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19Y1 - 기능성 어항 - Google Patents

기능성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19Y1
KR200466119Y1 KR2020120009156U KR20120009156U KR200466119Y1 KR 200466119 Y1 KR200466119 Y1 KR 200466119Y1 KR 2020120009156 U KR2020120009156 U KR 2020120009156U KR 20120009156 U KR20120009156 U KR 20120009156U KR 200466119 Y1 KR200466119 Y1 KR 200466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nd
fish tank
heater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주)삼호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호무역 filed Critical (주)삼호무역
Priority to KR2020120009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은, 관상생물 및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기포 발생기;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히터; 상기 바디의 바닥면의 중앙 부위에서 상측을 향해 상협하광(上狹下廣)한 형태로 기립 연장된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바닥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LED 조명;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 및 LED 조명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에 따르면, 본체 중앙 부위에 기립된 스탠드를 통하여 세련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하면서 그 바닥 면에서 LED 조명이 조광될 수 있도록 함으로 보다 세련된 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기능성 어항{FUNCTIONAL FISHBOWL}
본 고안은 기능성 어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존 어항의 획일적인 직육면체 형태를 지양하고 돔 형상의 보다 세련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스탠드를 통한 간접 조명 효과를 부가함과 아울러 자동 온도 조절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어항에 관한 것이다.
어항은 물고기 또는 해초를 수용하여 이들을 안전하게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에게 관상용 목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관상어 등의 생물의 생활환경을 보장하도록 기포 발생기, 조명, 히터 등을 구비하고, 더불어 관상 목적에 적합한 시야를 제공하도록 본체가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가 주로 직육면체 형태를 띠고 있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1인 가족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추세에 따라 1인 주거 환경의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소형 어항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어항은 특히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도록 기존 직육면체 형태와 차별화되는 다양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소형 어항을 구입하는 소비자층이 직장인이나 학생 등의 젊은 사람이 많고 집을 장시간 비워두어 어항 관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물이 오염되고 먹이 공급이 적절치 않아 관상어가 쉽사리 죽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의적 기능을 부가한 기능성 어항이 다수 출시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 742725호는 어항에 먹이 공급 기능 부가하여 주기적으로 먹이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징을 제공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0-0096447호는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 기능을 구비하여 관상어의 생활환경을 보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의 어항에 수질 정화 기능, 먹이 공급 기능과 같은 편의적 기능을 부가하여 어항 관리의 편의성을 보장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어항은 상기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체적이 커지고 전체적 형상이 둔탁해져 소형 어항을 선호하는 젊은 이용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소형 사이즈를 유지하되 본체의 형상이 독특하여 그 자체로서 미려한 인테리어 목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간편한 구조에 의하여 간접 조명 기능, 수질 정화 기능과 같은 편의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기능성 어항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형태를 반타원체 형상으로 마련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뿐 아니라 본체 중앙 부위에서 스탠드(stand)가 유선형으로 기립하고 그 바닥면에 조명을 설치하여 스탠드가 하나의 디자인적 역할을 하면서 은은하게 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어항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히터를 구비하되, 수온의 고저에 따라 상기 히터가 차등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으로 수온 조절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조도에 따라 조명이 차등 구동되도록 하여 지능형 조명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스탠드 하부에 수질 정화 필터를 장착하고 기립부 주변에서 수질 정화 필터로 입수된 물이 필터링(filterimg)된 다음 스탠드의 기립 연장 방향을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수질 정화는 물론 분수와 같은 시각적 이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스탠드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스탠드를 상호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블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은, 관상생물 및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기포 발생기;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히터; 상기 바디의 바닥면의 중앙 부위에서 상측을 향해 상협하광(上狹下廣)한 형태로 기립 연장된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바닥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LED 조명;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 및 LED 조명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디 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된 수온과 기준 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히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수온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상 기 기능성 어항은, 상기 스탠드의 외측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입수부;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입수관을 매개로 입력받아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수질 정화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질 정화 필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수질 정화 필터를 통해 정화된 물을 펌프의 구동을 매개로 상기 스탠드의 토출공을 통해 분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탠드는, 상부에 토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각각의 단부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블록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블록은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길이 조절 블록은, 각각의 길이 조절 블록마다 내부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에 따르면,
1) 본체 중앙 부위에 기립된 스탠드를 통하여 세련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하면서 그 바닥 면에서 LED 조명이 조광될 수 있도록 함으로 보다 세련된 간접 조명을 제공하고,
2) 지능형 온도 조절 기능을 통해 히터의 ON/OFF 제어를 하여 관상어의 생활환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하며,
3) 수질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되 스탠드의 연장 라인을 통해 필터링된 물이 토출되도록 하여 분수 기능과 같은 시각적 이벤트를 부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스탠드의 길이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조립식으로 조절하여 디자인적인 변형과 스탠드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은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인 형상이 반타원체를 절단한 형상 또는 돔 형상 내지 상부를 라운딩 처리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러한 독특한 형상에 의해 자체적인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어항은 기존의 직육면체 형상에 비하여 세련되고 안정적인 디자인 느낌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책상, 식탁, 선반, 심지어 책꽂이와 같이 다양한 실내 대상물 내에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어항의 상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22)이 형성된 커버(2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버(21)를 개방하고 물을 갈거나 관상 생물을 관리할 수 있다.
어항 내에는 관상 생물을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되어 있는바, 구체적으로 기포 발생기(40), 히터(50), LED 조명(70) 및 스탠드(80)로 이루어져 있고, 본 고안에서는 어항을 크게 바디(20)와 베이스(30)로 구분할 수 있다.
바디(20)는 투명 벽체로 이루어져 관상 생물 및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고, 베이스(30)는 바디(2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디(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원 관리 및 세부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100) 및 컨트롤 패널(31)을 구비한다.
특히, 바디(20)의 바닥면(23)을 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베이스(30) 내의 회로 등의 기타 구성들이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보다 독특한 인테리어로서의 효과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포 발생기(40)는 바디(20) 내에 장착되어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어항에서 필수 구성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히터(50)는 열 발생에 의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열대어를 키울 때 외부 환경에 따른 수온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기능 후술할 수온 조절 모듈(110)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히터(50)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바디(20)의 바닥면(23)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이 되어 있는바, 각각의 히터(50)는 개별 ON/OFF 제어 및 차등 발열 구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 수온 조절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스탠드(stand)(8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바닥면(23)의 대략 중앙 부위에서 바디 내 상측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것으로,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될수록 좁아지게 상협하광(上狹下廣)한 형태로 연장됨과 동시에 일자형이 아니라 아래로 볼록한 유선형의 형태로 연장이 되어 자체적인 디자인 객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탠드(80)의 하부 면에는 LED 조명(7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스탠드(80)는 자체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LED 조명(70)이 직접 조광되지 않고 스탠드(80)를 매개로 외부로 조광될 수 있는 간접 조명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스탠드(80)의 상협하광한 유선형 형태로 LED 조명(70)의 빛을 굴절 및 난반사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조광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LED 조명(70)의 기본적 특성(전원 절약 및 우수한 조도 발생)을 이용하면서도 직진성이 강한 LED 조명(70)이 오히려 관상생물에 자극을 주는 문제를 효율적로 최소화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베이스(3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컨트롤 패널(31)을 구비할 수 있는바,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 장착의 내부 전원 공급 방식 또는 외부 전원 공급 방식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세부 구성에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 패널(31)은 컨트롤러(100)에 제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히터(50), 후술할 수질 정화 필터(200)의 on/off 신호 및 조명 제어 신호, 온도 설정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32)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는 이와 같이 설정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컨트롤러(100)는 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술한 여러 구성의 ON/OFF 구동은 물론 기능적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듯이, 본 고안의 컨트롤러(100)는 스위치(32)에서 전달된 ON/OFF 신호 내지 온도 조절 신호를 통해 히터(50), LED 조명(70)을 개별 제어하는 기본 제어 기능을 포함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수온 조절 모듈(110), 조명 조절 모듈(120)을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수질 정화 필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질 조절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온 조절 모듈(110)은 바디(20) 내의 물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온도계(111), 수온 설정부(112), 구동 제어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계(111)는 바디(20) 내 일 측에 장착되어 바디(20)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수온 설정부(112)는 스위치(32)의 조작을 통하거나 관상생물의 종류에 따라 컨트롤러(100) 자체에서 기 설정된 기준 온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기준 온도는 히터(50)를 제어할지 여부를 판가름하는 파라미터가 된다.
구동 제어부(113)는 온도계(111)에서 측정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 온도보다 바디(20) 내 물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히터(50)를 구동하고 기준 온도보다 바디(20) 내 물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히터(50)의 구동을 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온 조절 모듈(110)을 통하여 수온에 민감한 열대어 등의 관상생물을 키울 때 자동으로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조절 모듈(120)은 광센서(121)를 바디(20) 내 일 측 위치에 구비하여, 광센서(121)에서 측정한 외부 조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와의 비교를 통해 LED 조명(70)을 차등 구동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즉, 낮이나 건물 실내조명이 들어온 상황과 같이 외부가 밝은 경우 LED 조명(70)이 꺼지도록 하고 밤과 같이 외부가 어두운 경우에는 LED 조명(7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밝기 상태에 따라 LED 조명(70)을 능동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수질 조절 모듈(130)은 바디(20) 내 수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수질 정화 필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은 수질 정화 필터(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바, 수질 조절 모듈(130)은 수질 측정 센서(탁도계 등으로 이루어져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센서)를 구비하여 이 측정된 값을 통해 수질 정화 필터(2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모듈의 구성 및 스탠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스탠드(80)의 바닥면 하측인 베이스(30) 내의 일 부위에는 수질 정화 필터(2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80)의 외측 둘레에는 입수부(210)가 형성되어, 입수부(210)를 통해 유입된 바디(20) 내의 물이 입수관(220)을 따라 수질 정화 필터(200)로 이동된다.
수질 정화 필터(200)는 물의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다양한 수질 관련 필터의 구성을 따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수질 정화 필터(200)에서 필터링이 된 물은 펌프(230)의 구동력에 의해 스탠드(80)의 기립 연장 라인을 따라 스탠드(8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공(81)을 통해 외부로 분사가 되는바, 다시 말해 스탠드(80)의 기립 연장 라인이 토출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펌프 구동에 대한 강약 조절 및 스탠드(80)의 길이 조절, 바디(20) 내 수위 조절을 통하여 스탠드(80)를 통해 토출된 물이 마치 분수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바디 내 상부 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질 개선은 물론 정화된 물이 분수와 같이 분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고 더 나아가 스탠드(80) 하측에 구비된 LED 조명(70)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시각적 이벤트 효과를 부여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상태에서, 다시 수질 조절 모듈(130)의 기능을 설명하면 수질 측정 센서(131)에서 측정한 수질 수치와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 패널(31)의 조작을 통해 설정한 기준 수질 수치와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수질 정화 필터(200)의 구동을 차등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질이 좋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수질 정화 필터(200)를 구동하도록 하여, 어항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탠드는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길이 조절 블록(90)은 필터링된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부 면에 토출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9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스탠드(80)의 기립 연장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할 경우 길이 조절 블록(90)을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모두 조립할 수 있고, 만일 스탠드(80)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에서부터 길이 조절 블록(90)을 하나씩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길이 조절 블록(90)을 복수 개로 구성하되 각각의 길이 조절 블록(90) 내의 표면 거칠기를 달리 하여 LED 조명(70)에 의한 반사각을 차별화하도록 하여, 길이 조절 블록 선택에 따라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탠드(80)의 길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LED 조명(70)에 의한 반사각을 변화시켜 간접 조명 효과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탠드(8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어항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바디 21: 커버
22: 통공 23: 바닥면
30: 베이스 31: 컨트롤 패널
32: 스위치 33: 디스플레이부
40: 기포 발생기 50: 히터
70: LED 조명 80: 스탠드
81: 토출공 90: 길이 조절 블록
91: 나사산 100: 컨트롤러
110: 수온 조절 모듈 111: 온도계
112: 기준 온도 설정부 113: 구동 제어부
120: 조명 조절 모듈 121: 광센서
130: 수질 조절 모듈 131: 수질 측정 센서
200: 수질 정화 필터 210: 입수부
220: 입수관 230: 펌프

Claims (7)

  1. 관상생물 및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기능성 어항으로서,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기포 발생기;
    상기 바디 내에 장착된 히터;
    상기 바디의 바닥면의 중앙 부위에서 상측을 향해 상협하광(上狹下廣)한 형태로 기립 연장된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바닥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LED 조명;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 및 LED 조명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스탠드의 외측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입수부;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입수관을 매개로 입력받아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수질 정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질 정화 필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수질 정화 필터를 통해 정화된 물을 펌프의 구동을 매개로 상기 스탠드의 토출공을 통해 분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디 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된 수온과 기준 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히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수온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디 내 설치되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광센서에서 측정된 조도와 기준 조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LED 조명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조명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부에 토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각각의 단부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블록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블록은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블록은,
    각각의 길이 조절 블록마다 내부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디 내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수질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수질 수치와 기준 수질 수치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수질 정화 필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수질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어항.
  7. 삭제
KR2020120009156U 2012-10-11 2012-10-11 기능성 어항 KR200466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56U KR200466119Y1 (ko) 2012-10-11 2012-10-11 기능성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56U KR200466119Y1 (ko) 2012-10-11 2012-10-11 기능성 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119Y1 true KR200466119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156U KR200466119Y1 (ko) 2012-10-11 2012-10-11 기능성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2354A (zh) * 2016-07-21 2016-12-14 武克易 一种智能水族箱
CN109699562A (zh) * 2019-02-20 2019-05-03 湖州师范学院 一种喷泉鱼缸
KR102161399B1 (ko) * 2020-03-27 2020-10-05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KR20220080476A (ko) * 2020-12-07 2022-06-14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물고기마을 휴대용 수족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족관 생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269U (ko) * 1997-09-12 1997-12-10 김중학 스탠드가 겸비된 어항
KR200227425Y1 (ko) 2001-01-03 2001-06-15 석민호 수경재배와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어항
KR200255198Y1 (ko) 2001-08-16 2001-12-03 정승호 콤팩트한 복합수족관
KR20110010470A (ko) * 2009-07-24 2011-02-01 박성차 엘이디 자외선 램프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기능을 구비한 어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269U (ko) * 1997-09-12 1997-12-10 김중학 스탠드가 겸비된 어항
KR200227425Y1 (ko) 2001-01-03 2001-06-15 석민호 수경재배와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어항
KR200255198Y1 (ko) 2001-08-16 2001-12-03 정승호 콤팩트한 복합수족관
KR20110010470A (ko) * 2009-07-24 2011-02-01 박성차 엘이디 자외선 램프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기능을 구비한 어항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2354A (zh) * 2016-07-21 2016-12-14 武克易 一种智能水族箱
CN109699562A (zh) * 2019-02-20 2019-05-03 湖州师范学院 一种喷泉鱼缸
CN109699562B (zh) * 2019-02-20 2024-05-03 湖州师范学院 一种喷泉鱼缸
KR102161399B1 (ko) * 2020-03-27 2020-10-05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WO2021194226A1 (ko) * 2020-03-27 2021-09-30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KR20220080476A (ko) * 2020-12-07 2022-06-14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물고기마을 휴대용 수족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족관 생물 관리 시스템
KR102623689B1 (ko) * 2020-12-07 2024-01-11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물고기마을 휴대용 수족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족관 생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051B2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US7458698B2 (en) Decorative light system
US7410269B2 (en) Decorative light system
KR200466119Y1 (ko) 기능성 어항
US20060176703A1 (en) Novelty lighting system
CN104994721A (zh) 用于家用水培的装置
CN203575365U (zh) 一种led触屏及红外控制全自动智能鱼缸
KR20130104641A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어항
CN103133925A (zh) 台灯
US6210015B1 (en) Stand for cakes or pastry
CN101669781A (zh) 一种分体式多功能足浴盆
KR200227425Y1 (ko) 수경재배와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어항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CN206112543U (zh) 养殖装饰灯具
KR200389947Y1 (ko) 어항이 구비된 실내조경물
CN205048313U (zh) 一种造型灯具
RU72832U1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прозрачной посуды с подсветкой
CN212414367U (zh) 一种生态智能鱼缸
CN221044503U (zh) 一种餐桌
US20230321684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Powered Liquid Feature
KR100884428B1 (ko) 액자형 벽천
CN218187885U (zh) 一种带有照明功能的木制玩具
WO200712771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ighting articles
KR200414685Y1 (ko) 화장실용 방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