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62Y1 -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62Y1
KR200465562Y1 KR2020100006948U KR20100006948U KR200465562Y1 KR 200465562 Y1 KR200465562 Y1 KR 200465562Y1 KR 2020100006948 U KR2020100006948 U KR 2020100006948U KR 20100006948 U KR20100006948 U KR 20100006948U KR 200465562 Y1 KR200465562 Y1 KR 200465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tic tank
side plate
pipe
plate member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205U (ko
Inventor
전규만
Original Assignee
전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규만 filed Critical 전규만
Priority to KR2020100006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6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분기관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형성하는 측판부재, 이 측판부재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을 나사 결합하는 조임부재, 및 이 조임부재와 측판부재와 관부재를 서로 구속하여 측판부재에 대해 관부재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정화조의 내부에 세워지게 설치되는 관부재를 정화조에 구속시킴으로써 정화조의 유통이나 운반 중 관부재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PIPE FIXING STRUCTURE OF SEPTIC TANK}
본 고안은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의 내부에 세워지게 설치되는 관부재를 정화조에 구속시킴으로써 정화조의 유통이나 운반 중 관부재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생활오수를 정화 배출시켜 생활오수로 인한 하천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화조는 유입되는 오수를 정화단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협기여상처리실과 접촉기조처리실, 침전처리실 등과 같은 다수의 처리실이 형성되고, 각각의 처리실에는 오수의 정화단계에 따른 처리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른 처리실과 이격될 수 있게 한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는 정화단계에 따라 처리된 오수가 다음단계의 처리실로 이동할 수 있게 유입부가 처리실의 하부에서 개구되고 배출부가 다음 처리실의 상부에서 개구되게 형성된 유동관로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정화조는 통상 FRP 즉, 유리강화 섬유를 이용하여 주로 제작되었으나, 이는 생산단가가 높고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폐자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폐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재생합성수지를 프레스성형작업을 통하여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작업을 통한 정화조의 제작은 우선 프레스금형에 반액체상태인 재생합성수지를 올려놓고 가압하여 몸체를 제작하고 별도의 판재를 프레스성형된 몸체의 내벽에 융착시켜 격벽을 형성하였다.
아울러, 정화조는 양측에 각각 유입관과 배출관을 형성하고, 각 실를 분리하는 격벽에 이송관을 형성한다.
기존의 정화조에 형성되는 유입관과 이송관은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정화조의 운반이나 유통 중에 기울어지거나 처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정화조 몸체와 각 관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오물의 누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화조 내부에 세워지도록 조립 설치되는 관부재를 정화조에 결속함으로서 정화조의 유통이나 이동 중 흔들림에 의한 관부재의 처짐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관부재를 정화조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화조와 관부재 연결부위 틈새 발생을 차단함에 따라 정화조 내부의 오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관부재를 죄이는 조임부재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을 통공하여 관부재의 상측과 일치되는 홀과 정화조를 볼팅함에 따라 조임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관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는: 정화조의 둘레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화조의 내부를 구획하며 관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분기관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통공하는 측판부재, 상기 측판부재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을 나사 결합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와 상기 관부재를 서로 구속하여 상기 측판부재에 대해 상기 관부재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조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다수 개 형성되는 결속홀부, 및 상기 조임부재로 상기 분기관을 완전히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삽입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관부재의 일측과 일치되는 결속홀부와 상기 측판부재와 상기 관부재에 함께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정화조 내부에 세워지도록 조립 설치되는 관부재를 정화조에 결속함으로서 정화조의 유통이나 이동 중 흔들림에 의한 관부재의 처짐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관부재를 정화조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화조와 관부재 연결부위 틈새 발생을 차단함에 따라 정화조 내부의 오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관부재를 죄이는 조임부재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을 통공하여 관부재의 상측과 일치되는 홀과 정화조를 볼팅함에 따라 조임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관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를 갖는 정화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를 갖는 정화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는 측판부재(30), 조임부재(40) 및 구속부(50)를 포함한다.
측판부재(30)는 정화조(10)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특히, 정화조(10)는 상측에 상판(12)을 구비하고, 하측에 하판(14)을 구비한다.
따라서, 정화조(10)는 측판부재(30)와 상판(12) 및 하판(14)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아울러, 측판부재(30)는 정화조(1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정화조(10)의 내부에 세워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측판부재(30)는 필요한 위치에 양측으로 연통되는 삽입홀(32)을 통공한다.
특히, 삽입홀(32)은 오물의 유입과 배출을 위해 정화조(1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측판부재(30) 중 서로 마주하는 측판부재(3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홀(32)은 정화조(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측판부재(30)에 형성되어 오물이 오버플로어(over-flower)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든 삽입홀(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관부재(20)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관부재(20)는 측판부재(30)에 세워지게 배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일측 특히 상측에 분기관(22)을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분기관(22)이 해당되는 삽입홀(32)에 끼워지게 된다.
편의상, 분기관(22)을 갖는 관부재(20)는 오물의 유입측에 해당되는 측판부재(30)와 정화조(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측판부재(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오물의 배출측에 해당되는 측판부재(30)의 삽입홀(32)에는 일(-)자 형상의 배출관(24)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관부재(20)는 오물을 정화조(10) 내부 바닥으로 유동 안내하기 위해 세워지게 설치되고, 배출관(24)은 정화조(10) 내부 상층을 이루는 정화된 오물을 배출 안내하도록 뉘어지게 구비된다.
한편, 분기관(22)은 관부재(20)의 둘레면 상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관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부재(20)의 분기관(22)은 측판부재(30)의 삽입홀(32)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측판부재(3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22)은 고정되어 삽입홀(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임부재(40)는 측판부재(3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22)을 나사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즉, 조임부재(40)는 분기관(22)의 둘레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40)가 회전되며 분기관(22)을 측판부재(3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관부재(20)는 측판부재(30)에 밀착된다.
따라서, 관부재(20)는 조임부재(40)의 조임으로 인해 측판부재(30)에 고정된다.
특히, 측판부재(30)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부재(20)와 나란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부재(20)에 대해 분기관(22)이 수직되게 연장된 상태에서, 관부재(20)와 측판부재(30)가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배치됨에 따른 분기관(22)과 삽입홀(32)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측판부재(30)와 분기관(22) 사이의 틈새는 최소화되나, 더욱 밀봉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관부재(20)에 인접한 분기관(22) 둘레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날개부재(26)가 형성된다.
따라서, 날개부재(26)가 측판부재(30)의 일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분기관(22)과 삽입홀(32)의 틈새는 밀봉 처리된다.
물론, 날개부재(26)는 분기관(22)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하게 형상 변경 가능하다.
또한, 날개부재(26)가 측판부재(30)와의 밀착력이 약화되거나 오물에 의한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분기관(22)과 삽입홀(32)의 틈새는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관(22)에는 패킹부재(28)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즉, 측판부재(30)의 일측에는 날개부재(26)와 패킹부재(28)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밀봉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패킹부재(28)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조임부재(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정화조(10)가 유통이나 운반 중에 흔들리게 되면, 조임부재(40)는 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측판부재(30)와 분기관(2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정화조(10)가 유통이나 운반 중에 뉘어져 적층되면, 관부재(20)는 분기관(22)을 기준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처지거나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측판부재(30)와 분기관(2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측판부재(30)와 분기관(2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지하나 땅 속에 묻힌 정화조(10)의 내부의 오물이 누출되어 토양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분기관(22)은 측판부재(30)에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임부재(40)와 측판부재(30)와 관부재(20)를 서로 구속하여 측판부재(30)에 대해 관부재(20)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속부(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구속부(50)는 결속홀부(52)와 체결부재(54)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속홀부(52)는 조임부재(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54)는 조임부재(40)로 분기관(22)을 완전히 나사 결합한 상태로 관부재(20)의 일측과 일치되는 결속홀부(52)와 측판부재(30)와 관부재(20)에 함께 체결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결속홀부(52)가 조임부재(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 구비되는 이유는 조임부재(40)가 분기관(22)을 완전히 죄인 상태에서 관부재(20)의 상측과 일치되는 조임부재(40)의 위치가 분기관(22)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관부재(20)의 일측과 일치되는 결속홀부(52)'는 다수 개의 결속홀부(52) 중 조임부재(40)를 완전히 죄였을 때 관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측 둘레면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결속홀부(52)를 의미한다.
여기서, 체결부재(54)가 관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측 둘레면과 체결되기 때문에 정화조(10)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의 수위보다 높아 체결부재(52)와 결속홀부(52) 사이의 틈새로 오물이 새지 않게 된다.
아울러, 체결부재(54)는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결부재(54)가 조임부재(40)와 측판부재(30) 및 관부재(20)를 함께 결속하기 때문에 관부재(20)는 측판부재(3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처지지 않게 되고, 조임부재(40)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아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결속홀부(52)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체결부재(5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으나,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관부재(20)와 측판부재(30)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날개부재(26)와 패킹부재(28)가 개재되기 때문에 관부재(20)의 처지거나 기울어지려는 힘은 날개부재(26)와 패킹부재(2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일부 상쇄됨에 따라 관부재(20)는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점선은 구속부(5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관부재(20)가 처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정화조 20: 관부재
22: 분기관 26: 날개부재
28: 패킹부재 30: 측판부재
40: 조임부재 50: 구속부
52: 결속홀부 54: 체결부재

Claims (2)

  1. 정화조의 둘레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화조의 내부를 구획하며, 관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 구비되어 오물의 오버플로어 안내하는 분기관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통공하는 측판부재;
    상기 측판부재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을 나사 결합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와 상기 관부재를 서로 구속하여 상기 측판부재에 대해 세워진 상기 관부재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조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다수 개 형성되는 결속홀부; 및
    상기 조임부재로 상기 분기관을 완전히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삽입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관부재의 일측과 일치되는 결속홀부와 상기 측판부재와 상기 관부재에 함께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측판부재에 밀착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날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판부재와 상기 날개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밀봉력을 향상시키는 패킹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2. 삭제
KR2020100006948U 2010-06-30 2010-06-30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KR200465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48U KR200465562Y1 (ko) 2010-06-30 2010-06-30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48U KR200465562Y1 (ko) 2010-06-30 2010-06-30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05U KR20120000205U (ko) 2012-01-05
KR200465562Y1 true KR200465562Y1 (ko) 2013-02-26

Family

ID=5135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48U KR200465562Y1 (ko) 2010-06-30 2010-06-30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39Y1 (ko) * 2005-06-09 2005-08-22 일우산업 주식회사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100707720B1 (ko) 2006-11-10 2007-04-16 주식회사 퍼팩트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JP2009066408A (ja) 2007-09-10 2009-04-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組織締付具、ステント、アプリケータ及び組織締付装置
KR20090006082U (ko) * 2009-03-31 2009-06-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지수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39Y1 (ko) * 2005-06-09 2005-08-22 일우산업 주식회사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100707720B1 (ko) 2006-11-10 2007-04-16 주식회사 퍼팩트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JP2009066408A (ja) 2007-09-10 2009-04-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組織締付具、ステント、アプリケータ及び組織締付装置
KR20090006082U (ko) * 2009-03-31 2009-06-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지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05U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30A (en) Two-piece nestable septic tank with integral antifloatation collar
US7955026B2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 manhole
WO2007073080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CA2743193A1 (en) Storm water chamber with floor liner
KR101966015B1 (ko) 우수한 시공성과 내구성을 겸비하는 거푸집 일체형 정화조
KR100988026B1 (ko) 정화조용 조립식 블록
KR200465562Y1 (ko) 정화조의 관부재 처짐방지장치
JP2006090047A (ja) マンホール直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US6649060B2 (en) Septic tank having a support system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80128351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Clarifier Wall
KR200420493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101447070B1 (ko) 수처리장 내 도류벽 설치수단
KR101032889B1 (ko)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양생장치
KR101532907B1 (ko) 정화조 및 수처리시설용 블록의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
JP2005139625A (ja) 貯水タンク及び貯水槽
KR200375927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200256346Y1 (ko) 오수 처리 시설조
US20210140164A1 (en) Form for a Plastic Lined Concrete Septic System Distribution Box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JP2016087491A (ja) 管路内浄化装置および管路内浄化システム
KR100834776B1 (ko) 다단식 맨홀
KR100886053B1 (ko) 냉온수기
KR200256344Y1 (ko) 좌대형 오수 처리 시설조
KR100661461B1 (ko) 격벽 보강용 정화조의 구조
GB2065736A (en) A moulded plastics septic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