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68Y1 -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 Google Patents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68Y1
KR200464668Y1 KR2020110005226U KR20110005226U KR200464668Y1 KR 200464668 Y1 KR200464668 Y1 KR 200464668Y1 KR 2020110005226 U KR2020110005226 U KR 2020110005226U KR 20110005226 U KR20110005226 U KR 20110005226U KR 200464668 Y1 KR200464668 Y1 KR 200464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rame
badminton racket
clip
racket
badmin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8762U (en
Inventor
신장식
Original Assignee
신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식 filed Critical 신장식
Priority to KR2020110005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68Y1/en
Publication of KR20120008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6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5Frames with easily dismountable parts, e.g. heads, shafts o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 헤드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프레임을 완전히 감싸도록 위턱과 아래턱으로 구성되는 치열부; 상기 치열부를 구성하는 상기 위턱과 아래턱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치열부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상기 치열부가 열리도록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축걸이로 구성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의 배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치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여, 배드민턴 라켓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라켓에 견고히 결합되어, 배드민턴 라켓의 형상을 전혀 변경하지 않고, 평소에 사용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배드민턴 운동을 즐기면서도 손쉽게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빈번한 스냅동작에도 안정적인 손목 근육 강화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on a badminton racket headframe, comprising: an orthodontic portion composed of an upper jaw and a lower jaw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A handle part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constituting the dental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ental part; A link part comprising a rotating shaft and a shaft hook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handle part to open the dental part by pressing the handle part; And a spring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to apply pressure to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part to provide pressure so that the dent portion does not open, thereby providing a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nd being easily attached to the badminton racket and firmly coupled to the racket.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badminton racket at all, you can use the usual badminton racket to enjoy the badminton exercise while easily strengthening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motion, and to perform a stable wris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ven during frequent snapping Can be.

Description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드민턴 라켓 헤드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배드민턴 라켓에 무게를 부가함으로써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minton 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dminton racket headframe, the head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that can enhance the exercise effect by adding weight to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strength .

일반적으로 배드민턴 라켓(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Head)(210), 샤프트(Shaft)(220) 및 그립(Grip)(230)으로 이루어지며, 헤드(210)는 셔틀콕이 임팩트되는 부분인 스트링(String) 또는 거트(Gut, 213)와 중공의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거트(213)가 매어지는 헤드프레임(Head Frame, 211)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badminton racket 200 is composed of a head (210), a shaft (220) and a grip (Grip) 230, as shown in Figure 1, the head 210 is a shuttlecock The impacted portion is composed of a string or gut 213 and a hollow frame structure and a head frame 211 to which the gut 213 is attached.

이러한 배드민턴 라켓의 스윙스피드는 라켓을 순간적으로 채는 손목의 스냅동작으로부터 나오는데, 스냅동작을 통하여 파워를 동반하는 정확한 컨트롤을 구사할 수 있다. The swing speed of the badminton racket comes from the snap action of the wrist that holds the racket momentarily, and the snap action enables precise control with power.

배트민턴의 경기력 향상에 중요한 요소인 손목의 스냅을 훈련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에 배드민턴 라켓 보호커버를 라켓에 씌운 채 스윙하거나 셔틀콕을 스트록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는 라켓 보호커버에 의한 공기의 저항을 통해 손목의 근력을 기르는 방법인데, 야구선수가 타석에 들어가기 전에 배트에 쇠고리를 걸어 헛스윙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과 유사한 트레이닝의 일종이다.There are many ways to train the wrist snap,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dminton, including swinging the shuttlecock with a badminton racket protective cover. It's a way to build your wrist's strength through air resistance by the racket's protective cover, a type of training that resembles a hoop swinging several times on a bat before a baseball player enters the plate.

그러나 전술한 라켓 보호커버의 공기 저항을 이용한 근력 강화 방법은 라켓의 헤드프레임 전체에 공기저항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공기저항이 너무 세어서 손목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시간 동안 반복적인 스윙동작이 곤란하고, 오히려 손목에 무리를 주게 되어 인대나 근육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운동효과가 미흡하다.However, the aforementioned method of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using the air resistance of the racket protective cover provides air resistance to the entire head frame of the racket. Difficult to swing, rather giving the wrist force to damage the ligaments and muscles, there is a lack of exercise effect.

따라서 평소에 사용하는 라켓을 이용하여 본연의 배드민턴 운동의 장점과 재미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배드민턴 운동에 중요한 손목의 스냅동작을 트레이닝할 수 있도록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망된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a racket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wrist muscles to train the snap action of the wrist, which is important for badminton, without reducing the benefits and fun of the original badminton exerci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소에 사용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평소와 같이 배드민턴 운동을 즐기면서도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that can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operation while enjoying badminton exercise as usual by using a badminton racket used in the usual.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훈련강도에 따라 쉽게 무게를 조절하여 배드민턴의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that can easily strengthen the wrist muscle for badminton wrist snap action by easily adjust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training intensity.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the head frame of the badminton racke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컬러와 문양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여 배드민턴 운동 중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함과 동시에 배드민턴 라켓에 심미감을 다양하게 줄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frame clip of various colors and patterns to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movement during badminton exercise, while at the same time give a bad taste to the badminton racket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to provid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배드민턴 라켓의 스윙 스피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에 다양한 무게를 부가시킬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that can add a variety of weight to the head frame of the badminton racket without affecting the swing speed of the badminton racket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to a minimum.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드민턴 라켓이 셔틀콕과 충돌함에 따라 진동하는 거트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that can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operation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vibrating gut as the badminton racket collides with the shuttlecock.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은, 셔클콕이 임팩트되는 거트(Gut)와 중공의 프레임구조로서 상기 거트가 매어지는 헤드프레임(Head Frame)으로 이루어지는 헤드(Head), 라켓을 잡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그립(Grip), 상기 헤드와 그립을 연결하는 샤프트(Shaft)로 구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을 완전히 감싸도록 위턱과 아래턱으로 구성되는 치열부; 상기 치열부를 구성하는 상기 위턱과 아래턱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치열부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상기 치열부가 열리도록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축걸이로 구성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의 배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치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ead consisting of a gut (Gut) and the hollow frame structure is a head frame (Head frame) to which the guts are tied. Head), a grip (Grip) is formed to hold a racket, a badminton racket consisting of a shaft (Shaft) connecting the head and the grip, comprising: a tooth portion consisting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A handle part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constituting the dental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ental part; A link part comprising a rotating shaft and a shaft hook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handle part to open the dental part by pressing the handle part; And a spring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to apply pressure to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part to provide pressure so that the dentition part does not open.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은, 상기 헤드프레임을 완전히 감싸도록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uneven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은, 상기 헤드프레임에 끼워질 시 상기 헤드프레임에 끼워져 있는 거트가 통과하도록 거트스루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gut through hole so that the gut fitted to the head frame pass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대응하는 요철부의 일부가 겹치도록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ing portion so as to overlap the corresponding uneven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은, 무게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문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fferent color or pattern depending on the weigh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관통하는 통풍구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vent holes forme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는, 상기 헤드프레임과 밀착되는 내측면에 미끄럼방지 물질, 필름 및 하나 이상의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at least one of the anti-slip material, film and one or more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fram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는, 내측면에 외측면이 갖는 탄성력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부재를 전체적으로 덧대거나 부분적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padded or partially attached to a member having a larger elastic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outer surfa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상기 치열부는, 내측면에 외측면이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복층의 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of a multi-layered member having a different elastic force on the inner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소에 사용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평소와 같이 배드민턴 운동을 즐기면서도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trengthening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operation while enjoying badminton exercise as usual by using a badminton racket used in the usual.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라켓에 견고히 결합되어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adminton racket while being firmly coupled to the racket to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action.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컬러와 문양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제공하여 배드민턴 운동 중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함과 동시에 배드민턴 라켓에 심미감을 다양하게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colors and patterns of the headframe clip to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ping movement during badminton exercis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give a variety of aesthetics to the badminton racket.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컬러와 문양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무게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컬러 또는 문양만으로 헤드프레임 클립의 무게를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weight of the headframe clip only by the color or pattern by providing a headframe clip of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weight.

또한, 본 고안은 배드민턴 운동 중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시 공기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배드민턴 라켓의 스윙 스피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affect the swing speed of the badminton racket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when strengthening the wrist muscle for wrist snap action during badminton exercise.

또한,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이 셔틀콕과 충돌함에 따라 진동하는 거트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헤드프레임 클립 부착에 따른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badminton racke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vibrating gut as it collides with the shuttlecock, thereby minimizing the rejection due to the attachment of the headframe clip.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이 결합된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개폐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치열부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전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링크부 및 스프링부를 나타낸 부분배면도,
도 9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변형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adminton racket to which the headframe clip of FIG. 1 is coupled;
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headframe clip of FIG. 1;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frame cl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frame cl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teeth of the head frame cli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rear view showing the link portion and the spring portion of the head fram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headframe clip of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whenever possible.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을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ead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이 결합된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Head Frame Clip, 100)은 배드민턴 라켓(200)의 헤드(210)의 프레임(211)에 장착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badminton racket combined with the headframe clip of FIG. 1 and 2, as shown, a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ame 211 of a head 210 of a badminton racket 200.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헤드프레임(211)의 외주면부터 내측으로 밀착되게 수용하며, 상단부(세로줄)의 거트(213)를 구속하지 않으면서 헤드프레임(211)을 완전히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상호 요철이 대응되게 형성된 위턱(111) 및 아래턱(113)이 맞물려 헤드프레임(211)을 완전히 감싸도록 하는 치열부(110)와, 상기 치열부(110)의 개폐를 조정하는 손잡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위턱(111) 및 아래턱(113)의 경계에는 커트(213)를 물어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거트스루홀(1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트스루홀(115)은 원형으로 국한되지 않고 셔틀콕 타격 시 진동하는 거트(213)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to be in close contac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frame 211 and coupl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211 without restraining the gut 213 of the upper end (vertical line). do. To this end,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rthodontic part 110 and the dentition to completely cover the head frame 211 is engaged with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unevenness, It includes a handle 120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nit 110, the gut-through hole 115 is formed on the boundary of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so as not to apply pressure to the cut 213. . In this case, the gut through hole 115 may be formed long up and down so as not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gut 213 that vibrates when the shuttle cock is hit.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운동 중 헤드프레임(211)이 받는 회전력으로 인하여 헤드프레임(2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 맞물린 치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부(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열부(110)가 개폐되도록 하는 회전축 등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ing and the spring for providing a restraining force so as not to open the dentition portion once engag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head frame 211 due to the rotational force received by the head frame 211 during the movement It is mounted and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haf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rthodontic portion 1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링크부 및 스프링을 나타낸 부분배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회전축(131)과, 손잡이부(120)의 상하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31)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부(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열부(110)를 개폐시키는 축걸이(133)로 구성되는 링크부(130) 및 상기 회전축(131)에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부(120)에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상기 치열부(1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120)의 배면에서 상기 손잡이부(120)에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140)을 더 포함한다.8 is a partial rear view showing the link portion and the spring of the head fram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rotating shaft 131, the handle portion 120 The link part 130 and the rotating shaft which is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131 and comprises a shaft hanger 133 that opens and closes the dental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120 about the rotating shaft 131. The handle portion 120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20 so as not to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portion 110 is closed before being fitted to the handle portion 120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120. It further includes a spring 140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상기에서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집게와 같은 원리로 헤드프레임(213)에 탈착이 간편하므로 탈착을 위한 별도의 추가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운동하기 전 스트레칭 시 간편하게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213)에 장착 가능하므로 그 활용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게임을 시작할 때에는 바로 탈착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2 and 8,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etach the head frame 213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forceps, so additional time for detachment Do not need. In other words, i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head frame 213 of the badminton racket at the time of stretching before the exercise is not only increases its utilization, but also immediately removable when starting the game is very convenient.

한편, 테니스나 배드민턴 등 길게 형성된 라켓을 원형으로 휘둘러 단부에 타격의 동력을 제공하는 운동에서는 거트(213)가 형성되는 단부의 회전력(Torque)은 라켓의 손잡이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힘이 가해지는 지점으로부터 단부까지 거리의 곱으로서, 상상 이상의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헤드프레임(211)의 최선단에 장착된 물체가 회전력을 받아 이탈되면 함께 운동하는 사람들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어떠한 회전력이 헤드프레임(211)에 가해지더라도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xercise that swings a long formed racket such as tennis or badminton in a circle to provide power to the end, the torque of the end where the gut 213 is formed is a point where the force and force applied from the handle of the racket are applied. As a product of the distance from the end to the end, a force beyond imagination is applied. Therefore, if the object mounted at the top of the head frame 211 is subj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and can be a great threat to those who move together, the headframe clip 100, even if any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adframe 211 It should not be detached from the installed stat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헤드프레임(211)을 위턱(111)과 아래턱(113)이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갖는 치열부(110)를 형성함과 아울러, 손잡이부(120)의 배면에서 상기 치열부(110)의 물림을 더욱 강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40)을 포함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라켓에 견고히 결합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ave-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form a dental portion 11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jaw 113 completely surrounds the head frame 211. By including a spring 140 for more strongly supporting the bite of the orthodontic portion 110 on the back of the handle portion 120, it is easily detachable and firmly coupled to the racket to safely and conveniently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거트스루홀(115)을 더 구비하여 배드민턴 라켓이 셔틀콕과 충돌함에 따라 진동하는 거트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헤드프레임 클립 부착에 따른 거부감을 최소화한다. 거트스루홀(115)은 원형으로 국한되지 않고 셔틀콕 타격 시 진동하는 거트(213)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할 도 7a 및 도 7b에 거트스루홀(115)의 변형 예(715)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t through hole 115 to minimize the rejection of the head frame clip attached by no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vibrating gut as the badminton racket collides with the shuttlecock. do. The gut through hole 115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and vertically long so as not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gut 213 that vibrates when the shuttle is hit. 7A and 7B to be described below, a modification 715 of the gut through hole 115 is illustrated.

이하, 도 3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headfram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7.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개폐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b는 각각 본 고안의 제 2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의 특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headframe clip of FIG. 1,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A diagram for describing features of a headframe clip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헤드프레임(211)을 완전히 밀착하여 감싸고, 거트(213)는 위턱(111) 및 아래턱(113)의 소정 위치에 형성시킨 거트스루홀(115)을 통해 통과시키는데, 손잡이부(120)의 배면에는 위턱(111) 및 아래턱(113)이 더욱 견고하게 헤드프레임(211)에 장착되어 있도록 링크부(130) 및 스프링(140)이 구비된다.3A and 3B, the head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wraps around the headframe 211, and the gut 21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Pass through the gut through hole 115, the upper portion 111 and the lower jaw 113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20 is more rigidly mounted to the head frame 211 so that the link portion 130 and the spring ( 140 is provided.

이때, 헤드프레임 클립(100)을 헤드프레임(211)에 끼울 시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치열부(11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갖는 탄성력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부재를 덧대거나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치열부(110)를 안팎이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복층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head frame clip 100 is inserted into the head frame 211, a pad having a greater elastic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outer side may be padded or partial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dental abutment 110. In addition, the dental appliance 110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 multilayer having different elastic forces inside and outside.

한편, 도 3a 및 도 3b의 손잡이부(120)는 운동 시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손잡이부(420)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손잡이부(520)의 형태와 같이 도 3a 및 도 3b의 손잡이부(120)와 대비할 때 그 크기를 최소화하여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ortion 120 of Figures 3a and 3b preferably has the form of the handle portion 420 shown in Figure 4 in order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during exercise.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the handle portion 520 of FIG. 5, the size of the handle portion 520 may be minimize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air as compared to the handle portion 120 of FIGS. 3A and 3B.

도 6은 치열부(610)에 변형된 특징이 있는 헤드프레임 클립(1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치열부(610)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클립의 무게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목 근육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무게의 클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dframe clip 100 having a deformed feature in the dentition part 610. The weight of the clip can be variously chang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ntition part 610.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your wrist muscles, you can choose to use various weight clips.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7a 및 도 7b도 치열부(710)가 변형된 특징이 있는데, 위턱(111)과 아래턱(113)이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실시 예들과 달리 도 7a 및 도 7b은 위턱(711)과 아래턱(713)의 단부의 일부가 겹치도록 하여 헤드프레임(211)을 더욱 견고히 감싸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다. 도 7a는 아래턱(713)의 철부(717)가 위턱(711)의 요부(719)보다 길게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위턱(711)의 철부도 아래턱(713)의 요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위턱(711) 및 아래턱(713)의 철부가 모두 길게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철부(717) 및 요부(719)는 위턱(711)과 아래턱(713)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FIGS. 7A and 7B also have a deformed orthodontic portion 710.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form uneven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IGS. 7A and 7B illustrate the upper jaw.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711 and the lower jaw 713 overlaps the head frame 211. 7A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convex portion 717 of the lower jaw 713 is formed longer than the concave portion 719 of the upper jaw 711, and FIG. 7B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upper jaw 711 longer than the recess of the lower jaw 713. The convex portions of the upper jaw 711 and the lower jaw 713 are shown to be formed long. At this time, the convex portion 717 and the recess 719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upper jaw 711 and the lower jaw 713 for a stable coupling.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턱(711)과 아래턱(713)의 라인을 조절하여, 거트스루홀(715)이 도 1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헤드프레임(211)에 장착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은 거트스루홀(715) 형성의 원리를 도 1에 적용한 형태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도 1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변형 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의 사시도로서, 도 1과 같이 거트스루홀(115)을 원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치열부(110)의 위턱(111)과 아래턱(113)이 대응하는 측면을 곡선으로 처리하여 맞물릴 시 자연스럽게 거트스루홀(115)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치열부(110)의 위턱(111)과 아래턱(113)이 대응하는 측면에 반원씩 거트스루홀(115)을 형성할 수도 있고, 위턱(111)과 아래턱(113) 중 어느 하나에 거트스루홀(115)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B, when the lines of the upper jaw 711 and the lower jaw 713 are adjusted, the gut through hole 715 is mounted on the head frame 211 without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It can be formed naturally. FIG. 9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inciple of forming the gut through hole 715 as shown in FIG. 7B is applied to FIG. 1.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head frame clip of FIG. 1, and the upper jaw 111 of the orthodontic portion 110 without forming the gut through hole 115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When the lower jaw 113 and the corresponding side is processed by the curve to the mat so that the gut through hole 115 is naturally form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of the orthodontic portion 110 may form a gut through hole 115 by a half circle,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of The gut through hole 115 may be formed in either one.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에서는 치열부(110)를 구성하는 위턱(111)과 아래턱(113)의 요철부를 모두 동일한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그 형태나 조합, 개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다양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색상이나 문양을 넣어 사용자들이 기호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무게에 따라 특정한 색상이나 문양을 지정하여, 사용자가 색상이나 문양만으로 헤드프레임 클립(100)의 무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drawings show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upper jaw 111 and the lower jaw 113 constituting the orthodontic portion 110 are shown in the same form, but the form, the combination, and the number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course not. In addition, the head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to have a variety of weight, put the color or pattern may be u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r preferences. In particular, the head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s a specific color or pattern according to the weigh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eight of the headframe clip 100 only by the color or patter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헤드(210)의 좌우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도록 헤드프레임(211) 최단부의 중앙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호에 따라 헤드(210)의 좌우에 각각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거트스루홀(115)은 거트(213)들의 표준거리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하며, 치열부(110)의 형태에 따라 그 개수와 간격 또한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shortest end of the head frame 211 so that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head 210 is balanced,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210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ince it may be used by mounting, the gut through hole 115 is to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distance of the guts 213, the number and spacing can also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ental part 110.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배드민턴 라켓(200)의 스윙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120)의 크기나 형태뿐만 아니라 손잡이부(120)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풍구들(미도시함)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handle portion 120 as well as the size or shape of the handle portion 120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at the time of swinging the badminton racket 200 Multiple vents (not shown) may be form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100)은 헤드프레임(211)과 밀착되는 내측면에 미끄럼방지 필름이나 물질을 도포하거나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들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frame 211 or a non-slip film or material or may further form a plurality of non-slip projections.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400)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력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되, 회전력에 의해서 변형될 만큼의 탄성력을 제거한 단단한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0)를 눌러 헤드프레임 클립(100)을 헤드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뿐 클립(100)이 가진 탄성력만으로는 헤드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될 수는 없다. The head frame clip 400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de of silicon, rubber or synthetic resin, and has a hard property to remove elastic force enough to be deformed by rotational forc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B, the head frame clip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ead frame 211 by pressing the handle 120, and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ead frame 211. There is no nu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은 배드민턴 라켓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라켓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소에 사용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평소와 같이 배드민턴 운동을 즐기면서도 손쉽게 손목 스냅동작을 위한 손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빈번한 스냅동작에도 안정적인 손목 근육 강화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d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easily coupled to the racket while being easily removable to the badminton racket, while enjoying the badminton movement as usual by using a badminton racket used in the usual It can easily strengthen the wrist muscles for wrist snap action, and can perform a stable wris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ven in the frequent snap ac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은 격렬한 동작에 대하여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면서도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헤드프레임 클립의 사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헤드프레임 클립은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기저항으로 인해 배드민턴 라켓의 스윙 스피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use efficiency of the head frame clip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is firmly adhered to, fixed to the head frame of the badminton racket for easy operation. In addition, the head fram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air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ng speed of the badminton racket due to the air resistance.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헤드프레임 클립 110, 610, 710: 치열부
111, 711: 위턱 113, 713: 아래턱
115, 715: 거트스루홀 120, 420, 520: 손잡이부
130: 링크부 131: 회전축
133: 축걸이 140: 스프링
200: 배드민턴 라켓 210: 헤드
211: 헤드프레임 213: 거트
717: 철부 710: 요부
100: head frame clip 110, 610, 710: dentition
111, 711: upper jaw 113, 713: lower jaw
115, 715: gut through hole 120, 420, 520: handle
130: link portion 131: rotation axis
133: shaft hanger 140: spring
200: badminton racket 210: head
211: headframe 213: gut
717: iron part 710: main part

Claims (9)

셔틀콕이 임팩트되는 거트(Gut)와 중공의 프레임구조로서 상기 거트가 매어지는 헤드프레임(Head Frame)으로 이루어지는 헤드(Head), 라켓을 잡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그립(Grip), 상기 헤드와 그립을 연결하는 샤프트(Shaft)로 구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을 완전히 감싸도록 위턱과 아래턱으로 구성되는 치열부;
상기 치열부를 구성하는 상기 위턱과 아래턱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치열부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상기 치열부가 열리도록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축걸이로 구성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의 배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치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A head made of a head frame to which the gut is attached as a hollow frame structure and a hollow frame structure, a grip in which a handle for holding a racket is formed, and the head and a grip are connected. In the badminton racket composed of a shaft (Shaft),
Tooth part consisting of the upper jaw and lower jaw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A handle part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constituting the dental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ental part;
A link part comprising a rotating shaft and a shaft hook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handle part to open the dental part by pressing the handle part; And
And a spring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to apply pressure to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to provide pressure so that the dental portion does not op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은,
상기 헤드프레임을 완전히 감싸도록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the dentition,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ly formed concave-convex portions to completely surround the head fram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은,
상기 헤드프레임에 끼워질 시 상기 헤드프레임에 끼워져 있는 거트가 통과하도록 거트스루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claim 1, wherein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gut through hole to pass through the gut fitted to the head frame when fitted to the head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의 상기 위턱과 아래턱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대응하는 요철부의 일부가 겹치도록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of the dentition portion,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ing portion so as to overlap the corresponding uneve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은,
무게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문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olors or patterns depending on the w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관통하는 통풍구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는,
상기 헤드프레임과 밀착되는 내측면에 미끄럼방지 물질, 필름 및 하나 이상의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ntition portion,
The head frame clip of the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at least one of the non-slip material, the film and one or more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frame.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는,
내측면에 외측면이 갖는 탄성력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부재를 전체적으로 덧대거나 부분적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dentition portion,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is padded or partially attached to a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larger than that of the outer side.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부는,
내측면에 외측면이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복층의 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dentition portion,
A head frame clip of a badminton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of a multi-layered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forces on the outer surface.
KR2020110005226U 2011-06-13 2011-06-13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KR2004646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26U KR200464668Y1 (en) 2011-06-13 2011-06-13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26U KR200464668Y1 (en) 2011-06-13 2011-06-13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62U KR20120008762U (en) 2012-12-24
KR200464668Y1 true KR200464668Y1 (en) 2013-01-14

Family

ID=5135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26U KR200464668Y1 (en) 2011-06-13 2011-06-13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68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92Y1 (en) 2004-09-03 2004-11-17 민병곤 The hitting power elevation sports a racket
KR20060021581A (en) * 2004-09-03 2006-03-08 민병곤 The hitting power elevation sports a racket
KR200434806Y1 (en) 2006-09-30 2006-12-27 권홍열 shuttlecock catch holder attached badminton racket
KR200460116Y1 (en) 2009-10-14 2012-05-04 신장식 Weight clip for badminton ra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92Y1 (en) 2004-09-03 2004-11-17 민병곤 The hitting power elevation sports a racket
KR20060021581A (en) * 2004-09-03 2006-03-08 민병곤 The hitting power elevation sports a racket
KR200434806Y1 (en) 2006-09-30 2006-12-27 권홍열 shuttlecock catch holder attached badminton racket
KR200460116Y1 (en) 2009-10-14 2012-05-04 신장식 Weight clip for badminton 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62U (en)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444B2 (en) Direct contact racquet
US8602925B1 (en) Grip training device
KR101359481B1 (en) A swing training device of a golf
JP5997436B2 (en) Swing training equipment for athletics and how to use it
KR200464668Y1 (en)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JP5529330B1 (en) Golf gloves
KR200460116Y1 (en) Weight clip for badminton racket
US20130085021A1 (en) Weighted racquet cover
KR200453743Y1 (en) Racket head cover
KR100660407B1 (en) Hitting mitt
KR200376654Y1 (en) Racket
JP2015084964A (en) Grip assisting device for tennis racket, table tennis racket, baseball bat, etc
US20170028286A1 (en)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US20120289366A1 (en) Racquet Weight Kit
JP6812528B1 (en) Exercise equipment
JP3223927U (en) Training cover for badminton rackets
KR200461622Y1 (en) A handle for badminton
KR200232877Y1 (en) A racket assist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of arm muscles and preventing of an elbow
KR200445959Y1 (en) functional device for correcting and strengthening golf swing muscles with separate grips for each hand and for two skills
JP3136489U (en) Grip strength training tool for middle and index fingers
CN207462595U (en) A kind of bat of table tennis
KR100402444B1 (en) A racket assist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of arm muscles and preventing of an elbow
JP3114554U (en) Golf club swing exercise tool
KR20120005656U (en) Ball for playing
KR200366012Y1 (en) A Hand Badminton 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