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11Y1 -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11Y1
KR200465711Y1 KR2020110005260U KR20110005260U KR200465711Y1 KR 200465711 Y1 KR200465711 Y1 KR 200465711Y1 KR 2020110005260 U KR2020110005260 U KR 2020110005260U KR 20110005260 U KR20110005260 U KR 20110005260U KR 200465711 Y1 KR200465711 Y1 KR 200465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thrust
guide
open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773U (ko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2020110005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한번의 추진력으로 서랍을 간편하면서도 매우 안정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다수의 서랍을 갖는 서랍장 본체 측에 고정레일이, 그리고 상기 서랍들의 양측 벽에 가동레일을 갖는 서랍 개폐장치에 있어서; 다단계로 설치한 서랍장 본체 측 고정레일의 후단부에 개폐채널과 한 쌍의 추력요소 및 탄지부를 구비하고, 서랍측 가동레일의 후단부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고정레일의 개폐채널에 대하여 락 또는 락 해제되는 가이드캠을 구비하여, 한 번의 추력에 의해 가동레일의 가이드캠이 고정레일의 개폐채널에 락됨으로써, 서랍은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또 서랍이 폐쇄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추력을 가하면 가동레일의 가이드캠이 개폐채널로부터 분리 이탈되어, 서랍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서랍을 한 번의 추력으로 간편하고 매우 안정되게 여닫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 and close the drawer furniture}
본 고안은 예컨대, 여러 규격을 갖는 서랍장이나, 책상, 문갑, 장롱 등과 같은 가구에 전, 후방 입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을 간단한 조작원리로 열거나 닫기 위한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한번의 추진력(PUSH)에 의해서 서랍을 가구의 본체에 대하여 후진상태의 개방위치와 전진상태의 폐쇄위치로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하여, 서랍의 크기 및 무게에 관계 없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매우 안정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문갑 및 서랍장, 장롱 등과 같은 가구에는 옷이나 기타 생활용품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보관하기 위한 서랍이 적어도 하나 또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서랍의 부드러운 개폐를 위하여, 서랍용 레일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랍용 레일은 서랍 양측에 부착되는 가동레일과 가구 본체의 양측벽 내면에 부착되는 고정레일로 구성되어, 가동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의해서 서랍이 가구 본체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되고, 또한 서랍의 전면에는 그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별도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구용 서랍은 상기 가동레일과 고정레일에 의해서 본체로부터 부드럽게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손잡이들이 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아이 등이 부주의로 인하여 손잡이에 머리 등을 부딪쳐 상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랍을 열고 닫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서랍의 손잡이를 잡고 당겨주거나 밀어서 개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구용 서랍을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서랍 개폐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많이 안출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서랍 개폐장치들의 하나의 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27859호의 명세서는 가구용 서랍의 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서랍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27859호(명칭: 서랍의 자동개폐장치)의 명세서에 따르면, 서랍의 뒤쪽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1 벨트기어와, 상기 제1 벨트기어와 맞물리며 서랍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에 동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와, 서랍측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 벨트기어를 둘러싸며 서랍케이스 측판에 고정되는 기어고정패널과,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벨트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랍의 자동개폐장치의 기술은 별도의 손잡이 없이 모터와 복수의 피니언기어, 제1 벨트기어, 구동기어, 서랍측판 하부에 설치된 제2 벨트기어를 통해 서랍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는 개폐장치의 구성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전동식에 따른 오동작이나 고장의 빈도가 높고, 특히, 상기 구성부품들이 가구 본체의 수납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결국 규격별로 제작되는 가구 본체의 수납공간 대해 서랍의 사이즈를 보다 작게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그만큼 서랍의 수납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서랍을 개폐하기 위해 모터 및 다수의 기어 등의 고가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가구의 생산비용이 가중될 뿐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체결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 또한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랍을 열고 닫을 때 마다 전력소모가 발생되는데, 이는 서랍이 무거울수록 부하가 많이 걸려 소모되는 전력 또한 가중되고, 특히 이러한 전동식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정전 시에는 필요에 의해 서랍을 강제로 열거나 열려져 있는 서랍을 강제로 닫아 주어야 함으로, 이것에 의해 구성부품들이 소손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들을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랍을 한 번의 추력(推力)으로 가구의 본체에 대하여 후진상태의 개방위치와 전진상태의 폐쇄위치로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하여, 서랍을 간편하고 매우 안정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서랍 개폐장치는 가구, 예컨대, 다단계로 설치된 서랍장의 서랍을 닫을 때에는 통상의 방식과 같이 서랍을 밀어서 닫히도록 하고, 서랍을 열 때에는 한 번의 추력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같이 압축되어 있던 탄지부의 탄성 복원력으로 열리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생산비용의 최소화와 함께 체결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서랍 개폐장치는, 가구 본체, 예컨대, 다단계로 설치한 서랍장 본체 측 고정레일의 후단부에 개폐채널과 한 쌍의 추력요소 및 탄지부를 구비하고, 서랍측 가동레일의 후단부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개폐채널에 대하여 락 또는 락 해제되는 가이드캠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서랍을 갖는 서랍장의 본체 측에 고정레일이, 그리고 상기 서랍들의 양측 벽에 가동레일을 갖는 서랍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고정레일 후단 상, 하부에 대응하게 고정되어 그 고정레일과 함께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관형을 이루는 가이드수용부;
일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가동레일의 선단부와 맞닿는 돌출편을 가지며 그 돌출편의 후면에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돌출편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수용부에 끼워져 상기 가동레일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추력요소;
상기 추력요소와 대향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의 선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간격유지대;
상기 간격유지대 및 상기 돌기 사이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폐쇄 시 상기 추력요소에 의해 압축되고 개방 시 상기 추력요소에 추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동레일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탄지부;
상기 고정레일의 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간격유지대에 고정되어 한 번의 추력에 의해 상기 서랍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여 주는 개폐채널;
상기 개폐채널과 마주한 상태로 상기 가동레일의 회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동범위 내에서 회동하여 상기 개폐채널에 끼워져 락되거나 그로부터 락 해제되면서 상기 탄지부의 추력에 의해 분리되는 선단부에 구름돌기를 갖는 원뿔 단면형의 가이드캠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채널은, 전면판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캠의 구름돌기가 상기 절개된 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및 그로부터 이탈 분리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추력가이드홈과 개방유도홈을 갖는 관형의 함체;
상기 추력가이드홈 및 개방유도홈의 후단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돌기의 전진운동을 억제하는 제1, 제2 추력억제턱;
상기 추력가이드홈 및 개방유도홈의 선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돌기의 삽입 및 이탈 분리를 안내하는 쐐기 단면형의 제1, 제2 단턱; 및
상기 추력가이드홈과 개방유도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의 후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캠의 구름돌기가 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락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켜 주는 "v"자 단면형의 걸림턱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캠이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회동축의 부근의 가동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범위를 지정하는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캠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캠의 선단부가 상기 개폐채널에 대해 마주 바라보는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켜 주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서랍장 본체의 고정레일에 가이드수용부, 추력요소, 탄지부 및 개폐채널을, 그리고 서랍 측의 가동레일에 구름돌기를 갖는 가이드캠을 구비하여, 서랍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서랍을 닫고자 그 서랍을 밀어주게 되면, 가동레일이 추력요서를 통해 탄지부를 압축시킴과 아울러 가동레일의 가이드캠이 고정레일의 개폐채널에 끼워져 락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서랍이 닫히게 되고, 서랍을 열고자 그 서랍을 다시 한 번 밀었다 놓게 되면, 가이드캠의 구름돌기가 개폐채널로부터 락 해제됨과 함께 탄지부의 탄성 복원력으로 추력요소를 통해 가동레일을 후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서랍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별도의 손잡이 없이 서랍을 안정적으로 열고 닫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에 의하면, 서랍에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추력요소, 탄지부, 개폐채널과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캠의 상호작용에 의해 서랍을 한 번의 추력으로 간편하고 매우 안정되게 여닫을 수가 있어, 손잡이의 배제에 따른 서랍의 외관특성을 충분하게 살릴 수 있으면서도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서랍의 개폐 시에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체결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서랍장과 서랍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랍장 본체 측의 고정레일 및 서랍 측의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서랍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서랍장 본체 측의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서랍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서랍 측의 가동레일과 가이드캠을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이 실시된 서랍장의 서랍을 닫을 때, 서랍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이 실시된 서랍장의 서랍을 열 때, 서랍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랍장 본체(40)의 좌, 우 내측 벽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고정레일(10)과, 본체(40)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서랍(50)의 좌, 우 외측 벽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본체(40)의 고정레일(1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가동레일(30)과, 본체(40)의 고정레일(10) 후단 상, 하부에 대응하게 고정되어 그 고정레일(10)과 함께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관형을 이루는 가이드수용부(11)(12)와, 가이드수용부(11)(12)에 끼워져 가동레일(30)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추력요소(13)(14)와, 고정레일(10)의 선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간격유지대(19)와, 추력요소(13)(14)와 간격유지대(19) 사이에 상호 수평하게 결합되어 서랍(50)의 폐쇄 시 추력요소(13)(14)에 의해 압축되고 개방 시 추력요소(13)(14)에 추력을 부여하여 가동레일(30)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탄지부(17)(18)와, 간격유지대(19)에 고정되며 그 간격유지대(19)에 의해 고정레일(10)의 측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한 번의 추력에 의해 서랍(50)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여 주는 개폐채널(20)과, 개폐채널(20)과 마주한 상태로 가동레일(30)의 회동축(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동범위 내에서 회동하여 개폐채널(20)에 끼워져 락되거나 그로부터 락 해제되면서 탄지부(17)(18)의 추력에 의해 분리되는 선단부에 구름돌기(33)를 갖는 원뿔 단면형의 가이드캠(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추력요소(13)(14)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제로 구현되고, 가이드수용부(11)(12)와의 결합을 위해 사각단면형으로 제작된다.
사각단면형의 추력요소(13)(14)는 그 일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가동레일(30)의 선단부와 맞닿는 돌출편(15)(16)을 갖는다. 그리고 그 돌출편(15)(16)의 후면에는 돌기(15a)(16a)가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 하부의 추력요소(13)(14)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돌출편(15)(16)이 서로 마주 바라보도록 전술한 가이드수용부(11)(12)의 개방부로 끼워져 가동레일(30) 및 탄지부(17)(18)에 의해 수평이동하게 된다.
한편, 추력요소(13)(14)의 돌기(15a)(16a) 및 간격유지대(19)에 결합되는 탄지부(17)(18)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코일스프링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지부(17)(18)는 그 일단부가 전술한 추력요소(13)(14)의 돌기(15a)(16a)에 이탈이 없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부가 간격유지대(19)의 상,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간격유지대(19)에 고정된 개폐채널(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판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가 상기 절개된 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및 그로부터 이탈 분리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추력가이드홈(22)과 개방유도홈(26)을 갖는 관형의 함체(21)와, 추력가이드홈(22) 및 개방유도홈(26)의 후단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름돌기(33)의 전진운동을 억제하는 제1, 제2 추력억제턱(25)(27)과, 추력가이드홈(22) 및 개방유도홈(26)의 선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름돌기(33)의 삽입 및 이탈 분리를 안내하는 쐐기 단면형의 제1, 제2 단턱(23)(24)과, 추력가이드홈(22)과 개방유도홈(26)을 사이에 두고 함체(21)의 후판에 돌출되어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가 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락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켜 주는 "v"자 단면형의 걸림턱(28)으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캠(32)이 자중에 의해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회동축(31)과 인접한 가동레일(30)에 상기 회동범위를 지정하는 가이드공(34)이 형성되고, 가이드공(34)과 대응되는 가이드캠(32)의 배면에는 그 가이드공(34)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캠(32)의 선단부가 개폐채널(20)에 대해 마주 바라보는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켜 주는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서랍을 여닫을 때의 동작상태를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랍장의 본체(40)로부터 서랍(50)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서랍(50)을 밀어 닫으면 서랍(50)의 가동레일(30)이 본체(40)의 고정레일(10)을 따라 도 5a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부가 추력요소(13)(14)의 돌출편(15)(16)과 맞닿게 된다. 이때 가이드캠(32)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5)는 도 5a와 같이, 회동범위의 중심, 즉 가동레일(30)에 형성된 가이드공(34)의 중심축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랍(50)을 같은 방향으로 계속 밀어주게 되면 가동레일(30)의 선단부는 추력요소(13)(14)의 돌출편(15)(16)을 밀어주면서 개폐채널(20)의 함체(21) 후판과 고정레일(10)과의 사이로 삽입되므로, 그 추력요소(13)(14)가 가이드수용부(11)(12)를 따라 전방으로 전진운동 하면서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지부(17)(18)를 압축하게 되며, 이때, 가동레일(30)의 회동축(31)에 결합된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는 도 5b와 같이, 개폐채널(20)의 함체(21) 전면판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단턱(23)과 추력가이드홈(22)의 절개 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을 하다가 도 5c에서와 같이 개폐채널(20)의 제1 추력억제턱(25)에 걸리게 되므로 그 구름돌기(33)의 이동은 멈추어지게 되고, 또한 가이드캠(32) 역시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하다가 도 5b, 도 5c에서와 같이, 가이드돌기(35)가 가이드공(34)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므로 그 가이드캠(32)은 회동을 멈추고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눌러주었던 서랍(50)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탄지부(17)(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추력요소(13)(14)가 가이드수용부(11)(12)를 따라 순간적으로 후방향으로 밀려나면서 가동레일(30)의 선단부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제1 추력억제턱(25)에 걸려 있던 구름돌기(33)가 순간적으로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5d에서와 같이, 개폐채널(20)의 걸림턱(28)에 끼워져 락상태가 되므로 서랍(50)은 닫힌 상태가 유지되며, 이때 가이드캠(32) 및 가이드돌기(35)는 초기상태로 복귀, 즉 가동레일(30)에 형성된 가이드공(34)의 중심축에 위치하고 가이드캠(3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랍(50)이 닫힌 상태에서 서랍(50)을 열고자 할 때에는 서랍(50)을 약간 더 밀어주었다가 놓아주기만 하면 서랍(50)이 서랍장의 본체(40)로부터 열리게 된다. 즉 도 5d와 같이 서랍(50)이 닫힌 상태에서 서랍(50)을 약간 더 밀어주면 도 6a와 같이,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는 걸림턱(28)으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개폐채널(20)의 함체(21) 전면판의 하부에 형성된 제2추력억제턱(27) 안쪽으로 더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눌러주었던 서랍(50)을 놓으면 도 6b, 도 6c에서와 같이, 추력요소(13)(14)는 탄지부(17)(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가동레일(30)을 후방향으로 밀어내므로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가 탄지부(17)(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함체(21)의 전면판 하부에 형성된 개방유도홈(26)의 절개 면 및 제2 단턱(24)을 따라 후방으로 구름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캠(32)은 구름돌기(33)의 이동에 따라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동하다가 가이드돌기(35)가 가이드공(34)의 하단부에 걸릴 때 회동을 멈추게 되며 그리고 구름돌기(33)가 제2 단턱(24)을 따라 이동할 때 다시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제2 단턱(24)을 벗어나는 순간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됨으써 가이드돌기(35) 역시 도 6c와 같이, 가동레일(30)의 가이드공(34)의 중심축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캠(32)의 구름돌기(33)가 개폐체널(20)에 전혀 간섭을 주지 않고 벗어나게 되고, 또한 탄지부(17)(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추력요소(13)(14)가 가동레일(30)을 밀어주므로 서랍(50)은 도 6d와 같이 열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서랍(50)을 잡아당겨 줌으로써, 그 서랍(50)이 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서랍을 개폐하기 위해 모터 및 다수의 기어 등의 고가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이 가중되고 또 체결작업시간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와 함께 전동식에 따른 오작동 및 전력소모를 요구를 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서랍장 본체의 고정레일에 가이드수용부, 추력요소, 탄지부 및 개폐채널을, 그리고 서랍 측의 가동레일에는 구름돌기를 갖는 가이드캠만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서랍을 여닫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손잡이나 전력을 필요치 않으면서도 서랍을 간편하고 매우 안정되게 여닫을 수가 있고, 또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생산비용의 최소화와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고정레일 11, 12 : 가이드수용부
13, 14 : 추력요소 15, 16 : 돌출편
17, 18 : 탄지부 19 : 간격유지대
20 : 개폐채널 21 : 함체
24 : 추력가이드홈 25 : 제1 추력억제턱
26 : 개방유도홈 27 : 제2 추력억제턱
28 : 걸림턱 30 : 가동레일
32 : 가이드캠 33 : 구름돌기
34 : 가이드공 35 : 가이드돌기

Claims (3)

  1. 다수의 서랍을 갖는 서랍장 본체 측에 고정레일이, 그리고 상기 서랍들의 양측 벽에 가동레일을 갖는 서랍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고정레일 후단 상, 하부에 대응하게 고정되어 그 고정레일과 함께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관형을 이루는 가이드수용부;
    일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가동레일의 선단부와 맞닿는 돌출편을 가지며 그 돌출편의 후면에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돌출편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수용부에 끼워져 상기 가동레일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추력요소;
    상기 추력요소와 대향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의 선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간격유지대;
    상기 간격유지대와 상기 추력요소의 돌기 사이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폐쇄 시 상기 추력요소에 의해 압축되고 개방 시 상기 추력요소에 추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동레일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탄지부;
    상기 고정레일의 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간격유지대에 고정되어 한 번의 추력에 의해 상기 서랍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여 주는 개폐채널;
    상기 개폐채널과 마주한 상태로 상기 가동레일의 회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동범위 내에서 회동하여 상기 개폐채널에 끼워져 락되거나 그로부터 락 해제되면서 상기 탄지부의 추력에 의해 분리되는 선단부에 구름돌기를 갖는 가이드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채널은, 전면판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캠의 구름돌기가 상기 절개된 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및 그로부터 이탈 분리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추력가이드홈과 개방유도홈을 갖는 관형의 함체;
    상기 추력가이드홈 및 개방유도홈의 후단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돌기의 전진운동을 억제하는 제1, 제2 추력억제턱;
    상기 추력가이드홈 및 개방유도홈의 선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돌기의 삽입 및 이탈 분리를 안내하는 쐐기 단면형의 제1, 제2 단턱; 및
    상기 추력가이드홈과 개방유도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의 후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캠의 구름돌기가 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락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켜 주는 "v"자 단면형의 걸림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이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회동축 부근의 상기 가동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범위를 지정하는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캠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캠의 선단부가 상기 개폐채널에 대해 마주 바라보는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켜 주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KR2020110005260U 2011-06-14 2011-06-14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KR200465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60U KR200465711Y1 (ko) 2011-06-14 2011-06-14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60U KR200465711Y1 (ko) 2011-06-14 2011-06-14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73U KR20120008773U (ko) 2012-12-24
KR200465711Y1 true KR200465711Y1 (ko) 2013-03-08

Family

ID=5135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60U KR200465711Y1 (ko) 2011-06-14 2011-06-14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66B1 (ko) * 2013-07-18 2014-11-24 (주)세고스 누름 개폐형 슬라이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11B1 (ko) 2014-09-23 2016-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파티션
CN112716180B (zh) * 2019-10-29 2023-11-21 科凡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式抽屉的锁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579A (ko) * 2007-08-31 2009-03-04 박윤식 오작동 상태에서 정상작동 상태로 안정적으로 복귀가능한자동폐쇄장치
JP2011083485A (ja) * 2009-10-16 2011-04-28 Thk Co Ltd 双方向案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579A (ko) * 2007-08-31 2009-03-04 박윤식 오작동 상태에서 정상작동 상태로 안정적으로 복귀가능한자동폐쇄장치
JP2011083485A (ja) * 2009-10-16 2011-04-28 Thk Co Ltd 双方向案内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66B1 (ko) * 2013-07-18 2014-11-24 (주)세고스 누름 개폐형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73U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43B2 (en) Self-closing and opening preventing device for slide rails
US9622578B2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CN109723279B (zh) 家用电器及其门组件
US8297723B2 (en) Interlock device for slide assembly
US20150305493A1 (en) Sliding and pivoting mechanism of a rack of an item of furniture, item of furniture and domestic appliance
KR200465711Y1 (ko)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CN109527848B (zh) 一种具有双自锁功能的抽屉滑轨
US20060022031A1 (en) Cash drawer
US11199027B2 (en) Locking device
KR100813330B1 (ko) 슬라이딩 수납장용 3단레일
CN201767440U (zh) 一种用于抽屉的反弹组件
KR200464188Y1 (ko) 서랍 개폐장치
CN109708416B (zh) 抽屉组件
KR200202232Y1 (ko) 김치냉장고
KR101585495B1 (ko) 고정식 서랍이 구비된 붙박이장
KR101289321B1 (ko) 서랍장
JP2000291307A (ja) 多列抽出しの同時引き出し防止装置
CN214386724U (zh) 高伸拉篮及置物柜
KR20080000046U (ko)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KR102506337B1 (ko) 푸쉬 오픈 장치
JP5388951B2 (ja) 引出し連動装置
KR200248075Y1 (ko) 서랍 개폐장치
EP3446595B1 (en) Piece of furniture with recessed handle provided with slider
WO2017089245A1 (de) Bewegbares möbelteil, möbel, haushaltsgerät, verfahren zum öffn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und verfahren zum schliess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