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90Y1 - Switching unit - Google Patents

Switch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90Y1
KR200465490Y1 KR2020110010457U KR20110010457U KR200465490Y1 KR 200465490 Y1 KR200465490 Y1 KR 200465490Y1 KR 2020110010457 U KR2020110010457 U KR 2020110010457U KR 20110010457 U KR20110010457 U KR 20110010457U KR 200465490 Y1 KR200465490 Y1 KR 200465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witch knob
switch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필규
권광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9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9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플런저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커버와 맞물리고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노브 바디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와 상대 운동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키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witch knob portion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witch plunger disposed on the housing and operated by the switch knob portion to operate the switch. And a switch knob cover having: a switch knob cover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switch knob body engaged with the switch cover to move the switch; and one end of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A switch knob shaft disposed between the bodies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the relative switch knob body,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switch knob having a shaft key for preventing rotational movement about a central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witch unit is provided.

Description

스위치 유니트{SWITCHING UNIT}Switch unit {SWITCHING UNIT}

본 고안은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버튼을 전후좌우 4방향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여 하나의 스위치 장치로 다양한 푸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스위치 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 실내의 공간 효율이 향상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간편하여 더욱 안전한 주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작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unit.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button can be configured to be pushed back, forth, left, and right in four directions to perform various push functions with one switch devic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switch device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s a who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unit that can provide more safe driving performance due to improved space efficiency and simple operation by a user,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can also reduce manufacturing costs. .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BACKGROUND ART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In general, when an oper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required, for example,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f a vehicle, a seesaw switch device or a sliding switch device or the like for all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ndow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is provided. In order to select each operation mode, a rotary switch device or the like capable of selecting a plurality of modes is used.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PCB기판이 장착되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노브가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노브의 조작에 따라 PCB기판 상에 장착된 접점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고, 이러한 접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PCB기판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Such switch device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 PCB substrate inside the housing, and one side of the housing is equipped with an operation knob operated by a user, and a contact switch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switch, the PCB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 장치들은 하나의 스위치 장치에서 통상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윈도우 개폐 스위치 장치의 경우 하나의 윈도우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 오디오 시스템 제어 스위치의 경우 볼륨 조절을 위한 하나의 스위치 장치와 트랙 변경을 위한 다른 하나의 스위치 장치가 각각 별도로 배치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된다.Such switch devices ar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one switch device typically performs one fun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ndow open / close switch device, a signal for opening or closing one window is generated, and a vehicle audio system In the case of the control switch, one switch device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the other switch device for changing the track are arranged in a separate manner.

따라서, 차량 실내에는 각종 전자 장비 제어를 위한 스위치 장치가 다수개 장착되며, 최근에는 각종 편의 장비들의 증가로 인해 이러한 스위치 장치의 개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스위치 장치가 증가하게 되면, 차량 실내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고, 특히 운전자가 주행 중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를 조작하게 되므로 그 조작 방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주행에도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Therefore,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an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uch switch devices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various convenience equipments. As the number of switch devices increase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interior becomes complicated. In particular, since the driver operates various switch devices while driving, the method of operation is not easy and causes serious obstacles in safe driving. there was. Degree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 버튼을 전후좌우 4방향 누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의 사용자에 의한 간편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안전한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four-wa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more easily, but the simpl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structure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and prevent mal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witch unit that enables more stable driving performance.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플런저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커버와 맞물리고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노브 바디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와 상대 운동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키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witch knob portion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witch plunger disposed on the housing and operated by the switch knob portion to operate the switch. And a switch knob cover having: a switch knob cover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switch knob body engaged with the switch cover to move the switch; and one end of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A switch knob shaft disposed between the bodies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the relative switch knob body,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switch knob having a shaft key for preventing rotational movement about a central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witch unit is provided.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shaft has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d the shaft tilt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t may be provided with a knob body tilting portion to contact and movably receive the shaft tilting portion.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가 관통 배치되는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와, 상기 노브 바디 관통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노브 바디 키 관통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shaft key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and the switch knob body includes: a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witch knob shaft is disposed, and an extension from the knob body through hole. It may be provided with a knob body key through hole formed.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샤프트 수용부와, 상기 샤프트 키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 샤프트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샤프트 키 수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shaf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n end of the switch knob shaf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 housing accommodating an end of the shaft key and extending from the housing shaft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key receiving portion.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의 하면까지 연장 배치되는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a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extending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cover. It may be.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 바디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틸팅부는 상기 샤프트 바디와 일체일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shaft includes a shaft body disposed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and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d a knob body tilting part 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n contact with the shaft tilting part to movably receive the shaft tilting part, wherein the shaft key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The shaft body til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body.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 바디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틸팅부는 상기 샤프트 바디와 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shaft includes a shaft body disposed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and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d a knob body tilting part 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n contact with the shaft tilting part to movably receive the shaft tilting part, wherein the shaft key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It may be extended, and the shaft body tilting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shaft body.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 버튼을 전후좌우 4방향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되, 스위치 노브 샤프트 키를 통하여 오조립 가능성을 방지하고 스위치 노브 샤프트 키의 길이 방향을 축중심으로 하는 회동 동작을 저지하여 스위치 오동작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ss the operation button four direction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misassembly through the switch knob shaft key, and to prevent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axis of the switch knob shaft ke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malfunction The possibility can be prevented.

또한,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 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를 통하여 누광을 차단하여 차량 품질을 개선하고 운전자를 통한 시야 방해 내지 오시인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leakage of light is blocked through a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extending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to the switch knob cover side, thereby improving vehicle quality and blocking the possibility of blindness or visibility through the driver.

또한, 스위치 노브 바디, 스위치 노브 커버 및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일체형 조작 버튼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작 및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작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witch knob body,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shaft in the form of an integral operation button that is operated by the user,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and also the production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4a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 샤프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플런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틸팅 구조에 대한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다른 일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igure 4b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witch knob cover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witch knob shaft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witch knob body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plunger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4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chematic assembly process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lting structure of the switch knob shaft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switch knob shaft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기판(200)과, 스위치부(300)를 포함하는데, 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부(300)와 연결되어 스위치부(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고, 스위치부(3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스위치부(300)에 광표시를 위한 빛을 전달하도록 하는 광원(4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substrate 200, and a switch unit 300, wherein the substrate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is switched. Connected to the unit 300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 unit 300 to the external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switch unit 300 side, to transmit the light for the light display to the switch unit 300 The light source 400 may be disposed.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를 포함하는데, 경우에 따라 하우징 베이스(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하우징 바디(12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커버(110)와 마주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바디(12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스위치부(3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cover 110 and a housing body 120. In some cases, a housing base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to face the housing cover 110 with the housing body 120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take the structure. The housing cover 110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body 120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ody 120, some components of the switch unit 300 are disposed. Can be taken.

하우징 바디(120)는 바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데, 이의 하부에는 기판(200)이 배치되고, 스위치부(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housing body 120 has a body inner space, and a substrate 200 is disposed below the housing body 120, and other components of the switch unit 300 are movably disposed.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 상에는 바디 플런저 관통구(121)가 배치되는데, 이를 통하여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스위치 플런저(370)가 수직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바디 플런저 관통구(121)의 인근에는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123)가 형성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광원(400)으로부터의 빛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스위치 노브부 측을 향하여 전달시킨다. The body plunger through hole 12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0, through which the switch plunger 370 of the switch unit 300 to be penetrated is vertically movable. A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123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body plunger through-hole 121, which efficiently transmi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400, which is described later, toward the switch knob part side.

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베이스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기판(200)에는 스위치(310)와 광원(400)이 배치된다. 기판(200)에는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되는데, 이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ubstrate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ody 120. When the housing base is separately configured, the substrate 200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housing body 120 and the housing base. The switch 310 and the light source 400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200. A connec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0, thereby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ith an external electric device.

스위치부(300)는 스위치(310)와, 스위치 노브부(320)와, 스위치 플런저(370)를 포함한다. 스위치(310)는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스위치(310)는 본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경우에 따라 러버 패드 구조의 푸시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switch unit 300 includes a switch 310, a switch knob unit 320, and a switch plunger 370. The switch 31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The switch 310 is implemented as a tact switch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as a push switch having a rubber pad structure in some cases. Do.

스위치 노브부(320)는 하우징(100)의 일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부(320)는 스위치 노브 커버(330)와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를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 커버(330)는 하우징(100)의 상부, 즉 하우징 바디(12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커버(330)는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연결된다. 즉, 스위치 노브 바디(340)는 스위치 노브 커버(330)와 맞물리어 결합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하단은 스위치(310)와 접촉하여 스위치 노브 바디(340)가 가동됨에 따라 스위치(310)를 가압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생성한다. 스위치 노브 커버(330))의 외측에는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331)가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외측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 장착부(341)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331)는 스위치 노브 바디 장착부(341)와 맞물리어 연결된다. 스위치 노브 커버(330)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노브 커버 아이콘(333)이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커버 아이콘(333)은 반투명 내지 레이저 에칭되어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야간 시 조작 편의 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switch knob 320 is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witch knob 320 includes a switch knob cover 330, a switch knob body 340, and a switch knob shaft 350. . The switch knob cover 330 is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0, that is, above the housing body 120, and the switch knob cover 330 is connected to the switch knob body 340. That is, the switch knob body 340 is engaged with the switch knob cover 330, and the lower end of the switch knob body 340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310, so that the switch knob body 340 is operated to switch 310. ) Is pressed to produc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change. The switch knob cover mounting portion 331 is disposed outside the switch knob cover 330, and the switch knob body mounting portion 341 is disposed outside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knob cover mounting portion 331 is a switch. Meshes with knob body mounting portion 341. A switch knob cover icon 333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knob cover 330. The switch knob cover icon 333 is translucent to laser etched to transmit light transmitted from the bottom to increase convenience at night. Can be.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스위치 노브 커버(330)의 사이에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일단은 스위치 노브 커버(330)와 스위치 노브 바디(340) 사이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일단은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타단은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에는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키(355)가 구비된다. A switch knob shaft 350 is included between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knob cover 330, and one end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330 and the switch knob body 340. One end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dispos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other end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body 120. Is placed in the accommodation.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provided with a shaft key 355 for preventing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는 샤프트 바디(351)와 샤프트 틸팅부(353)을 구비하는데, 샤프트 키(355)는 샤프트 바디(3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 키(355)는 샤프트 바디(3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샤프트 키는 샤프트 바디와 별개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키(355a)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샤프트 바디(351a)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샤프트 바디(351a)의 측면에는 샤프트 바디 장착부(352a)가 형성되고, 샤프트 키(355a)는 샤프트 바디 장착부(352a)에 삽입 장착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경성 재질의 샤프트 바디(351a) 및 샤프트 틸팅부(353a)는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연성 재질의 샤프트 키(355a)는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 및 하우징 샤프트 키 수용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witch knob shaft 350 includes a shaft body 351 and a shaft tilting part 353, and the shaft key 355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351.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key 355 has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ft body 351, the shaft key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haft body. That is, as shown in FIG. 18, the shaft key 355a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haft body 351a. The shaft body mounting portion 352a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haft body 351a. The shaft key 355a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haft body mounting portion 352a and fastened. The shaft body 351a and the shaft tilting part 353a of the hard material may prevent damage due to friction, and the shaft key 355a of the soft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hole and the housing shaft key receiving part. You can also prevent noise caused by contact with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샤프트 키(355)를 통하여 샤프트 바디(351), 즉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는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샤프트 키(355)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에는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는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와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샤프트 바디(351)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의 외주에는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가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와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Through the shaft key 35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body 351, that is, the switch knob shaft 350 may be limited i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iving portion 127 is formed in the housing body 12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haft key 355, and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iving portion 127 i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ortion 125. . As shown in FIG. 11, the housing body shaft accommodating part 125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haft body 351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and the housing body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body shaft accommodating part 125. The shaft key receptacle 127 is disposed and the housing body shaft receptacle 125 and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ptacle 12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 및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부(345)와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43)가 배치된다.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43)도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345)와 함께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샤프트 바디(351)와 샤프트 키(355)는 각각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43)와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345)를 관통하여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와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에 수용된다.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iving portion 127 and the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ortion 125 of the switch knob body 340,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portion 345 and the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343 are respectively located. Is placed. The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343 also ha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with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hole 345. The shaft body 351 and the shaft key 355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are respectively the knob body shaft. I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343 and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hole 345 and is received in the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art 125 and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iving part 127.

샤프트 바디(351)의 단부에는 샤프트 바디 체결부(352)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125)의 하면에는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 체결부(126)가 형성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로서의 체결 수단(380)이 하우징 바디(120)의 하면으로부터 하우징 바디 샤프트 수용부 체결부(126)를 관통하여 샤프트 바디(351)의 단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바디 체결부(352)와 연결됨으로써 샤프트 바디(351)를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A shaft body fastening part 352 is formed at an end of the shaft body 351, and a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art fastening part 126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art 125 of the housing body 120. A shaft body fastening portion 352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body 351 by a fastening means 380 as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penetrating the housing body shaft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ortion 126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0. The shaft body 351 may be fixed to the housing body 120 by being connected to the shaft body 351.

또한,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내면에는 샤프트 틸팅부(353)와 접촉하여 샤프트 틸팅부(353)와 상대 가동 운동 가능한 노브 바디 틸팅부(349)이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틸팅부(349)는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43)의 내측 하단에 요홈 구조의 반구 형상을 구비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따라서,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샤프트 틸팅부(353)와, 스위치 노브 바디(340)에 형성되는 노브 바디 틸팅부(349)는 서로 접촉하여 상대 회동을 이룸으로써 스위치 노브 바디(340) 및 스위치 노브 커버(330)가 안정적으로 틸팅 운동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34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haft tilting portion 353 and the knob body tilting portion 349 which is movable relative to the shaft tilting portion 353, wherein the knob body tilting portion 349 is formed. The inner bottom of the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343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shape of the groove structure (see FIGS. 16 and 17). Accordingly, the shaft tilting portion 353 fixed to the housing body 120 and the knob body tilting portion 349 formed on the switch knob body 340 contact each other to perform relative rotation to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knob cover 330 may achieve a stable tilting motion.

도 14 및 도 15에는 스위치 노브 커버(330), 스위치 노브 바디(340) 및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결합 과정이 도시되는데,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를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43) 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샤프트 키(355)는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345)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샤프트 바디(351)에 배치되는 샤프트 틸팅부(353)의 하단 반구형 외주면은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353)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노브 바디 틸팅부(349)와 접촉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되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샤프트 바디(351)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방지되는 운동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샤프트 키와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 간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 간의 상대 틸팅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14 and 15 illustrate a process of combining the switch knob cover 330,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knob shaft 350, wherein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connected to the knob body shaft of the switch knob body 34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43 side. In this case, the shaft key 355 is disposed through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hole 345, and the lower hemisphe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ilting part 353 disposed on the shaft body 351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is a knob.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shaft 351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in a central axis in contact with the knob body tilting portion 349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body shaft through hole 353 is relatively movable. Try to prevent exercis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haft key and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hole so that a relative tilting motion between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knob shaft 350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은 샤프트 키와 노브 바디 샤프트 키 관통구 구조 및 샤프트 틸팅부와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330)와 스위치 노브 바디(340)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350)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동 운동시 샤프트 키(355)와 하우징 바디 샤프트 키 수용부(127)와의 걸림을 통하여 회동이 방지되되, 소정의 틸팅이 허용된다. Through the shaft key and the knob body shaft key through hole structure, the shaft tilting part, and the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structure, the switch knob cover 330 and the switch knob body 340 are center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350. Rotation is prevented through the engagement between the shaft key 355 and the housing body shaft key receiving portion 127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with the shaft, and predetermined tilting is allowed.

스위치 노브 바디(340)에는 노브 바디 리브 관통구(347)가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 리브 관통구(347)를 통하여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123)가 관통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광원(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123)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33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노브 커버 아이콘(333)으로 직접적인 전달을 이룸으로써 빛의 누광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 내지 시각적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witch knob body 340 is provided with a knob body rib through hole 347 through which the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12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0 through the knob body rib through hole 347. The switch knob cover icon 33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knob cover 330 through the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123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0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By direct transmission to the) it can eliminate the user discomfort or visual inconvenience caused by light leakage.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스위치(310) 사이에는 스위치 노브 플런저(370)가 개재되는데, 스위치 노브 플런저(370)는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는 하우징 바디 플런저 관통구(121)를 관통하여 일단이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하단과 접하고 타단이 스위치(310)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바디(340)와 스위치(310) 사이에 개재되는 스위치 노브 플런저(370)는 스위치 노브 커버(33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 바디(340)가 가동되는 경우 가압력을 전달하여 스위치 노브 플런저(370)를 통하여 스위치(310)로 전달함으로써 스위치(310)를 통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노브 플런저(3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71)와 플런저 스톱퍼(373)와 플런저 가동부(375)를 포함한다. 플런저 바디(371)는 장방향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고, 플런저 바디(371)의 상단은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하단과 접촉하여 스위치 노브 바디(340)의 틸팅 운동시 발생하는 가압력을 스위치(310)로 전달한다. 플런저 스톱퍼(373)는 플런저 바디(371)의 하단 외주에 배치되는데, 플런저 스톱퍼(373)는 플런저 바디(37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플런저 스톱퍼(373)는 플런저 바디(371)가 하우징 바디(120)의 바디 플런저 관통구(121)에 장착되는 경우 플런저 바디(371)가 바디 플런저 관통구(121)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가동부(375)는 플런저 바디(37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데, 플런저 가동부(375)는 스위치(310)와 접촉한다. 플런저 가동부(375)는 플런저 바디(37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연성 재질로 이중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연성 재질의 이중 사출 구조는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A switch knob plunger 370 is inter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310, and the switch knob plunger 370 passes through the housing body plunger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housing body 120. The switch knob body 34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witch 310. The switch knob plunger 370 inter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body 340 and the switch 310 transmits the pressing force when the switch knob body 340 is operated by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 knob cover 330. Passing through the knob plunger 370 to the switch 310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switch 310. The switch knob plunger 370 includes a plunger body 371, a plunger stopper 373 and a plunger movable portion 375 as shown in FIG. 13. The plunger body 371 is implemented as a long rod typ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37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witch knob body 340 to switch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during the tilting movement of the switch knob body 340 To pass). The plunger stopper 373 is disposed at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body 371, and the plunger stopper 37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plunger body 371. The plunger stopper 373 prevents the plunger body 371 from undesirably separating from the body plunger through hole 121 when the plunger body 371 is mounted to the body plunger through hole 121 of the housing body 120. can do. The plunger movable portion 375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body 371, and the plunger movable portion 375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310. The plunger movable part 37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unger body 371, but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a double injection molding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prevent noise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It is possible to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such as can be applied to the top of the plunger body.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200...기판
300...스위치부 310...스위치
320...스위치 노브부 330...스위치 노브 커버
340...스위치 노브 바디 350...스위치 노브 샤프트
370...스위치 플런저 400...광원
100: housing 200 ... substrate
300 ... switch section 310 ... switch
320 ... switch knob section 330 ... switch knob cover
340 ... switch knob body 350 ... switch knob shaft
370 ... switch plunger 400 ... light source

Claims (7)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플런저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커버와 맞물리고 상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노브 바디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와 상대 운동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키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witch knob portion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witch plunger disposed on the housing and operated by the switch knob portion to operate the switch. And a switch knob cover having: a switch knob cover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switch knob body engaged with the switch cover to move the switch; and one end of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A switch knob shaft disposed between the bodies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the relative switch knob body,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switch knob shaft having a shaft key for preventing rotational movement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The switch knob shaft has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d a knob body tilting part 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n contact with the shaft tilting part to movably receive the shaft tilting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가 관통 배치되는 노브 바디 샤프트 관통구와,
상기 노브 바디 관통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노브 바디 키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key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The switch knob body is:
A knob body shaf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witch knob shaft is disposed;
And a knob body key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knob body through ho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샤프트 수용부와,
상기 샤프트 키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 샤프트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샤프트 키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3,
Said housing comprising:
A housing shaf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n end por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housing shaft key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 end of the shaft key and extending from the housing shaft receiv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의 하면까지 연장 배치되는 하우징 누광 방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A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housing has a housing leakage preventing rib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extending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to a low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 바디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틸팅부는 상기 샤프트 바디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knob shaft,
A shaft body disposed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s provided with a knob body tilting part which contacts the shaft tilting part and movably receives the shaft tilting part,
The shaft key is formed to exte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And the shaft body tilting unit is integrated with the shaft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 커버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반구 외주면의 샤프트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 틸팅부와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틸팅부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 바디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키는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 바디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틸팅부는 상기 샤프트 바디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knob shaft,
A shaft body disposed through the switch knob body;
A shaft tilting portion of a hemispher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at an end disposed between the switch knob cover and the switch knob body,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knob body is provided with a knob body tilting part which contacts the shaft tilting part and movably receives the shaft tilting part,
The shaft key is formed to exte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shaft,
And the shaft body tilting part is separable from the shaft body.
KR2020110010457U 2011-11-24 2011-11-24 Switching unit KR2004654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7U KR200465490Y1 (en) 2011-11-24 2011-11-24 Switch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7U KR200465490Y1 (en) 2011-11-24 2011-11-24 Switch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90Y1 true KR200465490Y1 (en) 2013-02-21

Family

ID=5136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57U KR200465490Y1 (en) 2011-11-24 2011-11-24 Switch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90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569A (en) * 1995-12-28 1997-07-11 Ichikoh Ind Ltd Switch device
KR20010051109A (en) * 1999-10-19 2001-06-25 가타오카 마사타카 Switch device
KR20110003423U (en) * 2009-09-29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for Vehicle
KR20110005022U (en) * 2009-11-13 2011-05-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569A (en) * 1995-12-28 1997-07-11 Ichikoh Ind Ltd Switch device
KR20010051109A (en) * 1999-10-19 2001-06-25 가타오카 마사타카 Switch device
KR20110003423U (en) * 2009-09-29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for Vehicle
KR20110005022U (en) * 2009-11-13 2011-05-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034B1 (en)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30066416A (en) Switching unit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KR101203688B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200465490Y1 (en) Switching unit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KR200468484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KR200471416Y1 (en) Switch for Vehicle
KR101542257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200468483Y1 (en)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KR200467290Y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200465882Y1 (en) Remote Control Switch Mounted on Steering Wheel
KR101271790B1 (en) Complex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KR101155265B1 (en) Multi-Direction Switch
KR101126484B1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KR101497308B1 (en)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CN112331500B (en) Electrical equipment and hidden scram switch assembly thereof
KR101555378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CN103219181B (en) A kind of door of automobile touches lamp switch
JP2000113774A (en) Interior switch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1070028B1 (en) Sliding button switch unit for a vehicle
KR20100028777A (en) Power window-switch for vehicle
KR101271313B1 (en) Lever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KR101155282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JP2011169178A (en) Switch device
KR200460894Y1 (en) Switching device module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