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84Y1 - 축열식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축열식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84Y1
KR200465084Y1 KR2020100010313U KR20100010313U KR200465084Y1 KR 200465084 Y1 KR200465084 Y1 KR 200465084Y1 KR 2020100010313 U KR2020100010313 U KR 2020100010313U KR 20100010313 U KR20100010313 U KR 20100010313U KR 200465084 Y1 KR200465084 Y1 KR 200465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hot water
heat storage
electric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607U (ko
Inventor
유진석
주재훈
Original Assignee
유진석
주식회사 피앤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석, 주식회사 피앤제이테크 filed Critical 유진석
Priority to KR2020100010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8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F24H7/0441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with supplementary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24H9/144Valve seats, piping and heat exchanger connections integrated into a one-piece hydrauli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를 제1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도록 하고, 히팅부에 설치된 제2히터에 의해 2차 가열되도록 하여 빠르게 고온의 온수를 실내 난방 및 생활 온수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2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축열될 수 있도록 히팅부 내부에 축열물질을 충진시켜 열 발생 효율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1)과, 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12)이 연결되는 온수탱크(10)와; 내측으로 축열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부(20)의 외측으로 원형코일관(30)이 설치되는 히팅부(40)와; 상기 온수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히터(51)와, 상기 원형코일관(30)과 상기 축열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52)로 이루어지는 가열부(50)와; 일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 난방배관(62)의 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온수관(61)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난방수공급관(60)과; 일단은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1) 및 상기 순환펌프(70)의 흡입공(71)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70)의 배출공(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재가열관(7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열식 전기보일러{REGENERATIVE ELECTRIC BOILER}
본 고안은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를 제1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도록 하고, 히팅부에 설치된 제2히터에 의해 2차 가열되도록 하여 빠르게 고온의 온수를 실내 난방 및 생활 온수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2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축열될 수 있도록 히팅부 내부에 축열물질을 충진시켜 열효율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열에너지원인 기름, 가스, 전기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열로 유로를 순환하는 냉수를 소정의 온도로 높혀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난방온도로 높일 수 있고, 온수관을 통하여 따뜻한 물을 필요에 따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일러는 열에너지의 직접적인 사용으로만 실내 난방온도 및 온수의 온도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많고, 이로 인하여 연소가스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시설 내의 작물 재배를 위해 장시간 보일러를 가동해야 하지만, 도시와 달리 농가는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또는 기름을 열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전기 및 기름의 소비가 많아지게 되면서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일러의 가동이 중단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수관 및 난방관내의 수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면서 더 이상의 실내 난방이나 온수의 공급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은 물론, 보일러의 재가동시에도 냉수를 원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로 높이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를 제1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도록 하고, 히팅부에 설치된 제2히터에 의해 2차 가열되도록 하여 빠르게 고온의 온수를 실내 난방 및 생활 온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2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축열될 수 있도록 히팅부 내부에 축열물질을 충진하여 열효율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열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축열부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히팅부의 내부는 고온을 유지하게 되면서 오랜시간 에너지의 소비없이 실내 난방 및 고온의 온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가열부에 전원이 재공급될 때 축열부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온수를 원래의 난방온도 및 온수 온도로 빠르게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를 순환한 저온의 난방수 및 냉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 및 난방수를 재공급하도록 케이싱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이 연결되는 온수탱크와; 내측으로 축열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부의 외측으로 원형코일관이 설치되는 히팅부와;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제1히터와, 상기 원형코일관과 상기 축열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열부와; 일단은 상기 원형코일관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 난방배관의 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온수관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난방수공급관과; 일단은 상기 실내 난방배관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 및 상기 순환펌프의 흡입공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의 배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코일관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재가열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히팅부는 내측 중앙으로 상기 축열부를 수용하기 위한 축열조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열부는 가루형태 또는 조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온수탱크는 내부에 상기 급수관의 끝단부와 연결되는 수위조절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수탱크는 내부에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열부는 석재, 금속재, 세라믹재 중 어느 하나의 축열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원형코일관은 2중 또는 3중으로 중첩된 순환구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히터는 중첩된 상기 원형코일관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상기 히팅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가 제1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도록 하고, 히팅부에 설치된 제2히터에 의해 2차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고온의 온수를 실내 난방 및 온수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축열부에 축열됨으로써 적은 양의 전기에너지 소비로도 열효율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가열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축열부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히팅부의 내부는 고온을 유지하게 되면서 오랜시간 전기에너지의 소비없이 실내 난방 및 고온의 온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가열부에 전원이 재공급될 때 축열부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온수를 원래의 난방온도 및 온수 온도로 빠르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히팅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a, 4b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축열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보일러에서 수위조절밸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히팅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4a, 4b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축열부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수위조절밸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전기보일러(1)는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1)과, 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12)이 연결되는 온수탱크(10)와, 내측으로 축열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부(20)의 외측으로 원형코일관(30)이 설치되는 히팅부(40)와, 상기 온수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히터(51)와, 상기 원형코일관(30)과 상기 축열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52)로 이루어지는 가열부(50)와, 일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 난방배관(62)의 전단부에 연결되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온수관(61)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난방수공급관(60)과, 일단은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1) 및 순환펌프(70)의 흡입공(71)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70)의 배출공(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재가열관(7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기보일러(1)는 상기 히팅부(40)와, 상기 순환펌프(70) 및 상기 온수탱크(10)가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싱부(2)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싱부(2)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히팅부(40)가 고정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순환펌프(7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히팅부(40)의 상측에는 상기 온수탱크(1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급수관(12)의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10)의 일측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부(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공급관(60)의 일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부(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관(61)의 일단은 상기 난방수공급관(60)과 T형이음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부(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배출관(63)의 일단은 상기 케이싱부(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T형이음관에 의해 상기 배수관(11) 및 상기 순환펌프(70)의 흡입공(7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난방수배출관(63)의 끝단에 연결되는 T형이음관은 상기 난방수배출관으로 유입되는 온수를 상기 배수관(1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3웨이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기보일러(1)는 상기 케이싱부(2)의 내부에 상기 히팅부와, 상기 순환펌프(70) 및 상기 온수탱크(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부(2)의 외주면에는 상기 급수관(12)과, 상기 난방수공급관(60)과, 상기 온수관(61) 및 상기 난방수배출관(63)이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관(12)은 외부로부터 주방 또는 욕실로 들어오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관(61)은 주방 또는 욕실에 설치되는 온수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1,2히터(51,5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2히터(51,52)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터(51)는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탱크(10)의 내주면 일측에 상,하 또는 좌,우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히팅부(40)의 상부면 좌, 우측 또는 전, 후면에 대향되도록 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보일러(1)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12)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10)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가 상기 제1히터(51)에 의해 1차 가열되어 데워진 후, 상기 순환펌프(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수관(11)을 따라 상기 원형코일관(30)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1차 가열된 온수는 상기 제2히터(52)에 인접한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내부를 따라 순환하게 되면서 상기 제2히터(52)에 의해 2차 가열되어 고온의 온수로 빠르게 데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기보일러(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온수관(61)이 연결되는 주방 또는 욕실의 온수밸브를 조절하여 고온의 온수를 간편하게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2차 가열된 고온의 온수가 상기 난방수공급관(60)을 통해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으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을 따라 순환하게 되면서 실내는 따뜻하게 난방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을 순환한 온수는 상기 배수관(11)으로 유입되는 1차 가열된 온수와 함께 합쳐진 후 상기 순환펌프(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형코일관(30)으로 공급되어 상기 히팅부(40)에서 2차 가열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고온의 온수로 복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전기보일러(1)는 상기 가열부(50)와, 상기 순환펌프(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50) 및 상기 순환펌프(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와, 실내 난방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기보일러(1)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원스위치를 온(On)하면 상기 가열부(50) 및 상기 순환펌프(7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며, 상기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가열부(50)에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차단을 반복하며 열을 발생하거나 또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실내 난방 및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히팅부(40)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상기 히팅부(4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히팅부(40)의 내부온도가 상기 온도감지센서(90)에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온도감지센서(90)의 감지에 의해 상기 가열부(5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히팅부(40)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상기 히팅부(40)의 과열로 인한 폭발 및 상기 전기보일러(1)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히팅부(40)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코일관(3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또는 3중으로 중첩된 순환구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히터(52)는 중첩된 상기 원형코일관(30)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형코일관(30)이 2중으로 중첩된 순환구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히터(52)는 외측과 내측의 코일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코일관(30)이 3중으로 중첩된 순환구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히터(52)는 외측의 코일관과 중간의 코일관 사이 또는 중간의 코일관과 내측의 코일관 사이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원형코일관(30)을 순환하게 되는 온수는 상기 제2히터(52)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서 빠르게 데워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히팅부(4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지 않게 되면서 안전성과 열보온성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열부(20)는 토르말린, 게르마늄, 자수정을 포함하는 석재, 금속재, 세라믹재 중 어느 하나의 축열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2히터(52)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축열부(20)에 전달되게 되면서 축열되고, 상기 히팅부(40)는 내부의 열을 더욱 빠르게 높일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내부로 유입되는 1차 가열된 온수를 빠르게 고온의 온수로 데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열부(20)에 축적된 잠열로 인해 적은 양의 전기에너지 소비로도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부(5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상기 축열부(20)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상기 히팅부(40)의 내부는 고온을 유지하게 되면서 오랜시간 에너지의 소비없이 실내 난방 및 고온의 온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가열부(50)에 전원이 재공급될 때 상기 축열부(20)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온수를 원하는 난방온도 및 온수 온도로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보일러(1)는 상기 축열부(20)가 석재, 금속재, 세라믹재 중 어느 하나의 축열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열부(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축열조(21)가 상기 히팅부(40)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축열조(21)의 공간부로 하나 이상의 축열물질이 혼합되어 채워져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축열조(21)는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개구되고, 상기 공간부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열조(21)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구리, 또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열부(20)는 가루형태 또는 조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기보일러(1)는 상기 축열부(20)의 취급이 쉽고, 제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축열조(21)의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축열부(20)의 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2히터(52)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장시간 축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온수탱크(10)는 상기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급수관(12)의 끝단부와 연결되는 수위조절밸브(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밸브(80)는 볼탑(80a)이 연결된 일반적인 플로팅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샤워 또는 설겆이를 하면서 버려지는 온수로 인해 상기 온수탱크(10)에 물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수위조절밸브(80)에 연결된 볼탑(80a)이 점점 하강하게 되면서 수도관에 연결된 상기 급수관(12)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10) 내로 유입되는 급수가 일정수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수위조절밸브(80)에 연결된 상기 볼탑(80a)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급수관(12)은 닫히게 되어 더이상 급수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온수 사용으로 인해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과다한 양의 급수가 상기 온수탱크(10) 내로 공급되게 되면서 발생되는 상기 온수탱크(1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보일러(1)는 상기 온수탱크(10) 내부에 상기 급수관(12)의 끝단부와 연결되는 수위조절밸브(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12)에는 솔레노이드밸브(81)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탱크(1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82)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수위감지센서(82)로부터 발생되는 온수부족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1)가 개방 가동되며 냉수가 상기 온수탱크(10) 내부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위감지센서(82)가 상기 온수탱크(10)에 수용되는 온수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1)가 구동을 정지하여 차단되게 되면서 상기 온수탱크(10) 내부로 유입되는 냉수의 공급은 차단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온수탱크(10)의 내부에 적정 양의 온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보일러 2 : 케이싱부
10 : 온수탱크 11 : 배수관
12 : 급수관 20 : 축열부
21 : 축열조 30 : 원형코일관
40 : 히팅부 50 : 가열부
51 : 제1히터 52 : 제2히터
60 : 난방수공급관 61 : 온수관
62 : 실내 난방배관 63 : 난방수배출관
70 : 순환펌프 71 : 흡입공
72 : 배출공 73: 재가열관
80 : 수위조절밸브 81 : 솔레노이드밸드
82 : 수위감지센서 90 : 온도감지센서

Claims (8)

  1. 실내를 순환한 저온의 난방수 및 냉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 및 난방수를 재공급하도록 케이싱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1)과, 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12)이 연결되는 온수탱크(10)와;
    내측으로 축열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부(20)의 외측으로 2중 또는 3중으로 중첩된 순환구조 형태로 형성된 원형코일관(30)이 설치되는 히팅부(40)와;
    상기 온수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히터(51)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52)로 이루어지는 가열부(50)와;
    일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 난방배관(62)의 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온수관(61)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난방수공급관(60)과;
    일단은 상기 실내 난방배관(62)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1) 및 순환펌프(70)의 흡입공(71)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관(63)과;
    상기 난방수배출관(63)과 상기 배수관(11)과 상기 순환펌프(70)의 흡입공에 연결되고, 상기 난방수배출관으로 유입되는 온수를 상기 배수관(1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3웨이밸브가 형성된 T형이음관과;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70)의 배출공(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코일관(3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재가열관(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40)는 내측 중앙으로 상기 축열부(20)를 수용하기 위한 축열조(21)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20)는 가루형태 또는 조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10)는 내부에 상기 급수관(12)의 끝단부와 연결되는 수위조절밸브(8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10)는 내부에 수위감지센서(82)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12)에는 솔레노이드밸브(81)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20)는 석재, 금속재, 세라믹재 중 어느 하나의 축열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40)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상기 히팅부(4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9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KR2020100010313U 2010-10-07 2010-10-07 축열식 전기보일러 KR200465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13U KR200465084Y1 (ko) 2010-10-07 2010-10-07 축열식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13U KR200465084Y1 (ko) 2010-10-07 2010-10-07 축열식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07U KR20120002607U (ko) 2012-04-17
KR200465084Y1 true KR200465084Y1 (ko) 2013-02-04

Family

ID=4660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313U KR200465084Y1 (ko) 2010-10-07 2010-10-07 축열식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7B1 (ko) * 2015-09-08 2016-01-27 백진순 열매체유와 축열물질을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183B1 (ko) * 2016-06-10 2017-06-21 정지우 축열사를 이용한 복합 난방장치
KR102206539B1 (ko) * 2018-07-23 2021-01-21 김광호 고압공기 멸균장치
CN109708318B (zh) * 2019-01-11 2023-11-28 北京帅安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步进式全自动采暖电锅炉及其使用、加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488Y1 (ko) 2000-04-04 2000-09-01 강웅구 태양열과 심야전기와 가스보일러를 사용한 난방 및온수공급장치
KR200234383Y1 (ko) * 2001-03-15 2001-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외장형가열장치가 장착된 축열식 심야전기보일러
KR100512043B1 (ko) * 2003-08-27 2005-09-05 김종철 전기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488Y1 (ko) 2000-04-04 2000-09-01 강웅구 태양열과 심야전기와 가스보일러를 사용한 난방 및온수공급장치
KR200234383Y1 (ko) * 2001-03-15 2001-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외장형가열장치가 장착된 축열식 심야전기보일러
KR100512043B1 (ko) * 2003-08-27 2005-09-05 김종철 전기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7B1 (ko) * 2015-09-08 2016-01-27 백진순 열매체유와 축열물질을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07U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084Y1 (ko) 축열식 전기보일러
JP5851341B2 (ja) ハイブリッド型電力供給システム
CN103512080A (zh) 一种烟囱锅炉余热半导体温差发电取暖热水器系统
CN204346221U (zh) 一种节能热水器
CN104990303B (zh) 太阳能光伏水泵供暖制冷系统及其使用方法
CN203980393U (zh) 地板蒸汽供暖系统
CA2879396A1 (en) Hot-water boiler, heating pip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
CN202392877U (zh) 循环水地暖设备
CN205980350U (zh) 一种带增容功能的热水器电路结构
KR101548073B1 (ko) 축열조와 분리된 열원의 뜨거운 열을 바로 사용하는 축열식 난방기 및 온수기
CN202581799U (zh) 一种相变储热式电热水器
CN203824044U (zh) 双核双模电磁感应热水器
JP5317810B2 (ja) 温水器
CN203489342U (zh) 太阳能与燃气锅炉相结合的热水和地暖系统
KR101376059B1 (ko) 국소 난방이 가능한 자연 순환형 태양열 온수시스템
CN207894015U (zh) 一种相变蓄热即热式厨宝装置
JP2004108759A (ja) 高断熱高気密住宅用蓄熱式低温省エネ熱エネルギー利用システム
JP5800490B2 (ja) 熱源装置、熱源制御方法及び熱源制御プログラム
CN205409105U (zh) 一种雏鸡养殖场所的保温装置
CN204438511U (zh) 一种空气源热泵饮水装置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KR200234400Y1 (ko) 외장형가열장치가 장착된 축열식 심야전기보일러
CN205299717U (zh) 水调温器
CN108800267A (zh) 电热相变蓄能供热机组及其变工况能量调节方法
CN206803511U (zh) 活性水热水炉节电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