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02Y1 -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02Y1
KR200464202Y1 KR2020120008869U KR20120008869U KR200464202Y1 KR 200464202 Y1 KR200464202 Y1 KR 200464202Y1 KR 2020120008869 U KR2020120008869 U KR 2020120008869U KR 20120008869 U KR20120008869 U KR 20120008869U KR 200464202 Y1 KR200464202 Y1 KR 200464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ouse body
auxiliary
extension memb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섭
Original Assignee
정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섭 filed Critical 정만섭
Priority to KR2020120008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튼 및 휠과, 마우스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연장 부재; 상기 연장 부재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광학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버튼; 상기 마우스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학부 및 보조 광학부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버튼 및 상기 보조 버튼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형성시켜 마우스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일정 시간마다 회전시켜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버튼을 검지 및 중지가 아닌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MOUSE FOR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본 고안은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형성시켜 마우스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일정 시간마다 회전시켜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버튼을 검지 및 중지가 아닌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입력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일종으로, 클릭이나 드래그, 더블클릭 등의 동작이 가능하며, 버튼의 종류에 따라 1~3 버튼식, 접속방법에 따라 시리얼과 PS/2, USB식, 동작방법에 따라 기계식(또는 볼식), 광학식, 광학기계식 등으로 나뉜다.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각종 정보의 공유, 금융결제, 온라인 게임 등의 목적을 위해 컴퓨터의 사용은 매우 일반적인 것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입력장치인 마우스 또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마우스는 손으로 움직여 커서의 위치를 조절하고,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입력버튼을 눌러 좌표값을 입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마우스는 입력버튼의 경사각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할 때 거의 수평에 가까운 경사도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검지와 중지를 거의 수평으로 편 상태에서 입력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는 검지와 중지의 손마디 전체를 움직여 입력버튼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클릭 시 힘의 전달이 손가락 힘줄 전체를 타고 전달되므로 건초염이나 수근관 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마우스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9119호(선행문헌 1)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손목 받침부가 구비된 밴드를 마우스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어깨나 신체에 편안함을 주어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근관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한 선행문헌 1의 경우에는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밴드가 마우스와는 별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손목 밴드의 분실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77012호(선행문헌 2)는 수근관 증후군 방지용 마우스의 입력버튼구조에 관한 것으로, 클릭 시의 힘이 손가락 힘줄 전체를 타고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릉부를 형성함으로써, 검지 및 중지 손가락의 운동과 힘을 최대한 줄이거나 분산시켜 수근관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한 선행문헌 2는 검지 및 중지를 통한 누름력을 최대한 줄이거나 분산시킬 수는 있지만, 검지 및 중지를 그대로 사용하여 버튼을 누르기 때문에 수근관 증후군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911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7701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형성하여 마우스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일정 시간마다 회전시켜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버튼을 검지 및 중지가 아닌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100)와,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튼(110) 및 휠(120)과, 마우스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연장 부재(200); 상기 연장 부재(20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광학부(220);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버튼(400); 상기 마우스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학부 및 보조 광학부(220)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버튼(110) 및 상기 보조 버튼(400)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연장 부재(200)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부재(200)의 측면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반 원형의 약지 걸림부(210); 및 상기 지지 부재(300)의 상부 면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소지 안착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부재(200)는 상기 마우스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 부재(200) 중 상기 마우스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상에 안착되는 결합볼이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100) 측으로 상기 연장 부재(200)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상기 연장 부재(200)를 이동시키고, 상기 결합볼이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연장 부재(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에 의하면,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형성하여 마우스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 광학부 및 보조 버튼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일정 시간마다 회전시켜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버튼을 검지 및 중지가 아닌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본체(100)와,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튼(110) 및 휠(120)과, 마우스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광학부(미도시)와, 마우스 본체(100)의 측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부재(200)와, 연장 부재(20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광학부(220)와, 마우스 본체(100)에 설치되어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미도시)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학부 및 보조 광학부(220)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마우스 본체(100), 버튼(110), 휠(120) 및 상기 광학부는 일반적인 마우스에 형성되는 기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연장 부재(200)는 마우스 본체(100)의 일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부재(200)는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마우스 본체(100)의 일 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기둥, 원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부재(200)의 외측 단부에는 보조 광학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광학부(220)는 마우스 본체(100)의 하부 면에 형성되는 광학부(미도시)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광학부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조 광학부(2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연장 부재(200)의 일 측면에는 약지 걸림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약지 걸림부(210)는 연장 부재(200)의 측면 중 사용자의 손목 측에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되며, 그 형상은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반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약지 걸림부(210)는 사용자가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우스 본체(100)에 손을 올려놓았을 때, 약지의 손톱에 걸리게 되어 사용자의 손에 마우스 본체가 고정되게 하여 사용자의 손이 마우스 본체(100)를 이탈함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 부재(200)는 마우스 본체(100)의 일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마우스 본체(100)의 일 측면에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 상에 상기 연장 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 부재(200)의 고정을 위해 가이드 레일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연장 부재(200) 중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홈(미도시)과,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미도시) 및 상기 스프링 상에 결합볼(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연장 부재(200)를 마우스 본체(100) 측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다 상기 결합볼이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연장 부재(200)는 마우스 본체(10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마우스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상기한 기울기 센서는 종래에 휴대폰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광학부 및 보조 광학부(220)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이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어부는 마우스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광학부만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광학부에 의한 신호가 컴퓨터로 전송되어 입력된다. 그러나, 본 고안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제어부가 보조 광학부(220)만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 경우에는 보조 광학부(220)에 의한 신호가 컴퓨터로 전송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100)의 측면 중 보조 광학부(220)가 형성된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 버튼(400)을 더 포함한다. 보조 버튼(400)은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버튼(110)과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며,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에 따라 작동되거나 작동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이 도 1에 도시된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부가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버튼(110)만을 작동시키므로 버튼(110)에 의한 입력 값만이 컴퓨터로 전송된다. 그러나, 본 고안이 도 5에 도시된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부가 보조 버튼(400)만을 작동시키므로 보조 버튼(400)에 의한 입력 값만이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가 도 1에 도시된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부가 광학부 및 버튼(110)만을 작동시키므로 사용자는 일반적인 마우스와 동일한 형태로 본 고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손목 운동을 하기 위해 손목을 회전시켜 마우스 본체(100)를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시키면 기울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인가받은 제어부는 보조 광학부(220) 및 보조 버튼(400)만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는 보조 버튼(400)만이 작동되므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를 이용하여 보조 버튼(400)을 누름으로써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100)를 회전시킬 경우에도 보조 광학부(220) 및 보조 버튼(400)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이 저릴 때마다 손목을 회전시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검지 및 중지만을 이용하지 않고 엄지를 병행하여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함으로써,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본체(100)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지지 부재(300)는 상부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소지 안착부(310)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일 측에 결합 돌기(3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320)는 마우스 본체(100)의 측면 중 연장 부재(200)가 형성된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30) 내부로 삽입되어 마우스 본체(100)와 지지 부재(30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300)는 연장 부재(200)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약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지 안착부(310)는 사용자의 소지에 대응되는 반 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소지를 수용하여 마우스 본체(100)와 사용자의 손을 고정한다.
지지 부재(300)의 주요 역할은 본 고안을 도 5와 같은 상태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잠시 사용을 중지할 경우 마우스 본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연장 부재(200)의 연장된 너비와 지지 부재(300)의 너비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100)의 측면에 보조 광학부(220) 및 보조 버튼(400)을 형성시켜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 광학부(220) 및 보조 버튼(400)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일정 시간마다 회전시켜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버튼(400)을 검지 및 중지가 아닌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마우스 본체 110 : 버튼
120 : 휠 130 : 결합홈
200 : 연장 부재 210 : 약지 걸림부
220 : 보조 광학부 300 : 지지 부재
310 : 소지 안착부 320 : 결합 돌기
400 : 보조 버튼

Claims (4)

  1. 마우스 본체(100)와,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튼(110) 및 휠(120)과, 마우스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광학부를 포함하는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연장 부재(200);
    상기 연장 부재(20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광학부(220);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버튼(400);
    상기 마우스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학부 및 보조 광학부(220)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버튼(110) 및 상기 보조 버튼(400)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연장 부재(200)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200)의 측면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반 원형의 약지 걸림부(210); 및
    상기 지지 부재(300)의 상부 면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소지 안착부(310);를 더 포함하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200)는 상기 마우스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마우스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 부재(200) 중 상기 마우스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상에 안착되는 결합볼이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100) 측으로 상기 연장 부재(200)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상기 연장 부재(200)를 이동시키고,
    상기 결합볼이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연장 부재(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KR2020120008869U 2012-10-04 2012-10-04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KR200464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69U KR200464202Y1 (ko) 2012-10-04 2012-10-04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69U KR200464202Y1 (ko) 2012-10-04 2012-10-04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202Y1 true KR200464202Y1 (ko) 2012-12-18

Family

ID=5371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869U KR200464202Y1 (ko) 2012-10-04 2012-10-04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6839A1 (en) Dual-mode input device
US20150153884A1 (en) FrameLess Tablet
US20080024447A1 (en) Multidimensional Mouse and Stabilizer Therefor
US20140253453A1 (en) Computer Display Object Controller
CN201780561U (zh) 指套式鼠标
KR200464202Y1 (ko) 수근관 증후군 예방용 마우스
CN101308412A (zh) 指套式光电鼠标
KR101397457B1 (ko) 게임 조정장치
KR101767334B1 (ko)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CN210895374U (zh) 一种可穿戴的轨迹球鼠标
JP5053428B2 (ja) マウス及びタッチ入力結合装置
WO2010096152A3 (en)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KR200370864Y1 (ko)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장치
CN203812194U (zh) 一种基于轨迹球的空间操作式鼠标壳
KR20090011187U (ko) 두 개의 스크롤 휠이 장착된 트랙볼마우스
GB2464925A (en) Computer mouse that converts a motion signal for left and right hand orientation
KR20070095047A (ko) 손가락이 바닥에 닿지 않는 컴퓨터용 마우스
KR20070095046A (ko) 손가락이 바닥에 닿지 않는 컴퓨터용 마우스
CN201181456Y (zh) 手柄式鼠标
CA2624099A1 (en) Hand held pointing device
KR200455683Y1 (ko)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컴퓨터용 마우스
KR101250961B1 (ko) 양손 자동 선택형 인체공학 마우스
JP2011510384A (ja) 人間工学的マウス
KR20060028221A (ko)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장치
JP3121186U (ja) 多機能の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