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77Y1 - Open buckle - Google Patents

Open buc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77Y1
KR200464977Y1 KR2020120005803U KR20120005803U KR200464977Y1 KR 200464977 Y1 KR200464977 Y1 KR 200464977Y1 KR 2020120005803 U KR2020120005803 U KR 2020120005803U KR 20120005803 U KR20120005803 U KR 20120005803U KR 200464977 Y1 KR200464977 Y1 KR 200464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rame
buckle
fixing
ope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8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기
Original Assignee
최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기 filed Critical 최원기
Priority to KR2020120005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되는 스윙돌기가 벨트에 형성된 특정 구멍에 꿰어져 벨트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를 죄어 고정시키는 버클(100)으로서,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중앙의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는 사각형 프레임(110);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고정시키는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면 양단에 각각 연장된 각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인입되어 상기 오픈된 공간으로 향하도록 하는 벨트 인입부(140);
상기 각 연장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회전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장치(150); 및
상기 회전장치(150)의 외면 특정 부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의 내면에 걸쳐져 상기 벨트(200)가 선단부터 지나감에 따라 먼저 오는 구멍(210)에 꿰어져 상기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윙돌기(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ront end of the belt with a plurality of holes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open space formed by the rectangular frame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By swinging the swinging projection into a specific hole formed in the belt to prevent the belt from retreating, the material is saved and the belt is fixed. To open the buck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s the buckle 100 for tightening and fixing the belt 200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part,
Square frame 110,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pass through the open space in the cen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belt rear part fixing part 175 installed on the rear frame of the quadrangular frame 110 so as to be swingable to fix the rear part of the belt 200;
A belt retracting part 140 having respective extens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so that the tip of the belt 200 is retracted and directed toward the open space;
A cylindrical rotatable device installed rotatably between each of the extensions, the cylinder being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applying force; And
One end is fix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device 150 and the other end is threaded to the first hole 210 as the belt 200 passes from the front end as the other end span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Swing protrusion 160 to prevent the retreat 200;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개방형 버클{Open buckle}Open buckle

본 고안은 개방형 버클(Open buck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belt)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quadrangle frame)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swing)되는 스윙돌기가 벨트에 형성된 특정 구멍에 꿰어져 벨트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형 버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buckle, and in particular, the front end of the belt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n open space formed at the bottom by a quadrangle frame.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swings upward if no force is applied to a specific hole formed in the belt to prevent the belt from retre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buckle for saving material costs and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see the state in which the belt is fix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elt function.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버클은 허리띠 따위를 죄어 고정시키는 장치가 되어 있는 장식물이다. 이때 장식은 비교적 복잡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is well known, a buckle is a decoration that is fastened to a belt. At this time, the decoration may be formed in a relatively complex configuration or may be made in a very simple configuration.

이와 관련하여 특허출원 제2006-0132152호 벨트버클은,In this regard, the patent application 2006-0132152 belt buckle,

전방 표면(front surface)에 홈(21)을 포함하는 본체;A body comprising a groove 21 in the front surface;

상기 홈(21)의 내부에 수납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홈(21)의 내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상기 홈(21)의 원주를 따라 적합한 위치에 핀-고정된 장착부재(3)로서, 원주를 따라서 측면 개구부(side opening)와 중앙 개구부(center opening)를 구비한 장착부재(3); 및Pin-fixed mounting in a suitable posi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roove 21 so that it can be folded inward to be received inside the groove 21 and can be folded outward to expose the interior of the groove 21. A member (3), comprising: a mounting member (3) having a side opening and a center opening along a circumference; And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재(3) 내로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재(3)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피장착물(5)로서, 상기 장착부재(3)로의 삽입시에 상기 중앙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한 피장착물(carried object)(5)을 포함한다.
A to-be-mounted body (5)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3)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removable from the mounting member (3), which is exposed by the central opening upon insertion into the mounting member (3). And a carrier object 5 having an anterior surfa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벨트버클(2)은 원주를 따라서 측면 개구부와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부재(3)와, 장착부재(3)로의 삽입시에 중앙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한 피장착물(5)을 포함하기 때문에, 벨트버클(2)이 매우 복잡해지고 자재비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elt buckle 2 includes a mounting member 3 having side openings and a central opening along its circumference, and a front surface exposed by the central opening upon insertion into the mounting member 3. Since the fitting 5 is include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belt buckle 2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또한, 위에서 설명된 벨트버클(2)은 벨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벨트 기능의 신뢰성도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lt buckle 2 described above does not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e the state in which the belt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belt function is also reduced.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되는 스윙돌기가 벨트에 형성된 특정 구멍에 꿰어져 벨트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형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ront end of the belt wit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ligned so that the open space formed by the rectangular frame pas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swinging protrusion swinging up when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rame is stitched to a specific hole formed in the belt to prevent the belt from retreat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n buck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belt function as the user can see the state direct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를 죄어 고정시키는 버클(100)으로서,As the buckle 100 for tightening and fixing the belt 200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part,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중앙의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는 사각형 프레임(110);Square frame 110,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pass through the open space in the cen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고정시키는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A belt rear part fixing part 175 installed on the rear frame of the quadrangular frame 110 so as to be swingable to fix the rear part of the belt 200;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면 양단에 각각 연장된 각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인입되어 상기 오픈된 공간으로 향하도록 하는 벨트 인입부(140);A belt retracting part 140 having respective extens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so that the tip of the belt 200 is retracted and directed toward the open space;

상기 각 연장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회전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장치(150); 및A cylindrical rotatable device installed rotatably between each of the extensions, the cylinder being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applying force; And

상기 회전장치(150)의 외면 특정 부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의 내면에 걸쳐져 상기 벨트(200)가 선단부터 지나감에 따라 먼저 오는 구멍(210)에 꿰어져 상기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윙돌기(160);One end is fix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device 150 and the other end is threaded to the first hole 210 as the belt 200 passes from the front end as the other end span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Swing protrusion 160 to prevent the retreat 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상기 스윙돌기(160)는 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wing protrusion 16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 shape.

상기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는,The belt rear portion fixing part 175,

사각형 판의 양단이 아래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안착시키되, 앞쪽 단부가 상기 뒤쪽 프레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Both ends of the rectangular plat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s to seat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on the inside, the front end is bent to surround the rear frame, the belt is installed to swing the rear frame axially Rear seating portion 120;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상면 중 상기 뒤쪽 프레임 반대쪽 상면에 [ 형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지나도록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130); 및A belt guide part 1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rear fram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 portion 120 to guide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the inner space; And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각 연장 부분 사이에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와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이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을 두고 스윙 가능하게 사각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벨트 안내부(130) 쪽 단부가 톱니 형상이고 위로 절곡되어 상기 톱니 형상의 단부가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뒷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덮개(170);Between the belt rear portion seating portion 120,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elt rear portion seating portion 12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is installed in a swingable square at intervals to be retracted, the belt guide portion (130) a fixing cover 170, wherein the end portion is serrated and bent upward to press and fix the rear portion seated at the rear seating portion 120 of the serrated en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본 고안은,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110)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되는 스윙돌기(160)가 벨트(200)에 형성된 특정 구멍(210)에 꿰어져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110)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200)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200)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elt 200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open space formed by the square frame 110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square frame 110. The swing frame 160 swinging upward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frame is sewed into a specific hole 210 formed in the belt 200 to prevent the belt 200 from retreating. By applying the 110 to the buckle, the material cost is saved and the user can directly see the state in which the belt 200 is fix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elt 200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형 버클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밑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정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applying an open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shown in FIG. 1.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buckle shown in FIG. 1.
4 is a bottom view of the buckle shown in FIG. 1.
5 is a rear view of the buckle shown in FIG. 1.
6 is a front view of the buckle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형 버클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버클(100), 벨트(200) 및 구멍(210)으로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applying an open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uckle 100, a belt 200 and a hole 21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도 2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클(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클(100)의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클(100)의 밑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클(100)의 후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버클(100)의 정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100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buckle 100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buckle 100 shown in FIG. 1 and FIG. 5. 1 is a rear view of the buckle 100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buckle 100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먼저 버클(100)은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를 죄어 고정시킨다. 이때 구멍(210)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스윙돌기(160)가 무난하게 꿰어지도록 한다.1 to 6, the buckle 100 is first fastened by fixing the belt 200,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portion.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hole 210 is set appropriately so that the swing protrusion 160 can be sewed without difficulty.

이와 같은 버클(100)을 각 부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such a buck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part as follows.

사각형 프레임(110)은 벨트(200)의 선단이 중앙의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한다. 이때 사각형 프레임(110)의 안전성이나 미감 등을 고려하여 사각형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를 완만하게 가공한다.The rectangular frame 110 allows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pass through the open space in the cen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r aesthetics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is gently processed.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는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 벨트 안내부(130) 및 고정덮개(170)로 구성되어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200)의 뒷부분을 고정시킨다.The belt rear part fixing part 175 is composed of a belt rear part seating part 120, a belt guide part 130, and a fixing cover 170, and is installed to swing the rear frame of the quadrangular frame 110 about an axis. ) To the back of the unit.

이와 같은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를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elt back portion fixing portion 175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는 사각형 판의 양단이 아래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벨트(200)의 뒷부분을 안착시킨다. 이때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는 앞쪽 단부가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다.First, the rear seat seating portion 12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of the rectangular plate extend downward, respectively, to seat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inside. At this time, the rear seat seat portion 120 is bent so that the front end is wrapped around the rear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is installed so as to swing the rear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to the axis.

벨트 안내부(130)는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상면 중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 반대쪽 상면에 [ 형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벨트(200)의 선단이 지나도록 안내한다. 즉, 벨트 안내부(130)는 [ 형상과 그 [ 형상 아래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상면 사이를 벨트(200)의 선단이 지나도록 안내한다.The belt guide part 130 is installed in a shape [on a top surface opposite the rear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among the top surfaces of the rear seating part 120 of the belt to guide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the inner space. That is, the belt guide 130 guides the tip of the belt 200 to pass between the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rear part 120 below the [shape].

고정덮개(170)는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각 연장 부분 사이에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와 벨트(200)의 뒷부분이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을 두고 스윙 가능하게 사각형으로 설치된다. 이때 고정덮개(170)는 벨트 안내부(130) 쪽 단부가 톱니 형상이고 위로 절곡되어 톱니 형상의 단부가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에 안착된 벨트(200)의 뒷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한다.
The fixing cover 170 is swingably installed in a square shape at intervals for allowing the rear part of the belt seating part 120 and the rear part of the belt 200 to be inserted between each extending part of the rear part seating part 120. At this time, the fixing cover 170 is the end of the belt guide portion 130 is serrated and bent upward so that the end of the serrated press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seated on the rear seat portion 120.

벨트 인입부(140)는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면 양단에 각각 연장된 각 연장부를 구비하여 벨트(200)의 선단이 인입되어 사각형 프레임(110)의 오픈된 공간으로 향하도록 한다.The belt inlet unit 140 includes respective extensions extending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원기둥 형태의 회전장치(150)는 벨트 인입부(140)의 각 연장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회전된다.The cylindrical rotating device 15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each extension of the belt inlet 140, but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if no force is applied.

스윙돌기(160)는 회전장치(150)의 외면 특정 부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부가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의 내면에 걸쳐져 벨트(200)가 선단부터 지나감에 따라 먼저 오는 구멍(210)에 꿰어져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스윙돌기(160)는 C 형상인 것이 좋다.The swing protrusion 160 has one end fix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device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swinging hole 160 that comes first as the belt 200 passes from the front end of the square frame 110 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It is sewn on 210 to prevent the belt 200 from retreating. In this case, the swing protrusion 160 may have a C shape.

한편, 회전장치(150)에 결합된 후퇴버튼(180)을 누를 경우 회전장치(150)는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어 이에 연동되는 스윙돌기(160)가 아래로 스윙되어, 스윙돌기(160)는 구멍(210)에 꿰어진 상태였을 경우 그 구멍(21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pressing the retreat button 180 coupled to the rotating device 150, the rotating device 150 is rotated to a set position swings the swing protrusion 160 is linked to this swing swing 160 is a hole When it is sewn in the state 210 is to exit from the hole (210).

여기서 회전장치(150)의 동작은 2000년04월06일 공개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0017102호 '벨트의 버클 걸림장치'로부터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device 150 can be known from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8-0017102 'Buckle Locking Device of the Belt' disclosed on April 06, 20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110)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되는 스윙돌기(160)가 벨트(200)에 형성된 특정 구멍(210)에 꿰어져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110)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200)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200)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open space formed by the square frame 110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square frame ( If the swing frame 160 swinging upward is installed in the lower front frame of the front frame 110, it is sewn into a specific hole 210 formed in the belt 200, thereby preventing the belt 200 from retreating. As the frame 110 is applied to the buckle, the material cost is saved and the user can directly see the state in which the belt 200 is fix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elt 200 function.

또한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의거하여 벨트(2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벨트(200)를 버클(100)로부터 이탈시킬 필요없이 후퇴버튼(180)을 눌러 스윙돌기(160)가 하부로 스윙되어 현재의 구멍(210)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벨트(20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면서 후퇴버튼(180)을 놓음으로써 벨트(200)의 길이를 인접한 구멍(210)까지의 거리 만큼씩 용이하게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In addition, if you wan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rst, the user presses the retraction button 180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belt 200 from the buckle 100 swing projection 160 Swings downward to release from the current hole 210 and then releases the retraction button 180 while advancing or retracting the belt 200 by the distance of the belt 200 by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hole 210. It can be easily reduced or increased.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버클
110: 사각형 프레임
120: 벨트 뒷부분 안착부
130: 벨트 안내부
140: 벨트 인입부
150: 회전장치
160: 스윙돌기
170: 고정덮개
180: 후퇴버튼
200: 벨트
210: 구멍
100: buckle
110: square frame
120: rear seat of the belt
130: belt guide
140: belt inlet
150: rotating device
160: swing projection
170: fixing cover
180: retract button
200: belt
210: hole

Claims (3)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를 죄어 고정시키는 버클(100)으로서,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중앙의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는 사각형 프레임(110);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고정시키는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면 양단에 각각 연장된 각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인입되어 상기 오픈된 공간으로 향하도록 하는 벨트 인입부(140);
상기 각 연장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회전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장치(150); 및
상기 회전장치(150)의 외면 특정 부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의 내면에 걸쳐져 상기 벨트(200)가 선단부터 지나감에 따라 먼저 오는 구멍(210)에 꿰어져 상기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윙돌기(160);
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는,
사각형 판의 양단이 아래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안착시키되, 앞쪽 단부가 상기 뒤쪽 프레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상면 중 상기 뒤쪽 프레임 반대쪽 상면에 [ 형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지나도록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130); 및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의 각 연장 부분 사이에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와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이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을 두고 스윙 가능하게 사각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벨트 안내부(130) 쪽 단부가 톱니 형상이고 위로 절곡되어 상기 톱니 형상의 단부가 상기 벨트 뒷부분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뒷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덮개(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버클.
As the buckle 100 for tightening and fixing the belt 200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210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part,
Square frame 110,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pass through the open space in the cen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belt rear part fixing part 175 installed on the rear frame of the quadrangular frame 110 so as to be swingable to fix the rear part of the belt 200;
A belt retracting part 140 having respective extens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110 so that the tip of the belt 200 is retracted and directed toward the open space;
A cylindrical rotatable device installed rotatably between each of the extensions, the cylinder being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applying force; And
One end is fix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device 150 and the other end is threaded to the first hole 210 as the belt 200 passes from the front end as the other end span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Swing protrusion 160 to prevent the retreat 200;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belt rear portion fixing part 175,
Both ends of the rectangular plat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s to seat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on the inner side, the front end is bent to surround the rear frame, the belt is installed to swing the rear frame axially Rear seating portion 120;
A belt guide part 1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rear fram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 portion 120 to guide the front end of the belt 200 to the inner space; And
Between the belt rear portion seating portion 120,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elt rear portion seating portion 12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elt 200 is installed in a swingable square at intervals to be retracted, the belt guide portion (130) a fixing cover 170, wherein the end is serrated and bent upward to press and fix the rear portion of the serrated end seated at the rear seating portion 120;
Open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돌기(160)는 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ng protrusion 160 is an open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 shape.
삭제delete
KR2020120005803U 2012-07-03 2012-07-03 Open buckle KR2004649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03U KR200464977Y1 (en) 2012-07-03 2012-07-03 Open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03U KR200464977Y1 (en) 2012-07-03 2012-07-03 Open buck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977Y1 true KR200464977Y1 (en) 2013-01-28

Family

ID=5136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803U KR200464977Y1 (en) 2012-07-03 2012-07-03 Open buc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77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89U (en) * 1998-09-09 2000-04-06 유덕상 Buckle Buckle on Belt
KR200387315Y1 (en) 2005-04-06 2005-06-17 안문수 A buckle for controling length of string
KR20110115743A (en) * 2010-04-16 2011-10-24 단흥덕 Bore-belt buck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89U (en) * 1998-09-09 2000-04-06 유덕상 Buckle Buckle on Belt
KR200229871Y1 (en) 1998-09-09 2001-10-25 유덕상 Buckle Lock on Belt
KR200387315Y1 (en) 2005-04-06 2005-06-17 안문수 A buckle for controling length of string
KR20110115743A (en) * 2010-04-16 2011-10-24 단흥덕 Bore-belt buck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4499A (en) Handle for passenger on bus
KR100952410B1 (en) Buckle convenient double-faced and separate of belt
KR200464977Y1 (en) Open buckle
CN106043615A (en) Fixing device for surfboard tail fin
CN204861513U (en) Novel detain subassembly and four close and buckle
CN206243127U (en) Adjusting means with security protection
US3170165A (en) Shirt collar fastening means
CN205125268U (en) Push type eye -splice
KR101181593B1 (en) Buckle
CN106347292B (en) Regulating device with security protection
KR200184785Y1 (en) Hair pin
KR101404589B1 (en) a umbrella decoration for binding waterproof cloth
JP3201742U (en) How to wear a collar
CN204567934U (en) The connecting device of handlebar and headstock
KR200219526Y1 (en) Adjustable band
CN209609937U (en) Necktie wearable device
KR200458065Y1 (en) Y-shirt collar holder
KR101424964B1 (en) Umbrella with a band wear
KR200173200Y1 (en) Buckle structure for cloths
CN208328483U (en) It is a kind of conducive to hiding clothes airing machine bracket
KR200259178Y1 (en) Cap
KR20110004274U (en) Buckle for belt
FR1449845A (en) Turnstile type clasp
KR200459617Y1 (en) Bellows boots using the adjuestment band
JP3002481U (en) Bamboo sword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