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93Y1 - 냉풍기 - Google Patents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93Y1
KR200465093Y1 KR2020120003534U KR20120003534U KR200465093Y1 KR 200465093 Y1 KR200465093 Y1 KR 200465093Y1 KR 2020120003534 U KR2020120003534 U KR 2020120003534U KR 20120003534 U KR20120003534 U KR 20120003534U KR 200465093 Y1 KR200465093 Y1 KR 200465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tary
coupled
main body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목
Original Assignee
김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목 filed Critical 김유목
Priority to KR2020120003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측으로 냉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의 일부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춰지게 되고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배출관의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무게가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온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가열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결합되며 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이동관과 상기 공기이동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회전판을 포함한 회전스탠드와, 상기 회전스탠드를 좌,우로 회전시켜 바람의 배출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스탠드를 통해 이동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풍기{Cooling Fan Apparatus}
본 고안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측으로 냉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의 일부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춰지게 되고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배출되는 바람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무게가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온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가열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회전날개의 후방에 배치된 모터를 통해 후방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통해 바람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회전날개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배치된 후방부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모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풍기는 주변의 온도가 높은 경우 뜨거운 바람을 흡입한 후 바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시원함을 얻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운 공기가 나옴으로써 인해 불쾌감이 더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선풍기는 주변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사용 후 대략 30여분이 경과한 후부터는 날개의 후방에 배치된 모터에서 발생한 열이 날개의 흡입력을 타고 전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 중 전방으로 더운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냉방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각이 45~60도 사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이 배출되는 범위가 좁고, 무게가 일측으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내구력이 약해지고 마찰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선풍기의 경우 바람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터와 연결된 날개가 회전하는 것으로 날개의 전방에 안전망이 구비되나 상기 안전망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안전망의 사이를 통해 유아, 어린이 등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선풍기에 얼음과 같은 냉매를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가 냉매를 거치면서 온도를 낮춘 후 외부로 배출하는 냉풍기가 제안되었는데, 종래 냉풍기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4-34319호(2004.04.28.,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 간접 냉각방식의 기화냉풍기 '에 관련된 것으로서, 기화식 냉풍기에 있어서, 다층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기화시켜 기화된 공기의 일부는 하층으로 유입시키고 기화된 공기의 일부는 상층으로 이동시켜 기화된 열로 재차 냉각시키는 열교환핀과; 상기 열교환핀을 통해 냉각된 공기를 재차 저하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냉발열부와; 상기 냉발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온발열부의 외부에 통과시켜 온발열부의 열을 저하시키며, 냉발열부의 전면에는 냉발열부에서 재차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급팬과, 온발열부의 전면에는 온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배기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핀을 통해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공급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나, 냉발열부에서 고온,고압으로 냉매를 압축시킨 후 이를 배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루나 누적되는 열에 의해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결국 냉풍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단순히 냉풍기의 성능만을 구비한 것으로 온도가 높은 여름에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배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배출되는 바람의 범위가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팬이 시로코 타입의 팬을 배치함으로써 40~50개의 회전날개가 배치된 시로코 타입의 팬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며 동시에 본체 내부에 냉각부가 배치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를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하고,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 중 일측으로 무게가 집중되지 않아 내구력이 향상된 냉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부를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냉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결합되며 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이동관과 상기 공기이동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회전판을 포함한 회전스탠드와, 상기 회전스탠드를 좌,우로 회전시켜 바람의 배출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스탠드를 통해 이동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스탠드가 삽입되며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요입된 오목한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냉각부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구획판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개의 삽입홈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된 냉각틀과, 물, 얼음 등이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는 냉각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회전모터와, 상부는 상기 회전모터에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회전판에 관통결합된 후 회전판의 하방에 노출된 모터축과, 상기 회전판의 하방에 노출된 상기 모터축에 결합하여 모터축과 연동 회전하는 평기어와, 상기 회전홈에 결합나사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평기어와 기어산을 통해 맞물린 호형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형랙기어는 호(弧)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회전스탠드와 일체로 결합하며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전방에 결합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넓히기 위하여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디퓨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의 전방 끝단에는 미사용 중 외부로부터 먼지, 벌레 등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망 형상의 덮개망이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힌지를 통하여 상하로 각도 조절되는 다수개의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냉각부에서 발생한 물방울을 수거하기 위한 물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스탠드에는, 외주면에 힌지로 결합된 도어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금속재의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슬롯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결합되며 인가된 전원을 통해 가열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가열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춰 외부로 배출하되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팬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냉각부를 통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상기 본체에 결합된 회전구동부를 통하여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범위를 넓히고, 상기 회전구동부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구동부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스탠드가 수직방향으로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무게가 일측으로 집중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을 형성하기 위한 날개가 없고, 내부에 구비된 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냉각부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진 후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유아, 어린이 등의 손가락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생했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탠드를 통해 송풍각도를 360° 로 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냉풍기 주변 전체에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 삽입된 냉각틀을 외부로 분리하고, 팬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가열부로 공기를 전달하고, 전달된 공기가 가열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특히 겨울철 온풍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여 주변 온도를 올려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사용상태에서 공기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공간에 따른 회전구동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열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풍 기능을 겸비한 냉풍기(1)는, 본체(10)와, 회전스탠드(20)와, 회전구동부(30)와, 배출부(40) 및 가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고안에서 냉풍을 배출할 때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11)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팬(11)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13)가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냉각된 공기가 이동하는 회전스탠드(20)가 결합하는 회전홈(14)이 형성되고, 상기 팬(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팬(11)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공기통공(14) 및 상기 냉각부(13)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2)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흡입그릴(136)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서, 전원부(13)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종류의 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고안에서는 다수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시로코(Sirocco) 타입의 팬을 사용한 것으로, 상기 시로코 타입의 팬은 내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40~50개 정도의 개수가 구비된 것으로 다수개의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일반적인 팬에 비하여 1~2℃를 낮출 수 있으며, 동일한 용량의 타 종류의 팬 보다 강한 흡입력을 갖기 때문에 주로 소형으로 제작된 후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 소형기계 장치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냉각부(13)는 본체(1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팬(11)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가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춰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구획판(132)을 통하여 복수개의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 사이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34)가 형성된 냉각틀(131)과,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되며 물, 얼음 등이 채워져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매체(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용공간(12)의 전면에 망 형상의 흡입그릴(136)이 구비되어 상기 냉각부(13)를 본체(10)에 착탈할 때 상기 흡입그릴(136)을 분리한 후 냉각부(13)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게 된다.
상기 냉각틀(131)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1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다수개의 구획판(132)을 통하여 복수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은 냉각매체(135)가 삽입되는 삽입홈(133)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34)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134)는 인접한 삽입홈(133) 사이에 형성되어 삽입홈(133)에 삽입된 냉각매체(135)에서 발생한 냉기가 통로(134)를 채우게 되며 이 냉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획판(132)에는 냉각매체(135)로부터 배출되는 냉기가 통로(134)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매체(135)는 상기 냉각틀(131)의 삽입홈(133)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물 또는 얼음 등과 같은 냉기를 포함한 매체(냉매)가 저장된 합성수지재 또는 천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된 후 주변의 통로(134)로 냉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합성수지재 또는 천 등의 외피 대신에 얼음 등과 같은 고체의 냉매를 상기 삽입홈(133)에 직접 채워넣어 주변의 통로(134)에 냉기를 배출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매체(135)로부터 떨어지는 물방울 및 습기를 수거한 후 외부로 제거하는 물받이(17)가 더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17)는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레일(18)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수거된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홈(14)은, 본체(10)에 결합되는 회전스탠드(20)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상부가 개방되어 회전스탠드(20)가 삽입되며 중앙에 공기가 이동하는 구멍(14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회전구동부(30)의 호형랙기어(34)가 고정되는 나사공(14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홈(14)은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요입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된 회전스탠드(20)가 회전시 유동을 방지하고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나사공(142)은 후술하는 회전구동부(30)의 호형랙기어(34)가 결합나사(35)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부(15)는, 상기 팬(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된 스위치(151)의 동작을 통해 팬(1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는 본체(10)의 상방을 덮는 상부커버(16)이다.
상기 회전스탠드(20)는, 상기 본체(10)의 팬(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으로서,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회전홈(14)에 결합되는 회전판(21)과, 상기 회전판(2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공기가 이동하는 중공(221)이 형성된 공기이동관(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21)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회전홈(14)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회전구동부(30)의 회전모터(31)의 모터축(32)이 관통 삽입되는 모터축공(2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외벽(2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구동부(30)의 회전모터(31)가 외벽(212)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 중 발생하는 외부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하여 회전모터(31)가 위치 이탈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외벽(212)이 본체(10)의 회전홈(14)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회전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이동관(22)은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21)의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팬(11)을 통해 이동한 공기를 상방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중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회전스탠드(20)를 회전시켜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판(21)에 형성된 모터축공(211)에 관통 결합되는 모터축(32)이 구비된 회전모터(31)와, 상기 모터축(32)의 하단에 결합되는 평기어(33)와, 상기 평기어(33)와 맞물리며 상기 회전홈(14)의 나사공(142)에 결합나사(35)를 통하여 고정된 호형랙기어(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모터(31)는 본체(10)의 전원부(15)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통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21)의 상방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모터축(32)이 회전판(21)에 형성된 모터축공(211)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판(21)의 하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평기어(33)는 회전판(21)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축공(211)에 관통 삽입된 모터축(32)에 결합되어 회전모터(31)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회전시 상기 모터축(32)이 모터축공(211)을 가압하면서 회전판(21)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회전구동부(30)의 동작 상태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호형랙기어(34)는 회전홈(14)에 형성된 나사공(142)에 결합나사(35)를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평기어(33)가 맞물리는 기어산(34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평기어(33)가 기어산(341)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모터(31)의 동작과 연동하여 평기어(33)가 회전하면서 호형랙기어(34)에 형성된 기어산(341)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평기어(33)와 결합된 모터축(32)이 모터축공(211)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판(21)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회전구동부(30)의 동작 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구동부(30) 중 회전모터(31)가 회전판(21)의 상방에 배치되되 모터축(32)이 회전판(21)에 형성된 모터축공(211)에 관통 결합되며 회전판(21)의 하부에 노출된 모터축(32)에 평기어(33)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회전홈(14)에 호형랙기어(34)가 결합나사(35)를 통하여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호형랙기어(34)에 형성된 기어산(341)에 평기어(33)가 맞물린다.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전원부(15)에서 인가된 전원을 통하여 회전모터(31)가 회전하게 되며 모터축(32)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평기어(33)가 회전하며, 회전하는 평기어(33)가 호형랙기어(34)의 기어산(341)과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축(32)에 의해 회전하는 평기어(33)는 모터축(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호형랙기어(34)를 타고 회전할 때는 호형랙기어(34)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원호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평기어(33)와 결합된 모터축(32)은 회전모터(31)에 의해 회전하면서 평기어(33)가 호형랙기어(34)와 맞물려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모터축공(211)을 가압하는 힘이 형성되며, 모터축공(211)이 형성된 회전판(21)이 모터축(32)의 가압하는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회전스탠드(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스탠드(20)의 공기이동관(22)을 통해 이동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이며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전방으로 보내기 위하여 절곡 형성된 배출관(41)과, 상기 배출관(41)의 전방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디퓨져(Diffuser)(42)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41)은 회전스탠드(20)를 통해 이동한 공기를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출되는 공기가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41)은 상기 회전스탠드(2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양 방향으로 동시에 배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41)의 전방 끝단, 즉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에는 미사용시 외부로부터 벌레, 먼지 등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덮개망(4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42)는 배출관(4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넓게 퍼지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으로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H)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날개(421)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관(41)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회전스탠드(20)의 상부에 결합하고 대칭되는 양측끝단에 상기 디퓨쳐(42)를 각각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스탠드(20)가 상술한 회전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180°의 각도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배출관(41)이 각각 180°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어 결국 냉풍기(1) 주변의 360° 범위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에 구비된 흡입그릴(136)을 분리한 후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냉각매체(135)가 삽입홈(133)에 삽입된 냉각틀(131)을 삽입한 후 상기 흡입그릴(136)을 본체(10)에 재결합한다.
이후,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스위치(151)를 조작하여 전원부(15)를 동작시키고 상기 전원부(15)에서 인가된 전원을 통해 팬(1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11)이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그릴(136) 및 본체(10)에 형성된 공기통공(19)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상기 공기통공(19)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팬(11)을 통해 회전스탠드(20)의 공기이동관(22)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흡입그릴(136)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냉각틀(131)의 통로(134)를 지나게 되며 상기 통로(134)를 채우고 있는 냉각매체(135)의 냉기를 통해 온도가 낮아지게 된 후 팬(11)을 통해 공기이동관(22)으로 이동된다.
이동된 공기는 배출관(41)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상기 디퓨져(42)를 통해 넓은 범위로 확산되면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스탠드(20)가 상술한 회전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면서 공기가 배출되는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춘 후 외부로 배출하여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를 통하여 회전스탠드를 좌,우로 회전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냉풍기 주변의 넓은 범위를 냉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스탠드(20)의 공기이동관(22)에 가열부(50)를 결합하여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이동관(22)에는 힌지(H)로 결합된 도어(222)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상기 가열부(50)가 결합되는 슬롯(223)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50)는 전원부(15)와 연결소켓(도면중 미도시됨)으로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51)과 상기 열선(51)을 고정하는 고정판(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50)는 다수개의 열선(51)이 고정판(52)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인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2)을 세라믹 소재로 형성한 뒤 열선(51)이 고정판(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때는 상기 고정판(52)의 외주면에 열선(51)이 끼움 결합되는 단턱(521)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521)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공(5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스탠드(20)의 내주면에 구비된 슬롯(223)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50)의 고정판(52)이 끼움 결합되며, 가열부(5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도8의 (b)와 같이 고정판(52)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슬롯(223)은 회전스탠드(20) 내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공기가 통과하는 중공(221)이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열부(50)를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배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냉각부(13)를 수용공간(12)에서 분리한 후 냉각틀(131)의 삽입홈(133)에 열선(51)을 배치한 후 본체(10)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면서 열선(51)을 통과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외부로 온풍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관(41)에 결합된 디퓨져(42)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디퓨져(42)를 통해 온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는 온풍이 약해질 수 있는데, 상기 디퓨져(42)의 일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결합관(42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422)의 내주면에 결합나사산(423)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관(41)의 외주면에 대응나사산(412)를 형성하여 디퓨져(42)를 결합관(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뒤, 상기 디퓨져(42)를 결합관(41)에서 분리하고 결합관(41)에 결합된 덮개망(411)을 분리한 뒤 막음판(413)를 결합관(41)에 결합함으로써 일측의 결합관(41)을 통해서만 온풍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에 삽입된 냉각틀(131)을 외부로 분리하고, 팬(11)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가열부(50)로 공기를 전달하고, 전달된 공기가 가열부(5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특히 겨울철 온풍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여 주변 온도를 올려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냉풍기
10 : 본체 11 : 팬 12 : 수용공간
13 : 냉각부 131 : 냉각틀 132 : 구획판
133 : 삽입홈 134 : 통로 135 : 냉각매체
136 : 흡입그릴
14 : 회전홈 141 : 구멍 142 : 나사공
15 : 전원부 151 : 스위치 16 : 상부커버
17 : 물받이 18 : 레일 19 : 공기통공
20 : 회전스탠드 21 : 회전판 211 : 모터축공
212 : 외벽 22 : 공기이동관 221 : 중공
222 : 도어 223 : 슬롯
30 : 회전구동부 31 : 회전모터 32 : 모터축
33 : 평기어 34 : 호형랙기어
35 : 결합나사 341 : 기어산
40 : 배출부 41 : 배출관 42 : 디퓨져
43 : 손잡이 411 : 덮개망 421 : 날개
50 : 가열부 51 : 열선 52 : 고정판
521 : 단턱 522 : 공기공

Claims (9)

  1.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11)이 구비되고, 상기 팬(11)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13)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회전스탠드(20)가 삽입되며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요입된 오목한 형상의 회전홈(14)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방에 결합되며 팬(11)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이동관(22)과 상기 공기이동관(22)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회전판(21)을 포함한 회전스탠드(20)와;
    상기 회전스탠드(20)를 좌,우로 회전시켜 바람의 배출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전구동부(30)와;
    상기 회전스탠드(20)를 통해 이동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회전스탠드(2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하며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및 후방으로 동시에 바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T'자 형상의 배출관(41)과, 상기 배출관(41)의 전방에 결합된 디퓨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41)의 전방 끝단에는 미사용 중 외부로부터 먼지, 벌레 등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망 형상의 덮개망(411)이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42)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힌지(H)를 통하여 상하로 각도 조절되는 다수개의 날개(42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회전판(21)의 상부에 배치되는 회전모터(31)와, 상부는 상기 회전모터(31)에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회전판(21)에 관통결합된 후 회전판(21)의 하방에 노출된 모터축(32)과, 상기 회전판(21)의 하방에 노출된 상기 모터축(32)에 결합하여 모터축(32)과 연동 회전하는 평기어(33)와, 상기 회전홈(14)에 결합나사(35)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평기어(33)와 기어산(341)을 통해 맞물린 호형랙기어(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13)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구획판(13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개의 삽입홈(133)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34)를 형성된 냉각틀(131)과, 물, 얼음 등이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삽입홈(133)에 배치되는 냉각매체(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냉각부(13)에서 발생한 물방울을 수거하기 위한 물받이(1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탠드(20)에는, 외주면에 힌지(H)로 결합된 도어(222)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금속재의 슬롯(223)이 구비되며,
    상기 슬롯(223)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에 일체로 결합되며 인가된 전원을 통해 가열되는 열선(51)으로 이루어진 가열부(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KR2020120003534U 2012-04-30 2012-04-30 냉풍기 KR200465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34U KR200465093Y1 (ko) 2012-04-30 2012-04-30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34U KR200465093Y1 (ko) 2012-04-30 2012-04-30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93Y1 true KR200465093Y1 (ko) 2013-02-15

Family

ID=5136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534U KR200465093Y1 (ko) 2012-04-30 2012-04-30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21B1 (ko) * 2019-11-13 2020-05-14 (주)에프지인터네셔널 포터블 다기능 디퓨져 장치
KR20200064276A (ko) * 2018-11-28 2020-06-08 홍정우 양면 선풍기
KR20230025166A (ko) * 2021-08-13 2023-02-21 민경수 정역 모터의 회전방향을 일정간격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395A (ja) * 1993-06-02 1994-12-13 I Towanii:Kk 扇風機首振構造
KR20090112887A (ko) * 2008-04-25 2009-10-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출 튜브를 사용하는 핀리스 열교환기
KR20100013599A (ko) * 2008-07-31 2010-02-10 박정동 냉풍장치를 갖는 주방가구
KR20110075761A (ko) * 2009-12-29 2011-07-06 윤근수 사방향 냉온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395A (ja) * 1993-06-02 1994-12-13 I Towanii:Kk 扇風機首振構造
KR20090112887A (ko) * 2008-04-25 2009-10-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출 튜브를 사용하는 핀리스 열교환기
KR20100013599A (ko) * 2008-07-31 2010-02-10 박정동 냉풍장치를 갖는 주방가구
KR20110075761A (ko) * 2009-12-29 2011-07-06 윤근수 사방향 냉온풍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76A (ko) * 2018-11-28 2020-06-08 홍정우 양면 선풍기
KR102158331B1 (ko) * 2018-11-28 2020-09-22 홍정우 양면 선풍기
KR102110721B1 (ko) * 2019-11-13 2020-05-14 (주)에프지인터네셔널 포터블 다기능 디퓨져 장치
KR20230025166A (ko) * 2021-08-13 2023-02-21 민경수 정역 모터의 회전방향을 일정간격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 장치
KR102521731B1 (ko) 2021-08-13 2023-04-13 민경수 정역 모터의 회전방향을 일정간격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2103B2 (en) Air-conditioner
ES2916378T3 (es) Enfriador de aire por evaporación
JP3445790B1 (ja) 除湿機
US7363774B2 (en) Air cooling device
TWI664377B (zh) Dehumidifier
CN107110526A (zh)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KR200465093Y1 (ko) 냉풍기
KR20130138920A (ko) 통기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은닉 날개 선풍기 또는 송풍기
WO2021047455A1 (zh) 除螨仪的导流结构及除螨仪
CN215221386U (zh) 一种稳定散热的高低压开关柜
CN101900392A (zh) 无风叶制冷空调
JP6328310B1 (ja) 送風機付輻射式冷暖房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搭載されるパネル用送風機
CN210926797U (zh) 一种电力设备用除湿装置
JP3168853U (ja) 簡易型クーラー
CN218214908U (zh) 一种树脂绝缘干式变压器用散热结构
CN104807104A (zh) 除湿装置
CN110887095B (zh) 吸油烟机
CN206073257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KR200451919Y1 (ko) 냉풍 블로워
CN106152439B (zh) 送风装置及具有该送风装置的空气调节器
CN208025686U (zh) 整体式空调器
KR100849197B1 (ko) 환기장치
CN211186495U (zh) 一种具有透风降温功能的折叠椅
CN214755955U (zh) 一种半封闭的散热泵外壳
CN217817103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