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95Y1 -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 Google Patents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95Y1
KR200465595Y1 KR2020100009611U KR20100009611U KR200465595Y1 KR 200465595 Y1 KR200465595 Y1 KR 200465595Y1 KR 2020100009611 U KR2020100009611 U KR 2020100009611U KR 20100009611 U KR20100009611 U KR 20100009611U KR 200465595 Y1 KR200465595 Y1 KR 200465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xtension piece
piece
collecting container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2091U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주)경서글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주)경서글로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2020100009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95Y1/en
Publication of KR20120002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9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에 대용량의 집진통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장치 및 이러한 결합장치가 구비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와,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연장편의 끝단부는 장공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와, 일단은 기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연장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로바의 하강시 연장편의 끝단부가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그리고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담기는 집진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detachably coupling a large amount of dust collector to a vacuum cleaner, and a cleaner equipped with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a pair of pillars are formed to face the lo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extension pieces are formed side by side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is restrained and lifted by the long hol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when the horizontal bar is extended to the long hole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 portion and the extension piece to ride up, and has a feature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Description

집진통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Collection device for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using it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진공청소기에 대용량의 집진통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장치 및 이러한 결합장치가 구비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detachably coupling a large amount of dust collector to a vacuum cleaner, and a cleaner equipped with the coupling device.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흡입력을 생성하고, 이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거름망에 통과시키거나 사이클론 방식을 통하여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물질은 집진통으로 수거하며, 분리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 vacuum cleaner generates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ust by the suction force, passes the sucked air and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trainer, or separates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cyclone method. Thus, the foreign matter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sepa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특히,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에서 집진통은 통상 원통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게 되며, 그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와 수시로 분리, 결합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yclone vacuum cleaner, the dust collector has a cylindrical inner space, and is often separated and combined with the main body in order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therein.

이러한 집진통의 분리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된다. 일예로 가정용 진공청소기에서는 원통형 집진통의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집진통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게 하고, 집진통의 개방된 외주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플랜지들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상기 플랜지에 대향하여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턱들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집진통을 들어 올려 플랜지들이 걸림턱들의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에, 사용자가 집진통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각 걸림턱이 플랜지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Various coupling means are used for the separate coupling of the dust collector. For example, in a household vacuum cleaner, a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of a cylindrical dust collector,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grasp the dust collector,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ope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are formed, and the main body has a handle on the flange. To form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projecting inward toward the inner side, after the user lift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flanges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ocking jaws, the user rotate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t an angle so that each locking jaw is the lower end of the flange.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while touching the surface.

그 외 클램프방식, 끼움방식 등 다양한 공지된 결합수단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결합방식들은 주로 소형 진공청소기에서 유용한 것이나, 공장 등에서 운영되는 대형 진공청소기에는 적합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variety of known coupling means, such as clamp method, fitting method is utilized, these conventional coupling methods are mainly useful in small vacuum cleaners,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large vacuum cleaners operating in factories and the like.

그 예로, 전술된 플랜지와 걸림턱의 결합방식은 사용자가 집진통을 들어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데, 대형 진공청소기의 경우 집진통이 크게 제작되어 다루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집진통 안에 이물질이 가득 찬 경우에는 매우 무겁기 때문이다.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thod of the flange and the locking jaw is made by the user lif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the case of a large vacuum clean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made large and inconvenient to handle, and when the foreign matter is fill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ecause it is very heavy.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통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has an object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dust collector.

또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기밀이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irtightnes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has an object to be made through a simple operation.

또한, 무거운 집진통의 분리, 결합에 소요되는 힘이 적게 들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lessen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and combine the heavy dust collector.

본 고안은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소기 본체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는 상기 장공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담기는 집진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집진통 결합장치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a pair of pillars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extension pieces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is restrained by the long hole to the lifting por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to rise in the long hole when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and facing the extension pie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catc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viewing surface and including a catch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cradle formed i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또한, 상기 가로바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로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톱퍼부에 의하여 저지되며, 상기 가로바의 하강 중에 상기 링크부의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은 상기 장공과 상기 링크부의 일단의 회전축의 가상 연결선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통 결합장치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by a stopper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ar while being lowered, the rotating shaft formed at the end of the link portion during the lowering of the horizontal bar is a virtual connection line of the long axis and the rotary shaft of one end of the link portion Presents a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assing through.

또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와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집진통 결합장치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and one end of the link portion proposes a dust collecting coupl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집진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편에는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내측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이 포함되는 집진통 결합장치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the holder includes a mounting piec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The mounting piece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concave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piece to the top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groove is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proj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stopper piece.

한편,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된 이물질을 하부에 구비된 호퍼를 통하여 배출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이 수거되는 집진통,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집진통이 위치하는 하부공간을 형성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바닥부를 포함하는 외부하우징, 그리고 위 기재에 따른 집진통 결합장치가 포함되는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a vacuum cleaner body for sucking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hopper provided in the cyclone method,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the dust collector is collected, th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nd an outer housing including a pillar part which forms a lower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located, a moving bottom part which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llar part and is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and a dust collect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vacuum cleaner included is present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 기능을 하는 손잡이부를 통하여 무거운 집진통을 용이하게 들어 올려 청소기 본체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easily lift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having a lever function to fix the cleaner body or release the fixing thereof.

또한, 손잡이부의 하강 또는 승강을 통하여 집진통과 청소기 본체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집진통과 청소기 본체의 결합과 그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er body can be coupled or separated through the lowering or the lifting of the handle part,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er body can be easily coupled and released.

또한, 집진통과 커버 부재는 별다른 결합부재 없이 가압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결합에 소요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cover member are coupled by pressure without any other coupl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for the coupling in the prior ar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집진통 결합장치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에에 채용된 걸림부와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집진통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는 집진통이 내려진 상태를, 도 6은 집진통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 (b), (c)순서로 손잡이부가 하강됨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shown in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coupling apparatus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radle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6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coupl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lowere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raised.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he handle portion (a), (b), (c) in the order showing the lowerin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결합장치와 이를 사용한 진공청소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coupling apparatus and the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200)에는 청소기 본체(210), 집진통(220), 외부하우징(230) 그리고 집진통 결합장치(10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1, the vacuum clean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210,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an external housing 230,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coupling device 100.

이때, 청소기 본체(210)에는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내부에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흡인력으로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호스, 상기 흡입호스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를 통하여 배출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power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210,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motor, the suction mean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o suck air,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A suction hose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is separated from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hose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air is provided through a hopp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이때, 분리수단은 필터망으로 이루어져 공기는 필터망을 통과하고, 필터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은 아래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거나, 원통형 공간내에 흡입된 공기가 스월을 일으키도록 유입시키고, 스월의 중심에서 모인 이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되게 하고, 밀도가 가벼운 공기는 원주형 외벽을 타고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유체 중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다양한 분리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means is composed of a filter net ai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net, foreign mat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net is configured to discharge down, or the air sucked into the cylindrical space to induce a swirl, at the center of the swirl The collected foreign matters can be freely dropped by gravity, and the lighter air can be configured in a cyclone manner in which the light is lifted on the outer wall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various separation methods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n the fluid may be used.

집진통(220)은 분리된 이물질이 수거되는 통 부재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하강되는 호퍼(211)에 연결되는 커버 부재(212)의 하부면에 접하여 기밀된다. 이때, 커버 부재(212)와 집진통(220)의 접촉면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씰링부재(도시 생략)가 더 구비되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Dust collector 220 is a cylindrical member in which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f approximately the top open.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oreign matter is hermetically contac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12 connected to the hopper 211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is lowered. In this cas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12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o improve the airtight performance.

더하여, 집진통(220)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222)가 달려 있으며, 집진통(220)의 바닥 부분에는 무거운 집진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이동수단(2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223)은 집진통의 바닥부분에 결합되는 다수의 바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has a handle 22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bottom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e moving means 22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a heavy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moving means 223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heel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한편, 외부하우징(230)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골격 부재로, 집진통(220)이 위치하는 하부공간(231)을 형성하는 기둥부(10)와, 상기 기둥부(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바퀴 등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232a)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바닥부(232)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housing 230 is a skeletal member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he pillar portion 10 forming a lower space 231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located, and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0. It is coupled, and includes a moving bottom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232a) made of wheels and the like.

여기서 기둥부(10)는 청소기 본체(210)의 양 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 내부가 비어 있는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닥부(232)는 기둥부(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진공청소기의 최하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동부재(232a)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를 통하여 사용자는 진공청소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pillar part 10 is a member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210, and may be made of a shape steel having an empty inside. In addition, the moving bottom portion 23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ortion 10 to form the bottom of the vacuum cleaner, the moving member 232a is coupl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vacuum cleaner through the moving member.

한편, 집진통 결합장치(100)는 집진통(220)을 걸어 올림으로써 청소기 본체(210)의 커버 부재(212)와 기밀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추후 설명되는 집진통 결합장치의 내용에 따른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100 is to be airtight with the cover member 212 of the cleaner body 210 by lifting the dust collector (220).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the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described later.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결합장치(100)를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6, it describes a dust collecting coup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집진통(220)의 양측면에는 거치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거치대(2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220)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일 수 있으며, 거치대(221)는 후술되는 걸림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First, cradles 221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At this time, the cradle 221, as shown in Figure 2, may be a plate-shaped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220, the cradle 221 is separable to the engaging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combin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결합장치(100)에는 청소기 본체(210)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의 장공(11)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10)와, 가로바(21)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22)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22)의 끝단부는 상기 장공(11)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20)와, 일단(31)은 상기 기둥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32)은 상기 연장편(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21)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22)의 끝단부(23)가 상기 장공(11)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30) 그리고 상기 연장편(22)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담기는 집진통(220)에 형성된 거치대(22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40)가 포함된다.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210, a pair of pillar portion 10 is formed to face the long hol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extension pieces 22 are formed side by side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21,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estrained by the long hole 11, the handle portion 20 is elevated And, one end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0, the other end 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22, the extension when the horizontal bar 21 is lowered The end portion 23 of the piece 22 is protrud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 portion 30 and the extension piece 22 to ride up the long hole 11,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The containment includes a catching part 40 to which the holder 221 formed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detachably coupled.

한 쌍의 기둥부(10)는 서로 마주보는 평면을 가지며, 이 평면에는 동일한 높이에 상하 방향의 장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공(11)의 수직 하부 방향에는 링크부(30)의 일단(31)이 힌지결합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pillar portions 10 have planes facing each other, and the long holes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2 in which the one end 31 of the link portion 30 is hinged is formed in the vertical lower direction of the long hole 11.

손잡이부(20)에는 양 기둥부(10)의 이격된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의 가로바(21)와, 상기 가로바(21)에서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연장편(22)이 포함된다. 가로바(21)는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봉의 형상을 가지며, 잡기에 편하도록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로바(21)의 양단에서 형성되는 연장편(22)은 평면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공에 연결되었을 때에 가로바(21)가 사용자가 잡기 편한 위치에 있도록 중간부분이 완만하게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The handle part 20 includes a horizontal bar 21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two pillar parts 10, and an extension piece 22 extending side by side from the horizontal bar 21. Horizontal bar 21 is a portion that is held by the user generally has the shape of a rod, it may be formed in a gentle bend to be comfortable to hold. In addition, the extension pieces 22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21 are formed so that the planes face each other, the middle portion is gentle so that the horizontal bar 21 is in a position comfortable for the user when connected to the long hole. It may be a curved shape.

이때, 손잡이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 긴 봉체의 양 끝단부를 서로 나란하게 휘고, 이 휘어진 부분의 끝단부를 수직된 평판이 되도록 압착하여 연장편(22)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forming the handle portion 20, both ends of the elongated rod may be bent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bent portion may be compressed into a vertical flat plate to form an extension piece 22.

연장편(22)은 기둥부(10)에 형성된 장공(11)에 그 끝단부(23)가 구속되어, 장공(11)의 내주면을 타고 승강되며, 장공(11)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볼트, 와셔, 너트 등 일반적인 결합부재가 사용되어 각 장공(11)과 각 연장편(22)의 끝단부(23)가 힌지 결합된다.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공을 타고 승강할 때에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The extension piece 22 is constrained by the end portion 23 of the long hole 11 formed in the pillar portion 10, is elev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ng hole 11,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long hole 11. To this end, general coupling members such as bolts, washers, and nuts are used to hinge each end 11 of each long hole 11 and each extension piece 22. Furthermore, more preferably, the bearing may be further coupled to reduce wear when lifting up and down in the long hole.

한편, 링크부(30)는 그 일단(31)이 기둥부(10)에 형성된 관통공(12)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32)은 연장편(22)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30)의 타단(32)은 장공(11)과 결합된 연장편(22)의 끝단부(23) 위치보다, 가로바(21)에 가까운 중간부분에서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30) 양 끝단의 힌지결합은 통상 널리 알려진 볼트, 너트, 와셔, 베어링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link portion 30 is one end 31 is hinged to the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pillar portion 10, the other end 32 is hinged to the extension piece (22). At this time, the other end 32 of the link portion 30 is hing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closer to the horizontal bar 21 than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coupled with the long hole 11. At this time, the hinge coupling of both ends of the link portion 30 is usually made through well-known bolts, nuts, washers, bearings and the like.

이로써, 상기 가로바(21)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22)의 끝단부(23)가 상기 장공(11)을 타고 상승되고, 상기 가로바(21)의 상승시에는 연장편(22)의 끝단부(23)가 장공(11)을 타고 하강하게 링크 결합된다.As a result, when the horizontal bar 21 descends, the end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aised by the long hole 11, and when the horizontal bar 21 is raised,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aised. Part 23 is coupled down linking the long hole (11).

한편, 걸림부(40)는 연장편(22)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어, 집진통(220)의 거치대(2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는 장공에 결합되는 연장편의 끝단부 내측에서 돌출되게 결합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돌기에 대응하여 거치대는 상부로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과 돌기는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portion 40 is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extension piece 22,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221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Specifically, the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that is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coupled to the long hole, whereby the cradle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to the top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t this time,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may be 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40)는 외주면에 거치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22)의 끝단부(23)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4, the engaging portion 40 is a mounting groove 4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rotatably coupled at the end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41.

또한, 상기 거치대(221)는 상기 집진통(220)의 외벽면(224)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221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편(221a)에는 상기 거치홈(42)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221b), 상기 가로편(221b)의 내측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42)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1c) 및 상기 삽입홈(221c)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41)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221d)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221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ing piece 221a which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224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e mounting piece 221a on the mounting groove 42 Raised horizontal piece (221b), is formed concave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piece (221b) to the upper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221c) and the insertion groove (221c) is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42 A stopper piece 221d may be formed to prevent movement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거치대(221)는 거치편(221a)을 포함하는 브래킷으로 제작되어, 양 측은 집진통(220)에 고정되고, 거치편(221a)은 집진통(220)의 외벽면(224)과 이격된다. 집진통 외주면과 거치편 사이의 공간은 원통돌기의 내측이 삽입되는 공간이다.The cradle 221 is made of a bracket including the cradle 221a, both sides are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e mounting piece 221a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224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mounting piece is a space into which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is inserted.

거치편(221a)은 하측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로편(221b), 삽입홈(221c), 스톱퍼편(221d)을 형성하고 있다.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piece 221a is cut off to form a horizontal piece 221b, an insertion groove 221c, and a stopper piece 221d.

원통돌기(41)는 장공에 의하여 이동이 구속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만 운동이 가능하다. 지면에 놓인 집진통(220)을 청소기 본체의 하부공간으로 밀어 넣을 때에, 가로편(221b)의 하단면은 원통돌기(41)에 형성된 거치홈(42)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후, 집진통(220)을 더욱 밀어 넣으면, 원통돌기(41)의 거치홈(42)이 수직으로 형성된 스톱퍼편(221d)에 걸리므로 더 이상의 전진이 저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원통돌기(41)가 상승하면 원통돌기(41)의 거치홈(42)은 거치편(221a)의 삽입홈(221c)으로 이동되어, 거치홈(42)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거치대(221)를 위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즉, 원통돌기(41)가 삽입홈(221c)에 끼워짐으로써, 집진통(220)이 이탈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의 커버 부재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is constrained by the long ho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can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placed on the ground is push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cleaner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iece 221b moves on the mounting groove 42 formed in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Thereafter,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pushed further, since the mounting groove 42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is caught by the stopper piece 221d formed vertically, further advance is prevented. Thereafter,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e part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is raised, the mounting groove 42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is moved to the insertion groove 221c of the mounting piece 221a, thereby leaving the mounting groove 42. It is not possible to raise the cradle 221. That is, the cylindrical protrusion 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c,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member of the cleaner body.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집진통 결합장치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5 to 7,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5는 손잡이부(20)가 들려진 상태로, 집진통을 청소기 본체에서 외부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이다. 5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0 is lifted,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to the outside.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들림에 따라, 링크부(30)는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연장편(22)의 끝단부(23)는 장공(11)을 타고 최대로 내려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장편(22)의 끝단부(23)에 구비되는 걸림부(40)의 위치가 하강되어 있어, 원통돌기가 삽입홈의 아래로 이동된 상태가 되므로, 집진통을 당겨 청소기 본체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As the horizontal bar is lifted based on the drawing, the link part 30 is rotated to the right, and the end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brought down to the maximum by riding the long hole 11.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40 provided at the end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lowered, and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moved under the insertion gro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an be pulled out of the cleaner body. Will be.

한편, 도 6은 손잡이부(20)가 내려진 상태로, 집진통을 올려 청소기 본체의 커버와 밀착시킨 상태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0 is lowered, the dust collector is rais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of the cleaner body.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내려짐에 따라 링크부(30)는 일단(3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에 연장편(22)의 끝단부(23)는 장공(11)의 상부로 상승되고, 그에 따라 연장편(22)의 끝단에 구비된 원통돌기가 삽입홈에 끼워진 채로 상승하여 집진통이 상승된다.Based on the drawings, as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the link unit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one end 31. Accordingly,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ng hole 11, and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rojec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aised with the insertion groove being fitted to raise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

이때, 상기 가로바(21)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로바(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톱퍼부(도 7의 (c) 참고)에 의하여 저지되며, 상기 가로바의 하강 중에 상기 링크부(30)의 타단(32)에 형성된 회전축은 상기 장공(11)과 상기 링크부(30) 일단(31)의 회전축의 가상 연결선(L1)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21 is blocked by the stopper portion (see (c) of FIG. 7)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ar 21 while descending, and the link portion 30 during the lowering of the horizontal bar. The rotating shaft formed at the other end 32 of th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virtual connecting line (L1)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long hole 11 and the end portion 31 of the link portion (30).

구체적으로, 링크부(30)와 연장편(22)이 연결된 회전축 중심(A)은, 장공(11)과 연장편(22)의 끝단부(23)의 힌지축 중심(B)과 링크부(30)와 기둥부(10)의 힌지축 중심(C)을 잇는 가상 연결선(L1)을 통과하여 왼쪽으로 더 치우쳐지게 위치된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axis center A to which the link portion 30 and the extension piece 22 are connected includes the hinge axis center B and the link portion () of the long hole 11 and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t is positioned to be further biased to the left through the virtual connecting line (L1) connecting the 30 and the hinge axis center (C) of the column (10).

이 경우, 이물질이 수거된 집진통의 하중이 연장편(22)의 끝단부(23)에 수직 하방으로 작용할 때에, 이 하중은 왼쪽으로 치우쳐진 링크부(3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도록 작용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연장편(22)은 장공(11)과 결합된 그 끝단부(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한다. 이때, 연장편(22)과 일체를 이루는 가로바(21)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부(233)에 접촉하면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즉, 집진통의 하중은 링크부(30)와 연장편(22)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손잡이부(20)가 스톱퍼부(233)에 걸리면서 지지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when the loa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which foreign matter is collected acts vertically downward to the end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this load is such that the link part 30 shifted to the left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Thus, the extension piece 22 acts to rotate clockwise with its end 23 coupled to the long hole 11 as the axis of rotation.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21 integral with the extension piece 22 is no longer able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stopper portion 233, as shown in FIG. That is, the loa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transmitted to the link portion 30 and the extension piece 22, and finally the handle portion 20 is support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topper portion 233.

이때, 상기 스톱퍼부(233)는 전술된 이동바닥부에 구비되는 끝단 프레임일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손잡이부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기 위하여 기둥부에 설치되어, 손잡이부의 일정 범위를 넘는 회전시에 어느 일부분에 대어지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er portion 233 may be an end frame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moving bottom portion, although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portion, when rotating over a certain range of the handle portion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attached to any part.

이로써, 집진통의 하중에 의하여 내려진 손잡이가 사용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상승하지 아니하여, 집진통과 커버 부재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handle lowered by the loa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es not rise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cover member can be maintained.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장편(22)의 끝단부(23)와 상기 링크부(30)의 일단(31)은 탄성부재(5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51)이거나, 기타 탄성을 제공하는 고무줄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and one end 31 of the link portion 30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50. The elastic member 50 may be a tension spring 51 as shown, or may be replaced with a rubber band to provide other elasticity.

탄성부재(50)는 장공(11)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연장편(22)의 끝단부(23)가 하강하려는 힘을 지속적으로 부여한다. The elastic member 50 is continuously constrained by the long hole 11,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elevated to continuously give a force to lower.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링크부(30)가 가상 연결선(L1)을 지나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었을 때에, 연장편(22)의 끝단부(23)를 링크부(30)의 일단으로 잡아 당기므로 손잡이부(20)가 임의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집진통(220)과 청소기 본체(210)의 커버 부재와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돕는 것이다. 특히, 손잡이부(20)의 연장편이 길게 제작되는 때에 가로바의 관성이 커지게 되고, 이로써 청소기 본체를 이동하는 과정 충 작은 요철을 타고 넘을 때 발생하는 충격력으로 손잡이부가 상승될 염려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ink portion 30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through the virtual connecting line L1 as described above,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pulled to one end of the link portion 30. Therefore,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arbitrarily. 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and the cover member of the cleaner body 210 is maintained. In particular, when the extens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made long, the inertia of the horizontal bar is increased, thereby helping to eliminate the fear of the handle portion is raised by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riding over a small bump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cleaner body Becomes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의 (a)는 손잡이부(20)가 올려진 상태로, 집진통(220)은 최대로 내려간 상태이다. 이때, 집진통(220)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수단(223)은 지면에 대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지면 상에서 집진통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통(220)을 청소기 본체의 하부공간으로 밀어 넣어, 연장편의 끝단부에 구비된 원통돌기를 집진통의 거치대에 구비된 삽입홈 아래에 위치시키기 용이하다.7 (a)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20 is raised,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in a state of being lowered to the maximum. At this time, the moving means 223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on the ground. Therefore, the user pushe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nto the lower space of the cleaner body, thereby easily positioning the cylindrical protrus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under the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holde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한편, 도 7의 (b)는 손잡이부(20)를 어느 정도 하강시킨 상태로, 이때, 링크부(30)는 지면과 수직되게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연장편(22)의 끝단부(23)는 장공(11)을 따라 최대로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집진통(220) 또한 최대로 상승한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b)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0 is lowered to some extent, at this time, the link portion 30 is rota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raised to the maximum along the long hole 11, and according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also raised to the maximum.

한편, 도 7의 (c)는 상기 도 7의 (b)에서 손잡이부(20)를 더 내린 상태가 된다. 이때, 링크부(30)는 더욱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며, 연장편(22)의 끝단부(23)와 집진통(220)의 높이는 도 7의 (b)보다 다소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러한 높이 차이는 전술된 씰링부재가 허용하는 압축범위이거나, 호퍼와 커버 부재가 가지는 탄성범위로 집진통 내부의 기밀에는 별다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한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집진통(220)의 하중은 링크부(30)를 통하여, 손잡이부(20)를 연장편(22)의 끝단부(23)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손잡이부(20)의 끝단은 스톱퍼부(233)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며, 따라서 집진통과 커버 부재와의 결합은 유지된다. 또한, 집진통의 이동수단은 지면과 떨어진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c) is in a state of further lowering the handle portion 20 in Figure 7 (b). At this time, the link portion 3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height of the end portion 23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of the extension piece 22 is in a somewhat lowered state than in FIG. This height difference is the compression range allowed by the sealing member described above, or the elastic range of the hopper and the cover member does not cause any problems in the airtight inside the dust collector.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rough the link portion 30, the handle portion 20, the handle portion 20 with the end portion 23 of the extension piece 22 as the center of rotation To rotate clockwise.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233, it can no longer rotate, and thus, the coupl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cover member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moving mean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in a state away from the ground.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링크 연결을 통하여 무거운 집진통과 커버 부재간의 분리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때, 연장편을 길게 연장형성함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집진통을 올리거나 내릴 때 소요되는 힘을 더욱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a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heavy dust collector and the cover member is made through the link connection. At this time, as the extension is formed to extend the length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force required when raising or lowering the dust collector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100 : 집진통 결합장치
10 : 기둥부
11 : 장공 12 : 관통공
20 : 손잡이부
21 : 가로바 22 : 연장편 23 : 끝단부
30 : 링크부
31 : 일단 32 : 타단
40 : 걸림부
41 : 원통돌기 42 : 거치홈
50 : 탄성부재
51 : 스프링
200 : 진공청소기
210 : 청소기 본체
211 : 호퍼 212 : 커버 부재
220 : 집진통
221 : 거치대 221a : 거치편 221b : 가로편
221c : 삽입홈 221d : 스톱퍼편 222 : 손잡이
223 : 이동수단 224 : 외벽면
230 : 외부하우징
231 : 하부공간 232 : 이동바닥부 232a : 이동부재
233 : 스톱퍼부
A, B, C : 중심 L1 : 가상 연결선
100: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10: pillar
11: long hole 12: through hole
20: handle part
21: horizontal bar 22: extension 23: end
30: link unit
31: Once 32: The other end
40: locking part
41: cylindrical projection 42: mounting groove
50: elastic member
51: spring
200: vacuum cleaner
210: cleaner body
211 hopper 212 cover member
220: dust collector
221: holder 221a: holder 221b: horizontal piece
221c: Insertion groove 221d: Stopper piece 222: Handle
223: moving means 224: outer wall surface
230: external housing
231: lower space 232: moving bottom 232a: moving member
233: stopper part
A, B, C: center L1: virtual connecting line

Claims (5)

청소기 본체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는 상기 장공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담기는 집진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집진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편은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내측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
을 포함하는 집진통 결합장치.
It is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a pair of pillars are formed to face the lo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extension pieces are formed side by side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is restrained and lifted by the long hole, the handle por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the link portion for allowing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to rise in the long hole when the horizontal bar descends;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nsion piece, and includes a lock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rotatably coup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The cradle includes a cradl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mounting piece is
A horizontal piece which is placed on the mounting groove,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concave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piece to the fixing groove to be fixedly positioned;
Stopper piec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projection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가로바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로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톱퍼부에 의하여 저지되며, 상기 가로바의 하강 중에 상기 링크부의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은 상기 장공과 상기 링크부의 일단의 회전축의 가상 연결선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통 결합장치.
In claim 1,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and stopped by a stopper par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a rotation shaft formed at the end of the link part while the horizontal bar descends passes through a virtual connecting line between the long hole and the rotation axis of one end of the link part.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와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집진통 결합장치.
In claim 1,
Dust collecting coupling device is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and one end of the lin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삭제delete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된 이물질을 하부에 구비된 호퍼를 통하여 배출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이 수거되는 집진통,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집진통이 위치하는 하부공간을 형성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바닥부를 포함하는 외부하우징, 그리고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집진통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A cleaner body which sucks air including a foreign matter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a cyclone method through a hopp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An outer housing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nd including a pillar portion forming a lower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located, a movable bottom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llar portion and having a moving membe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2020100009611U 2010-09-13 2010-09-13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KR2004655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11U KR200465595Y1 (en) 2010-09-13 2010-09-13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11U KR200465595Y1 (en) 2010-09-13 2010-09-13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91U KR20120002091U (en) 2012-03-22
KR200465595Y1 true KR200465595Y1 (en) 2013-02-27

Family

ID=4617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11U KR200465595Y1 (en) 2010-09-13 2010-09-13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9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6336A1 (en) * 2015-12-09 2017-06-14 PROAIR GmbH Gerätebau wet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94Y1 (en) * 2016-06-23 2017-11-16 (주)경서글로텍 Vaccum cleaner having a level control device
CN112190178A (en) * 2020-10-29 2021-01-08 林鑫森 Dust coll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28B1 (en) * 1987-11-28 1991-02-26 가부시기가이샤 스이덴 A hand cleaner
CH688734A5 (en) * 1994-03-18 1998-02-13 Peteroa Engineering Limited Vacuum cleaner casing with detachable dust collector
JP2001205208A (en) 2000-01-25 2001-07-31 Horko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u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28B1 (en) * 1987-11-28 1991-02-26 가부시기가이샤 스이덴 A hand cleaner
CH688734A5 (en) * 1994-03-18 1998-02-13 Peteroa Engineering Limited Vacuum cleaner casing with detachable dust collector
JP2001205208A (en) 2000-01-25 2001-07-31 Horko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u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6336A1 (en) * 2015-12-09 2017-06-14 PROAIR GmbH Gerätebau wet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91U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752B2 (en) Vacuum cleaner
TWI802911B (en)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864059B (en) Remove mite car cleaning brush
KR101356519B1 (en) A vacuum cleaner
KR100941429B1 (en) Vacuum cleaner
RU2332918C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variants)
KR200465595Y1 (en) union device for dust-box in vacuumcleaner and the vacuumcleaner using it
KR20130063655A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automatic filter structure
KR101591700B1 (en) Indurstrial vacuum cleaner
TW200913955A (en) Electric dust collector
EP4162853A1 (en) Self-moving robot system
CN108982047B (en) Be used for anti testing arrangement that falls of can glass packing bottle multi-angle formula
KR101306738B1 (en) An Vacuum Cleaner
US20040148914A1 (en)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101745782B1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with height adjusting device
GB2597133A (en) Vacuum Cleaner
CN10406879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02475523A (en) Dust collecting device with self-cleaning filter
KR101012937B1 (en) Nozzle of vacuunm cleaner
US20230284850A1 (en) Cleaner station
KR20130002156U (en) Vacuum cleaner
KR20170049356A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elevating structure of body
KR100988719B1 (en) Vacuum cleaner
US20060021187A1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JP6366162B2 (en) Radioactive contaminant coll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