늬로 제작하여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파고라 기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 기둥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기둥의 중심을 이루는 기초관(20)과;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결합되는 측판(30)과; 측판(30)에 결합되어 기초관(20)의 전면(24) 및 후면(26)을 보호하기 위한 판넬과;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고라 기둥{PERGOLA POST}
본 고안은 파고라 기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용 기초관에 알루미늄 측판과 판넬을 부착함으로써, 측판에 결합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파고라 기둥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고밀도 압축 판넬을 주변 환경과 대응하는 무늬 및 문양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설치 후 별도의 도색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목재 무늬로 제작하여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파고라 기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의 주거환경 중에서 휴게시설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아파트 단지 내에 놀이터 및 노인회관 등이 형성되고, 주거공간 주변에는 크고 작은 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을 벗어난 공단이나 고층건물이 밀집한 상업지역에서도 시민들이 쉴 수 있는 휴게시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휴게소, 어린이 놀이터 등의 휴게 공간에는 햇볕을 피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그늘막, 정자, 원두막 등으로 구성되는 파고라(Pergola)가 설치되어있다.
이와 같이 공원이나 휴게소, 어린이 놀이터 등의 휴게 공간에 주로 설치되는 파고라의 기둥은 주로 철재 또는 목재를 주재료로 제작되어있다. 이 중에서 철재(스틸:STL) 기둥에 피막 또는 도색 처리를 통해 제작이 되어있어 주변 환경과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도장된 기둥의 도막이 떨어진 자리가 노출되고, 부식이 되어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하자 발생요인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다른 예로 기둥을 나무로 제작한 경우에는 주변 환경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지만, 비를 맞고 햇볕을 받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목재의 특성에 따라 연결 못을 사용한 곳부터 갈라지거나 뒤틀림,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목재가 변질 및 파괴되면서 구조 자체의 강도를 떨어뜨리거나 사고의 위험을 높이고 있어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파고라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305호)에 마감판(1B)의 측부 적소에 요입 구성되며 횡보(2)의 일단을 끼워 지지시키기 위한 삽지홈(100)과; 삽지홈(100)을 통해 측방으로 노출되는 스틸 관체(1A)의 노출면(1A')에 천공되는 다수의 볼트공(200)과; 설치공(330)을 통해 횡보(2)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끼워 설치되며 볼트공(200)과 동일 간격의 나사공(310)과, 머리부에 나사공 위치세팅용 조절홈(320)을 가진 횡보 삽지봉(300)과; 볼트공(200) 및 나사공(310)과 일직선으로 일치하는 상태로 횡보(2)의 선단부에서 설치공(330)까지 관통되는 볼트 안내공(400)과; 스틸 관체(1A)의 내부에서 볼트공(200)과 볼트 안내공(400)을 거쳐 횡보 삽지봉(300)의 나사공(310)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 볼트(50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고라는 실외에 설치되는데, 상기의 종래기술은 금속재질의 관체의 내부 공간과 관체 외측의 공기가 분리되어 있어 온도차에 의한 관체 표면에 결로현상에 따른 수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분의 발생은 파고라 기둥에 사용되는 금속 재질의 관체 하부가 지중에 삽입되면서 발생하는 외부와의 온도 차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 발생은 스틸 재질의 기둥 관체에 부식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은 금속 재질의 관체 표면에 목재 재질의 마감재가 밀착되어 설치되는데, 방수처리가 되지 않은 목재 마감재의 내측면과 수분이 발생한 관체 표면이 접촉하게 되면 목재가 수분에 의해 부후하게 된다. 이는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305호(2006. 04. 12 등록) 조립식 시설물의 횡보 연결구조
따라서 본 고안은 파고라 기둥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용 기초관과 측판에 결합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구조용 기초관의 외각에 알루미늄 판넬과 고밀도 압축 판넬을 부착하여 구조용 기초관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판넬이 측판에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제작이 간편한 새로운 형태의 파고라 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밀도 압축 판넬을 주변 환경과 대응하는 무늬 및 문양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설치 후 별도의 도색작업이 필요하지 않는다. 특히 고밀도 압축 판넬의 무늬를 목재와 동일한 질감으로 제작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파고라 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공원이나 휴게소, 어린이 놀이 등의 야외에는 햇빛을 피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파고라를 지지하기 위한 파고라 기둥에 있어서,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기둥의 중심을 이루는 기초관(20)과; 상기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결합되는 측판(30)과; 상기 측판(30)에 결합되어 상기 기초관(20)의 전면(24) 및 후면(26)을 보호하기 위한 판넬과; 상기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 기둥에서 상기 측판(30)은 몸체(32)와; 상기 몸체(32)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기초관(20)의 측면(22)이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홀(38)을 갖는 제 1 돌출단(34)과; 상기 제 1 돌출단(34)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40)이 삽입되도록 제 2 돌출단(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 기둥에서 상기 판넬(40)은 상기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자연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목재무늬의 고밀도 압축 판넬(42)과; 상기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고밀도 압축 판넬(4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관(2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 판넬(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 기둥에서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측커버(52)와; 상기 기초관(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기초관커버(54) 및; 상기 측판(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판(30)의 몸체(32)에 결합되는 측판하측커버(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 기둥에 의하면, 구조용 기초관에 알루미늄 판넬과 고밀도 압축 판넬을 부착함으로써, 측판에 결합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고, 기초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이 측판에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보다 간편하게 제작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밀도 압축 판넬은 주변 환경과 대응하는 무늬 및 문양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설치 후 별도의 도색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무늬를 목재와 동일한 질감으로 제작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e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4e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10)은 기초관(20), 측판(30), 판넬(40) 및 커버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초관(20)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기둥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직바(23)와 수직바(23)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바(23)를 연결하기 위한 수평바(25)를 포함하여 사다리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기초관(20)을 수직바(23)와 수평바(25)를 포함하는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사각형상에 비해 무게를 절감하고, 자재의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초관(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다리 모양을 기본으로 하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측판(30)은 몸체(32)와 몸체(32)로부터 돌출되고,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삽입되어 볼트(31)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홀(38)을 갖는 제 1 돌출단(34)과 제 1 돌출단(34)의 외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판넬(40)이 삽입되도록 제 2 돌출단(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32)는 외관상으로 미려하기 위해 반원 형상을 갖고, 내부는 자재비 절감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33)이 형성되고, 제 1 돌출단(34)에 형성되는 볼트홀(38)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볼트(31)에 의해 기초관(20)에 결합되어 진다.
판넬(40)은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자연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목재무늬의 고밀도 압축 판넬(42)과,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고밀도 압축 판넬(42)의 상측에 위치되어 기초관(2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 판넬(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부재(50)는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측커버(52)와 기초관(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기초관커버(54) 및 측판(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측판(30)의 몸체(32)에 결합되는 측판하측커버(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측커버(52)는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결합되는 측판(30)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평판(52a)으로 이루어져 이 평판(52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측판(30)의 중공(33)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부(52b)를 갖는다.
기초관커버(54)는 기초관(20)의 전면(24)과 후면(26) 및 양측면(22)과 대응되도록 박스 형상을 갖고, 기초관(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측판하측커버(56)는 측판(30)의 몸체(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판(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10)은 기초관(20)과 측판(30)을 결합하는 제 1 돌출단(34)의 볼트(31)가 제 1 돌출단(34)과 제 2 돌출단(36) 사이에 삽입되는 판넬(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판넬(40)이 측판(30)의 상측을 통해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제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측판(30) 및 판넬(40)은 주변 환경과 대응되는 무늬 및 문양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설치 후 별도의 도색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고밀도 압축 판넬(42)을 목재무늬로 구성함으로써 자연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측판(30) 및 판넬(40)의 알루미늄 판넬(44)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가볍고, 녹이 잘 슬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부식을 방지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파고라 기둥(1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측판(30)의 제 1 돌출단(34)을 끼운 후 고정시키기 위해 측판(30)에 형성된 볼트홀(38)에 볼트(31)를 이용하여 기초관(20)에 결합시키고, 기초관(20)에 결합된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고밀도 압축 판넬(42)을 먼저 삽입 후 알루미늄 판넬(44)을 삽입한 뒤, 기초관(20), 측판(30), 판넬(40)이 결합된 상태의 기둥의 상측을 덮기 위해 상측커버(52)에 형성된 끼움부(52b)를 측판(30)의 중공(33)에 끼워 결합한 뒤, 기초관(20)의 하측을 기초관커버(54)에 끼워 결합한 뒤, 측판(30)의 하측을 덮기 위해 측판하측커버(56)를 측판(30)의 하측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고라 기둥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파고라 기둥
20 : 기초관 22 : 양측면
24 : 전면 26 : 후면
30 : 측판 32 : 몸체
34 : 제 1 돌출단 36 : 제 2 돌출단
38 : 볼트홀 40 : 판넬
42 : 고밀도 압축 판넬 44 : 알루미늄 판넬
50 : 커버부재 52 : 상측커버
54 : 기초관커버 56 : 측판하측커버

Claims (4)

  1. 공원이나 휴게소 및 휴게 공간에 설치되는 파고라를 지지하기 위한 파고라 기둥에 있어서,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기둥의 중심을 이루는 기초관(20)과;
    상기 기초관(20)의 양측면(22)에 결합되는 측판(30)과;
    상기 측판(30)에 결합되어 상기 기초관(20)의 전면(24) 및 후면(26)을 보호하기 위한 판넬(40)과;
    상기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기초관(20), 측판(30) 및 판넬(4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측커버(52)와;
    상기 기초관(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기초관커버(54) 및;
    상기 측판(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판(30)의 몸체(32)에 결합되는 측판하측커버(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 기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0)은 몸체(32)와;
    상기 몸체(32)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기초관(20)의 측면(22)이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홀(38)을 갖는 제 1 돌출단(34)과;
    상기 제 1 돌출단(34)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40)이 삽입되도록 제 2 돌출단(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 기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40)은 상기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자연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목재무늬의 고밀도 압축 판넬(42)과;
    상기 측판(30)의 제 2 돌출단(36)의 상측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고밀도 압축 판넬(4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관(2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 판넬(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 기둥.
  4. 삭제
KR2020110011418U 2011-12-22 2011-12-22 파고라 기둥 KR200467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18U KR200467064Y1 (ko) 2011-12-22 2011-12-22 파고라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18U KR200467064Y1 (ko) 2011-12-22 2011-12-22 파고라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64Y1 true KR200467064Y1 (ko) 2013-05-23

Family

ID=5367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18U KR200467064Y1 (ko) 2011-12-22 2011-12-22 파고라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666B1 (ko) * 2020-10-29 2021-05-12 이영우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기둥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9Y1 (ko) * 2004-09-15 2004-12-14 예건산업주식회사 조경시설물용 다목적 기둥
KR100847690B1 (ko) 2008-05-06 2008-07-23 한국조경건설(주) 기둥구조
KR100920250B1 (ko) 2009-02-19 2009-10-05 (주)이.피.엘 충격 흡수력을 갖는 놀이 시설물용 기둥
KR200451029Y1 (ko) * 2010-04-16 2010-11-19 (주)스페이스톡 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9Y1 (ko) * 2004-09-15 2004-12-14 예건산업주식회사 조경시설물용 다목적 기둥
KR100847690B1 (ko) 2008-05-06 2008-07-23 한국조경건설(주) 기둥구조
KR100920250B1 (ko) 2009-02-19 2009-10-05 (주)이.피.엘 충격 흡수력을 갖는 놀이 시설물용 기둥
KR200451029Y1 (ko) * 2010-04-16 2010-11-19 (주)스페이스톡 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666B1 (ko) * 2020-10-29 2021-05-12 이영우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기둥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349Y1 (ko)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CN102691352B (zh) 模块化集成房屋
KR200467064Y1 (ko) 파고라 기둥
CN104563427B (zh) 一种釉面装饰保温一体化外墙板及其制作工艺
KR101037725B1 (ko) 기둥 구조물
JP5686756B2 (ja) パネル塀
CN104453034B (zh) 一种倾斜隐框玻璃幕墙的连接结构
CN207314701U (zh) 一种造型柱和支撑体
CN201605695U (zh) 单元组合式曲面采光屋顶
JP3146988U (ja) 建物の構造
CN102691458A (zh) 大型仿古金属组合月亮门及其施工方法
CN103046675A (zh) 一种室外设有大尺寸百叶的内倾斜玻璃幕墙
CN203514682U (zh) 一种y型钢板包柱系统
KR100444155B1 (ko) 구형 조립식건축물 및 그 건축방법
CN205894282U (zh) 一种模块化装配速建木屋
CN212716073U (zh) 一种玻璃廊架
CN202577752U (zh) 轻钢筑巢集成房新型墙体板
CN208981715U (zh) 一种装配式罗马柱
CN215519618U (zh) 一种立柱外层安装结构
CN112523453B (zh) 铝合金仿古建筑结构
CN211342011U (zh) 一种胶合木组合混凝土形成的楼体框架结构
KR200442130Y1 (ko) 조립식 지주
CN218029229U (zh) 独立空间构架体系的具有外侧装饰构件的平台单体
CN210622019U (zh) 一种钢结构建筑外墙
CN214785387U (zh) 一种屋面装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