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88Y1 - Mozaic image display - Google Patents

Mozaic imag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88Y1
KR200464788Y1 KR2020120001758U KR20120001758U KR200464788Y1 KR 200464788 Y1 KR200464788 Y1 KR 200464788Y1 KR 2020120001758 U KR2020120001758 U KR 2020120001758U KR 20120001758 U KR20120001758 U KR 20120001758U KR 200464788 Y1 KR200464788 Y1 KR 200464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saic
pattern
image portion
exhi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미
Priority to KR2020120001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8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44C3/123Mosaic constru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모자이크도안 전시물은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어 광고나 전시 등에 이용된다. 본 고안은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은 비모자이크 무늬가 표현된 제1이미지부와 모자이크 무늬를 표현하는 제2이미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saic design is attached to the wall of an outdoor or indoor area and used for advertisement or exhib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mosaic image exhibit unlike the prior art. Such a mosaic image exhibit may include a first image portion expressing a non-mosaic pattern and a second image portion expressing a mosaic pattern.

Description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MOZAIC IMAGE DISPLAY}Mosaic Image Exhibit {MOZAIC IMAGE DISPLAY}

본 고안은 모자이크 이미지를 전시하는 전시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displaying a mosaic image.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은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어 전시 등에 이용된다.The mosaic image display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outdoor or indoor and used for exhibition.

종래의 모자이크 광고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1460호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자이크 광고장치는 프레임 내에서 단위 그래픽이 표현된 다수의 모자이크셀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전체적인 그래픽을 표현하도록 만들어져 있다.Conventional mosaic advertising device is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1460. Such a conventional mosaic advertisement apparatus is designed to express a single graphic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osaic cells in which a unit graphic is expressed in a frame.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1996-0040685호에서는 시멘트 벽면에 설치된 모자이크 이미지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자이크이미지는 외벽을 이루는 벽면을 형성하기 위해 모르타르를 양생할 때 거푸집에 모자이크이미지를 삽입하여 양생함으로서 그 벽면과 된 모자이크이미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6-0040685 discloses a mosaic image installed on a cement wall. Such a mosaic image is formed by inserting a mosaic image into a form when curing mortar to form a wall forming the outer wall, thereby curing the mosaic image with the wall.

본 고안은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mosaic image exhibit unlike the prior art.

외관에 있어 보다 품격이 있는 새로운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제시한다.Presenting a new mosaic image exhibit with a more elegant appearanc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은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Mosaic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door or indoor.

이와 같은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은 비모자이크 무늬가 표현된 제1이미지부와 모자이크 무늬를 표현하는 제2이미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mosaic image exhibit may include a first image portion expressing a non-mosaic pattern and a second image portion expressing a mosaic pattern.

상기 모자이크무늬는 다수의 서로 독립된 단위의 조각편들이 서로 맞추어져 하나의 통일된 무늬인 모자이크 무늬를 표현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The mosaic pattern may be made so that a plurality of pieces of independent units fit together to represent a mosaic pattern, which is one unified pattern.

여기서, 상기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Here, one of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other side.

예컨대, 상기 제2이미지부는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 내에 상기 플레이트와는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미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을 둘러싸는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image portion is formed b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late in a through groove or a non-penetrating groove formed in one plate, and the first image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late surrounding the through or non-penetrating groove. It can be formed by.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석재(石材)로 만들어지며, 상기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은 워터젯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is made of stone (石材), the through groove or the non-penetrating groove may be formed by processing with a water jet.

상기 플레이트는 특히 대리석일 수 있다. 그래서, 대리석이 가진 본래의 무늬를 그대로 살려 제1이미지부의 무늬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리석 무늬는 전시물을 보다 품격있게 보이도록 하는데 유리하다.The plate may in particular be marble. Therefore, the original pattern of the marble can be used as it is and used as the pattern of the first image portion. Such marble pattern is advantageous to make the exhibit look more elegant.

또는, 상기 제2이미지부가 상기 제1이미지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전시물의 가운데 부분은 비모자이크 무늬가 되며, 그것을 둘러싼 주변 부위는 모자이크 무늬로 표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image portion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image portion. Thus, the center part of the exhibit becomes a non-mosaic pattern, and the surrounding area around it can be expressed in a mosaic pattern.

상기 제1이미지부의 비모자이크 무늬로서는 석재만이 아니라 목재임을 표현하는 무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미지부의 모자이크 무늬는 색의 3원색인 빨강, 파랑, 및 노랑 중 하나이거나 또는 그 조합의 색에 의해 표현된 그림 또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n-mosaic pattern of the first image portion may be a pattern representing not only stone but also wood. The mosaic pattern of the second image unit may include a picture or a character represented by one of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ed, blue, and yellow, or a combination thereof.

여기서, 비모자이크 무늬는 그 패턴 및 색상에 있어서 비교적 단조로운 무늬이며, 모자이크 무늬는 그보다 화려한 색상 및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두 무늬가 서로 대조되어 보임에 따라 다른 하나의 무늬가 두드러지게 보여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자이크 무늬를 화려하거나 복잡하게 표현(이러한 복잡한 표현은 별도의 처리가 없더라도 모자이크 처리 자체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음)하고 비모자이크무늬를 단조롭게 형성함으로서 모자이크 무늬가 두드러져 보이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non-mosaic pattern is relatively monotonous in its pattern and color, and the mosaic pattern may be represented by a more brilliant color and pattern. Thus, as the two patterns appear to be contrasted with each other, the other one pattern can be seen prominent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saic pattern may be colorfully or complicatedly expressed (these complicated expressions may be achieved by the mosaic processing itself even without a separate process), and the mosaic pattern may stand out by monotonously forming the non-mosaic pattern. .

재질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부는 목재, 석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미지부는 유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material, the first image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of wood, stone, and plastic. The second image portion may be formed including glass.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이미지부의 각 조각편들은 유리 조각편의 배면에 상기 모자이크 무늬를 위한 해당 이미지가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유리의 고급스러움이 품격있는 외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유리의 배면에 이미지가 처리됨에 따라 유리를 통해 모자이크 무늬가 보여지므로 모자이크 무늬가 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each piece of the second image portion may be a corresponding image for the mosaic pattern on the back of the glass piece. The luxury of the glass can help the elegant appearance. In addition, since the mosaic pattern is seen through the glass as the image is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the mosaic pattern may be more clearly expressed.

한편, 이와 같은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부차하기 위해, 상기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의 배면에 망사형천을 부착시킬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attach the mosaic image exhibit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door or indoor, a mesh cloth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그리고, 상기 망사형 천이 부착된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를 실외 또는 실내의 상기 벽면에 부착재를 통해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부착재는 고형되어 굳어짐에 따라 상기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를 상기 벽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성질의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착재는 시멘트일 수 있다. 상기 망사형천의 망사구멍에 부착재가 스며들어 보다 견고한 부착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to which the mesh cloth is attached may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door or indoor area through an adhesive. The attachment material may be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attaching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to the wall surface as it is solidified and hardened. For example, the attachment material may be cement. Attachment material penetrates into the mesh hole of the mesh cloth to achieve a more firm attachment.

모자이크이미지를 전시함에 있어, 종래보다 품격이 있는 외관을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이 될 수 있다.In exhibiting a mosaic image, it can be a new type of mosaic image exhibit that provides a more elegant appearance than before.

특히, 명화와 같은 우수한 예술작품을 모자이크로 보다 품격있게 전시할 수 있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saic image exhibit that can display excellent works of art such as masterpieces more elegantly with mosaic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해당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나타낸다.
도2는 제1도안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3은 제1도안부 플레이트에 인쇄시트가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제2도안부로서 모자이크 이미지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5는 모자이크 조각편들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6은 제1도안부 및 제2도안부에 망사형천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7은 도1의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이 실외 벽면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1 shows a mosaic image exhibit correspon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late forming a first pattern portion.
3 is a view showing a printing sheet attached to the first pattern plate.
4 shows a mosaic image as a second design part.
5 shows some of the mosaic pieces.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sh cloth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design parts.
FIG. 7 shows the mosaic image exhibit of FIG. 1 attached to an outdoor wall.

먼저, 도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First,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mosaic imag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비모자이크 이미지인 제1이미지부(10)가 외곽에 형성되어 모자이크이미지인 제2이미지부(20)를 둘러싸며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현하는 제2이미지부(20)가 비모자이크 이미지를 표현하는 제1이미지부(10)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mage portion 10, which is a non-mosaic image, is formed on the outside to surround the second image portion 20, which is a mosaic image.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image unit 20 representing the mosaic image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first image unit 10 representing the non-mosaic image.

도1의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에 포함되는 제1이미지부(10)는 대리석을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즉,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리석 플레이트(11)의 가운데 부분을 워터젯으로 가공하여 '말'이라는 제2이미지부(20)를 위한 홈(12)을 형성하여 만든다. 상기 홈(12)은 비관통홈(12)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홈(12)으로 만들어진다.The first image part 10 included in the mosaic image display of FIG. 1 is made by processing marble.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portion of the marble plate 11 is processed by waterjet to form a groove 12 for the second image portion 20 called 'horse'. The groove 12 may be a non-penetrating groove 12, but is made of the through groove 12 in this embodiment.

상기 제1이미지부(10)의 무늬는 상기 대리석 플레이트(11)의 표면에 드러난 대리석 본래의 무늬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As the pattern of the first image unit 10, the original pattern of marbl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marble plate 11 may be used as it is.

제2이미지부(20)는 상기 제1이미지부(10)에 형성된 관통홈(12) 내에 모자이크 무늬를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자이크 무늬는 '말'이라는 문자가 모자이크로 표현되어 나타난다.The second image portion 20 is formed to exhibit a mosaic pattern in the through groove 12 formed in the first image portion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saic pattern is represented by a mosaic of letters 'horse'.

상기 제2이미지부(20)는 모자이크 무늬를 위해 다수의 조각편(21)들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조각편(21)들은 각각 '말'이라는 문자 중 일부가 표현되도록 이미지 처리 되어 있다. 이러한 조각편(21)들이 맞추어져 하나의 전체적인 이미지인 '말'에 대한 모자이크 무늬를 표현하게 된다.The second image portion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21 for the mosaic pattern. The plurality of pieces 21 are each image-processed so that some of the letters 'word' are expressed. These pieces 21 are fitted to represent a mosaic pattern for a 'horse' which is a whole image.

상기 다수의 조각편(21)들은 그 전면에 상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각편(21)들의 배면에 이미지가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조각편(21)들은 전방에서 상기 배면의 이미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plurality of pieces 21 may be subjected to the above image processing on the front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is processed on the back of the pieces 21, the pieces 21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mage of the back from the front.

제2이미지부(20)를 상기 제1이미지부(1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11)의 상기 관통홈(12)에 형성하기 위해 그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면(31)을 가지는 시트(30)를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의 배면에 부착한다.A sheet 30 having a printing surface 31 on which an image is printed so as to form a second image portion 20 in the through groove 12 of a plate 11 forming the first image portion 10. 3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late 11 as shown in FIG.

상기 시트(30)는 천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이미지부(20)의 모자이크 이미지를 위해 '말'이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The sheet 30 is made of cloth, and the word 'horse' is printed for the mosaic image of the second image unit 20 as shown.

상기 제2이미지부(20)를 형성할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은 상기 관통홈(12)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즉, 제1이미지부(10)와 제2이미지부(20)는 서로 접하는 측면에서 접착재 등을 통해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미지부(20)는 제1이미지부(10)의 상기 관통홈(12)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인쇄 시트(3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Mosaic pieces 21 to form the second image portion 20 may be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groove 12 may be supported. That is, the first image portion 10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2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image unit 20 may be supported by the printing sheet 30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through groove 12 of the first image unit 10.

도4에는 인쇄 시트(30)가 접착된 상기 제1이미지부(10) 플레이트(11)의 상기 관통홈(12) 내에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말' 중 'ㅁ'의 중앙에 제1이미지부(10)의 무늬와 같은 무늬를 나타내는 대리석 조각(13)이 위치된다.FIG. 4 shows that the mosaic piece 21 is installed in the through groove 12 of the plate 11 of the first image portion 10 to which the printing sheet 30 is adhered. As shown in FIG. 4, first, a marble piece 13 representing a pattern, such as a pattern of the first image part 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etter 'W'.

그리고, 상기 관통홈(12)의 나머지 부분에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이 설치되어 '말'이라는 모자이크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Then, the mosaic pieces 21 are installed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12 to form a mosaic pattern called 'horse'.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에 각각 처리된 이미지는 상기 제1이미지부(10) 무늬인 대리석 무늬와 대조되어 두드러져 보이도록 소정의 색상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색상은 빨강, 노랑, 파랑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색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은 하나의 단일한 색상일 수도 있으며, 또는 모자이크 조각편(21)마다 다른 색상으로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images processed on the mosaic pieces 21 may be expressed by a predetermined color so as to stand out in contrast to the marble pattern, which is the pattern of the first image part 10. The color may be at least one of red, yellow, blue, or a combination thereof. This color may be one single color or may be treated with a different color for each mosaic piece 21.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은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배면에 모자이크 무늬를 구성하는 해당 단위 이미지(21a)가 처리가 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21a)는 상기 유리 조각편(21)의 배면에 채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특정의 색이 채색된 시트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mosaic pieces 21 are made of transparent glass, and the unit image 21a constituting the mosaic pattern is process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This image 21a can be made by coloring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piece 21. Alternatively, it may be achieved by attaching a sheet colored with a specific color.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은 인접한 다른 조각편(21)들과 측면에서 접하며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각편(21)들의 그 측면들 사이에는 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경계층(2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계층(21b)으로 인해 상기 모자이크 무늬가 더욱 모자이크처럼 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경계층(21b)은 조각편(21)들의 단위 이미지(21a)들 사이에 소정의 외관적 경계를 형성하여 모자이크 무늬임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mosaic pieces 21 are located in lateral contact with other adjacent pieces 21. In addition, a boundary layer 21b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pieces 21 to indicate a boundary. The mosaic layer may look more mosaic because of the boundary layer 21b. That is, the boundary layer 21b may serve to further emphasize the mosaic pattern by forming a predetermined external boundary between the unit images 21a of the pieces 21.

또한, 상기 경계층(21b)은 접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상기 조각편(21)들 사이를 서로 접착시켜 서로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undary layer 21b may have adhesiveness, and in this case, the boundary layers 21b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hold each other.

물론, 상기 경계층(21b)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단위 모자이크 이미지(21a)들 사이의 외관적 경계는 조각편(21)들에 형성된 그 이미지 처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조각편(21)의 전면 또는 배면에 해당 단위 이미지(21a)를 전면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처리하면, 그러한 테두리 부분이 외관적 경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boundary layer 21b may be omitted. The apparent boundary between the unit mosaic images 21a can also be achieved by the image processing formed on the pieces 21. In other words, if the unit image 21a is not entirely process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piece 21, except the edge portion, the edge portion may form an appearance boundary.

또한, 모자이크 이미지를 위한 단위 이미지(21a)들 간의 외관적 경계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단순히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의 측면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은 아무리 잘 맞추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조각편(21)들의 측면들은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그러한 불연속에 의해서도 외관적 경계는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pparent boundary between the unit images 21a for the mosaic image may be achieved by simply the sides of the mosaic pieces 21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No matter how well the mosaic pieces 21 fit together, the apparent boundaries can be achieved by such discontinuities because the sides of the adjacent pieces 21 are discontinuous.

한편,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의 배면에는 이미지(21a) 처리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2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21c)은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을 인쇄시트(30)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상기 이미지 처리된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a protective layer 21c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saic pieces 21 to protect the processed portion of the image 21a. This protective layer 21c may be achieved by an adhesive material. That is,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mosaic pieces 21 to the printing sheet 30 may serve to protect the image treated portion.

상기 보호층(21c)이 접착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접착강도는 상기 인쇄시트(30)를 나중에 분리해 낼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When the protective layer 21c is adhesive, it may be advantageous to have such a degree of strength since the adhesive strength may need to be separated later.

상기 인쇄시트(30)는 천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말'이라는 이미지가 비교적 정밀하게 인쇄될 수 있는 정도의 조밀함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밀한 정도는 상기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을 설치할 때 상기 인쇄시트(30)에 인쇄된 부분이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When the printing sheet 30 is made of cloth, it may be advantageous to have a degree of compactness in which an image called 'horse' can be printed relatively precisely. In this case, the precision is sufficient so that the portion printed on the printing sheet 30 may serve as a guide when installing the mosaic pieces 21.

제1이미지부(10)의 플레이트(11)에 형성된 관통홈(12)에 제2이미지부(20)에 해당하는 모자이크 조각편(21)들을 모두 설치하면, 제1이미지부(10) 이미지를 배경무늬로 하고 그 중앙에 제2이미지부(20)에 의해 모자이크 무늬가 표현된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얻게 된다.If all the mosaic pieces 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part 20 are installed in the through grooves 12 formed in the plate 11 of the first image part 10, the background of the first image part 10 image is set as the background. The mosaic image exhibits the mosaic pattern and the mosaic pattern is expressed by the second image unit 20 at the center thereof.

이때, 상기 제2이미지부(20)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투명필림(미도시)을 부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transparent film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image unit 20.

그리고, 인쇄시트(3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그 떼어낸 자리에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은 망사형 천(40)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망사형 천(40)은 접착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으며, 그 접착강도는 인쇄시트(30)를 접착하는 경우보다는 강한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When the printing sheet 30 is removed, the mesh cloth 40 as shown in Fig. 6 can be attached to the removed position. The mesh cloth 40 may be bonded through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strength thereof may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printing sheet 30.

이러한 망사형 천(40)은 위와 같은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벽면(50)에 부착할 때 그 부착강도를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망사형 천(40)은 상기 전시물의 배면의 표면거칠기를 크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부착강도를 강화하게 된다.Such a mesh cloth 40 may help to strengthen the adhesion strength when attaching such mosaic image exhibits to the wall 50. The mesh cloth 40 helps to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ck of the exhibit, thereby enhancing the adhesion strength.

상기 벽면(50)은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50)일 수 있다. 상기 전시물을 상기 벽면(50)에 부착하기 위해 소정의 부착재가 이용될 수 다. 이러한 부착재는 유동적인 상태에서 상기 벽면(50) 또는 상기 전시물의 배면에 도포되며 상기 전시물이 벽면(50)에 부착된 후 고형되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시멘트가 이용될 수 있다. 시멘트가 모래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통해 상기 전시물을 상기와 같은 벽면(50)에 부착할 수 있다. The wall surface 50 may be an outdoor or indoor wall surface 50. Any attachment may be used to attach the exhibit to the wall 50. This attachment material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applied to the wall surface 50 or the back of the exhibit in a fluid state and is solidified after the exhibit is attached to the wall 50. For example, cement can be used. Cement may attach the exhibit to the wall 50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mortar mixed with sand.

도7은 이와 같이 상기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이 실외의 벽면(50)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7의 벽면(50)은 공원 등과 같은 야외에 설치된 시멘트 벽면(50)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벽면(50)은 건물의 외벽면(50) 또는 내벽면(50)일 수도 있다.FIG. 7 shows the mosaic image exhibit attached to the outdoor wall 50. The wall surface 50 of FIG. 7 may be a cement wall surface 50 installed outdoors such as a park. Of course, the wall surface 50 may be an outer wall surface 50 or an inner wall surface 50 of the building.

도7에는 배경이 되는 하나의 대리석 플레이트(11)에 '말'이라는 모자이크 이미지가 표현된 전시물 하나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전시물은 그 이상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상기 대리석 플레이트(11)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더 큰 플레이트(11)일 수 있으며, 모자이크 무늬는 그러한 플레이트(11)에 '말' 이외에도 제2이미지부(20)로서 다른 형태의 그림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대리석 플레이트(11)에 하나의 제2이미지부(20)가 형성된 다수의 전시물이 서로 측면에서 접하며 연달아 설치될 수도 있다.FIG. 7 shows only one exhibit in which a mosaic image of 'horse' is expressed on one marble plate 11 serving as a background, but such exhibit may be extended beyond that. The marble plate 11 may be a larger plate 11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saic pattern has a different image or character as the second image portion 20 in addition to the 'horse' on the plate 11. May be included.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exhibits in which one second image portion 20 is formed on one marble plate 11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ide.

10:제1이미지부 11:대리석 플레이트
12:관통홈 13:대리석 조각
20:제2이미지부 21:모자이크조각편
30:인쇄시트 40:망사형 천
50:벽면
10: First image part 11: marble plate
12: Through Hole 13: Marble Sculpture
20: second image 21: mosaic sculpture
30: Printing sheet 40: Mesh cloth
50: wall surface

Claims (10)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에 있어서,
전면으로 비모자이크 무늬가 보이도록 표현된 제1이미지부; 및
다수의 서로 독립된 조각편들이 맞추어져 하나의 통일된 무늬로서 모자이크 무늬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미지부와 함께 상기 전면으로 보이도록 상기 제1이미지부와 함께 고정 설치된 제2이미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미지부가 상기 제2이미지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
In the mosaic image exhibit attached to the wall of the outdoor or indoor,
A first image part expressed to show a non-mosaic pattern on the front surface;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pieces are formed to form a mosaic pattern as a single unified pattern, the second image part being fix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part to be seen in front of the first image p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osaic image exhib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mage portion is formed surrounding the side of the second image portion.
전면으로 비모자이크 무늬가 보이도록 표현된 제1이미지부; 및
다수의 서로 독립된 조각편들이 맞추어져 하나의 통일된 무늬로서 모자이크 무늬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미지부와 함께 상기 전면으로 보이도록 상기 제1이미지부와 함께 고정 설치된 제2이미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상기 제1이미지부와 제2이미지부는 측면에서 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을 포함하되,
상기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이 다수로 형성되어 서로 측면에서 접하며 실외 또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
A first image part expressed to show a non-mosaic pattern on the front surface;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pieces are formed to form a mosaic pattern as a single unified pattern, the second image part being fix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part to be seen in front of the first image part;
Including,
One of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is formed surrounding the other side,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includes a mosaic image exhibit,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to each other on the side,
The mosaic image exhib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saic image exhibi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side and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outdoor or in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부는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 내에 상기 플레이트와는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미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을 둘러싸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image portion is formed b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late in the through grooves or non-penetrating grooves formed in one plate, the first image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grooves or non-penetrating grooves in the plate Mosaic imag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surround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석재(石材)로 만들어지며, 상기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은 워터젯에 의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The mosaic image displa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late is made of stone, and the through groove or the non-penetrating groove is processed by water j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부는 목재, 석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이미지부는 유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The mosaic image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mag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material of wood, stone, and plastic, and the second image part comprises gla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부의 각 조각편들은 유리 조각편의 배면에 상기 모자이크 무늬를 위한 해당 이미지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The mosaic image displa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ieces of the second image portion is processed with a corresponding image for the mosaic pattern on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pieces.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의 배면에 부착된 망사형 천; 및
고형됨에 따라 상기 망사형 천이 부착된 제1이미지부 및 제2이미지부를 실외 또는 실내의 상기 벽면에 고정 부착시키는 부착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6 and 7,
A mesh cloth attached to rear surfaces of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And
An attachment member fixedly attaching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second image portion to which the mesh-type cloth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an outdoor or indoors as it is solid;
Mosaic image exhibit further comprising.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이 다수로 형성되어 서로 측면에서 접하며 상기 벽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이미지 전시물.The mosaic imag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saic image disp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 1, claim 3, claim 4, claim 6 and 7, formed in a plurality of sid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stalled on the wall. 삭제delete
KR2020120001758U 2012-03-07 2012-03-07 Mozaic image display KR2004647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58U KR200464788Y1 (en) 2012-03-07 2012-03-07 Mozaic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58U KR200464788Y1 (en) 2012-03-07 2012-03-07 Mozaic imag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88Y1 true KR200464788Y1 (en) 2013-01-17

Family

ID=5136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58U KR200464788Y1 (en) 2012-03-07 2012-03-07 Mozaic imag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88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296A (en) * 1998-02-25 1999-09-07 Shinto Paint Co Ltd Manufacture of glass mosaic piece
KR20040002332A (en) * 2002-06-25 2004-01-07 조명균 Mosaic frame using semi-jewelry spalled sto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296A (en) * 1998-02-25 1999-09-07 Shinto Paint Co Ltd Manufacture of glass mosaic piece
KR20040002332A (en) * 2002-06-25 2004-01-07 조명균 Mosaic frame using semi-jewelry spalled sto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0475U (en) Light receiving type light emitting sign board
KR100780747B1 (en) A picture or paint adornmen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 of
US6205692B1 (e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object
KR200464788Y1 (en) Mozaic image display
US20140137450A1 (en) Viewties
US7870696B2 (en) Panel assembly for decoration glass
JP2006007623A5 (en)
JP5999520B2 (en) Phosphorescent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130687B1 (en) Colored transparent panel assembly
JP3080805U (en) Translucent light film for window glass
KR101942866B1 (en) Sparkling sign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same
CN205498460U (en) Boudle is drawn
KR101228185B1 (en) Sign board comprising color layers having complementary col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90126246A1 (en) Multi-layer graphic illustrations
KR101605628B1 (en) Attatching Method of Decoration Element of Pair Glass
CN205680387U (en) A kind of luminous plate
KR200402327Y1 (en) Half transmit type sheet
JP3184046U (en) Indicator
JP7102209B2 (en) nameplate
JP2013052117A (en) Picture frame
JP2006163189A (en) 3d-display panel
JP3137770U (en) Welcome display
JP2009198927A (en) Door plate
JP2005148769A (en) Display tool and its fitting method
KR200334798Y1 (en) A sign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