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65Y1 - Multi-function moniter bas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moniter b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65Y1
KR200466865Y1 KR2020130001632U KR20130001632U KR200466865Y1 KR 200466865 Y1 KR200466865 Y1 KR 200466865Y1 KR 2020130001632 U KR2020130001632 U KR 2020130001632U KR 20130001632 U KR20130001632 U KR 20130001632U KR 200466865 Y1 KR200466865 Y1 KR 200466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base
cable
usb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202013000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는 베이스에 USB포트 등 여러 가지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구성을 적절한 형태로 부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니터(1)의 베이스(2)의 중앙부 전면에 요입된 형태의 포트연결부(10)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1개 이상의 USB포트(11)를 구성하며, 베이스(2)의 후단에는 케이블통로(20)를 형성하여 USB포트(11)와 컴퓨터 본체(3)의 USB포트(4) 간에 케이블(4')을 연결하여 두고, 상기 포트연결부(10)의 상부에는 후면에 힌지(13')를 구성한 덮개(13)를 구성하여 사용시 상부로 열리면서 뒤로 젖혀져 개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and in particular, a base for configuring the monitor to stand stably, and a variety of convenient configuration such as a USB port to add a convenient form.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port connection portion 10 of the type concave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2 of the monitor 1, and at least one USB port 11 therein, and the rear end of the base 2 A cable passage 20 is formed therein to connect a cable 4 'between the USB port 11 and the USB port 4 of the computer main body 3, and a hinge at the rear of the port connection part 10. 13 ') is configured to cover the cover 13 is configured to be opened to the top while being opened to the upper side during use.

Description

다기능 모니터 베이스{Multi-function moniter base}Multi-function moniter base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PC; 이하 '컴퓨터'라 함)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고 주로 책상의 전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는 베이스에 USB포트 등 여러 가지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구성을 적절한 형태로 부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that is used as a display device of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puter") and is mainly installed on the front of a desk. The configuration is added in an appropriate form to facilitate the use.

주지된 바와 같이 근래의 컴퓨터들은 본체와 모니터 그리고 입력장치인 키보드와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스피커나 카메라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하드웨어나 보조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s is well known, modern computers are composed of a main body, a monitor,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and additionally, a speaker or a camera can be connected, and additional external hardware or auxiliary storage devices can be used.

그런데 통상 컴퓨터의 모니터는 사용자가 계속 주시하여야 하므로 책상 위의 잘보이는 위치에 배치함이 당연하지만, 본체는 사용자가 계속 주시할 필요가 없고 책상 위에 배치하면 보기에도 단정하지 못하고 다른 작업에 거추장스러우므로 통상 본체는 책상의 아래나 측면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모니터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y the way, the monitor of the computer is usually placed in a well-viewed position on the desk because the user must keep an eye on it, but the main body does not need to keep an eye on it, and when placed on the desk, it is not neat to see and cumbersome for other tasks. In general, the main body is installed at another position such as under or side of a desk to connect a monitor and a cable.

이와 같이 사용할 때의 문제점은 본체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연결수단을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USB메모리 등을 꽂아 사용하려면 책상 아래 등 다른 곳에 위치한 본체의 USB포트를 찾아 구멍을 잘 맞춰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불편은 USB포트가 본체의 정면에 구성된 경우에는 불편함이 덜하지만 만약 USB포트가 본체의 측면이나 후면에 구성된 경우라면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The problem with using this method is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various connection means that are configured in the main body. For example, to use a USB memory device, find the USB port of the main body located elsewhere, such as under the desk, There is inconvenience to be inserted, and this inconvenience is less inconvenient when the USB port is configur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but if the USB port is configur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ain body, it will feel uncomfortable without further explanation. .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이 힘들게 본체에 USB메모리를 꽂아 사용한 후에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체에 꽂아둔 USB메모리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으므로 사용 후 USB메모리를 분리하지 않고 자리를 이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분실에 따른 손해와 불편함은 물론이고, 통상 공인인증서나 중요한 데이터 등을 USB메모리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개인정보의 누출이나 보안상으로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것이다.Furthermore, another problem occurs after the USB memory is plugged into th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B memor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not easily seen by the user, so it is often left without removing the USB memory after use. Therefore, as well as damages and inconveniences caused by loss, as well as often stores the official certificate or important data in the USB memory has been a big problem due to leakage or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불편함은 USB메모리의 경우뿐만 아니라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헤드셋 등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존재하는데, 길이가 긴 연결선을 본체로부터 책상의 위까지 연결하여 사용을 하므로 연결 및 설치상태가 매우 지저분하고 복잡하게 되므로 수리나 분리 조립시에도 많은 불편함을 갖는 것이다. This inconvenience is similar to USB memory as well as mouse, keyboard, speaker, headset, etc. to connect to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and installation becomes very messy and complicated, so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when repairing or disassembling.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모니터 베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USB포트와 헤드셋 삽입잭 등을 편리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며, 아울러 휴대용 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과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선을 구비하여 즉시 충전도 가능토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to the USB port and the headset insert jack, etc. in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monitor base, and also can be equipped with a portable phone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harging line so that charging is possible immedi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의 상면에 덮개에 의해 평상시에는 차폐가 되고 필요시 개방을 할 수 있는 연결포트부를 구성하고 연결포트부의 내부에는 USB포트와 헤드셋 삽입잭 등을 구성하여 베이스의 후방 쪽으로 케이블을 본체와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하여 두고, 필요시 상기 덮개를 열고 필요한 USB메모리를 꽂아 사용하거나 헤드셋의 잭을 삽입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포트부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 충전기의 충전 잭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iel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form a connection port that is normally shielded and can be opened when necessary,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 by configuring a USB port and a headset insertion jack, etc.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ith a separate cable to the rear side, and if necessary, the cover is opened and the required USB memory is inserted or the jack of the headset is inserted. In addition, by using the connection port to be provided with a charging jack of the mobile phone charger.

아울러 덮개에는 걸림 돌기를 구성하여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전화기의 하단을 돌기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상단은 모니터 본체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를 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monitor main body in the state that caught the bottom of the portab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such as a smart phone to be conveniently used by mounting the mobile phon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를 사용도중 빈번하게 필요한 USB포트 이용시 본체에 구성된 포트에 힘들게 결합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눈에 잘 띄고 손만 뻗으면 닿게 되는 모니터 하단의 베이스에 포트가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것이며, 사용 후에도 눈에 잘 띄는 모니터의 베이스에 USB 메모리가 꽂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제거를 잊어버리고 분실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re is a port at the base of the monitor which is easily visible and reached by reaching out the user without having to hardly connect to the port configured in the main body when using the USB port which is frequently required during the use of the computer. Even after use, the USB memory is inserted into the base of the prominent monitor, so it is helpful to protect the privacy and security by preventing the removal and the loss.

또한 기타 헤드셋이나 마이크 등의 장치는 물론, 키보드나 마우스의 경우에도 교체를 위해 포트를 분리하고 다시 삽입하는 과정이 매우 편리하게 되며,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는 컴퓨터 작업을 하는 중에도 잘 보이는 위치에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것이고 진동이나 무음 상태에서도 신호가 온 것을 쉽게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keyboard and mouse, as well as other headsets and microphones, are very convenient to remove and reinsert the ports for replacement. Because it is easy to use, it can be used to easily determine that the signal came even in a vibration or silent stat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한 휴대요 전화 거치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stat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모니터(1)의 베이스(2)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2)의 중앙부 전면, 즉 모니터(1)의 전면보다 앞쪽 위치에 요입된 형태의 포트연결부(10)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는 1개 이상의 USB포트(11)를 구성하여 상부에서 USB메모리(7) 또는 USB케이블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the base 2 of the monitor 1, the port connecting portion 10 of the type concave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base 2, that is, the front of the monitor 1 is configured. One or more USB ports 11 are configured in the port connection portion 10 such that the USB memory 7 or the USB cable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상기 베이스(2)의 후단에는 케이블통로(20)를 형성하여 USB포트(11)와 컴퓨터 본체(3)의 USB포트(4) 간에 케이블(4')을 연결하여 둔다. A cable passage 2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2 to connect the cable 4 'between the USB port 11 and the USB port 4 of the computer main body 3.

그리고 상기 포트연결부(10) 내부에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셋 또는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음향포트(12)를 구성하여, 스피커나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수시로 변경하여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마이크의 경우에도 필요시에만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rt connection unit 10 has a sound port 12 for connecting a speaker, earphone, headset or a microphone, so that the speaker or earphone or headset can be changed and used at any time, and in the case of a microphone, I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used only.

이와 같은 음향포트(12) 역시 상기 USB포트(11)의 경우와 같이 케이블통로(20)를 통해 컴퓨터 본체(3)의 음향포트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둔다.Such a sound port 12 is also connected to the sound port and the cable of the computer main body 3 through the cable passage as in the case of the USB port (11).

상기 포트연결부(10)의 상부에는 후면에 힌지(13')를 구성한 덮개(13)를 구성하여 사용시 상부로 열리면서 뒤로 젖혀져 개방되도록 하였고, 덮개(13)의 힌지(13') 반대쪽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개방용 돌기(14)를 구성하여 개방시 손가락 끝으로 덮개(13)를 젖히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화(6)를 거치하여 휴대용 전화(6)의 하부가 개방용 돌기(14)의 후면에 걸린 상태에서 90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서 상부가 뒤로 젖혀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 connection portion 10 is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13 to form a hinge (13 ') in the rear to open the upper side in use to open, and to open, the upper side in the center opposite the hinge (13') of the cover (13) The opening protrusion 14 protrudes into a function of flipping the cover 13 with the fingertips at the time of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ortable telephone 6,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6 is the opening protrusion 14.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on the rear side of the range of 90 degrees to 45 degrees so that the top can be mounted in a state of being rolled back.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는 키보드포트(15) 및 마우스포트(16)를 추가로 구성하고 이를 컴퓨터 본체(3)의 키보드포트 및 마우스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키보드 및 마우스의 설치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 keyboard port 15 and a mouse port 16 are additionally configured inside the port connection unit 10, and a cable and a mouse are connected by connecting a cable to the keyboard port and the mouse port of the computer main body 3. It may be convenient to install and replace.

또한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는 충전케이블 구멍(17)을 형성하여 충전케이블(8)을 인입시킨 후 단자(8')가 포트연결부(10) 내에 안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덮개(13)에도 케이블 요부(13")를 구성하면 덮개(13)를 닫은 상태에서도 충전케이블(8)의 단자(8')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 charging cable hole 17 is formed in the port connecting portion 10 to allow the charging cable 8 to be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terminal 8 ′ is placed in the port connecting portion 10. When the cable recess 13 "is constituted, it is possible to charge using the terminal 8 'of the charging cable 8 even when the lid 13 is clos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포트연결부(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덮개(13)를 닫힌 상태로 둔다. 이러한 상태로서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단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화(6)를 거치할 수가 있는데, 개방용 돌기(14)의 하단에 휴대용 전화(6)의 하단이 걸리게 하고 상단은 모니터(1)의 하단에 걸리게 거치한다.First, the cover 13 is left in a closed state when the port connection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port connection unit 10 and to maintain a neat state, and to mount the portable telephone 6,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protrusion 14. Hang the bottom of the hanger and the top hangs on the bottom of the monitor (1).

따라서 휴대용 전화를 손쉽게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하면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도중에 작업자의 시선 안에 휴대용 전화(6)가 위치하는 상태가 되므로 벨이나 진동을 울리지 않더라도 문자나 전화가 걸려온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휴대용 전화(6)를 잊어버리고 자리를 뜨는 경우도 예방이 가능하다. Therefore, while being able to use the portable phone easily and quickly, the mobile phone 6 is placed in the operator's eyes while working on the computer, so it is easy to check that the text or the call has been made even without ringing or vibrat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mobile phone 6 is forgotten and left.

포트연결부(1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개방용 돌기(14)를 젖혀 덮개(13)를 개방하면 내부에 USB포트(11)에 USB메모리(7)나 케이블 등을 꽂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분리하는 것도 잊어버리지 않고 편리하게 제거도 가능하게 되므로 USB메모리(7)를 분실하는 경우도 예방가능하게 된다.When you want to use the port connector (10), open the cover (13) by flipping the opening projection (14), you can easily use the USB memory (11) or cable plugged into the USB port (11) inside, after use Sinc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move the memory device without forgetting to remove it, the USB memory 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만약 휴대용 전화(6)에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포트연결부(10) 내부까지 연결된 상태이고 충전케이블 구멍(17)을 통해 덮개(13)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8)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화(6)가 개방용 돌기(14)에 거치된 상태 또는 작업자의 시야 내에 있는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f the mobile phone 6 needs to be charged, the mobile phone 6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rt connecting portion 10 by using the charging cable 8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3 through the charging cable hole 17. 6) can be charge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opening projection 14 or in the operator's field of view.

기타 스피커나 마이크를 이용하는 음향포트(12)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키보드포트(15)나 마우스포트(16) 또한 USB포트(11)와 마찬가지로 편리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거도 편리하게 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sound port 12 using the other speakers or microphone, or the keyboard port 15 or the mouse port 16 can also be conveniently connected and used like the USB port 11 and can be easily removed.

1: 모니터
2: 베이스
3: 컴퓨터 본체
4: USB포트
4': 케이블
5: 음향포트
6: 휴대용 전화
7: USB메모리
8: 충전케이블
8': 단자
10: 포트연결부
11: USB포트
12: 음향포트
13: 덮개
13': 힌지
13": 케이블 요부
14: 개방용 돌기
15: 키보드포트
16: 마우스포트
17: 충전케이블 구멍
20: 케이블 통로
1: Monitor
2: base
3: computer body
4: USB port
4 ': cable
5: sound port
6: portable phone
7: USB memory
8: charging cable
8 ': terminal
10: Port Connection
11: USB port
12: sound port
13: Cover
13 ': hinge
13 ": cable recess
14: opening protrusion
15: keyboard port
16: mouse port
17: charging cable hole
20: cable passage

Claims (3)

모니터(1)의 베이스(2)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2)의 중앙부 전면, 즉 모니터(1)의 전면보다 앞쪽 위치에 요입된 형태의 포트연결부(10)를 구성하고,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는 1개 이상의 USB포트(11)를 구성하여 상부에서 USB메모리(7) 또는 USB케이블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2)의 후단에는 케이블통로(20)를 형성하여 USB포트(11)와 컴퓨터 본체(3)의 USB포트(4) 간에 케이블(4')을 연결하여 두고,
상기 포트연결부(10)의 상부에는 후면에 힌지(13')를 구성한 덮개(13)를 구성하여 사용시 상부로 열리면서 뒤로 젖혀져 개방되도록 하였고,
덮개(13)의 힌지(13') 반대쪽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개방용 돌기(14)를 구성하여 개방시 손가락 끝으로 덮개(13)를 젖히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화(6)를 거치하여 휴대용 전화(6)의 하부가 개방용 돌기(14)의 후면에 걸린 상태에서 90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서 상부가 뒤로 젖혀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니터 베이스.
In constructing the base 2 of the monitor 1,
The port connecting portion 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front of the center of the base 2, that is, the front of the monitor 1,
The one or more USB ports 11 are configured inside the port connection unit 10 so that a USB memory 7 or a USB cable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A cable passage 2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2 to connect the cable 4 'between the USB port 11 and the USB port 4 of the computer main body 3,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 connection portion 10 was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cover 13 consisting of a hinge (13 ') on the rear side to be opened to the upper side while being used to open,
In the center opposite to the hinge 13 ′ of the cover 13, an opening protrusion 14 protruding upwards is configured to flip the cover 13 with a fingertip when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mobile phone 6 is mounted. Multifunctional monito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portable telephone (6) can be mounted with the upper side tilted back within a range of 90 degrees to 45 degrees while being caught on the rear side of the opening projection (14).
제1항에 있어서,
포트연결부(10)의 내부에는 충전케이블 구멍(17)을 형성하여 충전케이블(8)을 인입시킨 후 단자(8')가 포트연결부(10) 내에 안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니터 베이스.
The method of claim 1,
Multi-function monito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port connection portion 10 to form a charging cable hole (17) to insert the charging cable (8) and the terminal (8 ') is placed in the port connection portion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연결부(10) 내부에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셋 또는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음향포트(12)를 구성하고, 케이블통로(20)를 통해 컴퓨터 본체(3)의 음향포트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둠으로써 스피커나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수시로 변경하여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니터 베이스.
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port connection unit 10 by configuring a sound port 12 to connect a speaker, earphone, headset or microphone, and by connecting the cable with the sound port of the computer main body 3 through the cable passage (20) Multi-function monitor base that allows you to change and connect your speakers, earphones or headsets from time to time.
KR2020130001632U 2013-03-05 2013-03-05 Multi-function moniter base KR2004668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2U KR200466865Y1 (en) 2013-03-05 2013-03-05 Multi-function moniter b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2U KR200466865Y1 (en) 2013-03-05 2013-03-05 Multi-function moniter b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865Y1 true KR200466865Y1 (en) 2013-05-09

Family

ID=535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32U KR200466865Y1 (en) 2013-03-05 2013-03-05 Multi-function moniter b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6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744B2 (en) 2006-07-20 2008-06-17 James Chu Display with external device module
KR100917424B1 (en) 2009-02-20 2009-09-14 (주)에이치앤씨 Hybrid supporter for monitor and keyboard
KR100952697B1 (en) 2007-02-14 2010-04-13 배석희 Intellect 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744B2 (en) 2006-07-20 2008-06-17 James Chu Display with external device module
KR100952697B1 (en) 2007-02-14 2010-04-13 배석희 Intellect Station
KR100917424B1 (en) 2009-02-20 2009-09-14 (주)에이치앤씨 Hybrid supporter for monitor and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9675B2 (en) Dual purpose casing
US8958857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5149693A (en) Case for smartphone
US9414659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TWI565328B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JP3199029U (en) Protective cover
US10021228B2 (en) Cradle with privacy protection func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202146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connection cable and earphone/ear plug management
KR200466865Y1 (en) Multi-function moniter base
KR200488893Y1 (en) Holder for embedding tablet
US10274993B2 (en)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for privacy protection
US20190163236A1 (en) Laptop computer accessory
US20190208879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US9247035B1 (en) Twisted case
KR200464932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JP5181842B2 (en) Mobile device
JP3200537U (en) Smartphone storage case
KR20120002633U (en) Cases can be stowed pen touch screen mobile phone
JP6361777B2 (en) cover
KR20190111222A (en) Portable battery case
CN210608638U (en) Active movable ship-shaped charging seat
KR100883670B1 (en) Headset
CN207070140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rame
KR20140003714U (en) Case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