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02Y1 -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 Google Patents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02Y1
KR200465602Y1 KR2020100003885U KR20100003885U KR200465602Y1 KR 200465602 Y1 KR200465602 Y1 KR 200465602Y1 KR 2020100003885 U KR2020100003885 U KR 2020100003885U KR 20100003885 U KR20100003885 U KR 20100003885U KR 200465602 Y1 KR200465602 Y1 KR 200465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line
supply
main body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933U (ko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주)오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시스 filed Critical (주)오토시스
Priority to KR2020100003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0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directly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by using a temperat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노즐이 장착된 공급 라인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온풍을 배출시켜 주는 히팅 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형성된 냉풍을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온풍 또는 상기 냉풍이 공급될 때 동시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산소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피부 모공의 수축 및 이완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풍 또는 냉풍을 번갈아 가면서 공급해 줄 때, 산소 역시 공급해 줌에 따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WARM AND COLD WIND BLOWER SUPPLYING OXYGEN}
본 고안은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공급 라인을 통해 냉풍 또는 온풍과 산소를 동시에 공급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젊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장품을 이용한 피부 화장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피부 화장뿐만 아니라 피부 관리실에서 전문적으로 관리를 많이 받고 있는 추세이다.
피부관리실에서 피부를 관리해 주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냉풍과 온풍 번갈아 이용하여 피부 모공의 수축, 이완을 활성화시켜 피부 관리를 받는 방법과, 산소를 따로 피부에 공급해 주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산소를 피부에 공급해 주면 보습력 향상, 주름 완화 및 세포 호흡을 촉진시켜 피부의 저항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 관리를 받으려면 냉온풍기와 산소 공급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산소 공급 장치의 구매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며, 설치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실내의 공간 활용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 관리사가 피부 관리를 받는 사람에게 냉풍 또는 온풍과 산소를 동시에 공급시키려면, 냉온풍 공급 노즐과 산소 공급 노즐을 동시에 잡고 피부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피부 관리를 해 주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공급 라인을 이용하여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될 때 산소도 동시에 공급해 주는 냉온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는, 일측에 노즐이 장착된 공급 라인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온풍을 배출시켜 주는 히팅 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형성된 냉풍을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온풍 또는 상기 냉풍이 공급될 때 동시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산소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는, 상기 산소 공급 유닛에서 액화 상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기체화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라인은, 상기 히팅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라인; 상기 냉각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라인; 및 일측은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이 각각 연통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어 있는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라인에는, 상기 산소 공급 유닛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 공급 유닛은, 액화 산소가 저장되어 있는 액화 산소통; 일측은 상기 제3 라인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액화 산소통의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화 상태의 산소를 기체 상태로 변환시켜 주는 제1 증발기;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증발기를 통해 기화된 산소를 일 방향으로 흐르게 해 주는 산소 공급 팬; 및 상기 연결 부재 타측에 장착되며,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제어해 주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 라인으로 공급되는 산소를 제어해 주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장착되고, 액화 산소가 상기 제1 증발기에 의해 기화되는 온도를 측정해 주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모공의 수축 및 이완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풍 또는 냉풍을 번갈아 가면서 공급해 줄 때, 산소 역시 공급해 줌에 따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노즐에서 냉 온풍 및 산소를 동시에 공급해 줌에 따라 따로 산소 공급 장치를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액화 산소를 이용함에 따라 실내 공간의 활용에도 제약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히팅 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냉각 코일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산소 공급 유닛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피부 관리실에는, 냉온풍기와 산소 공급 장치를 따로 구비하여 피부 관리를 해 주었다. 이에 따라 냉온풍기와 산소 공급 장치를 각각 구매해야 함으로, 구매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온풍 또는 냉풍 공급 후, 따로 산소를 공급해야 함으로, 피부 관리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경우 액화 산소를 이용하고, 냉온풍기에 산소 공급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실내 공간 활용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으며, 냉온풍할 때 산소를 동시에 공급해 줌에 따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히팅 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의 냉각 코일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산소 공급 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1)는, 크게 본체(10), 히팅 유닛(20), 냉각 유닛(30), 및 산소 공급 유닛(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체(10)는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1)의 기본 몸체이다. 본체(10) 내부에는, 히팅 유닛(20), 냉각 유닛(30), 산소 공급 유닛(40), 및 제어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히팅 유닛(20)과 냉각 유닛(30), 및 산소 공급 유닛(40)과 연통되어 있는 공급 라인(1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공급 라인(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공급 라인(100)은 히팅 유닛(20)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라인(101), 냉각 유닛(30)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라인(102), 및 일측에 제1 라인(101) 및 제2 라인(102)가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3 라인(103)을 포함한다. 제3 라인(103)의 타측은 본체(10)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제3 라인(103)의 타측에는, 냉온풍 및 산소를 분사시켜 주는 노즐(104)이 장착된다. 노즐(104)은 얼굴에 보다 밀접하게 접할 수 있게 마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라인(103)의 일측 내부에는, 제1 라인(101) 또는 제2 라인(102)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110)는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제어부(50)를 이용하여 온풍 또는 냉풍 공급을 임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온풍을 공급받기 위해 제어부(50)에 정보를 입력하면, 개폐 부재(110)는 제2 라인(102)을 폐쇄시키고 제1 라인(101)을 개방시켜 준다. 이에 따라 히팅 유닛(20)에서 발생된 온풍은, 제1 라인(101)을 따라 제3 라인(103)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풍을 공급받을 때에는, 제어부(50)를 통해 개폐 부재(110)를 반대로 작동시켜 제1 라인(101)을 폐쇄시키고 제2 라인(102)을 개방시켜 주면 된다.
또한, 본체(10) 하부에는, 다수의 가이드 바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유닛(20)은, 공급 라인(100)을 통해 본체(10) 외부에 온풍을 공급해 주는 유닛이다. 히팅 유닛(20)은 히팅 몸체(200), 제1 공급 팬(210) 및 히팅 코일(220)을 포함한다. 히팅 몸체(200)의 일측에는, 제1 유체 투입구(20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유체 배출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히팅 코일(220)은 히팅 몸체(200) 내부에 장착된다. 제1 공급 팬(210)은 히팅 코일(220)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1 유체 투입구(20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제1 유체 배출구(202)로 흐르게 해 준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투입구(201)에 공급된 유체는 히팅 코일(220)을 지나가면서 히팅되며, 히팅된 유체는 제1 공급 팬(210)에 의해 제1 유체 배출구(202)로 배출되어 제1 라인(101)으로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유닛(30) 역시 히팅 유닛(20)과 동일하게 본체(10)에 설치되며,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형성된 냉매를 통해 냉풍을 공급해 준다. 냉각 유닛(30)은 압축기(300), 응축기(310), 팽창 밸브(320), 제2 증발기(330), 및 송풍부(340)를 포함한다. 압축기(300)는 냉매를 압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응축기(310)는 압축기(300)를 통해 압축된 냉매를 중온 중압의 액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팽창 밸브(320)는 응축기(310)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증발이 용이하도록 감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증발기(330)는 팽창 밸브(320)를 거친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제2 증발기(330) 주변의 유체 온도를 낮추어 준다. 송풍부(340)는 제2 증발기(330)를 감싸고 있으며, 일측에는 제2 유체 투입구(3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유체 배출구(3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부(340)에는, 제2 공급 팬(35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체 투입구(341)에 공급된 유체는, 제2 증발기(330)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며, 제2 공급 팬(350)에 의해 낮아진 온도의 유체가 제2 라인(102)으로 공급된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한 실시예의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1)는, 히팅 유닛(20)과 냉각 유닛(30)을 모두 포함시켜 온풍과 냉풍을 공급하나, 작업자가 어떠한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히팅 유닛(20)과 냉각 유닛(30) 중 하나의 유닛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의 히팅 유닛(20)과 냉각 유닛(30)은 각각 히팅 코일(220)과 압축기(300), 응축기(310), 제2 증발기(330), 및 팽창 밸브(320)를 이용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소자 등을 이용하여 열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유닛들을 이용하여 가열 및 냉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공급 유닛(40)은, 제3 라인(103)에 장착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될 때 산소도 같이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공급되는 산소는, 산소 공급 유닛(40)에서 액화 상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제3 라인(103)으로 공급될 때는 기체화 되어 공급된다.
보다 자세히 산소 공급 유닛(40)에 대해 설명하자면, 산소 공급 유닛(40)은, 액화 산소통(400), 연결 부재(410), 제1 증발기(420), 산소 공급 팬(430), 및 압력 센서(440)를 포함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450)와 온도 센서(460)를 더 포함한다. 액화 산소통(400)에는, 액화 산소(-183℃)등의 저온 액화가스를 저장되어 있다. 액화 산소를 이용함에 따라 같은 용량의 기체 산소보다 약 200배 이상 더 많이 액화 산소통(400)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 공급 장치(1)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액화 산소통(400)은 연결 부재(410)에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액화 산소를 모두 소진한 경우 다른 액화 산소통(400)으로 교체하거나 충전 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다.
연결 부재(410)는, 레귤레이터로서, 액화 산소통(400)을 제3 라인(103)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 부재(410)의 일측은, 제3 라인(103)과 연결되며, 타측은, 액화 산소통(400)의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증발기(420)는 연결 부재(410)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액화 산소통(400)의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액화 상태의 산소를 기체 상태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산소 공급 팬(430)은, 연결 부재(410) 내부에 장착되어 제1 증발기(420)를 통해 기화된 산소를 제3 라인(103)으로 공급시켜 준다.
또한, 압력 센서(440)와 솔레노이드 밸브(450)는, 연결 부재(410)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 센서(440)는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측정해서 제어부(50)에 전달해 준다. 이에 제어부(50)는, 압력 센서(440)로부터 전달된 입력 정보값를 바탕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50)를 온/오프시켜 산소의 공급을 제어해 준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450)는, 액체 산소통(400)에 온풍 또는 냉풍이 역류되지 않도록 해 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온도 센서(460)는 액화 산소가 제1 증발기(420)에 의해 기화되는 온도를 측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온도 센서(460) 역시 제어부(50)에 산소의 온도값을 전달하며, 전달된 온도값을 바탕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50)를 온/오프시켜 산소의 공급을 제어해 준다.
또한, 액화 산소통(400)이 소형일 경우, 제1 증발기(420), 산소 공급 팬(430), 및 압력 센서(440) 등은 생략되고, 제3 라인(103)이나 연결 부재(410)에 바로 액화 산소통(400)만 연결될 수 있다. 제3 라인(103)에 바로 연결될 경우 액화 산소통(400)이 소형이기 때문에 산소가 액화 상태에서 기화 상태로 변화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1)에 대해 정리하자면, 제1 라인(101)과 연결된 히팅 유닛(20)과, 제2 라인(102)과 연결된 냉각 유닛(30), 및 제3 라인(103)과 연결된 산소 공급 유닛(40)를 이용하여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될 때 산소도 같이 공급해 준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피부 관리를 받을 수 있으며, 산소 공급 장치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1 : 냉온풍 장치
10 : 본체 100 : 공급 라인
101 : 제1 라인 102 : 제2 라인
103 : 제3 라인 104 : 노즐
110 : 개폐 부재
20 : 히팅 유닛 200 : 히팅 몸체
201 : 제1 유체 투입구 202 : 제1 유체 배출구
210 : 제1 공급 팬 220 : 히팅 코일
30 : 냉각 유닛 300 : 압축기
310 : 응축기 320 : 팽창 밸브
330 : 제2 증발기 340 : 송풍부
341 : 제1 유체 투입구 342 : 제2 유체 배출구
350 : 제2 공급 팬
40 : 산소 공급 유닛 400 : 액화 산소통
410 : 연결 부재 420 : 제1 증발기
430 : 산소공급 팬 440 : 압력 센서
450 : 솔레노이드 밸브 460 : 온도 센서
50 : 제어부

Claims (6)

  1. 공급 라인(100)을 구비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라인(100)을 통해 상기 본체(10) 외부로 온풍을 배출시켜 주는 히팅 유닛(20); 및
    상기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형성된 냉풍을 상기 공급 라인(100)을 통해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냉각 유닛(30)과;
    상기 히팅 유닛(20)과 연결되는 제1 라인(101)과, 상기 냉각 유닛(30)과 연결되는 제2 라인(102)과, 및 일측은 상기 제1 라인(101)과 상기 제2 라인(102)이 각각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고 산소 공급 유닛(40)이 연결되는 제3 라인(103)과, 상기 제1 라인(101) 또는 제2 라인(102)을 제어부(50)의 제어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 부재(110)를 구비하는 공급 라인(100);
    상기 공급 라인(100)에 연결되고, 상기 온풍 또는 상기 냉풍이 공급될 때 동시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가 액화 상태로 저장되는 액화 산소통(400)과, 상기 액화 상태의 산소를 기체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기화시키는 제1 증발기(420)와 상기 연결 부재(410)와 연결되고, 제어부(50)가 전달된 온도값을 바탕으로 온/오프 제어하여 상기 공급 라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과 냉풍 및 산소가 액체 산소통(400)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 밸브(450)가 설치되는 산소 공급 유닛(40);를 포함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 유닛(40)은,
    상기 액화 산소통(400)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410)와, 제1 증발기(420)에서 기화된 산소가 제3 라인 방향으로 흐르도록 연결 부재(410) 내부에 설치되는 산소 공급 팬(430)과, 상기 연결 부재(410)에 장착되고 산소의 공급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센서(440)와, 상기 연결 부재(410) 내부에 연결되고 액화 산소가 상기 제1 증발기(420)에 의해 기화되는 온도를 측정해 제어부(50)에 전달하는 온도 센서(460)를 더 포함하고,
    본체(10)에는 공급라인(100)의 제3 라인(103) 끝단에 온풍과 냉풍 및 산소를 얼굴에 분사시킬 수 있고 얼굴에 밀접하도록 마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즐(104)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00003885U 2010-04-14 2010-04-14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KR200465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885U KR200465602Y1 (ko) 2010-04-14 2010-04-14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885U KR200465602Y1 (ko) 2010-04-14 2010-04-14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33U KR20110009933U (ko) 2011-10-20
KR200465602Y1 true KR200465602Y1 (ko) 2013-03-04

Family

ID=5135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885U KR200465602Y1 (ko) 2010-04-14 2010-04-14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72B1 (ko) * 2012-05-07 2013-01-23 (주)닥터서플라이 공압을 이용한 냉온 수치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182U (ko) * 1996-07-24 1998-04-30 배순훈 산소 공급이 가능한 자동차 실내 에어컨 시스템
KR20040097660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산소 생성 유닛이 부착된 자동차 공조 시스템
KR20080006335A (ko) * 2006-07-12 2008-01-16 허재욱 산소호흡기
KR200442142Y1 (ko) 2008-02-13 2008-10-14 태광이엔에스(주) 산소 발생기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182U (ko) * 1996-07-24 1998-04-30 배순훈 산소 공급이 가능한 자동차 실내 에어컨 시스템
KR20040097660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산소 생성 유닛이 부착된 자동차 공조 시스템
KR20080006335A (ko) * 2006-07-12 2008-01-16 허재욱 산소호흡기
KR200442142Y1 (ko) 2008-02-13 2008-10-14 태광이엔에스(주) 산소 발생기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33U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2526B2 (en) Hair styling device
KR20200070139A (ko)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CN107485075A (zh) 空调衣
KR200465602Y1 (ko) 산소를 공급하는 냉온풍 장치
US20130233531A1 (en) Temperature conditioning device
JP2011208898A (ja) 給湯機
CN108784915A (zh) 一种具备冷热敷功能的腿部治疗装置
CN104819143B (zh) 空压机后冷却器性能试验的进口湿度控制系统及实现方法
US117237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or heating a human body part
CN204395159U (zh) 用于加热设备中的气体的装置
JP6189228B2 (ja) 頭皮冷却装置
JP3615514B2 (ja) 美容用温冷噴霧装置
CN209181168U (zh) 一种外气空调箱系统
US20160076818A1 (en) Fluid cooling pad system utilizes compressed air as a cooling source
CN206566073U (zh) 敷疗系统及敷疗仪
JP2017137978A (ja) 低温液化ガス用bog加温システム
CN207220873U (zh) 一种气体节流型冷冻外科装置
KR20090119240A (ko) 하향 분출식 증기 시스템
KR100681234B1 (ko) 휴대용 냉난방 장치
CN2535068Y (zh) 家用中药雾化汽疗装置
CN205515151U (zh) 一种用于治疗发热病人的降温装置
CN210531699U (zh) 一种低压端出气温度控制的减压阀
SE0402006D0 (sv) Värmepump
KR100343305B1 (ko) 냉/온 가습 모발기
US8035064B1 (en) Heating unit for refrigerant charging cylin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