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63Y1 -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63Y1
KR200465663Y1 KR2020110009740U KR20110009740U KR200465663Y1 KR 200465663 Y1 KR200465663 Y1 KR 200465663Y1 KR 2020110009740 U KR2020110009740 U KR 2020110009740U KR 20110009740 U KR20110009740 U KR 20110009740U KR 200465663 Y1 KR200465663 Y1 KR 200465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ds
towel rack
stopper
inn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숙
Original Assignee
최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숙 filed Critical 최미숙
Priority to KR2020110009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한 행거유닛을 마련하고, 벽체 설치용 두 장착유닛을 마련하며, 특히 두 장착유닛 벽체 설치 시 종래에 비해 행거유닛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간격 조정 후 설치할 수 있고, 두 장착유닛에 행거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건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벽체에 좌우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고, 각각 삽입공을 갖는 두 장착유닛; 상기 두 장착유닛의 각 삽입공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outer-rod), 그리고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너로드(inner-rod)를 포함하는 행거유닛; 상기 이너로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의 길이조절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수단; 및 상기 이너로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의 좌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형 수건걸이{A TOWEL RACK}
본 고안은 욕실 등의 벽체에 설치되어 수건 등을 걸어 놓기 위한 수건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벽체에 설치된 장착유닛에서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여 장착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건걸이에 관한 기술이다.
수건걸이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09494호(2009.01.23.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미끄럼방지용 수건걸이』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몸체의 상부에 고리상판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판을 형성하여 일측에 고정봉을 형성하여 양측의 몸체와 연결하고 상기 고리상판의 일측에는 스톱퍼가 형성된 회전공간부를 형성하여 핀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구를 마련하되 일단에 마찰구를 형성한 회전봉을 형성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벽체에 볼팅 설치되는 몸체를 벽체의 2개소(個所)에 설치한 후 상기 몸체에 상기 회전봉을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벽체에 상기 2개의 몸체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회전봉과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시 벽체에서 1개의 몸체를 탈거하고 회전봉의 길이에 맞게 다른 1개의 몸체로부터 간격 조정 후 재설치하여야 하는 등,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건이 걸리는 행거(본 고안의 행거유닛에 해당)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맞게 벽체 설치용 몸체(본 고안의 장착유닛에 해당)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건걸이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고안은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맞게 장착유닛의 벽체 설치가 용이하며, 장착유닛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두 장착유닛 외측에 위치한 행거유닛의 일부를 비(非)사용 시 접을 수 있도록 한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접힌 행거유닛의 일부에서 보조행거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걸이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벽체에 좌우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고, 각각 삽입공을 갖는 두 장착유닛;
상기 두 장착유닛의 각 삽입공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outer-rod), 그리고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너로드(inner-rod)를 포함하는 행거유닛;
상기 이너로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의 길이조절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수단; 및
상기 이너로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의 좌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벽체 설치 시 두 장착유닛의 좌우 간격 조정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된 두 장착유닛에 행거유닛의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한 행거유닛의 좌우 길이조절 또한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에서 각 아우터로드가 힌지 결합형 두 분체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에서 서브행거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에서 각 로드의 직경에 따른 변형예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의 "A"는 장착유닛의 분해 도면이고, 도 2의 "B" 및 "C"는 해당 영역 확대 도면이며, 도 3의 "D" 및 "E"는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F"는 두 분체의 힌지 결합 부위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도면이며, 도 6의 "G"는 서브행거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두 장착유닛(10), 행거유닛(20), 스토퍼수단(30) 및 홀딩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두 장착유닛(10)은
도 1 및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등의 벽체에 좌우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행거유닛(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좌우로 확장되는 도브테일(dovetail)형 결합부(111)와 이 결합부(111)에 관통 형성되는 둘 이상의 볼트공(112)을 갖는 브래킷(11), 그리고
상기 브래킷(11)의 결합부(111)와 암수 결합되는 대응결합부(121)와 이 대응결합부(121)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공(122)을 갖는 서포트(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행거유닛(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장착유닛(10)에서 서포트(12)의 각 삽입공(122)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outer-rod)(21, 22), 그리고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너로드(inner-rod)(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토퍼수단(30)은
도 1, 도 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로드(23)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길이조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너로드(23)의 양단부 외주면에 배열되는 두 스토퍼오링부재(31),
상기 제1아우터로드(21)의 타단부(他端部) 외주면에 배열되는 제1체결부(32),
상기 제2아우터로드(22)의 일단부(一端部) 외주면에 배열되는 제2체결부(33),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져 일단부의 상기 스토퍼오링부재(31)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내부 단턱(341)과 상기 제1체결부(32)와의 제1대응체결부(342)를 갖는 제1스토퍼부재(34), 그리고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져 타단부의 상기 스토퍼오링부재(31)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내부 단턱(351)과 상기 제2체결부(33)와의 제2대응체결부(352)를 갖는 제2스토퍼부재(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스토퍼부재(34, 35)의 내주면에는 이에 요입되게 단면이 사각인 패킹부재(343, 3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로드(2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에 대한 좌우 길이조절 시,
특히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길이를 늘리게 될 때에
상기 각 스토퍼부재(34, 35)의 단턱(341, 351)이 상기 두 스토퍼오링부재(31)에 걸리게 되어 이동 정짐됨에 따라,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외측 이동 범위가 제한되면서 아울러 상기 이너로드(23)에서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분리가 방지된다.
홀딩수단(40)은
상기 이너로드(2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좌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우선 이하에서는 제1 구현예의 홀딩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40A',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40'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의 "D"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홀딩수단(40A)은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중단부(中端部) 외주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홀딩오링부재(41), 그리고
상기 두 장착유닛(10)에서 서포트(12)의 각 삽입공(122) 내주면에 배열되어 상기 홀딩오링부재(41)와 밀착되는 단면이 사각인 두 대응패킹부재(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삽입공(122) 내주면에는 환형의 요입부(43)가 더 형성되고, 이 요입부(43)에 상기 대응패킹부재(42)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홀딩오링부재(41)에 의해 상기 대응패킹부재(42)가 밀려 상기 삽입공(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너로드(23)를 기준으로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길이조절을 하고, 이때 길이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홀딩오링부재(41) 중 상기 각 삽입공(122)에 위치한 홀딩오링부재(41)가 상기 대응패킹부재(42)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E"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40B)은
상기 두 장착유닛(10)에서 서포트(12)의 각 삽입공(122)을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나선부(45), 그리고
상기 두 나선부(45)에 체결되어 상기 각 삽입공(122)을 지나는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외벽을 가압하는 두 체결볼트(4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로드(23)를 기준으로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길이조절을 하고, 이때 길이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46)를 조임에 따라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도 4 및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가 힌지에 의해 상호 결합된 두 분체(P1, P2)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아우터로드(21)를 이루는 내측 분체(P1)는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지고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32)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힌지결합부(H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아우터로드(22)를 이루는 내측 분체(P1)는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지고 일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2체결부(33)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힌지결합부(H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아우터로드(21)를 이루는 외측 분체(P2)는 타단부에 상기 힌지결합부(H1)와의 대응힌지결합부(H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아우터로드(22)를 이루는 외측 분체(P2) 또한 일단부에 상기 힌지결합부(H1)와의 대응힌지결합부(H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H1)와 상기 대응힌지결합부(H2)에는 힌지축(H3)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H3)을 기준으로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외측 분체(P2)는 내측 분체(P1)로부터 상하로의 폴딩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도 5의 [나] 참조)
상기 두 분체(P1, P2)에서 힌지결합부(H1)와 대응힌지결합부(H2)가 상기 두 장착유닛(10)의 서포트(12) 각 삽입공(122)가 위치되게 하면, 외측 분체(P2)의 상하 폴딩 동작이 제한된다.(도 5의 [가]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외측 분체(P2)를 펼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두 분체(P1, P2) 폴딩 부위를 상기 각 삽입공(122)에 위치시키면 되고,
반대로 외측 분체(P2)를 접어서 비(非)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두 분체(P1, P2) 폴딩 부위를 상기 각 삽입공(122)으로부터 벗어나게 한 후 상기 힌지축(H3)을 기준으로 하방 또는 상방으로 접어놓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서브행거수단(50)을 더 포함하는데,
도 6 및 도 6의 "G"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행거수단(50)은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에서 외측에 위치한 각 분체(P2) 상부에 형성되는 리세스(recess)(51), 그리고
상기 리세스(51)에 수용되어 상기 리세스(51) 외측 내벽에 힌지 결합되는 서브로드(52)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리세스(51)의 외측 내벽을 관통하는 힌지삽입부(미도시)와, 상기 서브로드(52) 단부를 관통하는 대응힌지삽입부(미도시)와, 상기 힌지삽입부 및 상기 대응힌지삽입부에 끼워지는 힌지핀(53)에 의해 상기 리세스(51)에서 상기 서브로드(52)의 펼침 및 접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각 아우터로드(21, 22)의 외측 분체(P2)를 하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로드(52)를 수평 상태로 펼쳐서 별도의 걸이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는 각 로드(21, 22, 23)의 직경에 따라 일예 및 다른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에서와 같이, 일예의 수건걸이는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가 상기 이너로드(23) 보다 직경이 크도록 구성된다.
결국 상기 이너로드(23)의 직경이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 보다 작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는 서로 같은 직경을 갖는다.
도 7에서와 같이, 다른예의 수건걸이는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가 상기 이너로드(23) 보다 직경이 작도록 구성된다.
결국 상기 이너로드(23)의 직경이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 보다 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는 서로 같은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다른예의 수건걸이는
전술한 상기 스토퍼수단(30)의 각 구성에 대한 형성 위치가 변경되는데,
도 7의 "H" 및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오링부재(31)가 상기 제1아우터로드(21)의 타단부 외주면과 상기 제2아우터로드(22)의 일단부 외주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32, 33)가 상기 이너로드(23)의 양단부 외주면에 각각 배열되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34)가 상기 제1아우터로드(21)와 상기 이너로드(23)의 결합 부위에 배열되고,
상기 제2스토퍼부재(35)가 상기 제2아우터로드(22)와 상기 이너로드(23)의 결합 부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각 로드(21, 22, 23)는 이들이 상호 결합되어 좌우로 길이조절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변경 및 변형 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상기 스토퍼수단(30)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장착유닛
11 : 브래킷 111 : 결합부
112 : 볼트공
12 : 서포트 121 : 대응결합부
122 : 삽입공
20 : 행거유닛
21, 22 :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
23 : 이너로드
30 : 스토퍼수단
31 : 스토퍼오링부재
32, 33 : 제1 및 제2 체결부
34, 35 : 제1 및 제2 스토퍼부재
341, 351 : 단턱
342, 352 : 제1 및 제2 대응체결부
343, 353 : 패킹부재
40, 40A, 40B : 홀딩수단
41 : 홀딩오링부재 42 : 대응패킹부재
43 : 요입부 45 : 나선부
46 : 체결볼트
50 : 서브행거수단
51 : 리세스 52 : 서브로드
53 : 힌지핀

Claims (6)

  1. 벽체에 좌우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고, 각각 삽입공(122)을 갖는 두 장착유닛(10);
    상기 두 장착유닛(10)의 각 삽입공(122)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outer-rod)(21, 22), 그리고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에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너로드(inner-rod)(23)를 포함하는 행거유닛(20);
    상기 이너로드(23)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길이조절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수단(30); 및
    상기 이너로드(2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좌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40, 40A, 40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상기 이너로드(23)의 양단부 외주면에 배열되는 두 스토퍼오링부재(31),
    상기 제1아우터로드(21)의 타단부(他端部) 외주면에 배열되는 제1체결부(32),
    상기 제2아우터로드(22)의 일단부(一端部) 외주면에 배열되는 제2체결부(33),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져 일단부의 상기 스토퍼오링부재(31)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내부 단턱(341)과 상기 제1체결부(32)와의 제1대응체결부(342)를 갖는 제1스토퍼부재(34), 그리고
    상기 이너로드(23)에 끼워져 타단부의 상기 스토퍼오링부재(31)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내부 단턱(351)과 상기 제2체결부(33)와의 제2대응체결부(352)를 갖는 제2스토퍼부재(3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40, 40A)은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중단부(中端部) 외주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홀딩오링부재(41), 그리고
    상기 두 장착유닛(10)의 각 삽입공(122) 내주면에 배열되어 상기 홀딩오링부재(41)와 밀착되는 두 대응패킹부재(42)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40, 40B)은
    상기 두 장착유닛(10)의 각 삽입공(122)을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나선부(45), 그리고
    상기 두 나선부(45)에 체결되어 상기 각 삽입공(122)을 지나는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의 외벽을 가압하는 두 체결볼트(4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는 힌지에 의해 상호 결합된 두 분체(P1, P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21, 22)에서 외측에 위치한 각 분체(P2)는 상부에 리세스(recess)(51)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51)에는 서브로드(52)가 수용되며,
    상기 서브로드(52)는 상기 리세스(51)의 외측 내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KR2020110009740U 2011-11-03 2011-11-03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KR200465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40U KR200465663Y1 (ko) 2011-11-03 2011-11-03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40U KR200465663Y1 (ko) 2011-11-03 2011-11-03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63Y1 true KR200465663Y1 (ko) 2013-03-05

Family

ID=5135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740U KR200465663Y1 (ko) 2011-11-03 2011-11-03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884A (zh) * 2017-07-07 2017-09-08 李知臻 一种易安装的组合式生活用品挂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544Y1 (ko) * 1997-03-20 1999-04-01 김두성 수건걸이
KR200167679Y1 (ko) * 1999-04-20 2000-02-15 최해영 신축부재를 이용한 빨래건조대
KR200440055Y1 (ko) * 2007-04-18 2008-05-28 임지영 욕실용 걸이 홀더
KR20110008876U (ko) * 2010-03-11 2011-09-19 장지수 확장 가능한 다중 수건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544Y1 (ko) * 1997-03-20 1999-04-01 김두성 수건걸이
KR200167679Y1 (ko) * 1999-04-20 2000-02-15 최해영 신축부재를 이용한 빨래건조대
KR200440055Y1 (ko) * 2007-04-18 2008-05-28 임지영 욕실용 걸이 홀더
KR20110008876U (ko) * 2010-03-11 2011-09-19 장지수 확장 가능한 다중 수건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884A (zh) * 2017-07-07 2017-09-08 李知臻 一种易安装的组合式生活用品挂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73126S1 (en) Collapsible feeder
US20130047331A1 (en) Quick lock tension rod and associated methods
US9033163B2 (en) Curved shower rod assembly having flexible mounting base
CA2923925C (en) Adjustable fork connector for connecting trusses
KR200465663Y1 (ko) 길이조절형 수건걸이
KR101500984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CN204427324U (zh) 档位升降架
US9220340B2 (en) Bathroom shelf assembly and bathroom shelf having the same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20150001780U (ko) 서랍용 서랍 로드 구조
JP2008279199A (ja) 物干し具
KR200454594Y1 (ko) 대샤워기용 이동식 비누대
CN211994944U (zh) 一种烫蜡画笔收纳盒
JP2013132376A (ja) 家具転倒防止器具
KR20110008876U (ko) 확장 가능한 다중 수건걸이
USD789460S1 (en) Expanding lion
KR101717285B1 (ko) 칸막이용 받침대
CN202877022U (zh) 花洒升降杆
US20160108634A1 (en) Pool Cover Hanger Device
CN208573543U (zh) 一种多杆毛巾架
KR20100008122U (ko) 벽면 부착형 상/하 슬라이드 행거
KR20120007042U (ko) 조작이 용이한 서포팅 유닛
CN205478388U (zh) 便于拆装的风扇
KR20110108134A (ko) 가구용 걸이봉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